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콤비네이션의 약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콤비네이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콤비네이션#|]][[콤비네이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A, B 콤비
2.1. 음악
2.1.1. 가수
- 레논-매카트니
- 재거-리처즈
- 플랜트-페이지
- 폴 사이먼 - 아트 가펑클
- 캐런 카펜터 - 리처드 카펜터
- 노엘 갤러거 - 리암 갤러거
- 닥터 드레 - 스눕 독
- 알란 탐 - 이극근
- 윤형주 - 송창식
- 서수남 - 하청일
- 정태춘 - 박은옥
- 배철수 - 구창모
- 송대관 - 태진아
- 존 벨루시 - 댄 애크로이드
- 김종진 - 전태관
- 정석원 - 장호일
- 이현도 - 김성재
- 손지창 - 김민종
- 구준엽 - 강원래
- 탁재훈 - 신정환
- 개리 - 길
- 개코 - 최자
- 이해리 - 강민경
- 유세윤 - 뮤지
- 이찬혁 - 이수현
- 김재중 - 김준수
- G-DRAGON - 태양
- 화사 - 휘인
- 최유정 - 김도연
- 안유진 - 장원영
- 카리나 - 윈터
- 넉살 - Don Mills
- 엄정화 - 김종민
- 미야타 토시야 - 사쿠마 다이스케
- 모리세이 - 조니 마
- 액슬 로즈 - 슬래시
- 토마 방갈테르 - 기마뉘엘 드 오맹크리스토
2.1.2. 가수 - 작곡가
2.1.3. 작사가 - 작곡가/프로듀서
2.2. 스포츠
2.2.1. 야구
- 원투펀치
- 샌디 쿠팩스 - 돈 드라이스데일
- 김시진 - 김일융
- 김상진 - 권명철
- 다니엘 리오스 - 맷 랜들
- 양현종 - 헥터 노에시
- 에가와 스구루 - 니시모토 타카시
- 로저 클레멘스 - 앤디 페티트
- 랜디 존슨 - 커트 실링
- 클레이튼 커쇼 - 워커 뷸러
- 키스톤 콤비
- 배터리
- 박철순 - 김경문
- 김시진 - 이만수
- 선동열 - 장채근
- 김원형 - 박경완
- 오승환 - 진갑용
심수창 - 조인성- 더스틴 니퍼트 - 양의지
- 밥 깁슨 - 팀 맥카버
- 마리아노 리베라 - 호르헤 포사다
- 애덤 웨인라이트 - 야디어 몰리나
- 매디슨 범가너 - 버스터 포지
- 베이브 루스 - 루 게릭
- 미키 맨틀 - 로저 매리스 (M&M Boys)
- 호세 칸세코 - 마크 맥과이어
- 박석민 - 야마이코 나바로
- 제이 데이비스 - 댄 로마이어
- 권오준 - 권혁 (쌍권총)
- 권오준 - 오승환 (KO펀치)
- 김용철 - 김용희 (용용포)
- 마해영 - 임수혁 (마림포)
- 최희섭 - 김상현 (CK포)
- 오 사다하루 - 나가시마 시게오 (ON포)
- 쿠와타 마스미 - 기요하라 가즈히로 (KK콤비)
- 김응용 - 김인식: 1980년대 후반 해태 타이거즈 한국시리즈 4연패를 이끈 감독과 수석코치.
