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17:37:30

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wiki style="color: #1868D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 margin: -6px -1px -12px"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자격정지
루마니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파일:안도라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웨일스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페로 제도 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튀르키예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D90012> 상징 <colcolor=#000,#fff>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물망초
역사 역사 전반 · 우라르투 · 아르메니아 왕국(아르탁세스 왕조 · 아르샤쿠니 왕조) · 로마 제국(마케도니아 왕조) · 바그라투니 왕조 ·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 · 자캅카스 민주 연방 공화국 ·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 소련(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국민의회 · 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독립국가연합 · 집단 안보 조약 기구 · 프랑코포니 · 아르메니아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아르메니아 드람 · 아르메니아 중앙은행
교통 츠바르트노츠 국제공항 · 규므리 시라크 국제공항 · 예레반 지하철 · 플라이 아르나
국방 아르메니아군 · 제102군사기지
문화 문화 전반 · 아르메니아 신화 ·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 아르메니아 가톨릭 · 요리(라바시 · 플롭 · 샤슐릭) · 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아르메니아어 · 관광 · 세계유산
지리 예레반 · 아라라트산 · 세반 호 · 아라가츠산 · 장게주르 회랑 · 아르메니아 고원
사회 아르메니아 마피아
민족 아르메니아인(러시아계) · 아르메니아계 미국인 ·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 아르메니아계 캐나다인 · 아르메니아계 프랑스인 · 아르메니아계 중동인 · 아르메니아계 이란인 · 아르메니아계 조지아인 · 아르메니아계 브라질인 · 아르메니아계 아르헨티나인 · 아르메니아계 우크라이나인 · 아르메니아계 멕시코인 · 아르메니아계 영국인 · 아르메니아계 독일인 · 아르메니아계 네덜란드인 · 아르메니아계 아제르바이잔인
}}}}}}}}} ||


파일:아르메니아 국장.svg
<colcolor=#fff> 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Հայաստանի ֆուտբոլի ազգային հավաքական
<colbgcolor=#d90012> 정식명칭 Հայաստանի ֆուտբոլի ազգային հավաքական[1]
FIFA 코드 ARM
축구 협회 아르메니아 축구 연맹 (FFA)
대륙 연맹 유럽 축구 연맹 (UEFA)
홈 경기장 바즈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
(Vazgen Sargsyan Republican Stadium / 14,403석)
별명 Հավաքական (공동의 팀)
감독
[[아르메니아|]][[틀:국기|]][[틀:국기|]] 수렌 차칼리안 (Suren Chakhalyan)
주장
C
바라트닷 하로얀 (Barazdat Haroyan)
라이벌 '''[[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FIFA 랭킹 100위 (2024년 12월 19일 기준 / #)
Elo 랭킹 101위 (2024년 11월 21일 기준[2] / #)
공식 웹사이트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90012><colcolor=#fff> A매치 최다 출전 사르기스 홉세퍈 (Sargis Hovsepyan)
- 133경기 / 2골
A매치 최다 득점 헨리크 미키타리안 (Henrikh Mkhitaryan)
- 95경기 / 32골
첫 국제경기 출전 비공식
파일: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국기(1925-1936).svg 아르메니아 SSR vs 파일: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27-1931).svg 아제르바이잔 SSR 0:4
(그루지야 SSR 트빌리시 / 1926년 12월)
공식

[[아르메니아|]][[틀:국기|]][[틀:국기|]] 아르메니아 vs
[[몰도바|]][[틀:국기|]][[틀:국기|]] 몰도바 1:1
(아르메니아 예레반 / 1992년 10월 12일)
최다 점수차 승리
[[아르메니아|]][[틀:국기|]][[틀:국기|]] 아르메니아 vs
[[과테말라|]][[틀:국기|]][[틀:국기|]] 과테말라 7:1
(미국 로스앤젤레스 / 2016년 5월 28일)
최다 점수차 패배
[[아르메니아|]][[틀:국기|]][[틀:국기|]] 아르메니아 vs
[[노르웨이|]][[틀:국기|]][[틀:국기|]] 노르웨이 0:9
(노르웨이 오슬로 / 2022년 3월 29일)
}}}}}}}}}}}} ||
유니폼 컬러 어웨이
상의 파일:macron_logo_white.png파일:아르메니아 국장.svg
23

하의 23 19
양말

1. 개요2. 소개3.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4. 현재 선수 명단5. 역대전적6. 연령별 대표팀
6.1. U-23 대표팀
6.1.1. 올림픽

[clearfix]

1. 개요

아르메니아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30위(2014년 2월 13일), 최저 순위는 159위(1994년 6월 14일 ~ 9월 12일)이다.

공동의 팀(Հավաքական)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1992년 대회 이전에는 소련의 일원이었으며 소련 시절 성적은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승계되었다.

