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08:40:58

루카 모드리치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해당 인물의 최근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루카 모드리치/2025-26 시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루카 모드리치/2025-26 시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루카 모드리치/2025-26 시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인물의 최근 활약상: }}}{{{#!if 같은문서1 == null
[[루카 모드리치/2025-26 시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루카 모드리치/2025-26 시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루카 모드리치/2025-26 시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루카 모드리치|{{{#!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1 P. 테라치아노 · 2 에스투피냔 · 4 리치 · 5 더빈터르 · 7 히메네스 · 8 로프터스치크 · 10 하파엘 레앙
VC

11 풀리식 · 12 라비오 · 14 모드리치 · 16 M. 메냥
C
· 18 은쿤쿠 · 19 포파나 · 23 토모리 · 24 아테카메
27 오도구 · 30 야샤리 · 31 파블로비치 · 33 바르테사기 · 46 가비아 · 56 살레마커스 · 96 토리아니
파일:UEFA EURO ITA.png 마시밀리아노 알레그리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루카 모드리치 24-25 등번호.png
루카 모드리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4.68%, #DD1D29 4.68%, #DD1D29 33.6%, #FFFFFF 33.6%, #FFFFFF 66.5%, #DD1D29 66.5%, #DD1D29 95.7%, #FFFFFF 95.7%);"
{{{#C7A36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DD1D29,#DD1D29><colcolor=#fff> 클럽 경력 파일:HŠK 즈리니스키 모스타르 로고.svg HŠK 즈리니스키 모스타르
2003-04
NK 인테르 자프레시치
2004-05
파일:GNK 디나모 자그레브 로고.svg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05-06 · 2006-07 · 2007-08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토트넘 홋스퍼 FC
2008-09 · 2009-10 · 2010-11 · 2011-12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레알 마드리드 CF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2016-17 · 2017-18 · 2018-19 · 2019-20 · 2020-21 · 2021-22 · 2022-23 · 2023-24 · 2024-25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2025-26
국가대표 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WC06 · EU08 · WC10 · EU12 · WC14 · EU16 · WC18 · UNL18-19 · UNL20-21 · EU20 · WC22 · UNL22-23 · EU24 · UNL24-25 · WC26
평가 플레이 스타일 · 관련 언사
기록 대회 기록 · 개인 수상 · 개인 기록 · 수훈
기타 논란 및 사건 사고 · 크카모 }}}}}}}}}}}}}}}
파일:Luka Modrić(25-26).png
<colbgcolor=#D20526><colcolor=#fff> AC 밀란 No. 14
루카 모드리치[1]
Luka Modrić
출생 1985년 9월 9일 ([age(1985-09-09)]세)
유고슬라비아 SR 크로아티아 자다르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크로아티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크로아티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2cm / 체중 66.2kg[2]
포지션 미드필더[3]
주발 오른발 (양발)
등번호 크로아티아 대표팀 10
AC 밀란 14
소속 <colbgcolor=#D20526><colcolor=#fff> 유스 NK 자다르 (1996~2001)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01~2003)
선수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03~2008)
즈리니스키 모스타르 (2003~2004 / 임대)
→ 인테르 자프레시치 (2004~2005 / 임대)
토트넘 홋스퍼 FC (2008~2012)
레알 마드리드 CF (2012~2025)
AC 밀란 (2025~ )
경영 스완지 시티 AFC (2025~ / 구단주)
국가대표 190경기 28골[4] (크로아티아 / 2006~ )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20526><colcolor=#fff> 역대 등번호 크로아티아 대표팀 - 10번, 14번
GNK 디나모 자그레브 - 10번
즈리니스키 모스타르 - 23번
토트넘 홋스퍼 FC - 14번
레알 마드리드 CF - 10번, 19번
AC 밀란 - 14번
가족 아내 바냐 보스니치(2010 - 현재)
장남 이바노 모드리치(2010년생)
장녀 에마 모드리치(2013년생)
차녀 소피아 모드리치(2017년생)
종교 가톨릭
후원사 나이키
서명
파일:루카 모드리치 서명.svg
}}}}}}}}}}}} ||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평가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5.3. 개인 기록5.4. 수훈
6. 모드리치에 대한 언사7. 논란 및 사건 사고
7.1. 조세포탈 혐의7.2. 위증 의혹과 기각 처분 및 재조사
8. 여담9. 둘러보기

1. 개요

크로아티아 국적의 AC 밀란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 현재 국가대표팀의 주장을 맡고 있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카 모드리치/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카 모드리치/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카 모드리치/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가대표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카 모드리치/국가대표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카 모드리치/국가대표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카 모드리치/국가대표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카 모드리치/플레이 스타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카 모드리치/플레이 스타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카 모드리치/플레이 스타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

클럽팀과 국가대표팀을 가릴 것 없이 최고의 활약을 꾸준히 펼쳐왔으며 클럽에서는 레알 마드리드 소속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를 무려 6차례로 최다 우승 선수, 이에 더해 3연패 달성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하기도 했다. 국가대표팀에서의 활약은 클럽보다 굉장한데, 언더독으로 평가받던[5] 크로아티아 대표팀을 이끌고 사상 첫 월드컵 결승까지 올려놓는 대활약을 펼쳤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골든볼을 수상했으며, 아예 그해 발롱도르FIFA 올해의 선수를 수상, 메날두의 10년에 걸친 발롱도르FIFA 올해의 선수 독점을 종식시켰다.

