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살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카자흐스탄 풋살 국가대표팀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color: #1868D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 margin: -6px -1px -12px" |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
독일 | 라트비아 | | 루마니아 |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몬테네그로 | |
몰도바 | 몰타 | 벨기에 | 벨라루스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북아일랜드 | 불가리아 |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
스코틀랜드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오스트리아 | |
우크라이나 | 웨일스 | 이스라엘 | 이탈리아 | |
잉글랜드 | 조지아 | 지브롤터 | 체코 | |
카자흐스탄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
튀르키예 | 페로 제도 | 포르투갈 | 폴란드 |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afca 10%, transparent 10%, transparent 90%, #00afca 90%), linear-gradient(to right, #00afca 3%, #fec50c 3%, #fec50c 6%, #00afca 6%)"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ec50c><colbgcolor=#00afca> 상징 | 국가 · 검독수리 · 초원수리 |
역사 | 역사 전반 · 쿠만 · 킵차크 칸국 · 카자흐 칸국 · 소련(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카자흐스탄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독립국가연합 · 상하이 협력기구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유라시아 경제 연합 · 집단 안보 조약 기구 | |
경제 | 경제 전반 · 카자흐스탄 텡게 | |
국방 | 카자흐스탄군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돔브라 · 코비즈 · 요리 · 유르트 · ЕНТ · 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카자흐어 · 러시아어 · 카자흐스탄/언어 ·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 |
지리 | 카스피해 · 아랄해 · 아스타나 · 알마티 · 튀르키스탄 | |
인물 | 쇼칸 왈리카노프 · 아바이 쿠난바이울리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 블라디미르 킴 | |
사회 | 카자흐스탄 마피아 | |
민족 | 카자흐 · 러시아계 카자흐스탄인 · 위구르계 카자흐스탄인 · 카자흐스탄계 한국인 |
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
Қазақстан Ұлттық футбол құрамасы Qazaqstan Ulttyq Fýtbol Kuramasy | |||
<colbgcolor=#FFCA19><colcolor=#214B89> {{{-1 [[FIFA 코드|{{{#214B89 FIFA 코드 }}}]]}}} | KAZ | ||
축구 협회 | 카자흐스탄 축구 연맹 (KFF) | ||
대륙 연맹 | 유럽 축구 연맹 (UEFA) | ||
홈 경기장 | 아스타나 아레나 (Astana Arena / 30,244석) | ||
별명 | Қаршығалар (매) | ||
감독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 (Stanislav Cherchesov) | ||
주장 | C 아슈하트 타기베르겐 (Askhat Tagybergen) | ||
라이벌 | [[우즈베키스탄| ]][[틀:국기| ]][[틀:국기| ]]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틀:국기| ]][[틀:국기| ]] 키르기스스탄[1] | ||
FIFA 랭킹 | 110위 (2024년 12월 19일 기준 / #) | ||
Elo 랭킹 | 97위 (2024년 11월 21일 기준 / #) | ||
공식 웹사이트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214B89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CA19><colcolor=#214B89> A매치 최다 출전 | 사마트 스마코프 (Samat Smakov) - 76경기 / 2골 | |
A매치 최다 득점 | 박티야르 자이누트디노프 (Baqtiar Zainutdinov) - 42경기 / 14골 | ||
첫 국제경기 출전 | 카자흐스탄 vs 투르크메니스탄 1:3 패 (카자흐스탄 알마아타 / 1992년 6월 1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카자흐스탄| ]][[틀:국기| ]][[틀:국기| ]] 카자흐스탄 vs [[파키스탄| ]][[틀:국기| ]][[틀:국기| ]] 파키스탄 7:0 승 (파키스탄 라호르 / 1997년 6월 11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카자흐스탄| ]][[틀:국기| ]][[틀:국기| ]] 카자흐스탄 vs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프랑스 0:8 패 (프랑스 파리 / 2021년 11월 13일)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214B89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CA19> 대륙대회 | ||
WAFF컵 | [진출] 1회 [최고] 6위/조별리그 (2000) |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상의 | ||
하의 | 10 | 3 |
양말 |
[clearfix]
1. 개요
카자흐스탄의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83위(2016년 9월 15일), 최저 순위는 166위(1996년 5월 22일)이다.감독은 마고메드 아디예프다. 1990년 대회까지 소련의 일원이었으며 소련 시절 성적은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승계되었다.