- 김성근 - 정근우
2.2.2. 축구
- 차비 에르난데스 -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 지지 - 지투
- 펠레 - 쿠티뉴[1]
- 펠레 - 토스탕
- 프란츠 베켄바우어 - 한스-게오르크 슈바르첸벡
- 요한 크루이프 - 요한 네스켄스
- 페렌츠 푸스카스 - 산도르 코츠시스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페렌츠 푸스카스
- 알베르토 스펜서 - 페드로 로차
- 에우제비우 - 주제 토헤스
- 티에리 앙리 - 데니스 베르캄프
-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 라울 곤살레스
- 다비드 트레제게 - 알레산드로 델피에로
- 파올로 말디니 - 프랑코 바레시
- 프랑코 바레시 -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
- 가에타노 시레아 - 안토니오 카브리니
- 데이비드 베컴 - 라이언 긱스
- 파울 브라이트너 - 카를하인츠 루메니게[2]
- 마르코 반 바스텐 - 루드 굴리트
- 아르연 로벤 - 프랑크 리베리[3]
- 안드레아 피를로 - 젠나로 가투소
- 케니 달글리시 - 이안 러쉬
- 크리스 서튼 - 앨런 시어러
- 로베르 피레스 - 프레드릭 융베리
- 파트리크 비에이라 - 클로드 마켈렐레
- 파트리크 비에이라 - 질베르투 실바
- 네마냐 비디치 - 리오 퍼디난드[4]
- 호마리우 - 베베투
- 네이마르 주니오르 - 루이스 수아레스
- 페르난도 토레스 - 다비드 비야
-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 호마리우
- 호베르투 카를로스 - 카푸
- 카를레스 푸욜 - 제라르 피케
- 네이마르 주니오르 - 킬리안 음바페
- 앙헬 디마리아 - 킬리안 음바페
- 세르히오 라모스 - 페페
- 조지 베스트 - 바비 찰튼
- 존 테리 - 히카르두 카르발류
- 드와이트 요크 - 앤드루 콜
- 지네딘 지단 - 루이스 피구
- 지네딘 지단 - 파트리크 비에이라
- 토니 크로스 - 루카 모드리치
- 스티븐 제라드 - 사비 알론소
- 스티븐 제라드 - 페르난도 토레스[5]
- 프랭크 램파드 - 클로드 마켈렐레
- 프랭크 램파드 - 디디에 드록바
- 로이 킨 - 폴 스콜스
- 조르조 키엘리니 - 레오나르도 보누치
- 손흥민 - 해리 케인[6]
- 후벵 디아스 - 존 스톤스 (디아스톤스)
- 김재한 - 차범근
- 김정남 - 김호
- 조영증 - 박성화
- 박창선 - 조광래
- 정용환 - 조민국
- 차범근 - 최순호
- 신태용 - 박남열
- 황선홍 - 라데[7]
- 황선홍 - 강철
- 김영권 - 김민재
- 유상철 - 김남일
- 김정우 - 기성용
- 정우영 - 황인범
- 이동국 - 에닝요
- 데얀 - 몰리나[8]
- 염기훈 - 산토스
- 세징야 - 에드가 실바[9]
- 다비드 실바 - 케빈 더브라위너
- 다비드 실바 - 세르히오 아구에로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토마스 뮐러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웨인 루니
- 리오넬 메시 - 앙헬 디마리아
- 리오넬 메시 - 루이스 수아레즈
- 리오넬 메시 - 조르디 알바
2.2.3. 농구
- 빌 러셀 - 밥 쿠지
- 엘진 베일러 - 제리 웨스트(Mr. Inside and Mr. Outside)
- 제리 웨스트 - 윌트 체임벌린
- 줄리어스 어빙 - 모제스 말론
- 매직 존슨 - 카림 압둘자바
- 래리 버드 - 케빈 맥헤일
- 아이제아 토마스 - 조 듀마스
- 마이클 조던 - 스카티 피펜
- 하킴 올라주원 - 랄프 샘슨(Twin Towers)
- 하킴 올라주원 - 클라이드 드렉슬러(Phi Slama Jama)
- 게리 페이튼 - 숀 켐프