이런 그의 가장 큰 강점은 바로 롱런. 30대 중반의 나이로 여전히 레알의 핵심으로 5번째 챔스 우승을 해내고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도 37세의 노구를 이끌고 미친 듯이 활약하며 조국을 다시금 4강에 올려놓으면서[6] 크로아티아 사상 최초의 월드컵 두 대회 연속 4강 진출이라는 대업을 달성했다.

본인 또한 카타르 월드컵에서 브론즈볼을 수상하며 파올로 로시, 디에고 마라도나, 호나우두와 함께 역대 네 명 밖에 없는 두 대회 연속 월드컵 개인 수상 포디움에 들어간 레전드가 되었다.[7] 크로아티아 역사상 최고의 선수나 전설적인 선수임은 분명하지만 월드컵 우승은 아쉽게도 없는데,[8] 애초에 크로아티아 자체가 강팀이 아니었음을 생각하면 다른 선수들은 전부 노쇠화하거나 은퇴할 나이인[9] 모드리치의 2010년대 후반–2020년대 초반 활약은 경이로울 수준이다. 이런 롱런으로 다시 한번 2022-23 네이션스 리그 결승에 진출하면서 국대 경력의 라스트 댄스를 우승 트로피로 장식하나 했지만 아쉽게 준우승에 그쳤다. 하지만 2025년 들어서도 죽지 않은 기량을 보여주며 아예 레알 마드리드하고 또 1년 재계약 소식까지 들려오면서 북중미 월드컵을 노리고 있다.

특정 팀/리그에 오래 머무르는 선수들에게 따라붙는 '타리그 검증'같은 요소에서도 자유롭다. 리그/챔스/국대 가리지 않고 역대급 미드필더로서의 역량을 증명했고 화려한 챔스 우승 커리어를 갖춘데다가 세계 최고의 리그들인 PL과 라리가에서 리그 최상급 미드필더로 평가받은 모드리치에겐 처음부터 해당되지도 않는다.[10]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5.3. 개인 기록

5.4. 수훈

6. 모드리치에 대한 언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카 모드리치/관련 언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카 모드리치/관련 언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카 모드리치/관련 언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논란 및 사건 사고

7.1. 조세포탈 혐의

두 번의 탈세 논란이 있었다.

첫 번째는 2009~2010년 사이의 탈세 혐의로 2015년에 64억의 추징금을 낸 사건이 있었다.

두 번째는 2017년 11월 29일, 모드리치가 2016년 12월 룩셈부르크[17]에 세운 페이퍼 컴퍼니를 이용해 한화 13억에 달하는 금액을 탈세해 마드리드 검찰로부터 조사를 받고 있다는 기사가 스페인의 엘 컨피덴셜을 통해 보도되었다.

그리고 2018년 1월 9일, 재무부에 소식통이 있는 스페인의 엘 문도에서 모드리치가 탈세를 시인하고 징역형을 피하기 위해 100만 유로에 해당하는 금액을 자진 납세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

검찰은 아직 모드리치의 탈세 건이 끝났다고 생각하지 않고, 잉글랜드의 맨섬에 숨겨진 조세 회피처가 있다고 생각해 영국에 협조를 요청했다.

7.2. 위증 의혹과 기각 처분 및 재조사

2017년 6월 19일, 크로아티아 검찰이 모드리치를 조사하기 시작했다. 검찰은 모드리치가 전 소속 팀 디나모 자그레브의 즈드라브코 마미치 전 회장의 횡령, 탈세 재판에서 위증을 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마미치 전 회장은 선수들을 해외 구단으로 이적시키는 과정에서 1500만 유로(약 190억 원) 횡령과 세금 160만 유로(약 20억 원) 탈세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문제는 여기에 모드리치의 이적 건도 포함돼 있던 것. 2008년 디나모 자그레브에서 토트넘으로 이적한 모드리치는 이적료 절반을 마미치에게 주기로 계약을 했다. 모드리치는 지난 13일 법정에서 2004년 7월 디나모 자그레브와 계약을 갱신하면서 이런 조항을 삽입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진술이 문제였다. 크로아티아 검찰에 따르면 모드리치는 2015년 조사 당시엔 토트넘 이적 결정 후 이 조항에 합의했다고 진술했었다. 한 마디로 이전 진술에서 말이 갑자기 뒤바뀐 것. 게다가 단순 기억 착오로 넘기기엔 이 말에 절묘하게도 자신과 마미치의 운명이 달려 있어서 의심받고 있다. 만약 위증 혐의가 유죄로 확정되면 징역 5년에 처해져 커리어가 아예 박살날 수도 있다.

