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1991 미국 | 1993 미국/멕시코 | 1996 미국 | 1998 미국 | 2000 미국 |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2002 미국 | 2003 미국/멕시코 | 2005 미국 | 2007 미국 | 2009 미국 |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2011 미국 | 2013 미국 | 2015 미국/캐나다 | 2017 미국 | 2019 미국/코스타리카/자메이카 |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2021 미국 | 2023 미국/캐나다 | 2025 미국/캐나다 | |||
같이 보기: 역대 UEFA 유로, 역대 AFC 아시안컵, 역대 코파 아메리카, 역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CONCACAF 골드컵, 역대 OFC 네이션스컵 | }}}}}}}}}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tablebordercolor=#b08840> ![파일:CONCACAF Gold Cup.png]()
2025 CONCACAF 골드컵 ||
2025 CONCACAF 골드컵 ||
<colbgcolor=#e3e3d8> 대회 이전 | 예선 · 참가팀 정보 | |||
조별 리그 | A조 | B조 | C조 | D조 |
결선 토너먼트 | 8강 | 준결승 | 결승 |
2025 CONCACAF 골드컵 | ||
2025 CONCACAF Gold Cup Copa Oro CONCACAF 2025 | ||
| ||
<colbgcolor=#eef5ff,#001433><colcolor=#BD9A5F> 대회 기간 | 2025년 6월 15일 ~ 7월 7일(한국시간 기준) | |
개최국 | | |
본선 진출팀 | 16개팀 | |
대회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대회 결과 | ||
골든 볼 | | |
골든 부트 | | |
골든 글러브 | | |
베스트 영플레이어 | | |
연표 | ||
2023 골드컵 미국·캐나다 | 2025 골드컵 미국·캐나다 | 2027 골드컵 미국·캐나다 |
1. 개요
2025 CONCACAF 골드컵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18번째로 개최되는 대륙컵 축구 대회이다.2025년 6월 14일에 개막하여 7월 6일에 결승전이 치러진다.
2. 지역 예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예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예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본선 진출국
국가명 | 진출 자격 | 진출 자격 획득일 | 진출 횟수 | 최근 진출 | 최고 성적 | FIFA 랭킹[1] | |
| 미국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A 결선 토너먼트 4강 / 개최국 | 2024년 11월 18일 | 18회 | 2023 | <colcolor=#000> 우승 [USA] | 16위 |
| 파나마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A 결선 토너먼트 4강 | 2024년 11월 18일 | 12회 | 2023 | 준우승 [PAN] | 33위 |
| 캐나다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A 결선 토너먼트 4강 / 개최국 | 2024년 11월 19일 | 17회 | 2023 | 우승 [CAN] | 30위 |
| 멕시코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A 결선 토너먼트 4강 | 2024년 11월 19일 | 18회 | 2023 | 우승 [MEX] | 17위 |
| 엘살바도르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B A조 1위 | 2024년 11월 17일 | 14회 | 2023 | 8강 [SLV] | 81위 |
| 퀴라소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B B조 1위 | 2024년 11월 18일 | 3회 | 2019 | 8강 [CUW] | 90위 |