- 존 스탁턴 - 칼 말론
- 데이비드 로빈슨 - 팀 던컨(Twin Towers)
- 라트렐 스프리웰 - 앨런 휴스턴(Terror Twins)
- 찰스 바클리 - 케빈 존슨
- 알론조 모닝 - 팀 하더웨이
- 샤킬 오닐 - 앤퍼니 하더웨이
- 샤킬 오닐 - 코비 브라이언트
- 드웨인 웨이드 - 샤킬 오닐
- 야오밍 - 트레이시 맥그레이디
- 코비 브라이언트 - 파우 가솔
- 코비 브라이언트 - 데릭 피셔[10]
- 디르크 노비츠키 - 제이슨 테리
- 르브론 제임스 - 드웨인 웨이드
- 르브론 제임스 - 카이리 어빙
- 르브론 제임스 - 앤서니 데이비스
- 케빈 듀란트 - 러셀 웨스트브룩
- 야니스 아데토쿤보 - 크리스 미들턴
- 제이슨 테이텀 - 제일런 브라운
- 김병철 - 전희철
- 하승진 - 전태풍
- 함지훈 - 양동근
- 허웅 - 허훈[11]
2.2.4. 배구
2.2.5. 탁구
2.2.6. 미식축구
- 페이튼 매닝 - 마빈 해리슨
- 조 몬태나 - 제리 라이스
- 스티브 영 - 제리 라이스
- 존 엘웨이 - 터렐 데이비스
- 톰 브래디 - 랜디 모스
- 톰 브래디 - 롭 그롱카우스키
- 톰 브래디 - 줄리안 에들먼
- 필립 리버스 - 안토니오 게이츠
- 매튜 스태포드 - 캘빈 존슨
- 맷 라이언 - 훌리오 존스
- 패트릭 마홈스 - 트래비스 켈시
- 패트릭 마홈스 - 타이릭 힐
- 리차드 셔먼 - 얼 토마스
2.2.7. 리그 오브 레전드
2.2.8. 스포츠 중계
- 이명용 - 유희형: 농구대잔치 시기를 대표하는 중계 콤비.
- 표영준 - 하일성: KBS 야구 중계 역사상 최고의 콤비. 하일성 해설위원 본인도 표영준 前 아나운서를 최고의 중계 파트너로 직접 지목했다.
- 송재익 - 신문선: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의 대표적인 축구 중계 콤비. 역사상 처음으로 두 방송사(MBC, SBS)에서 호흡을 맞췄다.
- 배기완 - 방상아: 김연아의 시대를 함께하며 피겨 스케이팅 중계를 상징하는 콤비가 되었다.
- 한명재 - 허구연: 2000년대 말~2010년대 프로야구 중계의 대표 콤비.
- 배성재 - 박문성: 2010년대 SBS Sports 프리미어 리그 중계의 대표 콤비. 2021년부터 2024년까지는 K리그1 중계에도 참여했다.
- 김성주 - 안정환
- 정우영 - 이순철
- 신승대 - 이상윤
- 김민수 - 이대형: SPOTV 역대 최고의 야구 중계 콤비.
- 엄재경 - 김태형: 스타리그 대표 해설 콤비.
- 이승원 - 김동준: MSL 대표 해설 콤비.
- 김동준 - 이현우: LCK 대표 해설 콤비.
- 성승헌 - 김대환: UFC 대표 중계 콤비.
- 존 밀러 - 조 모건: ESPN 선데이 나잇 베이스볼을 상징했던 콤비.
- 앨런 시어러 - 이안 라이트: BBC 매치 오브 더 데이(MOTD)
- 게리 네빌 - 제이미 캐러거: Sky Sports 먼데이 나잇 풋볼
2.2.9. 스포츠 응원단
2.3. 영화/드라마
2.3.1. 배우
- 김영옥 - 나문희
- 신성일 - 엄앵란
- 최불암 - 김혜자
- 임현식 - 박원숙
- 김인문 - 전원주
- 안성기 - 박중훈
- 최민식 - 한석규
- 차승원 - 유해진
- 김수미 - 신현준
- 정우성 - 이정재
- 임원희 - 정석용
- 공유 - 이동욱
- 공유 - 정유미
- 마동석 - 박지환: 범죄도시 시리즈의 마석도와 장이수.
- 최우식 - 김다미
- 성룡 - 홍금보
- 주윤발 - 종초홍
- 주성치 - 오맹달
- 테렌스 힐 - 버드 스펜서
- 멜 깁슨 - 대니 글로버
- 콜린 퍼스 - 마크 스트롱
- 톰 홀랜드 - 젠데이아
- 이시하라 유지로 - 와타리 테츠야
- 미우라 토모카즈 - 야마구치 모모에[12]
- 사토 지로 - 무로 츠요시[13]
2.3.2. 제작진
2.4. 코미디/예능
2.4.1. 1950~70년대
- 장소팔 - 고춘자: 만담계의 전설적인 콤비.