다만, 2018년 현 시점에선 월드컵에서의 맹활약, 1심 재판조차 지지부진한 크로아티아의 재판부, 초호화 변호인단이라는 삼위일체 덕에 설령 유죄 판결을 받아 징역형을 받더라도 다른 스타 축구 선수들이 그랬듯이 선수 생활은 무사히 마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월드컵에서의 맹활약은 월드컵 이전 언론에서 대놓고 조롱할 정도로 여론[18]이 안 좋았던 그의 평판을 순식간에 국민 영웅으로 바꿔 놓았다.

2017년 연말의 ESPN 보도에 따르면 데얀 로브렌도 유사한 위증 혐의를 받고 있다고 한다. 이후 이 위증 혐의는 기각되었다.#

그러나 5년이 지난 2023년 6월 30일, 크로아티아 검찰 당국이 모드리치와 로브렌이 첫 재판에서 허위 증언을 했다는 증거가 있다고 발표하면서 위증 혐의로 다시 재판을 받을 예정이다.

8. 여담

파일:시대별 최고의 수비형 미드필더.jpg
파일:attachment/루카 모드리치/shortcut.jpg

* 원래는 찰랑거리는 장발에 헤어 밴드를 하고 나오는 스타일을 오랫동안 고수했는데, 레알 마드리드가 라 데시마를 달성하면 머리를 자르겠다고 약속했다. 이후 다시 머리를 기르면서 언니로 돌아왔다.
파일:모드리치2015.png 파일:p37055_t186_2022_0_003_000-1.png

* 어째 피지컬이 나이들수록 더욱 좋아지고 있는 모습이다. 그런데 얼굴은 최근 들어 폭삭 늙은[24] 모습을 보여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폭삭 늙은 모습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경기에 나오는 모드리치를 보고 네티즌들은 노인 학대라고 하기도 한다.[25] 실제로 현재는 얼굴만큼 체력도 예전같지는 않다. 특히 2022-23 시즌 맨체스터 시티와의 4강전에서 이러한 체력 저하가 여실히 드러났다.

8.1. WAGs

이름은 바냐 보스니치, 2007년에 스포츠 에이전트로 활동할 당시에 모드리치는 그녀의 고객이였다. 그 이후에 연인 관계로 발전하였다. 그 이후 모드리치가 토트넘으로 이적하자 스포츠 에이전트 직을 그만두고 동거하기 시작하였다. 2010년에 자그레브에서 결혼식을 올리면서 정식으로 부부가 되었다. 슬하에 아들 이바노 모드리치, 딸 에마 모드리치, 소피아 모드리치가 있다.

현재는 레알 마드리드 소속 에이전트로 활동하고 있다.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레알 마드리드 CF
주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연도별 주장 목록
순서 이름 국적 '''기간''' 비고
0 훌리안 팔라시오스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00 공식 창단 전 주장
1 아서 존슨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1901 ~ 1902 초대 주장, 첫 외국인 주장
2 호세 히랄트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02 ~ 1903
3 페데리코 레부엘토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1903 ~ 1904
4 루치아노 리사라가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04 ~ 1905
5 호세 베라온도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05 ~ 1909
6 호세 마리아 카스텔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14 ~ 1915
7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15 ~ 1921
8 후안 몬하르딘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21 ~ 1924 원클럽맨
9 페리코 에스코발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24 ~ 1927
10 펠릭스 페레스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27 ~ 1928
11 펠릭스 케사다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1928 ~ 1935 원클럽맨
12 에우헤니오 이랄리오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1935 ~ 1936
13 레온시토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1939 ~ 1942
14 호세 라몬 사우토 파일:멕시코 국기.svg 1942 ~ 1944 스페인 국적 보유
15 후안 안토니오 이피냐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44 ~ 1949
16 사비노 바리나가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49 ~ 1950
17 클레멘테 페르난데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50 ~ 1952
18 루이스 몰로니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52 ~ 1956
19 미겔 무뇨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56 ~ 1958
20 후아니토 알론소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58 ~ 1960
21 호세 마리아 사라가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60 ~ 1962
22 프란시스코 헨토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62 ~ 1971 최장 기간 주장 역임
23 이그나시오 소코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71 ~ 1974
24 아만시오 아마로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74 ~ 1976
25 피리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76 ~ 1980
26 미겔 앙헬 곤살레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0 ~ 1986
27 산티야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6 ~ 1988
28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8 ~ 1989
29 아구스틴 로드리게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9 ~ 1990
30 첸도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0 ~ 1998 원클럽맨
31 마놀로 산치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8 ~ 2001 원클럽맨
32 페르난도 이에로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1 ~ 2003
33 라울 곤살레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3 ~ 2010
34 이케르 카시야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0 ~ 2015
35 세르히오 라모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5 ~ 2021
36 마르셀루 파일:브라질 국기.svg 2021 ~ 2022 117년 만의 외국인 주장
37 카림 벤제마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2 ~ 2023
38 나초 페르난데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2023 ~ 2024
39 루카 모드리치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2024 ~ 2025 구단 최다 트로피 획득
40 다니 카르바할 파일:스페인 국기.svg 2025 ~ 현 주장
틀 정보
* 레알 마드리드의 주장은 1군 등록 순서대로 결정한다.
}}}}}}}}} ||