| 아이티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B C조 1위 | 2024년 11월 15일 | 10회 | 2023 | 4강 [HAI] | 83위 |
| 도미니카 공화국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B D조 1위 | 2024년 11월 19일 | 1회 | 첫 진출 | 139위 | |
| 코스타리카 | 예선 1경기 승리 | 2025년 3월 26일 | 17회 | 2023 | 준우승 [CRC] | 54위 |
| 자메이카 | 예선 2경기 승리 | 2025년 3월 26일 | 14회 | 2023 | 준우승 [JAM] | 63위 |
| 온두라스 | 예선 3경기 승리 | 2025년 3월 26일 | 17회 | 2023 | 준우승 [HON] | 75위 |
| 과테말라 | 예선 4경기 승리 | 2025년 3월 26일 | 13회 | 2023 | 4강 [GUA] | 106위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예선 5경기 승리 | 2025년 3월 26일 | 13회 | 2023 | 4강 [TRI] | 100위 |
| 수리남 | 예선 6경기 승리 | 2025년 3월 26일 | 2회 | 2021 | 조별리그 [SUR] | 137위 |
| 과들루프 | 예선 7경기 승리 | 2025년 3월 26일 | 6회 | 2023 | 4강 [GPE] | -[16] |
| 사우디아라비아 | 초청국 | 2024년 12월 17일 | 1회 | 첫 진출 | 58위 |
3.1. 참가 선수 명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참가팀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참가팀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경기장
미국 | ||
<rowcolor=#BD9A5F> 도시 | 경기장명 | 수용인원 |
알링턴 | AT&T 스타디움 | 80,000명 |
글렌데일 | 스테이트팜 스타디움 | 63,400명 |
휴스턴 | NRG 스타디움 | 71,795명 |
쉘 에너지 스타디움 | 22,039명 | |
잉글우드 | 소파이 스타디움 | 70,240명 |
라스베이거스 | 얼리전트 스타디움 | 61,000명 |
세인트루이스 | 에너자이저 파크 | 25,000명 |
샌디에이고 | 스냅드래곤 스타디움 | 35,000명 |
산타클라라 | 리바이스 스타디움 | 68,500명 |
미니애폴리스 | US 뱅크 스타디움 | 66,860명 |
카슨 | 디그니티 헬스 스포츠 파크 | 30,510명 |
오스틴 | Q2 스타디움 | 20,730명 |
산호세 | 페이팔 파크 | 20,730명 |
캐나다 | ||
<rowcolor=#BD9A5F> 도시 | 경기장명 | 수용인원 |
밴쿠버 | BC 플레이스 | 54,500명 |
같은 시기 열리게 된 FIFA 클럽 월드컵 2025에서 주로 동부 지역 경기장들이 활용되면서, 이 대회는 주로 서부 지역에 위치한 경기장들이 사용되게 되었다.[17] 그 중 2026 FIFA 월드컵에 쓰일 경기장이 5개가 포함되면서, 사실상 FIFA 클럽 월드컵 2025와 더불어 1년 뒤 월드컵 개최 역량을 점검하는 테스트 대회 격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5. 대회 진행
5.1. 조 추첨
<rowcolor=#FFF> 순번 |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colbgcolor=#BD9A5F><colcolor=#FFF> 1 | 멕시코 1위 | 코스타리카 5위 | 과테말라 9위 | 과들루프 13위 |
2 | 캐나다 2위 | 자메이카 6위 | 트리니다드 토바고 10위 | 퀴라소 15위 |
3 | 파나마 3위 | 온두라스 7위 | 엘살바도르 11위 | 도미니카 공화국 19위 |
4 | 미국 4위 | 아이티 8위 | 수리남 12위 | 사우디아라비아 초청국 |
포트 배정은 2025년 3월 26일에 발표된 CONCACAF 랭킹을 기준으로 나뉘었다. 예외로, 지난 대회 우승팀인 멕시코는 랭킹과 상관없이 자동으로 1포트에, 초청국인 사우디아라비아는 자동으로 4포트에 배정되었다.
이외에도, 1포트 국가들은 사전에 배정될 조가 정해졌다. 디펜딩 챔피언인 멕시코는 A조에, 나머지 3팀은 CONCACAF 랭킹 순서대로 B조, C조, D조에 각각 배정되는 것으로 미리 확정되었다.
