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1 12:32:10

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wiki style="color: #1868D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 margin: -6px -1px -12px"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자격정지
루마니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파일:안도라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웨일스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페로 제도 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튀르키예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50%, #cf142b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f142b>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입법부
외교 외교 전반 · 유럽안보협력기구 · 몰타 여권 · 커피 클럽 · 유럽연합 · 영연방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경제 경제 전반 · 몰타 리라(폐지) · 유로
문화 문화 전반 · 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 몰타어 · 영어
인물 조르조 보그 올리비에
지리 발레타
기타 몰타인 · 구호기사단
}}}}}}}}} ||
파일: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Tim nazzjonali tal-futbol ta' Malta
<colbgcolor=#ce142c><colcolor=#fff> FIFA 코드 MLT
축구 협회 몰타 축구 협회
대륙 연맹 유럽 축구 연맹
별칭 Knights of Malta (몰타의 기사)
Ħomor (빨강)
Falcons (매)
홈구장 타콸리 국립 경기장 (Ta' Qali National)
(16,997석 수용)[1]
감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에밀리오 데레오 (Emilio De Leo)
주장
C
스티브 보그 (Steve Borg)
FIFA 랭킹 166위 (2025년 10월 17일 기준 / #)
Elo 랭킹 148위 (2025년 10월 15일 기준 / #)
대표팀 기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e142c><colcolor=#fff> A매치 최다 출전 마이클 미프수드 (Michael Mifsud) - 143경기
A매치 최다 득점 마이클 미프수드 (Michael Mifsud) - 42골
첫 국제경기 출전
파일:영국령 몰타 국기(1943-1964).png
몰타 vs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2:3
(몰타 그치라 / 1957년 2월 24일)
최다 점수차 승리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vs [[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7:1
(몰타 타콸리 / 2008년 3월 26일)
최다 점수차 패배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vs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12
(스페인 세비야 / 1983년 12월 21일)
}}}}}}}}}}}} ||
유니폼 컬러 어웨이
상의 빨강
하양
하의 하양 빨강
양말
1. 개요2. 상세3.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4. 현재 선수 명단5. 역대 전적6. 연령별 대표팀
6.1. U-23 대표팀
6.1.1. 올림픽
7. 국가별 전적
7.1. 대한민국과 전적

1. 개요

몰타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66위[2], 최저 순위는 191위[3]이며 홈 경기장은 타콸리 국립 경기장, 감독은 에밀리오 데레오, 대표팀 별칭은 몰타의 기사들(Knights of Malta)이다.

2. 상세

FIFA에 가입한지도 꽤 되었고 UEFA 주관 대회도 유로 1964부터 꾸준히 참가하고 있으나 그것들과는 별개로 성적은 항상 좋지 않은 유럽 내에서 약체 신세를 면치 못하는 팀으로 룩셈부르크와 비슷하게 소국의 한계로 볼 수밖에 없다.[4]

월드컵 예선에는 197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부터 참가하기 시작하여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까지 114전 3승 12무 99패·승점 21점으로 8승 10무 124패·승점 34점의 룩셈부르크보다 성적이 매우 저조하며 유로 예선에서도 통산 120전 4승 14무 102패로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통산 성적과 굉장히 비슷하다.

그래도 199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는 1966년 FIFA 월드컵 3위팀인 포르투갈을 상대로 원정에서 2대2 무승부를 거두었으며 2017년 열린 평가전에서는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원정에서 1-0 승리를 거둔 적도 있으며 심지어 1994년에는 8년 전 월드컵 본선에서 4위를 차지했던 강호 벨기에를 꺾은 이변을 일으킨 적도 있다.

자국 레전드로는 몰타 대표팀 내 A매치 최다 득점과 최다 출전 기록 보유자인 골게터 마이클 미프수드가 대표적으로 손꼽히며 A매치 통산 142경기 41골을 기록하고 있는데 전성기 때는 FC 카이저슬라우테른릴레스트룀 SK, 코번트리 시티 등에서 뛰었을 정도로 유럽에서 잔뼈가 굵은 공격수였으며 2014년 자국 리그로 돌아온 뒤 2021년 은퇴할 때까지 7년동안 현역으로 뛰었다.