{{{#!wiki style="color:#1A2842;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555"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Dominik Livaković)
1995년 1월 9일 ([age(1995-01-09)]세) 67 0 파일:스페인 국기.svg 지로나 FC
12 도미니크 코타르스키
(Dominik Kotarski)
2000년 02월 10일 ([age(2000-02-10)]세) 2 0 파일:덴마크 국기.svg FC 코펜하겐
23 이비차 이부시치
(Ivica Ivušić)
1995년 2월 1일 ([age(1995-02-01)]세) 6 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DF 2 요시프 스타니시치
(Josip Stanišić)
2000년 4월 2일 ([age(2000-04-02)]세) 24 0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3 마린 폰그라치치
(Marin Pongračić)
1997년 9월 11일 ([age(1997-09-11)]세) 14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F 피오렌티나
4 마르틴 에를리치
(Martin Erlić)
1998년 1월 24일 ([age(1998-01-24)]세) 10 0 파일:덴마크 국기.svg FC 미트윌란
5 두예 찰레타차르
(Duje Ćaleta-Car)
1996년 9월 17일 ([age(1996-09-17)]세) 34 1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소시에다드
6 요시프 슈탈로
(Josip Šutalo)
2000년 2월 28일 ([age(2000-02-28)]세) 26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
19 보르나 소사
(Borna Sosa)
1998년 1월 21일 ([age(1998-01-21)]세) 27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탈 팰리스 FC
22 요시프 유라노비치
(Josip Juranović)
1995년 8월 16일 ([age(1995-08-16)]세) 40 0 파일:독일 국기.svg 1. FC 우니온 베를린
- 요슈코 그바르디올
(Joško Gvardiol)
2002년 1월 23일 ([age(2002-01-23)]세) 42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MF 7 로브로 마예르
(Lovro Majer)
1998년 1월 17일 ([age(1998-01-17)]세) 35 8 파일:독일 국기.svg VfL 볼프스부르크
10 루카 모드리치 파일:주장 아이콘.svg
(Luka Modrić)
1985년 9월 9일 ([age(1985-09-09)]세) 189 2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
13 니콜라 모로
(Nikola Moro)
1998년 3월 12일 ([age(1998-03-12)]세) 4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1909
15 마리오 파샬리치
(Mario Pašalić)
1995년 2월 9일 ([age(1995-02-09)]세) 77 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16 마르틴 바투리나
(Martin Baturina)
2003년 2월 16일 ([age(2003-02-16)]세) 12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코모 1907
17 페타르 수치치
(Petar Sučić)
2003년 10월 25일 ([age(2003-10-25)]세) 10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8 크리스티얀 야키치
(Kristijan Jakić)
1997년 7월 14일 ([age(1997-07-14)]세) 12 0 파일:독일 국기.svg FC 아우크스부르크
21 토니 프루크
(Toni Fruk)
2001년 4월 9일 ([age(2001-04-09)]세) 1 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HNK 리예카
FW 8 마르코 파샬리치
(Marco Pašalić)
2000년 9월 14일 ([age(2000-09-14)]세) 8 1 파일:미국 국기.svg 올랜도 시티 SC
9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Andrej Kramarić)
1991년 6월 19일 ([age(1991-06-19)]세) 107 35 파일:독일 국기.svg TSG 1899 호펜하임
11 안테 부디미르
(Ante Budimir)
1991년 7월 22일 ([age(1991-07-22)]세) 33 6 파일:스페인 국기.svg CA 오사수나
14 이반 페리시치
(Ivan Perišić)
1989년 2월 2일 ([age(1989-02-02)]세) 145 3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PSV 에인트호번
20 프란요 이바노비치
(Franjo Ivanović)
2003년 10월 01일 ([age(2003-10-01)]세) 5 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일정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9월 4일(일) 원정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2025년 9월 7일(일)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
루카 모드리치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다리요 스르나
(2009~2016)
루카 모드리치
(2016~)
현직

레알 마드리드 CF 주장
나초 페르난데스
(2023~2024)
루카 모드리치
(2024~2025)
다니 카르바할
(2025~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df1919><tablebgcolor=#df1919>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유럽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
}}}||
{{{#!wiki style="margin: 0 -10px;"
{{{#1868D6,#2878e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아나스타시오스
바카세타스

파일: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버질
반 다이크

파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르틴
외데고르

파일: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피에르에밀
호이비에르

파일: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요주아
키미히

파일: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크리스터스
토베르스

파일:Latvia_national_team_logo.png
알렉산드르
골로빈

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니콜라에
스탄치우

파일: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로랑
얀스

파일:Luxembourg FLF.png
피오도르
체르니크

파일: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니콜라스
하슬러

파일: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스테판
요베티치

파일: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바딤
라처

파일: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스티브
보그

파일: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유리
틸레만스

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알략산드르
마르티노비치

파일: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에딘
제코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에니스
바르디

