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9 12:05:01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별 전적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1. 개요2. 대한민국과 관계
2.1. 대한민국과 전적2.2. 대한민국과 역대 경기결과
3. 국가별 관계 및 전적
3.1. 유럽(UEFA 소속)3.2. 아시아(AFC 소속)3.3. 아프리카(CAF 소속)3.4. 북중미카리브(CONCACAF 소속)3.5. 남미(CONMEBOL 소속)3.6. 오세아니아(OFC 소속)

1. 개요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의 국가별 전적 및 관계를 다룬 문서.

2. 대한민국과 관계

전적 내용을 보면 스페인은 대한민국과 월드컵 맞대결에서 만나서 딱 1번만 이겼으며, 좋은 기억보다는 힘든 기억이 더 많았다.[1]

특이하게 월드컵 본선에서 한국과 세 차례나 경기를 가졌으며, 1990년 3:1 승[2], 1994년 2:2 무[3], 2002년 0:0무(승부차기 3:5 패)[4]로 스페인은 1승 2무와 승부차기전 1패에 그쳤다.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5] 대한민국이 스페인과 첫 대결에서 황보관의 프리킥으로 첫 골 기록과 54년 대회 이후 36년 만에 상대팀에게 해트트릭을 허용하며 스페인에 패했고, 나머지 1994년 미국 월드컵에서[6] 2:2 무승부로 승점 1점을 대한민국에게 넘기고 말았고, 2002년 한일 월드컵[7] 대한민국에게 8강 승부차기 패배 탈락(5등)했다.

한국과의 총 상대전적은 6전 4승 2무[8]절대우세이다.

그 외 기타사항은 클럽매치에서 2004년 대한민국에서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FC 바르셀로나를 1:0으로 이긴 적이 있으며[9], 2012 런던 올림픽에서 스페인이 일본에게 0:1로 패하고 대한민국은 일본을 2:0으로 이기며, 첫 동메달을 차지하는 아이러니한 사건이 일어났다.

2010년 평가전에서 헤수스 나바스의 골로 한국에게 1:0으로 승리했으며, 2012년 평가전에서는 페르난도 토레스, 샤비 알론소, 산티 카솔라, 알바로 네그레도의 골에 힘입어 4:1로 대승했다. 그리고 2016년 6월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평가전에는 4년 전보다 더 큰 6:1의 승리를 얻은 바 있다. 이 세 번의 평가전으로 스페인과 대한민국의 전적은 확 벌어졌다.

또한, 한국이 평가전 및 월드컵에서 스페인과 만났을 때 스페인은 모두 빨간색 유니폼을 입었으며, 한국은 모두 하얀색 유니폼을 입었다. 2022년 하반기 이후 한국이 하얀색 유니폼을 버리면서 만약 2026 FIFA 월드컵(+월드컵 직전 평가전 포함)에서 만난다면 한 쪽이 빨간색 유니폼을 입을 경우 한국이 검은색을 입거나 스페인이 연노랑색[10]을 입을 것이고 둘 다 어웨이 유니폼을 입을 수도 있다.

여자 대표팀대한민국에게 2015년 캐나다 여자 월드컵 본선에서 1:2로 패했다.

2.1. 대한민국과 전적

대한민국과 스페인의 맞대결은 총 4승 2무 0패[11]로 스페인의 우세
파일: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ESP A매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nopad> 6 [🏟️]
<colbgcolor=#000><colcolor=#fff> 4 <nopad> 2 <colbgcolor=#000><colcolor=#fff> 0 [13]
16 득점 (+11) <nopad>
파일:스페인 국기.svg 우세
5 득점 (-11)
미첼 곤살레스(3) 최다득점자 주세종[현역] 등 5명(1)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15]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1)[16]
선수 기록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17]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nopad>
최근경기: 스페인 승 (2016)