- 양훈 - 양석천: '뚱뚱이와 홀쭉이'이라는 별명으로 5~60년대를 주름 잡았다.
- 배삼룡 - 구봉서
- 배삼룡 - 이기동: 1970년대 '비실이와 땅딸이'라는 MBC 코미디 프로그램으로 합을 맞췄다.
- 서영춘 - 백금녀
- 서영춘 - 송해
- 송해 - 이순주
- 남철 - 남성남
- 배일집 - 배연정
- 이상한 - 이상해
2.4.2. 1980년대
2.4.3. 1990년대
- 주병진 - 이경규
- 주병진 - 노사연
- 최양락 - 이봉원: 80년대 KBS 시절에는 함께 코너를 하지 않다가 SBS로 이적하면서 콤비가 되었다.
- 오재미 - 이창훈
- 김국진 - 김용만
- 이성미 - 박미선
- 이홍렬 - 임하룡
- 최성훈 - 이영자
- 신동엽 - 이영자
- 이영자 - 홍진경
- 서경석 - 이윤석
- 서경석 - 조혜련
- 김진수 - 이윤석
- 이휘재 - 김한석
- 남희석 - 박수홍
- 남희석 - 이휘재
- 염경환 - 지상렬 (클놈)
2.4.4. 2000년대
- 이경규 - 김용만
- 조혜련 - 김지선
- 박수홍 - 박경림
- 박수홍 - 최은경
- 탁재훈 - 신정환
- 강호동 - 유재석[15]
- 유재석 - 김원희
- 유재석 - 이효리
- 유재석 - 박명수
- 박명수 - 정준하
- 박명수 - 노홍철
- 노홍철 - 하하
- 정형돈 - 길
- 강호동 - 이수근
- 은지원 - MC몽
- 정찬우 - 김태균
- 박준형 - 정종철
- 김대희 - 김준호
- 고명환 - 문천식
- 김병만 - 이수근
- 김신영 - 김태현
- 강유미 - 안영미
- 신봉선 - 정경미
- 정만호 - 윤성한
- 유세윤 - 강유미
- 이상호 - 이상민
- 박성광 - 박영진
2.4.5. 2010년대
- 유재석 - 지석진
- 유재석 - 이광수
- 유재석 - 조세호
- 정형돈 - 데프콘
- 송은이 - 김숙
- 박나래 - 장도연
- 박지선 - 오나미
- 박지선 - 김민경
- 김민경 - 오나미
- 양세형 - 양세찬
- 양세찬 - 장도연
- 이용진 - 이진호
- 조세호 - 남창희
- 조권 - 가인
- 김준호 - 김종민
- 김종국 - 하하
- 이서진 - 나영석
- 차승원 - 유해진
- 이덕화 - 이경규
- 김성주 - 안정환
- 이수근 - 서장훈
- 희철 - 민경훈
- 송민호 - 피오
- 이상민 - 탁재훈
- 박보검 - 아이린
2.4.6. 2020년대
- 유재석 - 제시
- 유재석 - 이미주
- 백종원 - 양세형
- 전현무 - 김숙
- 은지원 - 규현 (조은사이)
- 차태현 - 조인성
- 허재 - 김병현 (혹 형제)
- 황태 - 양미리 (사이코러스)
- 문세윤 - 황제성
- 김해준 - 이은지
- 곽범 - 이창호
- 배성재 - 이수근
- 정용검 - 김선우
- 권혁수 - 주현영
- 모니카 - 립제이
- 기안84 - 덱스
2.5. 라디오/팟캐스트
2.6. 인터넷 방송인 & 유튜버
- 안토니 파디야 - 이안 헤콕스
- 이주헌 - 박종윤
- 이말년(침착맨) - 주호민(주펄)
- 철구 - 신태일 (철구와 신태일)
- 김민교 - 이상호 (상교 콤비)
- 조재원 - 김유이
- 빠니보틀 - 곽튜브
- 백승헌(승헌쓰) - 주종범(주랄라)
- 허미진 - 한지원
- 김지영 - 이수빈
- 박민규 - 장명준
- 임선양 - 임슬기
- 면상들
- 뷰티풀너드
- 스낵타운
- 송형주 - 김선응
- 보따
- 별놈들
- 배건우 - 황해성
- 영알남 - 딕헌터
- 일오팔 - 닛몰캐쉬
- 폭소바겐
- 호와수
- 한으뜸 - 장다운
- 희스터즈