파일: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코너
브래들리

파일: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키릴
데스포도프

파일: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테오
비타이올리

파일: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파일: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그라니트
자카

파일: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빅토르
린델뢰프

파일: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앤디
로버트슨

파일: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알바로
모라타

파일: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밀란
슈크리니아르

파일: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오블락

파일: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오리
오스카르손

파일:Iceland_national_football_team_logo.png
셰머스
콜먼

파일: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바라트닷
하로얀

파일: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에민
마흐무도프

파일: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르크
발레스

파일: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베라트
짐시티

파일: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카롤
메츠

파일: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데이비드
알라바

파일: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안드리
야르몰렌코

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론
램지

파일: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엘리
다사

파일: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잔루이지
돈나룸마

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해리
케인

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구람
카시아

파일: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리암
워커

파일:지브롤터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토마시
소우체크

파일: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아슈하트
타기베르겐

파일: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미르
라흐마니

파일: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루카
모드리치

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코스타키스
아르티마타스

파일:Cyprus CFA.png
하칸
찰하놀루

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할루르
한손

파일: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파일: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파일:폴란드 국장.svg
킬리안
음바페

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원정).svg
루카시
흐라데츠키

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도미니크
소보슬러이

파일: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주장 }}}}}}}}}}}}}}}

}}} ||
루카 모드리치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파일:골든볼.png
2018 FIFA 월드컵 골든볼
파일:UEFA_올해의선수_트로피.png
파일:발롱도르 트로피.png
파일:TheBestFIFAMen'sPlayer.jpg
파일:월드사커 로고.png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파일:브론즈볼.png
2022 FIFA 월드컵 브론즈볼
베스트팀
파일:attachment/FIFPro_logo.png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2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2016 · 2017 · 2018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
2013-14 · 2015-16 · 2016-17 · 2017-18 · 2020-21 · 2021-22
파일:라리가 심볼(2016~2023).svg
2015-16 · 2021-22 · 2022-23
파일:UEFA 유로 2008 심볼.svg
파일: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심볼.svg
파일:European_Sports_Media_logo.png
}}} ||
루카 모드리치의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1D29 20%, #FFFFFF 20%, #FFFFFF 40%, #FFFFFF 60%, #FFFFFF 80%, #DD1D29 8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 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7a36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루카 모드리치 186회 2006.3.1 2025.3.23
2 이반 페리시치 142회 2011.3.26 2025.3.23
3 다리요 스르나 134회 2002.11.20 2016.6.25
4 스티페 플레티코사 114회 1999.2.10 2014.6.23
5 마테오 코바치치 110회 2013.3.22 2025.3.23
6 이반 라키티치 106회 2007.9.8 2019.10.13
7 도마고이 비다 105회 2010.5.23 2024.6.3
요시프 시무니치 2001.11.10 2013.11.19
9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104회 2014.9.4 2025.3.23
이비차 올리치 2002.2.13 2015.10.13
11 베드란 촐루카 103회 2006.8.16 2018.7.11
12 다리오 시미치 100회 1996.3.13 2008.8.20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UEFA 챔피언스 리그
100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000000,#e5e5e5
순서[1] 선수 이름 / 참가 클럽[2] 출전 횟수[3] 국적 우승 횟수
1 <colbgcolor=#ffffdd,#000>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파일:on_play.png
(Cristiano Ronaldo)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레알 마드리드 CF
유벤투스 FC
<colbgcolor=#eeeeef,#191919> 183회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5회
2 이케르 카시야스
(Iker Casillas)
레알 마드리드 CF
FC 포르투
177회 파일:스페인 국기.svg ★★★
3회
3 리오넬 메시 파일:on_play.png
(Lionel Messi)
FC 바르셀로나
파리 생제르맹 FC
163회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4회
4 토마스 뮐러 파일:Champs_on_play.png
(Thomas Müller)
FC 바이에른 뮌헨 파일:Champs_on_play.png 155회 파일:독일 국기.svg ★★
2회
5 카림 벤제마 파일:on_play.png
(Karim Benzema)
올랭피크 리옹
레알 마드리드 CF
152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
5회
6 사비 에르난데스
(Xavi Hernández)
FC 바르셀로나 151회 파일:스페인 국기.svg ★★★★