2.2. 대한민국과 역대 경기결과

대한민국과 스페인의 역대 맞대결 결과 내용이다.
<nopad> 2016-06-01
<nopad> 1:6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친선경기
일시: 2016년 6월 1일 16:30[UTC+2] 장소: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주심: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하랄드 레흐너[19] 경기장: 레드불 아레나
<colbgcolor=#fff><colcolor=#666> - 1:6
(0:3)
<colbgcolor=#fff><colcolor=#666> 다비드 실바 파일:프리킥골 아이콘.svg 30’[A.모라타F]
세스크 파브레가스 파일:득점 아이콘.svg 32’[A.모라타*]
놀리토 파일:득점 아이콘.svg 38’[S.아스필리쿠에타]
주세종 파일:득점 아이콘.svg 83’[이재성][De] 놀리토 파일:득점 아이콘.svg 54’[T.알칸타라][2G]
알바로 모라타 파일:득점 아이콘.svg 50’[H.베예린], 89’[28][2G]
감독: 파일:독일 국기.svg 울리 슈틸리케 감독: 파일:스페인 국기.svg 비센테 델 보스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SBS]
}}}}}}}}} ||
<nopad> 2012-05-30
<nopad> 1:4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친선경기
일시: 2012년 5월 30일 20:00[UTC+1] 장소: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베른
주심: 파일:스위스 국기.svg 알랭 비에리 경기장: 슈타디온 방크도르프
<colbgcolor=#fff><colcolor=#666> 김두현 파일:득점 아이콘.svg 42’ 1:4
(1:1)
<colbgcolor=#fff><colcolor=#666> 페르난도 토레스 파일:득점 아이콘.svg 11’[D.실바]
조용형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2’[N.몬레알P] 샤비 알론소 파일:페널티골 아이콘.svg 51’[N.몬레알P]
산티 카솔라 파일:프리킥골 아이콘.svg 55’[N.몬레알F]
알바로 네그레도 파일:득점 아이콘.svg 79’[R.솔다도]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강희 감독: 파일:스페인 국기.svg 비센테 델 보스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KBS]
}}}}}}}}} ||
<nopad> 2010-06-03
<nopad> 0:1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친선경기 | 2010 FIFA 월드컵 직전 최종 평가전
일시: 2010년 6월 3일 18:00[UTC+2] 장소: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주심: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로버트 쇼르겐호퍼[41] 경기장: 티볼리 슈타디온 티롤
<colbgcolor=#fff><colcolor=#666> - 0:1
(0:0)
<colbgcolor=#fff><colcolor=#666> -
- 헤수스 나바스 파일:득점 아이콘.svg 85’[R.알비올]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정무 감독: 파일:스페인 국기.svg 비센테 델 보스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KBS]
}}}}}}}}} ||
<nopad> 2002-06-22
<nopad> 0:0
[A.E.T.]
5 [PSO] 3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2 월드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8강 준준결승전
일시: 2002년 6월 22일 15:30[UTC+9] 👁️‍🗨️ [48]
👣 [49]
장소: [[대한민국|{{{#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주심: 파일:이집트 국기.svg 가말 알간두르 경기장: 광주월드컵경기장
<colbgcolor=#fff><colcolor=#997000> 김남일 파일:부상 아이콘.svg 32’ 0:0
5 PK 3
<colbgcolor=#fff><colcolor=#997000> -
유상철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2’ 하비에르 데페드로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3’
-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111’
선축 / 파일:골키퍼 아이콘.svg 이운재
황선홍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박지성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설기현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안정환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홍명보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후축 / 파일:골키퍼 아이콘.svg 이케르 카시야스
페르난도 이에로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루벤 바라하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사비 에르난데스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호아킨 산체스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선방]
감독: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거스 히딩크
[PK승]
감독: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SBS]
}}}}}}}}} ||
<nopad> 1994-06-17
<nopad> 2:2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4 월드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1994 FIFA 월드컵 미국 로고.svg 1994 FIFA 월드컵 미국 24강 조별리그 C조 1차전
일시: 1994년 6월 17일 18:30[UTC-6] 👁️‍🗨️ [55] 장소: [[미국|{{{#fff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댈러스
주심: 파일:덴마크 국기.svg 페테르 미켈센[56] 경기장: 코튼 볼
<colbgcolor=#fff><colcolor=#997000> 김주성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37’ 2:2
(0:0)
<colbgcolor=#fff><colcolor=#997000> 루이스 엔리케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24’
미겔 앙헬 나달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25’[57]
최영일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61’
홍명보 파일:프리킥골 아이콘.svg 85’[하석주F]
서정원 파일:득점 아이콘.svg 90’[홍명보]
훌리오 살리나스 파일:득점 아이콘.svg 51’[J.고이코에체아]
혼 안도니 고이코에체아 파일:득점 아이콘.svg 55’[J.카미네로]
호세 루이스 카미네로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3’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 호 감독: 파일:스페인 국기.svg 하비에르 클레멘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SBS]