2. 역사
본래 AFC 소속이었으나, 2002년부터 UEFA 소속이 되었다. 하지만 다른 스포츠 종목은 아시아의 IOC 격인 아시아올림픽평의회에 소속되어 축구를 제외한 종목들은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고 있다. AFC 소속이던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최종예선에서 대한민국, 일본을 상대로 무승부를 기록하기도 했고, 중동 국가들을 상대로도 전적은 엇비슷하거나 조금 처지는 편으로 승점자판기 수준의 팀은 절대 아니었고, 우즈베키스탄과 비슷하거나 약간 밀리는 수준이라는 평이 지배적이었다.[2] 그러다가 2002년 한일 월드컵 예선까지 치르고 UEFA로 옮겨갔다. 똑같이 구소련 소속이었던 우즈베키스탄 등 다른 중앙아시아 나라들이 아시아 축구 연맹에 남아있는 걸 보면 굳이 대조적인 결정을 한 셈이었는데, 사실 예전부터 계속 유럽소속으로 옮길까 말까 간만 보다가 한일 월드컵 최종 예선 때 카자흐스탄 선수의 비매너 플레이로 이긴 경기를 다시 재경기를 치르며, 결국 월드컵 진출에 또 실패해 이에 뿔나서 결국 옮긴 것이 표면적 이유었다.사실 카자흐스탄 서부 우랄 강 이서 지역은 지리적으로 동유럽의 일부이기 때문에 카자흐스탄은 튀르키예, 러시아처럼 영토 일부가 아시아 대륙과 유럽 대륙에 걸쳐있는 나라라고 할 수 있다. 이미 이스라엘, 아제르바이잔처럼 아시아 국가들이 UEFA로 옮겼거나 처음부터 UEFA에 들어간 전례가 있다. 다만 이스탄불 일부를 포함한 보스포루스 해협 이서지역과 달리 우랄 강 서부 지역은 카자흐스탄 전체 영토의 5%도 안 되는 좁은 구역에 황량한 사막 지대가 대부분이라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다. 아스타나, 알마티 등 카자흐스탄의 주요 도시들이 죄다 동부에 몰려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또한 카자흐의 가장 주된 민족인 카자흐족은 키르기즈와 연관성이 깊은 투르크 민족으로 예니세이 강 상류에서 이동해온 동양인처럼 생겼기 때문에, 카자흐스탄이 UEFA로 소속을 옮긴 것은 과거 소련 소속이었고 러시아인을 비롯한 구소련 국가의 유럽계 인종이 함께 산다는 점을 제외하면 명분이 굉장히 떨어지는 편이었다.
이 문제는 카자흐스탄 자국 내부에서도 엄청난 논쟁이 있었다고 한다. 독립국가연합 국가로서 UEFA로 가야 한다는 주장과 중앙아시아 국가이므로 AFC에 남아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섰는데, 월드컵은 어차피 AFC나 UEFA 어느 쪽으로든 나가기 힘든 반면, UEFA로 가면 UEFA 챔피언스 리그도 참가할 수 있고, UEFA 쿼터로 선수들의 유럽 진출도 용이하므로 이쪽을 선호하는 주장이 더 우세해졌다고 한다. 사실 아시아 챔피언스리그는 2010년대 중국 슈퍼 리그 팀들이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판이 커졌으므로, 그 당시는 그쪽으로 가는 게 충분히 합리적인 선택이었다.