4회
토니 크로스
(Toni Kroos)
FC 바이에른 뮌헨
레알 마드리드 CF
파일:독일 국기.svg ★★★★★★
6회
8 마누엘 노이어 파일:Champs_on_play.png
(Manuel Neuer)
FC 샬케 04
FC 바이에른 뮌헨 파일:Champs_on_play.png
145회 파일:독일 국기.svg ★★
2회
9 라울 곤살레스
(Raúl González)
FC 샬케 04
레알 마드리드 CF
142회 파일:스페인 국기.svg ★★★
3회
세르히오 라모스 파일:on_play.png
(Sergio Ramos)
레알 마드리드 CF
파리 생제르맹 FC
세비야 FC
파일:스페인 국기.svg ★★★★
4회
11 라이언 긱스
(Ryan Giggs)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141회 파일:웨일스 국기.svg ★★
2회
12 루카 모드리치 파일:Champs_on_play.png
(Luka Modrić)
토트넘 홋스퍼 FC
레알 마드리드 CF파일:Champs_on_play.png
132회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6회
13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Andrés Iniesta)
FC 바르셀로나 130회 파일:스페인 국기.svg ★★★★
4회
14 세르히오 부스케츠 파일:on_play.png
(Sergio Busquets)
FC 바르셀로나 129회 파일:스페인 국기.svg ★★★
3회
15 제라르 피케
(Gerard Piqué)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FC 바르셀로나
128회 파일:스페인 국기.svg ★★★★
4회
16 클라렌스 세도르프
(Clarence Seedorf)
AFC 아약스
레알 마드리드 CF
AC 밀란
125회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4회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파일:Champs_on_play.png
(Robert Lewandowski)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FC 바이에른 뮌헨
FC 바르셀로나 파일:Champs_on_play.png
파일:폴란드 국기.svg
1회
18 폴 스콜스
(Paul Scholes)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124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2회
잔루이지 부폰
(Gianluigi Buffon)
파르마 칼초 1913
유벤투스 FC
파리 생제르맹 FC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0회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Zlatan Ibrahimović)
AFC 아약스
유벤투스 FC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FC 바르셀로나
AC 밀란
파리 생제르맹 FC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파일:스웨덴 국기.svg 0회
21 호베르투 카를루스
(Roberto Carlos)
레알 마드리드 CF
페네르바흐체 SK
120회 파일:브라질 국기.svg ★★★
3회
페페
(PePe)
FC 포르투
레알 마드리드 CF
베식타스 JK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3회
23 샤비 알론소
(Xabi Alonso)
레알 소시에다드
리버풀 FC
레알 마드리드 CF
FC 바이에른 뮌헨
119회 파일:스페인 국기.svg ★★
2회
24 데이비드 알라바 파일:Champs_on_play.png
(David Alaba)
FC 바이에른 뮌헨
레알 마드리드 CF 파일:Champs_on_play.png
117회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4회
25 카를레스 푸욜
(Carles Puyol)
FC 바르셀로나 115회 파일:스페인 국기.svg ★★★
3회
26 티에리 앙리
(Thierry Henry)
AS 모나코 FC
아스날 FC
FC 바르셀로나
112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1회
필립 람
(Philipp Lahm)
FC 바이에른 뮌헨
VfB 슈투트가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1회
28 페트르 체흐
(Petr Čech)
AC 스파르타 프라하
첼시 FC
아스날 FC
111회 파일:체코 국기.svg
1회
다니 알베스
(Dani Alves)
세비야 FC
FC 바르셀로나
유벤투스 FC
파리 생제르맹 FC
파일:브라질 국기.svg ★★★
3회
앙헬 디 마리아 파일:Champs_on_play.png
(Ángel Di María)
SL 벤피카 파일:Champs_on_play.png
레알 마드리드 CF
파리 생제르맹 FC
유벤투스 FC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회
31 아르연 로번
(Arjen Robben)
PSV 에인트호번
첼시 FC
레알 마드리드 CF
FC 바이에른 뮌헨
110회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회
32 파올로 말디니
(Paolo Maldini)
AC 밀란 109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5회
게리 네빌
(Gary Neville)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2회
존 테리
(John Terry)
첼시 F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회
35 안드레아 피를로
(Andrea Pirlo)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AC 밀란
유벤투스 FC
108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회
애슐리 콜
(Ashley Cole)
아스날 FC
첼시 FC
AS 로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회
파트리스 에브라
(Patrice Evra)
AS 모나코 FC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유벤투스 FC
파일:프랑스 국기.svg
1회
38 데이비드 베컴
(David Beckham)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레알 마드리드 CF
AC 밀란
파리 생제르맹 FC
107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회
39 빅토르 발데스
(Víctor Valdés)
FC 바르셀로나 106회 파일:스페인 국기.svg ★★★
3회
40 프랭크 램파드
(Frank Lampard)
첼시 FC
맨체스터 시티 FC
105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회
티아고 실바 파일:on_play.png
(Thiago Silva)
AC 밀란
파리 생제르맹 FC
첼시 FC
파일:브라질 국기.svg
1회
42 세스크 파브레가스
(Cesc Fàbregas)
아스날 FC
FC 바르셀로나
첼시 FC
104회 파일:스페인 국기.svg 0회
43 올리버 칸
(Oliver Kahn)
FC 바이에른 뮌헨 103회 파일:독일 국기.svg
1회
루이스 피구
(Luís Figo)
FC 바르셀로나
레알 마드리드 CF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회
페르난지뉴 파일:on_play.png
(Fernandinho)
샤흐타르 도네츠크
맨체스터 시티 FC
파일:브라질 국기.svg 0회
46 마르셀루 파일:on_play.png
(Marcelo)
레알 마드리드 CF 102회 파일:브라질 국기.svg ★★★★★
5회
일카이 귄도안 파일:Champs_on_play.png
(İlkay Gündoğan)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맨체스터 시티 FC파일:Champs_on_play.png
FC 바르셀로나
파일:독일 국기.svg
1회
48 코케 파일:Champs_on_play.png
(Koke)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파일:Champs_on_play.png 101회 파일:스페인 국기.svg 0회
앙투안 그리즈만 파일:Champs_on_play.png
(Antoine Griezmann)
레알 소시에다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파일:Champs_on_play.png
FC 바르셀로나
파일:프랑스 국기.svg 0회
50 안드리 셰브첸코
(Andriy Shevchenko)
FC 디나모 키이우
AC 밀란
첼시 FC
100회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1회