C조 타팀 결과 파일:독일 국기.svg GER 1:0 BOL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조별리그 1차전 종료 후 C조 순위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독일 국기.svg GER 1 3 1 1 0 0 1 0 +1
<rowcolor=#fff> 파일:스페인 국기.svg ESP 2 1 1 0 1 0 2 2 0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KOR = 1 1 0 1 0 2 2 0
<rowcolor=#fff>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BOL 4 0 1 0 0 1 0 1 -1
}}}}}}}}} ||
<nopad> 1990-06-17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nopad> 1:3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0 월드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로고.svg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24강 조별리그 E조 2차전
일시: 1990년 6월 17일 21:00[UTC+1] 👁️‍🗨️ [65] 장소: [[이탈리아|{{{#fff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우디네
주심: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엘리아스 하코메[66] 경기장: 스타디오 프리울리
<colbgcolor=#fff><colcolor=#997000> 정해원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39’
황보관 파일:득점 아이콘.svg 43’[최순호:]
1:3
(1:1)
<colbgcolor=#fff><colcolor=#997000> 미첼 곤살레스 파일:득점 아이콘.svg 23’[F.비야로야]
윤덕여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2’
황보관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69’
미첼 곤살레스 파일:프리킥골 아이콘.svg 61’ 파일:득점 아이콘.svg 81’[R.페르난데스][3G]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회택 감독: 파일:스페인 국기.svg 루이스 수아레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G]

E조 타팀 결과 파일:벨기에 국기.svg BEL 3:1 URU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E조 순위[72]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벨기에 국기.svg BEL • 1 4 2 2 0 0 5 1 +4
<rowcolor=#fff> 파일:스페인 국기.svg ESP • 2 3 2 1 1 0 3 1 +2
<rowcolor=#ff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URU 파일:하강 아이콘.svg 3 1 2 0 1 1 1 3 -2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KOR 4 0 2 0 0 2 1 5 -4
}}}}}}}}} ||

3. 국가별 관계 및 전적

2025.03.24. 기준 (최근경기: vs 네덜란드 3:3 무, PSO 승)

3.1. 유럽(UEFA 소속)

지역 라이벌팀
[ 스페인 · 포르투갈 라이벌 관계 ]
일명 이베리아 반도 더비로 잘 알려져 있다. 지리적 여건상, 오랜 역사를 공유하는데 대항해시대 식민지 개척의 라이벌이었던 것은 가장 유명한 이야기이다. 이후 포르투갈은 펠리페 2세 시기 스페인에 병합되었다가 포르투갈 독립 전쟁을 통해 다시 주권을 되찾는다. 이후 이베리아 반도에서 서로 교류하며 가까우면서도 역사적인 일들로 인해 먼 나라가 되었다. 축구에서 잦은 충돌로 이어지는 이들의 라이벌 의식은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 기반을 둔다.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40 17 17 6 77 45 +32

라이벌팀
[ 스페인 · 이탈리아 라이벌 관계 ]
일명 지중해 더비로 불린다. 이들의 첫 경기는 월드컵도 있기 전인 1920년 앤트워프 올림픽에서 맞붙은 것으로 스페인이 2-0으로 승리했다. 그 이후 이탈리아는 각종 메이저 대회에서 최강의 팀 중 하나로 발돋움하며 성장한 반면 스페인은 번번히 메이저 대회 실패를 경험한다. 그럼에도 이탈리아는 스페인 상대로 쉽게 우세를 가져가진 못했고 10여년을 주기로 승, 패를 번갈아가며 주고 받았다.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41 14 16 11 46 46 0

월드컵 우승팀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28 11 4 13 34 46 -12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37 17 7 13 66 40 +26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73] 27 9 9 9 34 32 +2
<rowcolor=#ffffff>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독일][단독] 12 5 5 2 18 11 +7
<rowcolor=#666666> 파일:독일 국기.svg 서독[독일] 12 3 3 6 12 17 -5
<rowcolor=#666666>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독일] 3 1 1 1 4 4 0
<rowcolor=#666666>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해체] 3 0 2 1 0 1 -1