- 강호이 - 진렬이
- 은수저 - 마법소년 김셰프
- 그맛 - 돼끼[16]
2.7. 만화/애니메이션
2.7.1. 작가
2.7.2. 성우
2.7.2.1. 대한민국
2.7.2.2. 일본
- 나카무라 유이치 - 스기타 토모카즈
- 노지마 히로후미 - 노지마 켄지
- 모리쿠보 쇼타로 - 나미카와 다이스케
- 오구라 유이 - 이시하라 카오리
- 카미야 히로시 - 오노 다이스케
- 마츠오카 요시츠구 - 시마자키 노부나가
- 타무라 유카리 - 호리에 유이
- 유우키 아오이 - 타케타츠 아야나
- 우치다 마아야 - 우치다 유우마
- 시바타 히데카츠 - 키타하마 하루코[17]
- 오오야마 노부요 - 오하라 노리코[18]
- 타테카베 카즈야 - 키모츠키 카네타[19]
- 오노사카 마사야 - 오키아유 료타로[20]
- 후루야 토오루 - 이케다 슈이치[21]
- 후루카와 토시오 - 히라노 후미[22]
- 노자와 마사코 - 타나카 마유미[23]
- 토다 케이코 - 나카오 류세이[24]
- 스기타 토모카즈 - 나카이 카즈야[25]
- 치바 치에미 - 스즈무라 켄이치[26]
- 토미자와 미치에 - 미츠이시 코토노[27]
- 하야시바라 메구미 - 카나이 미카[28]
- 마츠모토 리카 - 오오타니 이쿠에[29]
- 야마구치 캇페이 - 타카야마 미나미[30]
- 한 메구미 - 이세 마리야[31]
2.7.2.3. 미국
2.7.3. 캐릭터
- 톰과 제리: 제목 그대로 톰과 제리가 콤비.
- 미키 마우스 - 도널드 덕
- 배트맨 - 로빈
- 랄프 - 바넬로피 본 슈위츠
- 겨울왕국 시리즈
- 엘사 - 안나
- 크리스토프 비요르그먼 - 스벤
- 빅 히어로
- 주디 홉스 - 닉 와일드
- 근육맨
- 날아라 호빵맨
- 니얀다 - 니얀다 카렌
- 드래곤볼
- 루니 툰
- 선택받은 아이들 - 디지몬
- 찰리 브라운 - 스누피
- 심슨 가족
- 얼음과 불의 노래
- 로버트 바라테온 - 에다드 스타크
- 롭 스타크 - 브린덴 툴리
- 스타니스 바라테온 - 다보스 시워스
- 아에곤 1세 - 오리스 바라테온
- 재해리스 1세 - 바스
- 다에몬 블랙파이어 - 아에고르 리버스
- 아에곤 5세 - 키 큰 던칸
- 배추도사 - 무도사
- 패트 - 매트
- 피니 - 퍼브
- 알라딘 - 아부
- 티몬 - 품바
- 도라에몽 - 노진구
- 퉁퉁이 - 비실이
- 코로스케 - 강기태
- 한지수 - 마마준
- 버트 - 어니
- 왕도라 - 엘 마타도라
- 시게노 고로 - 사토 토시야
- 애슬론 또봇 - 도긴 - 개긴
- 스폰지밥 - 뚱이
- 렌 - 스팀피
- 할리 퀸 - 포이즌 아이비
- 료 사카자키 - 로버트 가르시아
- 노리마키 아라레 - 노리마키 가지라
- 노리마키 아라레 - 오봇챠맨
- 한지우 - 피카츄
- 미스미 나기사(큐어 블랙) - 유키시로 호노카(큐어 화이트)
- K' - 맥시마
- 미츠하시 타카시 - 이토 신지
- 테리 보가드 - 록 하워드
- 스튜이 그리핀 - 브라이언 그리핀
- 하루카제 도레미 - 하루카제 폿프
- 카마도 탄지로 - 카마도 네즈코
- 히나타 쇼요 - 카게야마 토비오
- 강백호 - 서태웅
- 나나세 하루카 - 타치바나 마코토
- 솔 배드가이 - 카이 키스크
- 시라누이 마이 - 유리 사카자키
- 다자이 오사무 - 나카하라 츄야[34]
- 나카지마 아츠시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35]
2.8. 정치
2.9. 역사
- 제환공 - 관중