[1] 순서는 UEFA 챔피언스 리그 출장 횟수가 많은 순서로 나열하고 출장 횟수가 같을 시 UEFA 챔피언스 리그에 먼저 데뷔한 선수를 우선순위로 둡니다.[2] 현재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선수 및 클럽을 의미합니다. 참가 클럽의 경우 해당 선수의 커리어가 아닌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참여한 팀만을 기재합니다.[3] 본선 조별리그가 진행되기 이전의 예선 경기 기록은 제외한 수치.
※ 현재 기록은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4R 종료 후 기준이고 매 경기가 종료될 때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 ||
1 리바코비치 · 2 브르살코 · 3 스트리니치 · 4 페리시치 · 5 촐루카 · 6 로브렌 · 7 라키티치 · 8 코바치치 · 9 크라마리치
10 모드리치 · 11 브로조비치 · 12 칼리니치 · 13 예드바이 · 14 브라다리치 · 15 찰레타-차르 · 16 칼리니치 · 17 만주키치
18 레비치 · 19 바델 · 20 피아차 · 21 비다 · 22 피바리치 · 23 수바시치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즐라트코 달리치

1 리바코비치 · 2 스타니시치 · 3 바리시치 · 4 페리시치 · 5 에를리치 · 6 로브렌 · 7 마예르 · 8 코바치치 · 9 크라마리치
10 모드리치 · 11 브로조비치 · 12 그르비치 · 13 블라시치 · 14 리바야 · 15 파샬리치 · 16 페트코비치 · 17 부디미르 · 18 오르시치
19 소사 · 20 그바르디올 · 21 비다 · 22 유라노비치 · 23 이부시치 · 24 슈탈로 · 25 수치치 · 26 야키치
파일:2022 FIFA 월드컵 크로아티아 아이콘.svg 즐라트코 달리치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Hrvatska nogometna reprezentacija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UEFA 유로 2024 - 최종 명단)
1 리바코비치 · 2 스타니시치 · 3 폰그리치치 · 4 그바르디올 · 5 에를리치 · 6 슈탈로 · 7 마예르 · 8 코바치치 · 9 크라마리치 · 10 모드리치
11 브로조비치 · 12 라브로비치 · 13 블라시치 · 14 페리시치 · 15 파샬리치 · 16 부디미르 · 17 페트코비치 · 18 이바누셰츠
19 소사 · 20 피아차 · 21 비다 · 22 유라노비치 · 23 이부시치 · 24 M. 파샬리치 · 25 수치치 · 26 바투리나
파일:UEFA EURO CRO.png 즐라트코 달리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CRO.png 이비차 올리치 · 파일:UEFA EURO CRO.png 베드란 촐루카 · 파일:UEFA EURO CRO.png 마리오 만주키치