그 외 유럽팀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9 9 0 0 32 3 +29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2 2 0 0 9 0 +9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6 6 0 0 16 1 +1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16 9 3 4 43 22 +21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1 1 0 0 6 0 +6
<rowcolor=#ffffff>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4 4 0 0 10 1 +9
<rowcolor=#ffffff>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23 12 6 5 46 22 +24
<rowcolor=#ffffff>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8 6 2 0 18 7 +11
<rowcolor=#ffffff>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5 4 1 0 23 2 +21
<rowcolor=#ffffff>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12 6 3 3 30 12 +18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10 9 0 1 44 6 +38
<rowcolor=#ffffff>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79] 19 9 3 7 21 18 +3
<rowcolor=#ffffff>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체코][단독] 7 5 2 0 10 3 +7
<rowcolor=#666666>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체코] 12 4 1 7 11 15 -4
<rowcolor=#666666> 파일:폴란드 국기.svg 보헤미아[체코]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19 14 3 2 37 16 +21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2 2 0 0 6 0 +6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4 4 0 0 17 4 +13
<rowcolor=#ffffff>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8 5 2 1 16 5 +11
<rowcolor=#ffffff>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8 7 0 1 23 5 +18
<rowcolor=#ffffff> 파일:지브롤터 기.svg 지브롤터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12 8 3 1 21 11 +10
<rowcolor=#ffffff>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13 5 5 3 21 18 +3
<rowcolor=#ffffff>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10 7 2 1 15 6 +9
<rowcolor=#ffffff>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6 5 1 0 13 3 +10
<rowcolor=#ffffff>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A매치 전적없음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2 2 0 0 5 1 +4
<rowcolor=#ffffff>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4 3 1 0 9 0 +9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8 8 0 0 39 0 +9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7 6 1 0 18 2 +16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6 6 0 0 15 0 +15
<rowcolor=#ffffff>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8 8 0 0 37 3 +34
<rowcolor=#ffffff>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A매치 전적없음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15 5 4 6 23 24 -1
<rowcolor=#ffffff>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7 7 0 0 20 4 +16
<rowcolor=#ffffff>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84] 19 12 5 2 43 12 +31
<rowcolor=#ffffff>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북아일랜드][단독] 19 12 5 2 43 12 +31
<rowcolor=#666666> 파일:성 패트릭.svg 아일랜드(IFA)[북아일랜드]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10 7 2 1 16 4 +15
<rowcolor=#ffffff>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11 8 2 1 28 9 +1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88] 26 15 7 4 54 18 +3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아일랜드][단독] 24 14 6 4 48 17 +31
<rowcolor=#66666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자유국[아일랜드] 2 1 1 0 6 1 +5
<rowcolor=#ffffff>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18 7 6 5 28 19 +9
<rowcolor=#ffffff>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92] 12 6 5 1 19 9 +10
<rowcolor=#ffffff>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러시아][단독] 7 4 3 0 13 5 +8
<rowcolor=#666666> 파일:독립국가연합 기.png 독립국가연합[러시아] 1 0 1 0 1 1 0
<rowcolor=#666666>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러시아] 4 2 1 1 5 3 +2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4 4 0 0 26 0 +26
<rowcolor=#ffffff>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15 7 4 4 25 22 +3
<rowcolor=#fffff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97] 24 11 8 5 29 19 +10
<rowcolor=#fffff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세르비아][단독] 2 0 2 0 1 1 0
<rowcolor=#666666>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세르비아] 1 1 0 0 6 0 +6
<rowcolor=#666666>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FR[세르비아] 3 2 1 0 7 4 +3
<rowcolor=#666666>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 16 7 4 5 16 14 +2
<rowcolor=#ffffff>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7 5 1 1 20 6 +14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2 2 0 0 5 2 +3
<rowcolor=#ffffff>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8 8 6 4 27 18 +9
<rowcolor=#ffffff>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27 19 6 2 58 24 +34
<rowcolor=#fffff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11 6 4 1 17 5 +12
<rowcolor=#ffffff>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7 5 1 1 14 4 +10
<rowcolor=#ffffff>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6 3 2 1 11 7 +4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3.2. 아시아(AFC 소속)

아시아 강호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 1 0 0 3 0 +3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1 1 0 0 1 0 +1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 1 0 1 2 2 0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3 3 0 0 9 2 +7