첫 유럽무대 도전인 2006년 독일 월드컵 예선에서는 1무 11패라는 처절한 성적으로 꼴찌를 기록했다. 그런데 UEFA 유로 첫 도전인 2008년 예선에서 놀랍게도 세르비아를 상대로 2:1로 이겼으나 결국 6위(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와 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을 제침)로 예선 탈락했다. 그나마 세르비아는 카자흐스탄전 패배 여파로 2위 포르투갈에게 승점 3점이 밀려 3위로 탈락했으니 제대로 고춧가루를 뿌려준 셈이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도 조 5위(2승 8패)를 거두며 탈락했는데 그나마 6위 꼴찌인 최약체 안도라에게 2승을 거두긴 했다. 유로 2012에선 튀르키예, 독일, 벨기에 같은 나라들을 만났고 결국 초반부 5경기 연패에 0득점 14실점을 기록하며 꼴찌로 밀려났다. 그냥 아제르바이잔과 서로 꼴찌 탈출이나 겨뤄야할 듯 싶었으나 벨기에에게 1:4로 털리며 결국 1승 8패로 꼴찌를 확정했다. 우습게도 4년전 유로 예선에도 아제르바이잔이 카자흐스탄을 제치고 꼴찌를 탈출했는데 2012 대회에서도 또 되풀이되었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는 그나마 페로 제도라는 유럽 최약체를 만나서 그나마 최하위는 면할 수 있게 되었다. 다른 상대는 독일, 오스트리아, 아일랜드, 스웨덴. 그나마 안방에서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무득점으로 비겼지만 초반부터 1무 5패로 역시 페로 제도과 같이 일찌감치 예선 탈락했다. 그래도 페로 제도를 제치고 1승 2무 7패로 5위를 기록하며 최하위는 면했다. 아시아에 남은 옆동네 우즈베키스탄이 아시아 예선에서 꽤 잘 나가며 본선 진출 근처까지 와 있는걸 생각하면 꽤나 눈물이 날 지경이다.
유로 2016 예선에선 튀르키예, 네덜란드, 체코, 라트비아, 아이슬란드와 같은 조를 이루게 되었다. 네덜란드가 가장 앞서고 나머지 조 2위 예상 가능성이 있는 걸 생각하면 카자흐스탄은 이 조에서 동네북이 될 가능성이 압도적이다. 결국 라트비아에게 유일한 승리를 거두며 1승 2무 7패를 거두며 라트비아를 겨우 제친 5위로 마감했다.[4]
2022 카타르 월드컵 예선에선 3무 5패로 1승조차 못 거두고 광탈했다. 게다가, 튀르키예전 (0:6 패, 2005년 6월 8일)이나 러시아전 (0:6 패, 2008년 5월 23일) 같은 종전 최다 실점 패배 기록을 갱신한 0:8 참패를 프랑스 원정에서 2021년 11월 14일에 당하고 말았다. 결과는 참패지만, 만만치 않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1-1, 2-2를 기록하며 역시나 꼭 우습게 보긴 어려운 결과를 보여주긴 했다.
유럽에선 현재 산마리노, 안도라, 리히텐슈타인같은 유럽 최약체보단 한 수 위이지만 결국은 하위 시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가끔 한 수 위 상대에게 고춧가루를 뿌리기도 하나[5] 메이저 대회 진출 전망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UEFA 네이션스 리그에서도 리그 D에 편성되었다. 첫 시즌 조 편성은 조지아, 라트비아, 안도라. 1승 3무 2패로 조 2위에 그치며 조지아에 밀렸지만, 어떻게 리그 C로 승격에는 성공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엄청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2022-23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슬로바키아, 아제르바이잔, 벨라루스와 한 조가 되었는데, 슬로바키아를 홈, 원정에서 모두 제압하고 4승 1무 1패로 리그 B로 승격하는 선전을 보여주었다.
