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5 10:48:43

청량리차량사업소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의 차량정비단·차량사업소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고속철도
파일:KTX BI_White, Red.svg 파일:SRT BI_White.svg
강릉 | 광명[주박] | 부발 | 부산단 고속차량처 | 수도단[중]
울산[중] | 이문 | 호남단[중] | 병점[주박] | 송산 | 순천
부산단 고속차량처 | 수서(정비시설) | 호남단[중] | 평택지제
일반열차 · 관광열차
파일:누리로 백색 로고.png 파일:동해산타열차BI.png 파일:ITX-새마을 BI_All White.png
강릉 | 대구[주박] | 이문[중] 서울 | 부산 | 이문[중]
파일:ITX-마음 BI_White.png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강릉[주박] | 서울 | 대구[주박] | 부산 | 청량리[주박]
대전단 본단[중] | 제천 | 익산 | 여수 | 영주
평내[중]
광역전철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구로[폐] | 병점[폐]
이문 | 시흥단[중][타][폐]
성북분소[주박]
용문 | 문산[중][폐]
시흥단[중][타][폐]
구로[배속][타]
지축[실무][중][폐]
시흥단[중][폐]
안산분소[주박] | 창동[주박]
수인·분당선 경춘선 경강선 동해선
분당 | 시흥단[중][폐] 평내[중][폐] 부발 | 문산[중][타][폐] 울산[중]
서해선 대경선 충청권 광역철도
시흥단[중][타][폐] | 송산 대구 | 울산[중][타] 대전 | 대전단 본단[중]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B GTX-C
마석 덕정 | 병점[주박]
기관차 · 객차 · 발전차 · 화차
가야 | 광주 | 동해 | 대전 | 대전단 본단[중] | 대전단 전기차량정비부[중] | 마산 | 목포 | 부곡 | 부산단 일반단[중]
부산신항 | 수색 | 순천 | 여수 | 영주 | 익산 | 제천 | 제천조 | 천안 | 청량리 | 포항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기울임체: 폐업하였거나 폐업이 확정된 기지
다른 지역 차량사업소 보기 }}}}}}}}}

淸凉里車輛事業所 / Cheongnyangni Train Depot
파일:external/cafefiles.naver.net/DSC04800.jpg
출처
청량리차량사업소 검수고의 전경

1. 개요2. 상세3. 배속 차량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1], 경강선[2]의 관문인 청량리역교외선의 관문인 의정부역에 열차를 공급하는 차량사업소.

2. 상세

중앙선을 운행하는 ITX-마음[3]중앙선, 태백선, 교외선을 운행하는 무궁화호가 소속되어 있는 차량사업소이다. 보통 알고 있는 수색차량사업소 등의 대규모 차량사업소와 달리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차량사업소의 부지가 굉장히 작아 보이지만 굉장히 중요한 차량사업소이다. 만약 청량리사업소가 없으면 수색차량사업소에서 경의선-경부선-경원선을 통해 차량을 공급받거나 저 밑에 있는 제천차량사업소에서 중앙선을 통해 차량을 공급받아야 하기 때문에 중앙선을 경유하는 모든 여객열차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운행이 개판이 된다. ITX-새마을 열차는 중앙선 KTX-이음의 운행으로 폐지되어 수색차량사업소로 넘어갔다가 다시 누리로가 빠지면서 복귀했다. 경원선을 운행하는 통근열차는 운행 중단 이후 광주차량사업소대전철도차량정비단으로 넘어갔다.

이 곳에 올려면 절대로 청량리역 환승센터로 오지 말고 그 곳 5번 승강장 또는 인근의 2호선 성수지선 신답역이나 5호선 답십리역에서 동대문05번을 타면 바로 앞에서 내려 준다.

3. 배속 차량

전기기관차는 수색 및 제천사업소와 공동배속이며, 디젤기관차는 특정 차량이 서류상으로만 본 기지에 배속 상태이다.# 또한 야간에는 ITX-마음 차량이 이곳에서 주박한다.

4. 기타

과거에는 전차대원형 차량기지[6]가 존재하였으나 대다수가 철거되어 일부만 남아 있다.[7] 그도 그럴 것이, 1997년부터 CDC 동차가 들어오면서 기존에 있던 6100~6300호대 기관차가 폐차되면서 기관차 검수 시설이 이전에 비해서 넉넉했고, 청량리역에 민자역사를 새로 짓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이다. 국가등록문화재 269호로 지정되어 있으나 일부가 철거되었다.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201호 ~ 제300호 문서 참조.

또한 이문차량사업소가 생기기 이전에는 성북역에 딸린 성북분소의 주박이 힘들어질 경우 청량리차량사업소에 와서 주박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나 수도권 전철 중앙선 전동차가 존재했다.

수색 또는 이문차량사업소에 입고하지 않지만 긴 대기시간상 승강장에서 대기할 수 없는 ITX-마음[8][9], ITX-새마을[10] 열차는 해당 기지에서 잠시 대기한다. 또한 KTX-이음 1편성은 특정 요일에 검수고에서 비상대기 편성[11]으로서 대기한다.

5. 관련 문서


[1] 영동선(강릉선) 동해행 KTX[2] 2017년 KTX 개통은 청량리역과 중앙선(청량리, 양평, 이설전 만종) 및 경강선(만종~강릉)상의 정차역에 밝은 영향을 끼쳤다.[3] 중앙선 계통 부전 착발[4] 8252호와 8254호는 폐차로 결번.[5] 익일 1201 열차 출고[6] 일명 라운드 하우스.[7] 2000년 3월 방영된 KBS TV 문학관 길은 그리움을 부른다 초반부를 보면 과거 전차대와 원형 차량기지가 철거되기 전 차량사업소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대한민국 철도청 시절이다보니 구도색으로 도색된 8000호대 차량들이 많으며 주인공인 박석우 기관사는 이곳에 같이 위치한 청량리기관차승무사업소에 소속되어 차량사업소에서 8101호 기관차를 출고시켜 영동선 화물열차를 운행하는 내용이다. 여담으로 청량리기관차승무사업소는 강릉선 KTX중앙선 KTX의 개통과 함께 청량리고속철도기관차승무사업소로 개편되었다.[8] 부전행[9] 다만 중앙선 1200&1205 계통과 태백선 1191~1192 계통은 수색기지 회송을 거친다.[10] 다만 1091 열차는 수색기지 출고 차량이며, 1092 종착 열차는 P1005 회송으로서 서울역으로 출고된다.[11] 20량 KTX가 오송역에서 대기하는 것과 같은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