- 진시황 - 이사
- 유방 - 장량
- 이각 - 곽사
- 조조 - 순욱
- 유비 - 제갈량
- 관우 - 장비
- 주유 - 노숙
- 당태종 - 위징
- 김춘추 - 김유신
- 고선지 - 봉상청
- 태조(조선) - 정도전
- 태종(조선) - 하륜
- 세종(조선) - 황희
- 세조(조선) - 한명회
- 이항복 - 이덕형
- 루이 13세 - 리슐리외
- 찰스 1세 - 조지 빌리어스
- 빌헬름 1세 - 오토 폰 비스마르크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 카밀로 카보우르
아돌프 히틀러 - 베니토 무솔리니- 윤동주 - 송몽규
- 리처드 닉슨 - 헨리 키신저
2.10. 영화
- 데이빗 주커 - 짐 에이브럼스 - 제리 주커(ZAZ 사단): 1980년대 코미디 병맛 영화들을 연출했다. 대표작으로 에어플레인, 총알탄 사나이.
- 존 랜도 - 제임스 카메론: 주로 제작에서 이루어지며 두 사람의 미디어 제작사 라이트스톰 엔터테인먼트의 대표이며, 페르소나로도 알려져 있다.
- 필 로드 & 크리스토퍼 밀러: 코미디 영화들을 각본, 연출하였다. 대표작으로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 레고 무비, 점프 스트리트 시리즈.
- 미야자키 하야오 - 히사이시 조
2.11. 기타
- 셜록 홈즈와 존 왓슨[36]
- 델마와 루이스
- 소닉 더 헤지혹 -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
- 마리오 - 루이지[37]
- C-3PO - R2-D2
- 해리 림 - 마브 머친스
- 덤 앤 더머
- KOF 시리즈: 용호의권 - 료 사카자키 와 로버트 가르시아
3. 패션 스타일
상하의 색상 및 무늬나 원단 등을 한벌로 동일하게 맞추는 것이 아닌, 각각 따로 입는 패션 스타일을 의미한다.주로 정장의 재킷과 바지의 색깔이나 소재 등을 개별적으로 다르게 매치하는 것을[38] 말하며, 안쪽에 입는 흰색 셔츠 대신 줄무늬가 있거나 다른 색의 셔츠를 착용하는 경우도 있다. 참고로 콤비의 반대 개념은 솔리드.
잘 매치하면 멋스럽고 간편하며 활동적인 이미지를 줄 수 있지만, 잘못하면 어색하고 촌스럽게 보일 수도 있다.
4. 스페인어권에서 미니버스를 칭하는 명칭
스페인어권 중 멕시코, 그 중에서도 멕시코시티, 쿠에르나바카 등 수도권 및 주변 지역에서 승합차를 이용하여 노선버스를 운영하는 것을 콤비 (combi)로 칭하며, 아래의 기아 콤비도 사실은 여기서 따온 것이다.사용례[39]5. 기아에서 생산했던 준중형버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기아 콤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기아 콤비#|]][[기아 콤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왜건의 명칭 중 하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왜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왜건#|]][[왜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독일어권에서 사용되며, 정확한 명칭은 Kombinationskraftwagen이다.