유로 2024 예선에서는 덴마크, 북아일랜드, 슬로베니아, 핀란드, 산마리노와 같은 H조에 배정되었다. 산마리노와 함께 바닥을 깔아줄 것이란 예상과 달리, 2차전에서 덴마크를 홈에서 3-2로 제압하는 대이변을 연출했다. 그 후 핀란드를 2:1로 꺾는 성과까지 추가하며 6승 4패로 예선을 마무리. 카자흐스탄 축구 역사상 최초로 메이저 대회 예선에서 승리를 패배보다 많이 거두는 대성과를 거뒀다. 비록 본선 직행엔 실패했지만 네이션스 리그에서 B 리그로 승격한 덕분에 패스 C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예선에서의 기세가 워낙 좋았던만큼 플레이오프에서도 접전이 예상되었으나... 그리스와의 준결승 경기에서 무려 5-0이라는 스코어로 대패하며 예선을 마무리했다. 물론 카자흐스탄이 그리스를 원정에서 잡을 것이라는 예상은 적었지만, 너무나 무기력한 패배였던 만큼 카자흐스탄 축구팬들도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다.
카자흐스탄 프리미어 리그의 발전으로 과거보다 전체적인 선수층은 두꺼워졌다. 이민 2세들에 의존했던 과거의 습자지같은 스쿼드는 탈피. AC 밀란과 우디네세 칼초를 거쳤던 알렉산더 메르켈이 가장 유명한 선수. 독일계였기 때문에 독일에게도 귀화 제안이 왔었으며, 러시아 귀화제의도 받았으나, 결국은 뒤늦게 본래 태어난 카자흐스탄의 유니폼을 입었다. 그렇기 때문에 A매치 경력은 3경기로 일천한 편. 요즘에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카자흐스탄 선수들이 많이 진출하기 시작했는데 누랄리 알리프, 마라트 비스트로프, 박티야르 자이누트디노프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그 중 PFC CSKA 모스크바에 입단했던 박티야르 자이누트디노프가 제일 기대주로 평가받고 있으며 2023년 튀르키예의 베식타스 JK로 이적하여 유럽 대항전에 뛴 최초의 카자흐스탄 선수가 되었다.
한국과의 전적은 2전 1무 1패로 열세. 2경기 모두 AFC 시절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아시아 최종 예선 때 거둔 경기 기록이다.
2023년 기준 유니폼 스폰서는 아디다스.
3. 선수 명단
{{{#!wiki style="color:#1A2842;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클럽 |
GK | 스타스 포카틸로프 (Stas Pokatilov) | 1992년 12월 8일 | 26 | 0 | FC 악퇴베 | ||
이고르 샤츠키 (Igor Shatsky) | 1989년 5월 11일 | 6 | 0 | FC 샤흐테르 카라간디 | |||
무함메드잔 세이센 (Mukhammedzhan Seysen) | 1999년 2월 14일 | 1 | 0 | FC 타라즈 | |||
DF | 유리 로그비넨코 (Yury Logvinenko) | 1988년 7월 22일 | 57 | 5 | FC 악퇴베 | ||
셰르기 말리 (Serhiy Malyi) | 1990년 6월 5일 | 53 | 1 | FC 토볼 | |||
하푸르잔 쉬윰바예프 (Gafurzhan Suyumbayev) | 1996년 7월 7일 | 33 | 0 | FC 악수 | |||
아브잘 베이셰볘코프 (Abzal Beysebekov) | 1992년 11월 30일 | 36 | 0 | FC 아스타나 | |||
알렉산드르 마로츠킨 (Aleksandr Marochkin) | 1990년 7월 14일 | 21 | 0 | FC 토볼 | |||
마라트 비스트로프 (Marat Bystrov) | 1992년 6월 19일 | 14 | 0 | FC 아스타나 | |||
누랄리 알리프 (Nuraly Alip) | 1999년 12월 22일 | 30 | 0 |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
티무르 도스마함베토프 (Timur Dosmagambetov) | 1989년 5월 1일 | 9 | 0 | FC 샤흐테르 카라간디 | |||
MF | 아슈하트 타기베르겐 (Askhat Tagyberge) | 1990년 8월 9일 | 48 | 2 | FC 오르다바시 | ||
박티야르 자이누트디노프 (Baqtiar Zainutdinov) | 1998년 4월 2일 | 30 | 12 | 베식타스 JK | |||
바우이르잔 이슬람칸 (Bauyrjan İslamhan) | 1993년 2월 28일 | 49 | 3 | FC 오르다바시 | |||