그리고 현재 유럽 리그에서 뛰는 몰타 선수로는 튀르키예 TFF 1. 리그 샨르우르파스포르에서 뛰고 있는 잭 머스캣, 잉글랜드 EFL 리그 원위건 애슬레틱에서 뛰고 있는 제임스 캐러거, 폴란드 I리가스탈 미엘레츠에서 뛰고 있는 매슈 길로미어, 프랑스 리그 1스타드 드 랭스에서 뛰고 있는 테디 퇴마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몰도바 수페르리가,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 리그, 세르비아 퍼스트 리그 등의 유럽 리그에서 뛰고 있는 몰타 선수들도 있다.

대한민국과의 상대 전적은 1무 1패이며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에레아이다.

3.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0%, #fff 20%, #fff 80%, #fff)"<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파일: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png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E0503>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마이클 미프수드 142회 2000.2.10 2020.11.11
2 길버트 아지우스 120회 1993.11.7 2009.11.18
3 데이빗 카라봇 119회 1987.11.15 2005.2.9
4 카르멜 부수틸 110회 1982.6.5 2001.4.25
5 안드레이 아지우스 103회 2006.2.25 2022.3.25
6 조 브린캇 101회 1987.10.14 2004.2.14
7 로데릭 브리파 100회 2003.12.11 2018.11.17
}}}}}}}}}}}}}}} ||

4. 현재 선수 명단

2022년 4월 14일 기준.
포지션 등번호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출장 득점 클럽 비고
GK 헨리 보넬로 Henry Bonello 1988년 10월 13일 37 0 함룬 스파르탄스 FC
제이크 갈레아 Jake Galea 1996년 4월 15일 3 0 발잔 FC
매튜 칼레자 크레모나 Matthew Calleja Cremona 1994년 9월 14일 0 0 하이버니언스 FC
DF 안드레이 아지우스 Andrei Agius 1986년 8월 12일 103 6 하이버니언스 FC 주장
스티브 보그 Steve Borg 1988년 1월 8일 64 3 그지라 유나이티드 FC
자크 무스카트 Zach Muscat 1993년 8월 22일 52 2 카사 피아 AC
트리스턴 카루아나 Tristan Caruana 1991년 9월 15일 11 1 발레타 FC
엔리코 페페 Enrico Pepe 1989년 11월 12일 9 0 비르키르카라 FC
페르디난도 아파프 Ferdinando Apap 1992년 7월 29일 8 0 하이버니언스 FC
진 보그 Jean Borg 1998년 1월 8일 8 0 발레타 FC
칼 미칼레프 Karl Micallef 1996년 9월 8일 6 0 함룬 스파르탄스 FC
제임스 브라운 James Brown 1998년 1월 12일 0 0 세인트 존스톤 FC
MF 조지프 음봉 Joseph Mbong 1997년 7월 15일 37 2 함룬 스파르탄스 FC
스티브 피사니 Steve Pisani 1992년 8월 7일 36 0 그지라 유나이티드 FC
라이언 카멘줄리 Ryan Camenzuli 1994년 9월 8일 24 0 플로리아나 FC
테디 퇴마 Teddy Teuma 1993년 9월 30일 20 1 스타드 드 랭스
매튜 길로미어 Matthew Guillaumier 1998년 4월 9일 15 1 ACN 시에나 1904
케인 아타드 Cain Attard 1994년 9월 10일 14 2 비르키르카라 FC
던스턴 벨라 Dunstan Vella 1996년 4월 27일 10 0 하이버니언스 FC
니콜라이 무스카트 Nikolai Muscat 1996년 7월 13일 3 0 그지라 유나이티드 FC
브랜던 파이버 Brandon Paiber 1995년 6월 5일 3 0 플로리아나 FC
아담 마그리 오베렌드 Adam Magri Overend 2000년 5월 3일 2 0 플로리아나 FC
네빈 포텔리 Nevin Portelli 1999년 9월 16일 0 0 그지라 유나이티드 FC
FW 제이크 그레치 Jake Grech 1997년 11월 18일 20 0 하이버니언스 FC
루크 몬트벨로 Luke Montebello 1995년 8월 13일 20 0 비르키르카라 FC
주르겐 데가브리엘레 Jurgen Degabriele 1996년 10월 10일 16 4 하이버니언스 FC
알렉산더 사타리아노 Alexander Satariano 2001년 10월 25일 16 2 US 페르골레테세 [5]
폴 음봉 Paul Mbong 2001년 9월 2일 12 0 비르키르카라 FC
잔 부수틸 Jan Busuttil 1999년 3월 6일 1 0 플로리아나 FC