5.2. 조별 리그[16강]
5.2.1. A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A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A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순위 | 팀명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 멕시코 | 3 | 2 | 1 | 0 | 5 | 2 | +3 | 7 |
2 | | 코스타리카 | 3 | 2 | 1 | 0 | 6 | 4 | +2 | 7 |
3 | | 도미니카 공화국 | 3 | 0 | 1 | 2 | 3 | 5 | -2 | 1 |
4 | | 수리남 | 3 | 0 | 1 | 2 | 3 | 6 | -3 | 1 |
■ 결선 진출 | ■ 탈락 |
5.2.2. B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B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B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순위 | 팀명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 캐나다 | 3 | 2 | 1 | 0 | 9 | 1 | 8 | 7 |
2 | | 온두라스 | 3 | 2 | 0 | 1 | 4 | 7 | -3 | 6 |
3 | | 퀴라소 | 3 | 0 | 2 | 1 | 2 | 3 | -1 | 2 |
4 | | 엘살바도르 | 3 | 0 | 1 | 2 | 0 | 4 | -4 | 1 |
■ 결선 진출 | ■ 탈락 |
5.2.3. C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C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C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순위 | 팀명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 파나마 | 3 | 3 | 0 | 0 | 10 | 3 | +7 | 9 |
2 | | 과테말라 | 3 | 2 | 0 | 1 | 4 | 3 | +1 | 6 |
3 | | 자메이카 | 3 | 1 | 0 | 2 | 3 | 6 | -3 | 3 |
4 | | 과들루프 | 3 | 0 | 0 | 3 | 5 | 10 | -5 | 0 |
■ 결선 진출 | ■ 탈락 |
5.2.4. D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D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D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순위 | 팀명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 미국 | 3 | 3 | 0 | 0 | 8 | 1 | +7 | 9 |
2 | | 사우디아라비아 | 3 | 1 | 1 | 1 | 2 | 2 | 0 | 4 |
3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3 | 0 | 2 | 1 | 2 | 7 | -5 | 2 |
4 | | 아이티 | 3 | 0 | 1 | 2 | 2 | 4 | -2 | 1 |
■ 결선 진출 | ■ 탈락 |
5.3. 결선 토너먼트
2025 CONCACAF 골드컵 결선 토너먼트 대진표 | |||||
8강 | 준결승 | 결승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8강 1경기 (2025.06.28 19:15) | ||||
1 (4) | |||||
1 (5)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준결승 2경기 (2025.07.02 22:00) | |||
0 | |||||
1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결승 (2025.07.06 19:10) | |||
2 | |||||
1 |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8강 2경기 (2025.06.28 22:15) | ||||
2 | |||||
0 |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8강 3경기 (2025.06.29 16:00) | ||||
1 (5) | |||||
1 (6)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준결승 1경기 (2025.07.02 19:00) | |||
1 | |||||
2 |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fff> 8강 4경기 (2025.06.29 19:00) | ||||
1 (4) | |||||
1 (3) | |||||
}}} |
5.3.1. 8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8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8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3.2. 준결승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준결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준결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3.3. 결승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결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 CONCACAF 골드컵/결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우승
<colcolor=#fff> 2025 CONCACAF 골드컵 우승 |
|
멕시코 |
10번째 우승 ★★★★★★★★★★ |
7. 기록
7.1. 베스트팀
8. 결과
9. 최종 순위
최종 순위 | |||||||||||
<rowcolor=#fff>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 | 멕시코 | 6 | 5 | 1 | 0 | 9 | 3 | +6 | 16 | 우승 |
| | 미국 | 6 | 4 | 1 | 1 | 12 | 5 | +7 | 13 | 준우승 |
| | 과테말라 | 5 | 2 | 1 | 2 | 6 | 6 | 0 | 7 | 4강 |
4 | | 온두라스 | 5 | 2 | 1 | 2 | 5 | 9 | -4 | 7 | |
5 | | 파나마 | 4 | 3 | 1 | 0 | 11 | 4 | +7 | 10 | 8강 |
6 | | 캐나다 | 4 | 2 | 2 | 0 | 10 | 2 | +8 | 8 | |
7 | | 코스타리카 | 4 | 2 | 2 | 0 | 7 | 5 | +2 | 8 | |
8 | | 사우디아라비아 | 4 | 1 | 1 | 2 | 2 | 4 | -2 | 4 | |
9 | | 자메이카 | 3 | 1 | 0 | 2 | 3 | 6 | -3 | 3 | 조별리그 |
10 | | 퀴라소 | 3 | 0 | 2 | 1 | 2 | 3 | -1 | 2 | |
11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3 | 0 | 2 | 1 | 2 | 7 | -5 | 2 | |
12 | | 도미니카 공화국 | 3 | 0 | 1 | 2 | 3 | 5 | -2 | 1 | |
13 | | 아이티 | 3 | 0 | 1 | 2 | 2 | 4 | -2 | 1 | |
14 | | 수리남 | 3 | 0 | 1 | 2 | 3 | 6 | -3 | 1 | |
15 | | 엘살바도르 | 3 | 0 | 1 | 2 | 0 | 4 | -4 | 1 | |
16 | | 과들루프 | 3 | 0 | 0 | 3 | 5 | 10 | -5 | 0 |
10. 기타
- 아시아축구연맹의 사우디아라비아가 초청을 받게 되면서 지난 두 대회에서 연속으로 초청되어 참가했던 카타르에 이어 3대회 연속으로 아시아팀이 참가를 하게 되었다.