[1] 산투스 FC에서의 공격 콤비[2] 일명 브라이트니게라 불린다.[3] 일명 로베리라고 불린다.[4] 일명 퍼디치라고 불린다.[5] 일명 제토라인이라고 불린다,[6] 일명 손케 듀오라고 불린다.[7] K리그 역대 최고의 투톱으로 평가받는다.[8] 일명 데몰리션 듀오라 불린다.[9] 일명 세드가라 불린다.[10] 피셔가 2옵션급 선수는 아니었던 관계로 다른 유명한 콤비들과 같은 원투펀치라고는 볼 수 없으나, 다섯 번의 우승을 함께 했으며 무엇보다 사적으로 몹시 절친했던 사이로 잘 알려져있다.[11] 같은 프로팀에서 뛴 적은 없지만 허재의 아들이자 리그 스타급 가드로서 형제가 나란히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으며, 방송에도 여러차례 함께 출현하는 등 자연스레 함께 묶이는 경우가 많다.[12] 1970년대 일본 TBS의 멜로 연작 드라마 '붉은' 시리즈의 단골 남/녀 주연. 해당 시리즈를 계기로 두 사람은 연인으로 발전해 1980년에 결혼했다.[13] 후쿠다 유이치 감독의 양대 페르소나.[14] MBC 공화국 시리즈를 만든 PD와 작가.[15] 2002년 공포의 쿵쿵따 ~ 2000년대 중반 X맨 시절 한정.[16] 각자 서로의 채널에서 '옆집남자'-'옆집여자'로 부르며 자주 콘텐츠 품앗이를 하고 있다.[17] 마징가 Z의 아수라 남작.[18] 1979년판 도라에몽의 도라에몽과 노진구.[19] 1979년판 도라에몽의 퉁퉁이과 비실이.[20] 테니스의 왕자의 모모시로 타케시와 데즈카 쿠니미츠.[21] 기동전사 건담의 아무로 레이와 샤아 아즈나블.[22] 시끌별 녀석들의 모로보시 아타루와 라무.[23] 드래곤볼의 손오공과 크리링.[24] 날아라 호빵맨의 호빵맨과 세균맨.[25] 은혼의 사카타 긴토키와 히지카타 토시로.[26] 나나카 6/17의 키리사토 나나카와 나기하라 넨지.[27] 대표작으로는 세일러 문, 짱구는 못말려, 집 보는 에비츄(...)가 있으며 주로 미츠이시 코토노가 보케, 토미자와 미치에가 츳코미 역이다.[28] 아이돌 천사 어서오세요 요우코의 사키와 요코.[29]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사토시와 피카츄.[30] 명탐정 코난의 쿠도 신이치와 에도가와 코난.[31] 헌터×헌터의 곤과 키르아.[32] 트랜스포머(애니메이션)의 옵티머스 프라임과 메가트론.[33]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의 배트맨과 조커.[34] 쌍흑이라고 불리는 적 조직을 하룻밤만에 괴멸시키는 세계관 최강의 콤비다.[35] 위의 다자츄 쌍흑을 이은 신쌍흑 콤비[36] 탐정-조수 콤비의 원조이자 레전드. 이들의 전설적인 인기에 힘입어 탐정-조수 콤비는 추리물 장르의 클리셰로 정착했으며, 아예 해당 클리셰에서 탐정의 친구이자 조수 역할을 맡는 캐릭터를 '왓슨 역' 또는 '왓슨 캐릭터'라 부르기까지 한다.[37] 이 둘은 아예 형제다.[38] 평상복은 상하의를 일일이 똑같이 맞추려는 인식이 덜하기 때문에, 주로 양복에 적용되는 개념이다.[39] 기아 콤비는 멕시코 일대에서 운행한다면 pesero가 되어야 정확하다. 콤비는 봉고차로 운행하는 노선버스만을 칭하는 것이며, 기아 콤비는 이보다는 훨씬 크지만 microbús로 칭하는 현대 에어로타운, 기아 코스모스 같은 차량보다는 작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