5. 역대 전적

5.1. FIFA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 영국령 몰타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 우루과이
비회원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1950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 칠레
불참
※ 몰타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 잉글랜드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 멕시코
기권
파일:독일 국기.svg
1974 서독
16개국 본선 진출 실패
※ 몰타 공화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 아르헨티나
16개국 본선 진출 실패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 스페인
24개국 본선 진출 실패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1994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 프랑스
32개국 본선 진출 실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 한일
파일:독일 국기.svg
2006 독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48개국 본선 진출 실패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5.2. UEFA 유로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 영국령 몰타
파일:프랑스 국기.svg
1960년 프랑스
불참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64년 스페인
예선 탈락
※ 몰타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68년 이탈리아
불참
파일:벨기에 국기.svg
1972년 벨기에
예선 탈락
※ 몰타 공화국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1976년 유고슬라비아
예선 탈락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0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84년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1988년 독일
파일:스웨덴 국기.svg
1992년 스웨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96년 잉글랜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0년 벨기에/네덜란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4년 포르투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2008년 오스트리아/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12년 폴란드/우크라이나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6년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20년 분산개최
파일:독일 국기.svg
2024년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2028년 영국/아일랜드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5.3. UEFA 네이션스 리그

연도 리그 순위 경기 득점 실점
2018-19 시즌 D 4 6 0 3 3 5 14
2020-21 시즌 D 4 6 2 3 1 8 6
2022-23 시즌 D 2 4 2 0 2 5 4

6. 연령별 대표팀

6.1. U-23 대표팀

6.1.1. 올림픽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1992년 대회 부터 u-23세로 나이 변경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2 바르셀로나
예선 탈락
파일:미국 국기.svg
1996 애틀란타
파일:호주 국기.svg
2000 시드니
파일:그리스 국기.svg
2004 아테네
파일:중국 국기.svg
2008 베이징
파일:영국 국기.svg
2012 런던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6 리우데자네이루
파일:일본 국기.svg
2020 도쿄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4 파리
파일:미국 국기.svg
2028 로스엔젤레스
파일:호주 국기.svg
2032 브리즈번
합계 본선진출 없음

