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 bordercolor=#000> | 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가이아나 | 과들루프 | 과테말라 | 그레나다 | |
니카라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마르티니크 | |
멕시코 | 몬트세랫 | 미국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버뮤다 | 벨리즈 | |
보네르 | 생마르탱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신트마르턴 | 아루바 | |
아이티 | 앤티가 바부다 | 앵귈라 | 엘살바도르 |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온두라스 | 자메이카 | 캐나다 | |
케이맨 제도 | 코스타리카 | 쿠바 | 퀴라소 |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푸에르토리코 | |
프랑스령 기아나 |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 ||||
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b4b99> | 카리브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앵귈라 | 도미니카 공화국 | 푸에르토리코 | 앤티가 바부다 | 프랑스령 기아나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아루바 | 그레나다 | |
세인트루시아 | 바하마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바베이도스 | 가이아나 | 과들루프 | 생마르탱 | 버뮤다 | |
보네르 | 아이티 | 신트마르턴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자메이카 | 수리남 | 케이맨 제도 | 마르티니크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쿠바 | 몬트세랫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도미니카 연방 | 퀴라소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 |
가이아나 축구 국가대표팀 | |
Guyana national football team | |
정식명칭 | Guyana national association football team[1] |
FIFA 코드 | GUY |
협회 | 가이아나 축구 연맹 (GFF) |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
지역연맹 | 카리브 축구 연맹 (CFU) |
감독 | [[트리니다드 토바고| ]][[틀:국기| ]][[틀:국기| ]] 자말 샤바즈 (Jamaal Shabazz) |
주장 | 샘 콕스 (Sam Cox) |
최다출전자 | 월터 무어 (Walter Moore) - 77경기 |
최다득점자 | 오마리 글래스고 (Omari Glasgow) - 19골 |
홈 구장 | 프로비던스 스타디움 (Providence Stadium, 15,000석)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트리니다드 토바고 (1:4 패), 영국령 가이아나 (1905년 7월 21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앵귈라 (20:0 승), 앤티가 바부다 세인트존스 (1998년 4월 16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멕시코 (0:9 패), 미국 (1987년 12월 2일) |
별칭 | Golden Jaguars (황금 재규어) |
FIFA 랭킹 | 154위[2] |
Elo 랭킹 | 153위[3] |
유니폼 | 홈 | 어웨이 |
상의 | 노랑 | 초록 |
하의 | 노랑 | 초록 |
양말 | 노랑 | 초록 |
[clearfix]
1. 개요
홈구장은 프로비던스 경기장이며 감독은 자말 샤바즈다. 황금 재규어(Golden Jaguars)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86위(2010년 11월 17일), 최저 순위는 185위(2004년 2월 18일)이다.
2. 상세
아직까지 월드컵은 출전한 기록은 없다. 골드컵은 2019년에 첫 출전하였다.기아나 지역 3국(가이아나, 수리남, 프랑스령 기아나)은 남미의 다른 지역과 축구 수준, 문화, 언어 차이(언어 지도 참조)로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에 소속되어 있다.
북중미에서도 별다른 족적은 보이지 못하다가 이중국적 선수들 합류로 재미를 좀 보는 중. 옆동네 수리남보다 일찍 귀화선수를 받아들이기 시작했고, 2019년 골드컵 본선진출에 첫 성공하는 등 북중미 내에서는 효과가 슬슬 나오고 있다.
수리남이 네덜란드계 선수들을 많이 받아들였다면 여기는 영국계 선수들이 많다. 풀럼 출신이자 잉글랜드 청대 출신 매튜 브릭스, 크리스탈 팰리스, 레스터 시티 FC, 볼턴 원더러스등을 거친 노장 미드필더 닐 댄스, 역시 잉글랜드 청대 출신 공격수 캘럼 해리엇 등이 가이아나를 선택했고, 필라델피아 유니언에서 뛰는 미국 출신의 워렌 크레발, 그르노블 푸트 38의 네덜란드계 공격수 테렐 온단도 최근 합류했다. 노장 선수들뿐 아니라 헐 시티의 엘리엇 본즈, 왓포드의 베일리스펜서 애덤스처럼 2000년대생 유망주도 일찌감치 가이아나 대표팀에 합류하며 세대간의 균형도 나름 맞췄다. 옆 나라 수리남만큼은 아니지만 여기도 은근히 숨은 가이아나계 유망주들이 해외에 많이 포진해있으며, 이들이 주축이 된 2019 CONCACAF 골드컵 본선에선 3차전 트리니다드 토바고와의 경기에서 1대1 무승부로 첫 승점까지 따냈다.