그 외 아시아팀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 2 0 0 4 0 +4
<rowcolor=#ffffff>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괌 기.svg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1 1 0 0 1 0 +1
<rowcolor=#ffffff>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1 1 0 0 3 1 +2
<rowcolor=#ffffff>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북마리아나 제도[nFIFA]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112]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베트남][단독]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666666>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베트남][nFIFA][117]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666666>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베트남][해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120]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예멘][단독]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666666> 파일:북예멘 국기.svg 북예멘[예멘]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666666> 파일:남예멘 국기.svg 남예멘[해체] A매치 전적없음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3.3. 아프리카(CAF 소속)

지역 라이벌팀
[ 스페인 · 모로코 라이벌 관계 ]
스페인과 모로코는 지리적 구분상 대륙은 다르지만 지브롤터 해협을 두고 마주보고 있다. 또한 세우타멜리야는 스페인령이지만, 모로코 본토에 붙어있다. 이러한 탓에 두 나라는 역사적, 문화적으로 많은 부분에서 엮여 있다. 특히 중세 우마이야 제국 시절에는 이슬람 문화권으로 한 나라를 형성했을 정도다. 하지만 이들의 라이벌 의식을 고취시키는 이유는 바로 19세기 스페인의 모로코에 대한 식민지 진출과 리프 전쟁 등 북아프리카에서 벌였던 역사적 문제들 때문이다. 이러한 분쟁은 현대에도 스페인령 모로코, 서사하라 등의 영토 분쟁을 낳았고 이는 두 나라 극우 및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현재도 진행되고 있는 정치적, 외교적 문제이다.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4 2 2 0 6 4 +2

아프리카 강호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2 1 0 1 5 3 +2

그 외 아프리카팀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1 1 0 0 3 0 +3
<rowcolor=#ffffff>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공화국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1 1 0 0 2 0 +2
<rowcolor=#ffffff>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1 1 0 0 2 1 +1
<rowcolor=#ffffff>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티와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1 1 0 0 3 2 +1
<rowcolor=#ffffff>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레위니옹 기(기학 협회 제안).svg 레위니옹[nFIFA]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4 3 0 1 8 5 +3
<rowcolor=#ffffff>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2 2 0 0 4 1 +3
<rowcolor=#ffffff>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잔지바르 국기.svg 잔지바르[nFIFA]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A매치 전적없음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3.4. 북중미카리브(CONCACAF 소속)

북중미카리브 강호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8 5 3 0 16 4 +12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5 4 0 1 10 3 +7

그 외 북중미카리브팀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앵귈라 기.svg 앵귈라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아루바 기.svg 아루바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버뮤다 기.svg 버뮤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보네르 기.svg 보네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영국령 버진아일랜드 기.svg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2 2 0 0 4 1 +3
<rowcolor=#ffffff> 파일:케이맨 제도 기.svg 케이맨 제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4 3 1 0 16 3 +13
<rowcolor=#ffffff>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퀴라소 기.svg 퀴라소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1 1 0 0 2 0 +2
<rowcolor=#ffffff> 파일:프랑스령 기아나 기.svg 프랑스령 기아나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과들루프 기.svg 과들루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1 1 0 0 2 1 +1
<rowcolor=#ffffff>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2 1 1 0 3 1 +2
<rowcolor=#ffffff>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마르티니크 국기.svg 마르티니크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몬트세랫 기.svg 몬트세랫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1 1 0 0 5 1 +4
<rowcolor=#ffffff>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1 1 0 0 2 1 +1
<rowcolor=#ffffff>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생마르탱 비공식 기.svg 생마르탱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신트마르턴 기.svg 신트마르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기.svg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미국령 버진아일랜드 기.svg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A매치 전적없음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3.5. 남미(CONMEBOL 소속)

월드컵 우승팀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14 6 2 6 19 18 +1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10 2 3 5 11 17 -6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10 5 5 0 16 8 +8

그 외 남미팀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2 2 0 0 5 1 +4
<rowcolor=#ffffff>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11 8 2 1 25 10 +15
<rowcolor=#ffffff>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4 1 2 1 4 4 0
<rowcolor=#ffffff>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2 2 0 0 6 0 +6
<rowcolor=#ffffff>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3 3 0 0 7 3 +4
<rowcolor=#ffffff>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3 3 0 0 7 3 +4
<rowcolor=#ffffff>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4 4 0 0 13 2 +11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3.6. 오세아니아(OFC 소속)