2. 소개

아르메니아 치고는 의외로 외국인 선수를 귀화시키는데 적극적인 팀이다. 사실 내륙국에 위치해 있고 주변 국가들과 외교적으로 사이가 험악한 경우라면 민족주의내셔널리즘에 빠지기 쉬워 국적과 혈통에 집착하는 성향을 보이지만 2020년대 기준으로 아르메니아 국가대표로 뛰는 선수들을 살펴보면 루카스 셀라라얀은 아르헨티나계, 앙굴로 모스케라는 콜롬비아계, 우고추쿠 이우는 나이지리아계, 오그넨 찬차레비치는 세르비아계일 정도로 거의 웬만한 서유럽 국가들 수준으로 외국인 선수를 귀화시키는데 적극적이다. 아무래도 아르메니아인들이 자국인 아르메니아보다 오히려 해외에 거주하는 디아스포라가 많아서 그런지 외국선수들이 자국을 대표하는 것에 대해서 거부감이 없는 편이다. 다민족 사회인 러시아를 제외하고 거의 백인선수들로만 구성된 동유럽 국가들과 대조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 불구하고 월드컵 본선, 유로 본선도 한번도 가지 못한 유럽 약체팀이다. 그런데 유로 2012 예선 8차전(2011년 9월 6일 경기)에서 슬로바키아 원정 경기를 무려 4-0이라는 가공할 대승을 거두어버리는 이변을 낳았다. 이미 안방경기에서도 슬로바키아를 3-1로 이겼으나 원정에서 더 대승을 거두리란 예상은 적었을 듯. 알다시피 슬로바키아는 2010 남아공 월드컵에서 이탈리아를 제치고 16강에 오르며 만만치 않은 저력을 보여준 팀이다.

하지만 최종예선 결과 러시아(23점), 아일랜드(21점)에 이어 승점 17점으로 따라붙긴 했지만 아일랜드에겐 안방에서 1-0으로 졌던 게 타격이었고 결국 10월 11일, 아일랜드 원정 경기에서도 1-2로 지면서 조 3위로 탈락했다. 그래도 그동안 유로나 월드컵 예선에서 조에서 꼴지를 면하던 수준에서 이 정도 발전은 대단한 셈이다.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선 이탈리아,체코,불가리아,덴마크,몰타와 같은 조가 되었는데 몰타를 제외하고 상대하기 어렵다는 평이었다. 결국 예상대로 몰타전을 이겼을 뿐 1승 3패로 5위로 처져있었는데 또 예상을 뒤엎고 덴마크 원정에서 4-0으로 쳐바르는, 슬로바키아전 승리 못지 않은 대이변을 낳았다. 비록 4승 1무 5패를 거두면서 역시 예상대로 몰타에 이어 5위로 탈락했지만 승점 13점이나 거둬들였으며 4위인 불가리아에게 골득실로 뒤쳐진 것 뿐이며 3위 체코는 15점, 2위 덴마크조차 겨우 승점 3점 차이였던 걸 생각하면 단지 순위만 보고 무시할 게 아니었다.

게다가 결과적으로는 이탈리아를 상대로 무재배를 해 이탈리아를 월드컵 톱시드에서 탈락시키고 덴마크를 떡실신시켜 덴마크가 조 2위를 차지했음에도 승점에서 밀려 플레이오프 9위로 밀려 부전패로 탈락하게 만드는 등 고춧가루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 모든 것을 원정에서 이뤄냈다는 점이다. 장기적 관점에서 아르메니아의 메이저대회 진출도 꿈은 아닐듯 하다.

유로 2016 예선에서도 꽤 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7경기에서 2무 5패를 거두며 예선 탈락했다. 포르투갈을 원정에서 0-1, 안방에서 2-3으로 아쉽게 졌을 정도로 선전했지만 포르투갈을 1-0으로 이긴 알바니아에게 1-2로 패하고 덴마크,세르비아에게 덜미를 잡혔기 때문이다. 그래도 져버린 경기 가운데 4경기에서 1점차 패배를 거뒀을 정도로 아쉬운 경기를 벌였다가 7번째 경기인 세르비아 원정에서는 0-2로 졌다. 그리고 마지막 8차전 알바니아에게 홈에서 0-3으로 대패하면서 2무 6패 조 꼴찌로 마무리했다.

2018 러시아 월드컵 예선에서 몬테네그로를 홈에서 3-2로 이기기도 했으나 홈에서 루마니아에게 0-5로 참패하고 조 꼴지인 카자흐스탄을 상대로 1승 1무를 거두며 모두 2승 1무 7패로 카자흐스탄을 제치며 조 5위를 하고 예선을 마쳤다. 덤으로 4년전 예선에서 승리를 거둔 덴마크에게 설욕당해 4년전과 거꾸로 홈에서 덴마크에게 4-1로 대패를 당했으며 탈락하여 장기적 관점으로 메이저 진출을 할 것이라고 보기에는 아리송한 결과를 남겼다.