[1] 크로아티아어 발음은 /lûːka mǒːdritɕ/.[2] 레알 마드리드 CF 공식 프로필[3] 중앙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4] 2025년 9월 일 기준 A매치 역대 최다 출장 5위,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출장자, 대표팀 역대 득점 5위.[5] 당시 크로아티아 국대가 황금세대로 불릴만한 전력이기는 했지만 기존의 월드컵 우승 또는 준우승을 거두는 팀들보단 부족했다. 크로아티아 인구 자체가 적은 편이라 월드컵에 꾸준히 나가는 것도 박수 받을 만할 정도다.[6] 황금세대로 평가받던 2018 월드컵 때와 비교해서 그바르디올과 리바코비치의 미친 활약으로 수비는 더 안정되었으나 공격진의 무게가 지난 대회와 비교해서 많이 떨어졌단 점, 8강 상대가 브라질이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정말 대단한 업적이다.[7] 로시는 1978 월드컵 실버볼과 1982 월드컵 골든볼, 마라도나는 1986 월드컵 골든볼과 1990 월드컵 브론즈볼, 호나우두는 1998 월드컵 골든볼과 2002 월드컵 실버볼, 모드리치는 2018 월드컵 골든볼, 2022 월드컵 브론즈볼. 리오넬 메시는 2개의 골든볼이 있으나 하나는 2014 월드컵, 또 다른 하나는 2022 월드컵에서 받았으므로 2018 월드컵이라는 텀(term)이 존재한다.[8] 기회가 두 번 있었는데, 둘다 눈앞에서 놓쳤다.[9] 당장 모드리치와 동갑에 몸관리로는 현역 최고인 그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말년이 어떻게 되었는지를 생각하면 모드리치의 롱런은 대단한 것이다. 물론 호날두도 곧 불혹인만큼 엄청나게 롱런한 것이다. 이 부분은 모드리치가 정말로 대단한 것이다. 호날두는 2022-23 시즌부터 급격한 내리막을 걸었지만, 모드리치는 2023-24 시즌까지도 레알 마드리드 소속으로 뛰고 있다.[10] 조국 크로아티아가 세계 무대에서 절대 약체라 볼 수는 없으나 브라질, 아르헨티나, 독일, 프랑스, 스페인 이런 레벨은 결코 아닌데 30대에 출전한 두 번의 월드컵에서 조국을 연속 4강 이상으로 이끄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이 그의 영원한 클래스를 증명하는 것들 중 하나이다. 그렇다고 챔스같은 무대에서 부진하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30대 중반에도 미드필드를 지배하는 모습을 챔스 토너먼트에서 계속 보여준다. 정말 축구도사라는 말이 어울리는 선수.[11] 프란시스코 헨토, 토니 크로스, 다니 카르바할, 나초 페르난데스와 함께 역대 챔스 최다 우승자[A] 라리가 어워즈[A] 라리가 어워즈[14] 크로아티아 올림픽 위원회[15] Order of Duke Branimir[16] Charter of the Republic of Croatia[17] 룩셈부르크는 이익당 세율이 1%밖에 돠지 않는다.[18] 크로아티아 법정에서 한 그의 증언이 터무니없을 정도로 어색했으며 증언이 보도된 이후 한동안 일종의 밈화가 되어 버렸다.[19] 유고 내전의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당시 세르비아 군이 쳐들어와서 살해했다고 한다. 그의 자서전에 따르면 외출 중 군인들의 기관총을 맞고 사망했다고 한다. 또한 자서전에서 밝히길, 할아버지는 키가 매우 크고 훤칠한 미남이었다고 하며, 할아버지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자랐다고 한다.[20] 라모스는 모드리치의 플레이에 매우 깊은 신뢰를 가지고 있다. 일례로 모드리치가 패스를 해 주지 않는 이스코에게 화를 냈는데, 이에 삐진 이스코가 이를 라모스에게 그대로 일러 바쳤다. 이에 라모스는 "입 닫고 모드리치가 시키는 대로 해라"고 말했다고.???: 왜 나한테만 지랄이냐고 또한 비니시우스나 호드리구 같은 유망주들이 실수 할 때 가장 크게 혼내는 선수가 모드리치다. 예를 들어 2019년 AT 마드리드와의 더비에서 비니시우스의 실수를 크게 질책했는데 비니시우스가 쫄아서 아무 말도 못하고 있었다고 한다. 결국 벤제마가 와서 "그 정도면 충분하잖아."라고 말렸다고 한다.[21] 이와 비슷한 경우로 웨슬리 스네이더가 있다. 평균 신장이 무려 183cm로 유럽에서 가장 크다는 네덜란드에서 한참 작은 170cm의 키를 가졌지만 인테르에서 트레블을, 대표팀에선 2010 남아공 월드컵 준우승에 기여하여 발롱도르 유력 후보에 오르는 등 뛰어난 활약을 했었다. 독일의 필립 람도 비슷한 경우.[22] 토트넘 시절부터 시작해 거의 10년 이상을 같은 팀에서 뛰었다.[23] 참고로 자그레브는 조국의 팀이자 자신의 친정팀이기도 하다. 모드리치가 자그레브를 축하했다고 토트넘을 싫어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정확히는 이적을 막았던 레비 회장을 비롯한 구단 수뇌부를 싫어하는 것으로 보인다.[24] 사진 왼쪽이 2015년 7~8월경의 모습이고, 오른쪽이 2022년 7~8월경의 모습이다. 약 7년 가량이 지나긴 했지만 7년이 아니라 20년은 지난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5년도 아니고 2018년 발롱도르 수상 당시와 비교해도... 1년이 지난 2023년 7월에는 더욱 폭삭 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18년 발롱도르 수상 당시와 비교했을 때 만으로 5년이 채 지나지 않았음에도 15년은 족히 지난 것처럼 나이가 든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25] 일부 레알 마드리드 팬들은 그를 모틀딱이라고 부를 만큼 팬들 사이에서는 거의 80대 할아버지 취급이다.[26] 실제로도 러시아 월드컵 당시 인터뷰에서 내가 들어올린 빅 이어 4개를 맞바꿔서라도 월드컵 우승하고 싶다는 인터뷰를 했었다. 해당 대회에서 최고의 활약으로 골든볼까지 수상받았음에도 표정은 좋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