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
| | | |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
| |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
| | | | |
레위니옹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
| | | | |
말라위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
| | | |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
| | | | |
부르키나파소 | 부룬디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
| | | | |
세이셸 | 소말리아 | 수단 | 시에라리온 | |
| | | |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
| | | |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잔지바르 | |
| | | |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
| | | |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
| | | |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
| | | | |
콩고 민주 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 남부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 | | | | |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공화국 | 레소토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
| | | | | | | |
보츠와나 | 세이셸 | 에스와티니 | 앙골라 | 잠비아 | 짐바브웨 | 코모로 |
| |
나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
Namibia national football team | |
정식명칭 | Namibia national football team[1] |
FIFA 코드 | NAM |
FIFA 랭킹 | 108위[2] |
Elo 랭킹 | 121위[3] |
협회 | 나미비아 축구 협회 (NFA) |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
지역연맹 | 남아프리카 축구 연맹 (COSAFA) |
감독 | |
주장 | 피터 샬륄레 (Peter Shalulile) |
최다출전자 | 덴질 하오셉 (Denzil Haoseb) - 83경기 |
최다득점자 | 피터 샬륄레 (Peter Shalulile) - 16골 |
홈 구장 | 인디펜던스 스타디움 (Independence Stadium, 25,000석)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VS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VS |
별칭 | Brave Warriors (용맹한 전사) |
네이션스컵 | 출전 4회, 16강 (2023) |
<rowcolor=#FFFFFF>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서드 |
<colcolor=#C8AB37> 상의 | 보라 | 하양 | 빨강 |
하의 | 보라 | 하양 | 빨강 |
양말 | 보라 | 하양 | 빨강 |
1. 개요
나미비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홈 구장은 인디펜던스 스타디움이며 감독은 콜린 벤저민이다. 용감한 전사들(Brave Warriors)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68위(1998년 11월 18일), 최저 순위는 167위(2006년 7월 12일)이다.
2. 상세
아직까지 월드컵 본선에 출전한 기록은 없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4회 본선에 진출하여 이전 3번의 대회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2023년 대회에서 201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이후 6년만의 CAF 주관 대회 토너먼트 진출이자 사상 첫 메이저 대회 토너먼트 진출이라는 새 역사를 썼다.2023년 4월 기준 FIFA 랭킹 106위로 에리트레아와 남수단을 제외하면 아프리카에서 가장 늦게 독립한 것 치고는[4] 꽤 높은 편이다.
주로 잘 하는 선수들은 이웃나라인 남아프리카 공화국 리그에 진출한다.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는 빅리그이기 때문에 나미비아, 잠비아, 짐바브웨 등 국가에서 남아공 리그로 많이 진출하곤 하는데, 나미비아 대표팀의 주축 선수들도 대부분 남아공 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이다. 드물게 라이언 은얌베 선수가 어린 나이에 잉글랜드로 건너가 블랙번 로버스 소속으로 100경기 이상을 소화한 선수로, 2019년부터 대표팀에 합류해 활약하고 있다.
여기도 남아공, 짐바브웨 등 이웃나라와 비슷하게 간혹 백인 축구선수들이 있다. 나미비아 대표팀에서 뛰었던 올리버 리서와 빌코 리서 형제, 나미비아 대표팀에 2012년부터 소집된 공격수이자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의 공격수 만프레트 슈타르케(Manfred Starke) 등이 있다.[5]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푸마로 추정된다.
3. 역대전적
3.1. FIFA 월드컵
<rowcolor=#fff>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남아프리카 연방의 위임통치령 | |||||||||
1930 우루과이 | 독립 이전(남서아프리카 위임통치령) | ||||||||
1934 이탈리아 | |||||||||
1938 프랑스 | |||||||||
1950 브라질 | |||||||||
1954 스위스 | |||||||||
1958 스웨덴 | |||||||||
1962 칠레 | |||||||||
1966 잉글랜드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점령기 | |||||||||
1970 멕시코 | 독립 이전(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일부) | ||||||||
1974 서독 | |||||||||
1978 아르헨티나 | |||||||||
1982 스페인 | |||||||||
1986 멕시코 | |||||||||
1990 이탈리아 | |||||||||
※ 나미비아 공화국 | |||||||||
1994 미국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1998 프랑스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02 한국/일본 | |||||||||
2006 독일 | |||||||||
2010 남아공 | |||||||||
2014 브라질 | |||||||||
2018 러시아 | |||||||||
2022 카타르 | |||||||||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 | ? | ? | ? | ? | ? | ? | ? | ? |
2030 스페이/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 | ? | ? | ? | ? |
2034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3.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33위<rowcolor=#fff>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남아프리카 연방의 위임통치령 | |||||||||
1957 수단 공화국 | 독립 이전(남서아프리카 위임통치령) | ||||||||
1959 아랍 연합 공화국 | |||||||||
1962 에티오피아 | |||||||||
1963 가나 | |||||||||
1965 튀니지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점령기 | |||||||||
1968 에티오피아 | 독립 이전(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일부) | ||||||||
1970 수단 | |||||||||
1972 카메룬 | |||||||||
1974 이집트 | |||||||||
1976 에티오피아 | |||||||||
1978 가나 | |||||||||
1980 나이지리아 | |||||||||
1982 리비아 | |||||||||
1984 코트디부아르 | |||||||||
1986 이집트 | |||||||||
1988 모로코 | |||||||||
1990 알제리 | |||||||||
※ 나미비아 공화국 | |||||||||
1992 세네갈 | CAF 비회원국 | ||||||||
1994 튀니지 | 불참 | ||||||||
1996 남아공 | 예선 탈락 | ||||||||
1998 부르키나파소 | 조별 라운드 | 15위 | 1 | 3 | 0 | 1 | 2 | 7 | 11 |
2000 가나/나이지리아 | 예선 탈락 | ||||||||
2002 말리 | 예선 탈락 | ||||||||
2004 튀니지 | 예선 탈락 | ||||||||
2006 이집트 | 예선 탈락 | ||||||||
2008 가나 | 조별 라운드 | 14위 | 1 | 3 | 0 | 1 | 2 | 2 | 7 |
2010 앙골라 | 예선 탈락 | ||||||||
2012 가봉/적도 기니 | 예선 탈락 | ||||||||
2013 남아공 | 예선 탈락 | ||||||||
2015 적도 기니 | 예선 탈락 | ||||||||
2017 가봉 | 예선 탈락 | ||||||||
2019 이집트 | 조별 라운드 | 23위 | 0 | 3 | 0 | 0 | 3 | 1 | 6 |
2021 카메룬 | 예선 탈락 | ||||||||
2023 코트디부아르 | 16강 | 15위 | 4 | 1 | 1 | 2 | 1 | 7 | 4 |
2025 모로코 | 예선 탈락 | ||||||||
2027 케냐/탄자니아/우간다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4회 / 16강 1회 | 2 | 9 | 0 | 2 | 7 | 10 | 24 |
[1] 영어[2] 2025년 4월 3일 기준[3] 2025년 3월 31일 기준[4] 불과 30여 년 전인 1990년에 독립했다.[5] 독일인 아버지와 네덜란드인 어머니를 두었지만 어디까지나 나미비아에서 태어난 나미비아인이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