막심 사모로도프 (Maksim Samorodov) | 2002년 6월 29일 | 17 | 3 | FC 아흐마트 그로즈니 | |||
알렉산드르 주예프 (Aleksandr Zuyev) | 1996년 6월 26일 | 1 | 0 | FC 토볼 | |||
라마잔 오라조프 (Ramazan Orazov) | 1998년 1월 30일 | 27 | 1 | 실케보르 IF | |||
아슬란 아딜 (Aslan Adil) | 1998년 1월 13일 | 0 | 0 | FC 카스피 | |||
FW | 아바트 아임베토프 (Abat Aymbetov) | 1995년 8월 7일 | 17 | 2 | FC 아스타나 | ||
아이바르 자크슬르코프 (Aybar Zhaksylykov) | 1997년 7월 24일 | 6 | 0 | FC 토볼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3월 20일 |
4. 역대전적
4.1. FIFA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소련의 일부 (러시아에 승계) | |||||||||
1930년 우루과이 | 독립 이전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
1934년 이탈리아 | |||||||||
1938년 프랑스 | |||||||||
1950년 브라질 | |||||||||
1954년 스위스 | |||||||||
1958년 스웨덴 | |||||||||
1962년 칠레 | |||||||||
1966년 잉글랜드 | |||||||||
1970년 멕시코 | |||||||||
1974년 서독 | |||||||||
1978년 아르헨티나 | |||||||||
1982년 스페인 | |||||||||
1986년 멕시코 | |||||||||
1990년 이탈리아 | |||||||||
※ 카자흐스탄 제1공화국 | |||||||||
1994년 미국 | 불참 | ||||||||
1998년 프랑스 | 예선 탈락 | ||||||||
2002년 한국/일본 | |||||||||
2006년 독일 | |||||||||
2010년 남아공 | |||||||||
2014년 브라질 | |||||||||
2018년 러시아 | |||||||||
※ 카자흐스탄 제2공화국 | |||||||||
2022년 카타르 | 예선 탈락 | ||||||||
2026년 북중미 | ? | ? | ? | ? | ? | ? | ? | ? | ? |
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2034년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2. UEFA 유로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소련의 일부 (러시아에 승계) | |||||||||
1960년 프랑스 | 독립 이전(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
1964년 스페인 | |||||||||
1968년 이탈리아 | |||||||||
1972년 벨기에 | |||||||||
1976년 유고슬라비아 | |||||||||
1980년 이탈리아 | |||||||||
1984년 프랑스 | |||||||||
1988년 서독 | |||||||||
※ 카자흐스탄 제1공화국 | |||||||||
1992년 스웨덴 | 없음[6] | ||||||||
1996년 잉글랜드 | AFC 소속 | ||||||||
2000년 벨기에/네덜란드 | |||||||||
2004년 포르투갈 | 예선 탈락 | ||||||||
2008년 오스트리아/스위스 | |||||||||
2012년 폴란드/우크라이나 | |||||||||
2016년 프랑스 | |||||||||
2020년 분산개최 | |||||||||
※ 카자흐스탄 제2공화국 | |||||||||
2024년 독일 | ? | ? | ? | ? | ? | ? | ? | ? | ? |
2028년 영국/아일랜드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3. AFC 아시안컵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96년 아랍에미리트 | 예선 탈락 | ||||||||
2000년 레바논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4.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요르단 2000 | 조별리그 | 6위 | 3 | 1 | 0 | 2 | 3 | 9 | 3 |