- 다만 사우디는 동 기간에 열린 FIFA 클럽 월드컵 2025 대회에 자국 최강팀 알 힐랄 SFC가 참가하면서 국대 주축 선수들 몇몇을 소집할 수 없어졌고, 다소 젊은 선수들 위주의 1.5군 스쿼드로 대회에 출전하며 8강 진출에 만족해야 했다.
- 다른 때보다 이변이 많았던 대회였다. 하지만 결국 결승에선 전통의 두 강자 미국과 멕시코가 또다시 만나 우승을 다퉜다.
- 시기상 2026 FIFA 월드컵 CONCACAF 최종예선의 전초전 성격을 띄는 대회였다. 본선 진출국 16개국 중 AFC 소속의 사우디아라비아, 개최국으로 본선 진출이 확정된 미국, 멕시코, 캐나다, FIFA 비회원국인 과들루프를 제외하고 나머지 11개국 중 도미니카 공화국을 제외한 10개국이 월드컵 최종예선에 진출한 팀들이었다. 따라서 9월부터 11월까지 열리는 최종예선의 판도를 미리 읽어볼 수 있는 대회가 되었다.
10.1. 수상
11. 중계 정보
국내에서는 스카이 스포츠에서 중계를 담당하였다.[19]12. 둘러보기
2023 CONCACAF 골드컵 미국/캐나다 | → | 2025 CONCACAF 골드컵 미국/캐나다 | → | 2027 CONCACAF 골드컵[br] |
세계 축구 대륙별 최상위 남성 대회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df>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 유럽 축구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 | 남미 축구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 ||||||
최상위 대회 | | | | | | | |||||||
최근 대회 | 2023 AFC 아시안컵 2024년 1월 12일 ~ 2월 10일 | UEFA 유로 2024 2024년 6월 14일 ~ 7월 14일 |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24년 1월 13일 ~ 2월 11일 | 2024 코파 아메리카 2024년 6월 20일 ~ 7월 14일 | 2025 CONCACAF 골드컵 2025년 6월 15일 ~ 7월 7일 | 2024 OFC 네이션스컵 2024년 6월 15일 ~ 6월 30일 | |||||||
차기 대회 | 2027 AFC 아시안컵 | UEFA 유로 2028 |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미정 | 미정 | 미정 | |||||||
역대 대륙별 최상위 남성 대회: AFC 아시안컵, UEFA 유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파 아메리카, CONCACAF 골드컵, OFC 네이션스컵, FIFA 월드컵 |
[1] 2025년 4월 FIFA 랭킹[USA] 1991, 2002, 2005, 2007, 2013, 2017, 2021[PAN] 2005, 2013, 2023[CAN] 2000[MEX] 1993, 1996, 1998, 2003, 2009, 2011, 2015, 2019, 2023[SLV] 2002, 2003, 2011, 2013, 2017, 2021[CUW] 2019[HAI] 2019[CRC] 2002[JAM] 2015, 2017[HON] 1991[GUA] 1996[TRI] 2000[SUR] 2021[GPE] 2007[16] FIFA 비회원국이다. ELO 랭킹은 3월 30일 기준으로 115위[17] 이렇게 분산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두 대회의 개최 기간이 상당히 겹친다. 두 대회 모두 6월 중순 개막에 7월까지 대회가 진행되어, 이 때문에 잠재적으로 FIFA 클럽 월드컵에 나서는 클럽에서 골드컵에 출전하는 국가대표팀에게 선수 차출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졌으며 특히 자국 클럽이 참여하는 미국, 멕시코,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정예 멤버 구성이 어려울 걸로 여겨졌다.[16강] [19] 참고로 이 쪽은 대회 명을 "북중미 골드컵"이라고 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