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11:23:14

통가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누벨칼레도니
뉴질랜드
미국령 사모아
바누아투
파일:사모아 국기.svg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파일:쿡 제도 기.svg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사모아
솔로몬 제도
쿡 제도
키리바시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파일:통가 국기.svg
파일:투발루 국기.svg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타히티
통가
투발루
파푸아뉴기니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78px-Fed_tonga.svg.png
통가 축구 국가대표팀
Tonga national football team
정식명칭 Tonga national association football team[1]
FIFA 코드 TGA
협회 통가 축구 협회 (TFA)
연맹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OFC)
FIFA 랭킹 199위[2]
Elo 랭킹 237위[3]
감독
[[통가|]][[틀:국기|]][[틀:국기|]] 티모테 몰레니 (Timote Moleni)
주장 헤말로토 폴로빌리 (Hemaloto Polovili)
최다출전자 킬리피 우엘레 (Kilifi Uele) - 26경기
최다득점자 우날로토 페아오 (Unaloto Feao) - 7골
홈 구장 로토 통가 소카 센터 (Loto-Tonga Soka Centre, 1,500석)
첫 국제경기 출전 VS 파일:프랑스 국기.svg 타히티 (0:8 패)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수바 (1979년 8월 29일)
최다 점수차 승리 VS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7:0 승)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2003년 7월 5일)
최다 점수차 패배 VS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0:22 패)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콥스하버 (2001년 4월 9일)
유니폼 어웨이
<colcolor=#000000> 상의 빨강 하양
하의 빨강 하양
양말 빨강 하양

1. 개요2. 상세3. 역대전적4. 연령별 대표팀
4.1. U-23 대표팀
4.1.1. OFC 올림픽 남자축구 예선대회
4.2. U-20 대표팀4.3. U-17 대표팀

[clearfix]

1. 개요

통가의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163위(1998년 10월 21일 ~ 1999년 1월 26일), 최저 순위는 211위[4](2018년 7월 1일)이다.

2. 상세

홈구장은 테우파이바 스포츠 경기장이며 감독은 크리스 윌리엄스이다.

아직까지 월드컵과 OFC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여기도 세계적인 축구 약체인데 호주에게 0-31로 진 미국령 사모아에게 2011년 11월 22일, 2015년 9월 2일에 가진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연이어 1-2로 패해 미국령 사모아의 2승 제물이 되었다.

2019년 치른 A매치에서 전패를 기록하며 아직도 갈길이 멀다는 것을 보여줬다.

여기도 사모아와 비슷하게 럭비계에선 강호 팀이기 때문에 축구가 제 1의 인기스포츠가 아닌 것이 축구대표팀이 약한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호주리그에서도 뛰었던 모하메드 라자니[5]가 대표팀의 새로운 핵심선수이다.

3. 역대전적

3.1. FIFA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 영국의 보호국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축구협회 창립 이전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FIFA 비회원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 통가 왕국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FIFA 비회원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불참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국/일본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기권 [6]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중미
예선 탈락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3.2. OFC 네이션스컵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1973년 뉴질랜드
불참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1980년 누벨칼레도니
불참
파일:OFCcup.png
1996년 개최국 없음
예선 탈락
파일:호주 국기.svg
1998년 호주
예선 탈락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2000년 타히티
예선 탈락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02년 뉴질랜드
예선 탈락
파일:호주 국기.svg
2004년 호주
예선 탈락
파일:OFCcup.png
2008년 개최국 없음
예선 탈락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2012년 솔로몬 제도
예선 탈락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2016년 파푸아뉴기니
예선 탈락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2024년 바누아투
예선 탈락
합계 본선진출 없음

4. 연령별 대표팀

4.1. U-23 대표팀

4.1.1. OFC 올림픽 남자축구 예선대회

대회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피지 국기.svg
1991년 피지
불참
파일:호주 국기.svg
1996년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1999년 뉴질랜드
조별리그 7위 0 3 0 0 3 1 20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04년 호주/뉴질랜드
조별리그 5위 6 4 2 0 2 4 8
파일:피지 국기.svg
2008년 피지
불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12년 뉴질랜드
조별리그 6위 0 2 0 0 2 0 13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2015년 파푸아뉴기니
불참
파일:피지 국기.svg
2019년 피지
조별리그 7위 0 3 0 0 3 2 18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23년 뉴질랜드
조별리그 7위 0 3 0 0 3 1 12
합계 본선진출 5회[7] 6 15 2 0 13 8 71

4.2. U-20 대표팀

4.2.1. FIFA U-20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튀니지 국기.svg
1977년 튀니지
불참
파일:일본 국기.svg
1979년 일본
불참
파일:호주 국기.svg
1981년 튀니지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3년 멕시코
불참
파일:소련 국기.svg
1985년 소련
불참
파일:칠레 국기.svg
1987년 칠레
불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9년 사우디
불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991년 포르투갈
불참
파일:호주 국기.svg
1993년 호주
불참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5년 카타르
불참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7년 말레이시아
불참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99년 나이지리아
예선 탈락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01년 아르헨티나
예선 탈락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3년 아랍에미리트
예선 탈락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5년 네덜란드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7년 캐나다
불참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9년 이집트
불참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11년 콜롬비아
불참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3년 터키
불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15년 뉴질랜드
불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대한민국
예선 탈락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9년 폴란드
예선 탈락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23년 아르헨티나 [8]
예선 탈락
파일:칠레 국기.svg
2025년 칠레
예선 탈락
합계 본선진출 없음

4.3. U-17 대표팀

4.3.1. FIFA U-17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중국 국기.svg
1985 중국
불참
파일:캐나다 국기.svg
1987 캐나다
불참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989 스코틀랜드
불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1 이탈리아
불참
파일:일본 국기.svg
1993 일본
불참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1995 에콰도르
불참
파일:이집트 국기.svg
1997 이집트
불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1999 뉴질랜드
예선 탈락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2001 트리니다드 토바고
예선 탈락
파일:핀란드 국기.svg
2003 핀란드
예선 탈락
파일:페루 국기.svg
2005 페루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대한민국
불참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9년 나이지리아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1년 멕시코
예선 탈락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3년 UAE
예선 탈락
파일:칠레 국기.svg
2015년 칠레
예선 탈락
파일:인도 국기.svg
2017년 인도
예선 탈락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9년 브라질
예선 탈락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23년 인도네시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5년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6년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7년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8년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9년 카타르
합계 본선진출 없음


[1] 영어[2] 2024년 12월 19일 기준[3] 2024년 11월 16일 기준[4] 에리트레아 대표팀이 순위에서 제외되기 이전(2023년 7월 20일)의 시점이라 211위 기록이 가능했다.[5] 아버지가 파키스탄인이다.[6] 통가 해저화산 폭발 사건으로 인한 기권[7] 최고순위 5위(2004 호주/뉴질랜드)[8] 2021년 대회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