7. 국가별 전적

7.1. 대한민국과 전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국가별 상대전적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축구 연맹(UEFA) | 38/55 조우
<colcolor=#fff> 대표팀 국가 최다득점 최근 전적
<colcolor=#fff>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colcolor=#fff> + <colcolor=#fff> - <colcolor=#fff> ±
<rowcolor=#fff>
파일: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박주영(2) 2:0 승 (2014)
4 3 1 0 6 1 +5
<rowcolor=#fff>
파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없음 0:2 패 (2007)
2 0 0 2 0 7 -7
<rowcolor=#fff>
파일: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김도훈(2) 0:0 무 (2006)
4 1 1 2 5 6 -1
<rowcolor=#fff>
파일: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조재진(1) 0:0 무 (2009)
2 0 1 1 1 3 -2
<rowcolor=#fff>
파일: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홈 로고.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손흥민 등 7명(1) 2:0 승 (2018)
4 2 0 2 7 5 +2
<rowcolor=#fff>
파일:Latvia_national_team_logo.pn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김재성, 김신욱(1) 1:0 승 (2018)
2 2 0 0 2 0 +2
<rowcolor=#fff>
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지동원 등 4명(1) 2:4 패 (2017)
3 0 1 2 4 7 -3
<rowcolor=#fff>
파일: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신홍기(1) 1:2 패 (1994)
1 0 0 1 1 2 -1
<rowcolor=#fff> 파일: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조영욱 등 5명(1) 4:0 승 (2022)
2 2 0 0 5 0 +5
<rowcolor=#fff> 파일: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하석주 등 3명(1) 1:1 무 (1991)
2 1 1 0 3 2 +1
<rowcolor=#fff> 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유상철, 고종수(1) 0:1 패 (2014)
4 0 1 3 2 6 -4
<rowcolor=#fff> 파일: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없음 0:1 패 (2010)
1 0 0 1 0 1 -1
<rowcolor=#fff>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이재성 등 3명(1) 1:3 패 (2018)
2 1 0 1 3 3 0
<rowcolor=#fff>
파일: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박지성 등 4명(1) 2:1 승 (2000)
2 1 1 0 4 3 +1
<rowcolor=#fff>
파일: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권창훈(1) 1:2 패 (2018)
1 0 0 1 1 2 -1
<rowcolor=#fff>
파일: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김종부(1) 0:1 패 (2003)
2 0 1 1 1 2 -1
<rowcolor=#fff>
파일: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구자철 등 9명(1) 1:1 무 (2017)
11 2 4 5 9 16 -7
<rowcolor=#fff>
파일: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김영철 등 3명(1) 0:1 패 (2018)
5 0 2 3 3 18 -15
<rowcolor=#fff>
파일: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홍정호, 이청용(1) 2:1 승 (2013)
2 1 0 1 2 3 -1
<rowcolor=#fff> 파일: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안정환(2) 4:1 승 (2002)
1 1 0 0 4 1 +3
<rowcolor=#fff>
파일: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주세종 등 5명(1) 1:6 패 (2016)
6 0 2 4 5 16 -11
<rowcolor=#fff>
파일: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없음 0:0 무 (1998)
1 0 1 0 0 0 0
<rowcolor=#fff> 파일:아이슬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송민규 등 6명(1) 1:0 승 (2022)
2 2 0 0 6 1 +5
<rowcolor=#fff>
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황선홍 등 3명(1) 2:0 승 (1994)
2 2 0 0 3 0 +3
<rowcolor=#fff>
파일: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없음 0:0 무 (2023)
1 0 1 0 0 0 0
<rowcolor=#fff>
파일: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황선홍 등 4명(2) 5:4 승 (1996)
11 5 4 2 17 12 +5
<rowcolor=#fff>
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안정환 등 4명(1) 2:1 승 (2002)
2 1 0 1 4 4 0
<rowcolor=#fff>
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박지성(1) 1:1 무 (2002)
1 0 1 0 1 1 0
<rowcolor=#fff>
파일: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황의조(2) 2:2 무 (2019)
1 0 1 0 2 2 0
<rowcolor=#fff>
파일: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석현준 등 5명(1) 2:1 승 (2016)
5 1 2 2 5 14 -9
<rowcolor=#fff> 파일: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최용수(4) 1:1 무 (1997)
2 1 1 0 4 1 +3
<rowcolor=#fff>
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이근호 등 7명(1) 1:2 패 (2013)
7 2 2 3 7 11 -4
<rowcolor=#fff>
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김은중 등 4명(1) 0:0 무 (2011)
7 1 2 4 4 13 -9
<rowcolor=#fff>
파일: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황희찬 등 3명(1) 2:1 승 (2022)
2 2 0 0 3 1 +2
<rowcolor=#fff> 파일:폴란드 국장.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황희찬 등 4명(1) 2:3 패 (2018)
2 1 0 1 4 3 +1
<rowcolor=#fff>
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 2024.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박지성(2) 1:1 무 (2006)
3 0 1 2 3 9 -6
<rowcolor=#fff>
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황선홍(2) 2:0 승 (2010)
3 3 0 0 5 0 +5
<rowcolor=#fff>
파일: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없음 0:1 패 (1985)
2 0 0 2 0 10 -10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 EAFF | ASEAN | SAFF | WAFF | CAFA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CFA |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OFC |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UEFA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CONCACAF |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CONMEBOL
}}}}}}}}}}}}}}} ||
파일: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파일:몰타 국기.svg MLT A매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nopad> 2 [🏟️]
<colbgcolor=#000><colcolor=#fff> 0 <nopad> 1 <colbgcolor=#000><colcolor=#fff> 1
2 득점 (-1) <nopa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우세
3 득점 (+1)
<rowcolor=#fff> 후버트 수다 등 2명(1) 최다득점자 하석주 등 3명(1)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7]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선수 기록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8]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nopad> 최근경기: 무승부 (1991)

