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25 CONCACAF 골드컵의 모든 예선을 기록한 문서.2. 예선 진행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ONCACAF 네이션스 리그/2024-25 시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ONCACAF 네이션스 리그/2024-25 시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CONCACAF 네이션스 리그와의 연계를 적용한다.
아래 8개국은 네이션스 리그 성적에 따라 골드컵 본선에 직행한다.
- 리그 A 결선 토너먼트 4강 진출국 4개국
- 리그 B의 각 조 1위팀 4개국
추가로 7개국을 골드컵 예선을 통해 선발한다. 골드컵 예선 자격을 얻는 국가는 아래 14개국이다.
- 리그 A 결선 토너먼트 8강 탈락 4개국
- 리그 A 각 조 3위, 4위 4개국
- 리그 B 각 조 2위 중 성적 상위 2개국
- 플레이인[1] 승리 4개국
남은 1개국은 초청국으로 배정한다. 2024년 12월 17일, 사우디아라비아가 2025년 대회와 2027년 대회에 초청국으로 참가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2.1. 2024-25 시즌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ONCACAF 네이션스 리그/2024-25 시즌/결선 토너먼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ONCACAF 네이션스 리그/2024-25 시즌/결선 토너먼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ONCACAF 네이션스 리그/2024-25 시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ONCACAF 네이션스 리그/2024-25 시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총 8개 국가가 네이션스 리그에서 골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했다.
2.2. 예선 진출국
국가명 | 진출 자격 | |
| 코스타리카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A 8강 1경기 탈락 |
| 자메이카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A 8강 2경기 탈락 |
| 수리남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A 8강 3경기 탈락 |
| 온두라스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A 8강 4경기 탈락 |
| 과테말라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A A조 3위 |
| 니카라과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A B조 3위 |
| 마르티니크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A A조 4위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A B조 4위 |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B A조 2위[2] |
| 버뮤다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리그 B D조 2위[3] |
| 과들루프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플레이인 1경기 승리 |
| 쿠바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플레이인 2경기 승리 |
| 벨리즈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플레이인 3경기 승리 |
| 가이아나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플레이인 4경기 승리 |
총 14개국이 2024년 11월 20일 기준 CONCACAF 랭킹에 따라 7개의 대진에 각각 배정된 후, 각 대진의 승자가 골드컵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 따로 추첨 없이, 해당 14개국 중 1위-14위, 2위-13위 식의 매치업으로 대진이 결정되었다.
경기 | CONCACAF 2024년 11월 랭킹[RANK] | 팀 1 | - | 팀 2 | CONCACAF 2024년 11월 랭킹[RANK] | ||
1경기 | 5위(1위) | 코스타리카 | | vs | | 벨리즈 | 25위(14위) |
2경기 | 6위(2위) | 자메이카 | | vs |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22위(13위) |
3경기 | 7위(3위) | 온두라스 | | vs | | 버뮤다 | 21위(12위) |
4경기 | 9위(4위) | 과테말라 | | vs | | 가이아나 | 19위(11위) |
5경기 | 10위(5위)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vs | | 쿠바 | 17위(10위) |
6경기 | 11위(6위) | 마르티니크 | | vs | | 수리남 | 16위(9위) |
7경기 | 13위(7위) | 니카라과 | | vs | | 과들루프 | 14위(8위) |
2.2.1. 1경기
- 2025년 3월 22일 1차전 벨리즈 0:7 코스타리카
- 2025년 3월 26일 2차전 코스타리카 6:1 벨리즈
코스타리카가 벨리즈를 합산 13:1로 압살하고 본선에 진출했다.
2.2.2. 2경기
- 2025.3.22 1차전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1:1 자메이카
- 2025.3.26 2차전 자메이카 3:0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2.2.3. 3경기
- 2025.3.22 1차전 버뮤다 3:5 온두라스
- 2025.3.26 2차전 온두라스 2:0 버뮤다
온두라스가 영국령 버뮤다를 7:3으로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
2.2.4. 4경기
- 2025.3.22 1차전 가이아나 3:2 과테말라
- 2025.3.26 2차전 과테말라 2:0 가이아나
1차전에서 네이션스리그 A 소속 과테말라가 플레이인으로 진출한 가이아나에게 업셋당할 위기에 처했으나[6] 2차전 홈경기를 2:0으로 이기며 본선에 진출했다.
2.2.5. 5경기
- 2025.3.22 1차전 쿠바 1:2 트리니다드 토바고
- 2025.3.26 2차전 트리니다드 토바고 4:0 쿠바
2.2.6. 6경기
- 2025.3.22 수리남 1:0 마르티니크
- 2025.3.26 마르티니크 0:1 수리남
랭킹 16위 수리남이 11위 마르티니크를 업셋하고 본선에 진출했다.
2.2.7. 7경기
- 2025.3.22 과들루프 1:0 니카라과
- 2025.3.26 니카라과 0:1 과들루프
주권국 vs 해외영토 매치업에서 유일하게 해외영토 팀이 승리를 거뒀으며, 마르티니크 vs 수리남과 함께 둘뿐인 업셋 사례이다. 또한 과들루프는 네이션스리그 성적으로 직행한 퀴라소와 함께 이번 대회 본선의 둘뿐인 해외영토 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