오세아니아 강호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1 1 0 0 5 0 +5

그 외 오세아니아팀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미국령 사모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nFIFA]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뉴벨칼레도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퓨아뉴기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타히티 1 1 0 0 10 0 +10
<rowcolor=#ffffff>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nFIFA]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A매치 전적없음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1] 라이벌 국가인 일본은 의외로 스페인과의 전적이 1승 1패로 백중세다. 저 1승도 최근의 카타르 월드컵 32강 조별리그에서 얻은 성적이다.[2] 월드컵에서 아시아팀에게 최초로 실점한 경기[3] 월드컵에서 아시아팀에게 최초로 승점을 허용한 경기[4] 아시아팀에게 최초로 탈락 당한 경기였으며, 8강 준준결승전에서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한국이 스페인에게 승리로 탈락시키고 4강에 올랐다.[5] 24강 조별리그[6] 24강 조별리그[7] 8강 준준결승전[8] 무승부 후 승부차기전 포함 시 4승 2무 1패[9] 1년 후 첼시는 수원에서 수원삼성을 1:0으로 이겼다. 그리고 최근 클럽매치인 2023년 7월 27일 대한민국에서 팀K리그가 AT마드리드를 3:2로 또 다시 스페인팀에게 승리하였다.[10] UEFA 유로 2024 기준[11] 무승부 후 승부차기전 포함시 총 4승 2무 1패[🏟️] 중립 경기: 5
ESP 홈 경기: 0
KOR 홈 경기: 1
[13] 무승부 후 승부차기전 포함 시 1승[현역] [15]
3골, 미첼 곤살레스
2골, 놀리토, 알바로 모라타
[16]
1호, 미겔 앙헬 나달(1994)
[17]
1골, 황보관, 홍명보, 서정원, 김두현, 주세종
[UTC+2] [19] Harald Lechner[A.모라타F] 알바로 모라타 프리킥 유도[A.모라타*] 알바로 모라타 도움, 장현수의 헤더 백패스를 김진현 골키퍼가 어처구니 없는 실책으로 공을 놓쳤고 모라타와 경합과정에서 파브레가스에게 볼이 넘어간 후 빈 골문에 그대로 밀어넣었다.[S.아스필리쿠에타] 세자르 아스필리쿠에타 도움[이재성] 이재성 도움[De] [T.알칸타라] 티아고 알칸타라 도움[2G] [H.베예린] 엑토르 베예린 도움[28] 아리츠 아두리스의 킬패스를 김진현 골키퍼와 모라타가 경합했으나 결국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며 실책을 저지른 가운데 모라타가 빈 골문에 그대로 득점에 성공한다.[2G] [F] [SBS] [UTC+1] [D.실바] 다비드 실바 도움[N.몬레알P] 나초 몬레알의 슛이 조용형의 팔에 맞으며 핸드볼 선언이 되었다. 페널티킥은 당연하지만 가까운 거리에서 강슛을 고의적으로 막았다고 보여지지 않음에도 경고를 준 것은 아쉬운 판정이라는 의견이 있다. 여담으로 등번호 3번은 나초 몬레알이 달았는데 KFA 기록에는 베냐트 에체바리아가 기재되어 있다. 명백한 오기이다.[N.몬레알P] [N.몬레알F] 나초 몬레알의 프리킥 유도, 앞선 페널티킥 상황과 비슷하게 슈팅이 앞에 있던 김두현의 팔에 맞았다.[R.솔다도] 로베르토 솔다도 도움[F] [KBS] [UTC+2] [41] Robert Schorgenhofer[R.알비올] 라울 알비올 도움[F] [KBS] [A.E.T.] [PSO] [UTC+9] [48] 두 팀의 상대전적: 총 2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 0승 | 1무 | 1승 | ESP 파일:스페인 국기.svg
최근 경기: 무승부(1994/미국, 댈러스)
KOR 2:2 ESP(1994 FIFA 월드컵 24강 조별리그)
[49] 두 팀의 대회 여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D조 1위(2:0 파일:폴란드 국기.svg POL | 1:1 파일:미국 국기.svg USA | 1: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POR)
16강(2:1ASDET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ITA)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B조 1위(3:1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SVN | 3:1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PAR | 3: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RSA)
16강(1:1P 3: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IRL)