합계 | 본선진출 1회 | 3 | 1 | 0 | 2 | 3 | 9 | 3 |
5. 연령별 대표팀
5.1. U-23 대표팀
5.1.1. 올림픽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2년 대회 부터 u-23세로 나이 변경 | |||||||||
1992 바르셀로나 | 예선 탈락 | ||||||||
1996 애틀란타 | |||||||||
2000 시드니 | |||||||||
2004 아테네 | |||||||||
2008 베이징 | |||||||||
2012 런던 |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
2020 도쿄 | |||||||||
2024 파리 | |||||||||
2028 로스엔젤레스 | |||||||||
2032 브리즈번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6. 국가별 전적
6.1. 대한민국과 전적
<rowcolor=#ffffff>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對 카자흐스탄전 역대 전적 | |||||||
<rowcolor=#ffffff>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최다 득점자 |
2 | 1 | 1 | 0 | 4 | 1 | +3 | 최용수(4) |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A매치 역대 경기 결과 | KOR | KAZ | |||||
<rowcolor=#ffffff> 날짜 | 장소 | 대회 | 점수 | 결과 | 득점 | 득점 | 비고 |
<rowcolor=#ffffff> 1997년 10월 11일 | 카자흐스탄, 알마티, 알마티 센트랄 스타디움 | 1998 프랑스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 1:1 (1:0) | 무 | 최용수(4') | 파벨 에프테예프(51‘) | [G] |
<rowcolor=#ffffff> 1997년 9월 6일 | 대한민국, 서울, 잠실종합운동장 | 1998 프랑스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 3:0 (1:0) | 승 | 최용수 (24‘, 67’, 74') | - | [F] |
■: 월드컵 본선, 컨페드컵 | ■: 대륙컵 본선 ■: 올림픽 본선 | ■: 아시안 게임 본선 ■: 월드컵 예선(직행) | ■: 월드컵 예선 | ■: 기타 예선 |
[1] 실제 카자흐스탄의 경기력은 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의 중간정도 된다. 카자흐스탄은 아시아에서도 본선을 노릴 실력이 안되기 때문에 유럽으로 옮긴 것으로 유럽에서 라이벌을 할 만한 대상을 찾기 어려워서 중앙아시아팀인 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을 라이벌로 간주하고 있다. 유럽에서 카자흐스탄과 경기력이 비슷한 팀을 굳이 고르자면 룩셈부르크나 조지아 정도가 될 듯 하다. 아시아티켓 8.5장 체제인 현재 상황에서도 전력이 한 수 위인 우즈베키스탄이 겨우 본선행 턱걸이가 가능한걸 감안하면 카자흐스탄의 경기력으로는 본선행이 어렵다.[2] 대략 현 요르단 대표팀 정도 되었을 것이다.[3] 사실 카자흐스탄과 비슷하게 지리적으로만 따지면 이스라엘은 명분이 제로였고, 실제로 초기에는 AFC로 분류되었으나, 정치적인 이유와 인근 아랍-이슬람 국가들의 전란 및 외교갈등으로 인해 AFC에서 방출되다 유랑한 뒤 최종적으로 UEFA에 정착한 케이스다.[4] 그나마 작은 이변이라면 네덜란드 원정에서 선제골을 넣어 0:1로 앞서고 하프타임을 맞았다. 이후 60분에 동점골을 내주고 80분부터 두골을 내주며 3:1로 역전패했다.[5] 2019년에는 스코틀랜드를 3:0으로 털어버리고, 2022년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슬로바키아를 홈, 원정에서 모두 제압하고 리그 B로 승격하는 등 나름 복병의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6] 독립 이전에 예선이 진행되었다.[G] 골 영상[F] 전체 경기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