몰타는 한국에게 2경기 1무 1패로 열세에 놓여 있다.1990년대 초반 두번의 맞대결 기록이 있다. 과거 몰타는 지금의 터키처럼 우리나라 축구계에서 동계 전훈지로 각광을 받던 장소 중 하나였고, 때문에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을 준비하던 대표팀이 동계훈련으로 몰타 원정을 떠난 적이 있다. 실제로 이탈리아와 몰타가 꽤 가까운 편이기도 해서, 이 곳에서 대표팀은 노르웨이와 평가전을 벌인 뒤, 홈팀 몰타와도 평가전을 가졌는데, 박빙 스코어 끝에 2-1로 겨우 신승을 거뒀다. 이후 1년 뒤, 이번에는 대한민국에서 정기적으로 열던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에 몰타 대표팀이 초청되어 조별리그에서 맞붙었고, 여기서도 몰타는 대한민국과 1-1 무승부를 거뒀다. 이후 30년간 두 팀의 맞대결은 성사되지 않고 있다.
<nopad> 1991-06-11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nopad> 1:1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1 코리아컵 대회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91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 8강 조별리그 A조 3차전
일시: 1991년 6월 11일 17:00[UTC+9] 장소: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광주직할시
주심: 파일:태국 국기.svg 비타야 윙스만 경기장: 무등경기장
<colbgcolor=#fff><colcolor=#666> - 1:1
(0:0)
<colbgcolor=#fff><colcolor=#666> -
고정운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하석주 파일:득점 아이콘.svg 73’
에드윈 카밀레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크리스티안 라페를라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찰스 스케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후버트 수다 파일:득점 아이콘.svg 89’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고재욱 감독: 파일:몰타 국기.svg 피포 프사일라

타팀 경기 결과 파일:이집트 국기.svg EGY 6:0 IDN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3차전 종료 후 대회 전체 순위[10]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이집트 국기.svg EGY • 1 5 3 2 1 0 11 2 +9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KOR • 2 4 3 1 2 0 4 1 +3
<rowcolor=#fff> 파일:몰타 국기.svg MLT • 3 3 3 1 1 1 6 6 0
<rowcolor=#fff>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IDN • 4 0 3 0 0 3 0 12 -12
}}}}}}}}} ||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nopad> 1990-02-10
<nopad> 1:2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0 몰타 친선대회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90 몰타 국제 친선대회 3경기
일시: 1990년 2월 10일 15:00[UTC+1] 장소: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발레타
주심: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토르트 프레스베리 경기장: 타칼리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666> - 1:2
(0:1)
<colbgcolor=#fff><colcolor=#666> 백종철 파일:득점 아이콘.svg 39’
크리스티안 라페를라 파일:득점 아이콘.svg 83’ 황보관 파일:득점 아이콘.svg 75’
정종수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구상범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감독: 파일:독일 국기.svg 호르스트 히제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이회택

타팀 경기 결과 (2경기) 파일:몰타 국기.svg MLT 1:1 NOR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몰타 친선대회 3경기 종료 후 대회 최종 순위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NOR • 1 3 2 1 1 0 4 3 +1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KOR 파일:상승 아이콘.svg 2 2 2 1 0 1 4 4 0
<rowcolor=#fff> 파일:몰타 국기.svg MLT 파일:하강 아이콘.svg 3 1 2 0 1 1 2 3 -1
}}}}}}}}} ||

[1] 1981년에 개장한 축구 경기장으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보수공사를 했다. 비르키르카라 FC의 홈 경기장으로 쓰인다.[2] 1994년 9월 13일 ~ 10월 24일(1차, 1개월), 1995년 9월 19일 ~ 10월 16일(2차, 1개월), 총합 약 2개월[3] 2017년 7월 6일 ~ 8월 9일(1차, 1개월), 2017년 9월 14일 ~ 10월 15일(2차, 1개월), 총합 약 2개월[4] 다만 같은 소국인 룩셈부르크는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는 3승 5패·A조 4위를 기록하며 탈꼴찌에 성공했고 UEFA 유로 2024 예선에서는 5승 2무 3패·J조 3위로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 진출하며 예전 월드컵 유럽 예선 및 유로 대회 예선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5] 프로시노네 칼초에서 임대.[🏟️] 중립 경기: 0
MLT 홈 경기: 1
KOR 홈 경기: 1
[7]
1골, 크리스티안 라페를라, 후버트 수다
[8]
1골, 백종철, 황보관, 하석주
[UTC+9] [10] 조 1, 2위는 4강 준결승에 진출한다. 2차전 종료 후 인도네시아의 탈락이 확정되었다. 3차전 결과 이집트와 한국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고 몰타가 탈락했다.[UTC+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