[선방] [PK승] 승부차기 승[H] [SBS] [UTC-6] [55] 두 팀의 상대전적: 총 1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 0승 | 0무 | 1승 | ESP 파일:스페인 국기.svg
최근 경기: 스페인 승리(1990/이탈리아, 우디네)
KOR 1:3 ESP(1990 FIFA 월드컵 조별리그)
[56] Peter Mikkelsen[57] 홍명보의 로빙쓰루패스를 받으려던 고정운을 고의적으로 뒤에서 밀쳐 퇴장당했다.[하석주F] 하석주가 얻어낸 프리킥[홍명보] 홍명보 도움[J.고이코에체아] 혼 안도니 고이코에체아 도움[J.카미네로] 호세 루이스 카미네로 도움[H] [SBS] [UTC+1] [65] 두 팀의 상대전적: 없음(사상 첫 경기)[66] Elías Jácome[최순호:] 프리킥 상황에서 최순호 선수가 살짝 밀어준 공을 대포알 슛으로 득점에 성공했다. 따라서 최순호의 도움이고 정확하게는 직접 프리킥 득점은 아니다.[F.비야로야] 프란시스코 비야로야 도움[R.페르난데스] 로베르토 페르난데스 보니요 도움[3G] [G] [72] 이 당시는 승리 승점이 2점이었다. 벨기에는 최소 조 2위를 확보하며 16강 직행을 결정지었으며, 스페인 역시 와일드카드 경쟁이 가능한 조 3위를 최소한 확정지었다.[73] 나치 독일(1935-1942), 서독(1945-1990) 기록 계승[독일] [단독] [독일] [독일] [해체] [79] 보헤미아(1903-1919), 체코슬로바키아(1919-1993) 기록 계승[체코] [단독] [체코] [체코] [84] 아일랜드(1882-1950) 기록 계승[북아일랜드] [단독] [북아일랜드] [88] 아일랜드 자유국(1922-1937) 기록 계승[아일랜드] [단독] [아일랜드] [92] 소련(1924-1991), 독립국가연합(1992) 기록 계승[러시아] [단독] [러시아] [러시아] [97]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1930-1992),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1992-2003), 세르비아 몬테네그로(2003-2006) 기록 계승[세르비아] [단독] [세르비아] [세르비아] [세르비아] [103] 월드컵: 6회 진출(AFC소속 역대 3위), 최고성적 11위(16강)[104] AFC 아시안컵: 1회 우승[105] 월드컵: 6회 진출(AFC소속 역대 3위), 최고성적 14위(16강 조별리그(1978))[106] AFC 아시안컵: 3회 우승(2위)[107] 월드컵: 7회 진출(AFC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9위 3회(16강)[108] AFC 아시안컵: 4회 우승(1위)[109] 월드컵: 6회 진출(AFC소속 역대 3위), 최고성적 12위(16강(1994))[110] AFC 아시안컵: 3회 우승(2위)[nFIFA] FIFA미가입(Non-FIFA)[112] 남베트남(1949-1975) 기록 계승(특이하게 통일은 북베트남이 성공시켰지만 FIFA 미가입국이었던 북베트남 대신 FIFA 가입국이던 남베트남의 기록을 계승했다.)[베트남] [단독] [베트남] [nFIFA] FIFA미가입(Non-FIFA)[117] 기록은 계승하지 않았다.[베트남] [해체] [120] 북예멘(1966-1990) 기록 계승[예멘] [단독] [예멘] [해체] [125] 월드컵: 6회 진출(CAF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4위(2022)[12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회 우승[127] 월드컵: 8회 진출(CAF소속 역대 1위), 최고성적 7위(8강, 1990)[12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5회 우승(2위)[129] 월드컵: 4회 진출(CAF소속 역대 4위), 최고성적 7위(8강, 2010)[13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4회 우승(3위)[131] 월드컵: 6회 진출(CAF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9위(16강, 1994)[13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회 우승(4위)[nFIFA] FIFA미가입(Non-FIFA)[nFIFA] FIFA미가입(Non-FIFA)[135] 월드컵: 18회 진출(CONCACAF소속 역대 1위), 최고성적 6위(8강, 1970·1986)[136] CONCACAF 골드컵: 11회 우승(1위)[137] 월드컵: 12회 진출(CONCACAF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3위(1930)[138] CONCACAF 골드컵: 7회 우승(2위)[139] 월드컵: 2회 진출(OFC소속 역대 1위),
최고성적 22위(32강 조별리그(2010)
23위(24강 조별리그(1982))
[140] OFC 네이션스컵: 6회 우승(1위)[nFIFA] FIFA미가입(Non-FIFA)[nFIFA] FIFA미가입(Non-FI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