2014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한 수 위라고 평가된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1승 1패를 거머쥐었고 버뮤다에겐 1승 1무를 거둔 덕[4]으로 조 1위로 3차예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단, 3차예선 상대가 멕시코,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결국 예상대로 3차예선에서 코스타리카와 멕시코는 물론 엘살바도르 조차 넘지못하고 1무 5패로 꼴찌를 기록했다. 2018 월드컵 지역예선에선 2차예선에서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과 2차례 난타전 끝에 2-2, 4-4로 2무승부, 원정 다득점에서 밀려 일찌감치 떨어졌다. 귀화선수들을 보강해 야심차게 출발한 2022 월드컵 1차예선에서도 트리니다드토바고에게 0-3으로 지며 서전을 불안하게 장식했다.
2021년 2월 기준 FIFA 랭킹은 167위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Admiral이라는 브랜드이다.
3. 역대전적
3.1. FIFA 월드컵
<rowcolor=#fff>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영국령 기아나 | |||||||||
1930년 우루과이 | FIFA 비회원국 | ||||||||
1934년 이탈리아 | |||||||||
1938년 프랑스 | |||||||||
1950년 브라질 | |||||||||
1954년 스위스 | |||||||||
1958년 스웨덴 | |||||||||
1962년 칠레 | |||||||||
※ 가이아나 | |||||||||
1966년 잉글랜드 | FIFA 비회원국 | ||||||||
※ 가이아나 협동 공화국 | |||||||||
1970년 멕시코 | 불참 | ||||||||
1974년 서독 | |||||||||
1978년 아르헨티나 | 예선 탈락 | ||||||||
1982년 스페인 | |||||||||
1986년 멕시코 | |||||||||
1990년 이탈리아 | |||||||||
1994년 미국 | |||||||||
1998년 프랑스 | |||||||||
2002년 한일 | 출전 금지 | ||||||||
2006년 독일 | 예선 탈락 | ||||||||
2010년 남아공 | |||||||||
2014년 브라질 | |||||||||
2018년 러시아 | |||||||||
2022년 카타르 | |||||||||
2026년 북미 | ? | ? | ? | ? | ? | ? | ? | ? | ? |
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2034년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3.2. 골드컵
<rowcolor=#fff>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CONCACAF 선수권 대회 | |||||||||
※ 영국령 기아나 | |||||||||
엘살바도르 1963 | CONCACAF 비회원국 | ||||||||
과테말라 1965 | |||||||||
※ 가이아나 | |||||||||
온두라스 1967 | CONCACAF 비회원국 | ||||||||
코스타리카 1969 | |||||||||
※ 가이아나 협동 공화국 | |||||||||
트리니다드 토바고 1971 | 예선 탈락 | ||||||||
아이티 1973 | 불참 | ||||||||
멕시코 1977 | 예선 탈락 | ||||||||
온두라스 1981 | |||||||||
개최국 없음 1985 | |||||||||
개최국 없음 1989 | |||||||||
CONCACAF 골드컵 | |||||||||
미국 1991 | 예선 탈락 | ||||||||
미국/멕시코 1993 | |||||||||
미국 1996 | |||||||||
미국 1998 | 불참 | ||||||||
미국 2000 | 예선 탈락 | ||||||||
미국 2002 | |||||||||
미국/멕시코 2003 | |||||||||
미국 2005 | 기권 | ||||||||
미국 2007 | 예선 탈락 | ||||||||
미국 2009 | |||||||||
미국 2011 | |||||||||
미국 2013 | |||||||||
미국/캐나다 2015 | |||||||||
미국 2017 | |||||||||
미국/자메이카/코스타리카 2019 | 조별리그 | 13위 | 1 | 3 | 0 | 1 | 2 | 3 | 9 |
미국 2021 | 예선 탈락 | ||||||||
미국/캐나다 2023 | |||||||||
미국/캐나다 2025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1회 | 1 | 3 | 0 | 1 | 2 | 3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