네이션스 리그에서도 꾸준하지 못한 모습을 보이는데, 최약체급인 지브롤터에게 홈에서 져버렸다. 뭐 거꾸로 원정에서 지브롤터를 6-2로 대파했지만 이 패배 여파로 1위 자리를 마케도니아에게 넘겨버렸기에 리그 C 승격은 어려워졌다. UEFA 유로 2020에선 UEFA 유로 2020/예선/J조에 속했는데 이탈리아에게 무려 1-9로 대패하며 축구 A매치 최다 실점패 기록을 당했고 허무하게 탈락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지역예선에선 초반이지만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초반 대진의 유리함이 있었지만, 리히텐슈타인전 1-0 승리를 시작으로, 아이슬란드에게 2-0 승리, 루마니아에게도 3-2 승리를 거두며 초반 3연승으로 조 1위로 치고나간 것이다. 조 탑시드 독일과 복병 북마케도니아를 아직 만나지 않았지만, 리히텐슈타인전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인 것과, 한 수 위라고 평가받는 아이슬란드, 루마니아에게 연이어 승리한 것은 고무적이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1년 이상 장기적으로 치러지는 기존 예선 일정과 달리, 이번 카타르 월드컵 예선은 3월부터 11월까지 8개월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치러지는 강행군이기 때문에 그 어느때보다 초반 기세가 중요함을 감안하면 매우 좋은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결국 갈수록 한계에 닿았고 홈에서 벌어진 북마케도니아전에서 0-5 대패를 당하고 최약체인 리히텐슈타인조차도 홈에서 1-1로 겨우 비기는 부진을 보여 결국 탈락했다. 그나마, 아이슬란드를 제치고 조 4위를 했지만 아이슬란드가 워낙 부진한 모습을 보였기에 아르메니아가 잘했다는 느낌을 그리 주진 못했다.

선수로는 현재 아르메니아 국가대표팀의 주장이자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에서 뛰고 있는 헨리크 미키타리안이 유명하며 전 부산 아이파크 감독인 이안 포터필드가 2007년 대표팀 감독직을 수행하다 건강 악화로 사임한 적이 있다. 사실 헨리크 미키타리안 덕분에 우리나라에 아르메니아란 국가가 알려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아르메니아 축구에서 미키타리안은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슈퍼스타다.

이외 선수들은 자국 리그 선수들과 러시아 리그 진출 선수들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바이에른 뮌헨 유스 출신인 독일 교포 그란트레온 라노스가 새로운 아르메니아의 에이스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재는 서두에 언급했다시피 아르메니아계 해외 출신 축구 선수들을 아르메니아 국가대표로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2023년 해외 교포 선수들로 인해 상승세를 타고 있다. 게오르기 하루튜냔, 에두아르트 스페르챤, 루카스 셀라라얀, 호렌 바이라먄, 나이르 티크니쟌, 에드가르 세비캰이 대표적인 예.

한 때 여러 빅클럽의 러브콜을 받던 아르센 자하랸을 영입할 뻔했다.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인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 선수들의 이적이 막히자 첼시 이적을 위해 아르메니아 시민권 획득을 고려한다는 뉴스가 나와 아르메니아 축구계가 들떴으나 정작 본인은 계속해서 러시아 대표로 출전하며 없던 일이 되어버렸다.

종합하자면, 한 단계 발전을 위해서 간간히 강호들을 이기는 고춧가루 부대에서 벗어나 꾸준한 모습이 필요한 팀이다. 이런 특이한 점 때문에 아르메니아를 상대하는 국가 입장에서 때로는 어렵지 않게 꽁승을하며 승점을 쌓을 때도 있으나 승점자판기인줄 알고 전술이나 선수구성을 안일하게 하다가 오히려 호되게 당한 국가들도 많다. 아직 정신적 지주인 미키타리안이 건재하고, 분데스리가,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이 그 어느때보다 많기 때문에 잠재력은 충분한 팀이다. 다만, 질때는 엄청 크게 지는 게 단점. 이탈리아에게 이탈리아 팔레르모,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에서 2019년 11월 19일 열린 경기는 1-9로 대참패하여 최다 실점 기록이 되었더니만 3년도 안가 2022년 3월 30일. 노르웨이와 가진 평가전에서 0-9로 대참패하여 최다실점 기록을 갱신했다.

UEFA 네이션스 리그/2022-23 시즌/리그 B에서도 아일랜드를 홈에서 1-0으로 이긴 거 빼고 우크라이나에게 0-5,0-3, 스코틀랜드에게 홈에서 1-4로 참패, 조꼴지로 대회를 마무리하며 1승 5패 4골 17실점으로 리그 C로 강등당했다.

UEFA 유로 2024 예선에서 튀르키예, 크로아티아, 웨일스, 라트비아가 포함된 D조로 배정을 받았다. 라트비아와 바닥을 깔아줄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웨일스를 홈에서 4-2로 제압하는 대이변을 연출했다! 그 이후 홈에서 라트비아를 2-1로 이기고 튀르키예 원정에서 1-1 무승부 강호 크로아티아에게 홈에서 아쉽게 0-1 석패를 하며 역사상 처음으로 유로에 진출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렇게 네이션스리그에서의 참패이후 감독을 교체한 성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으나 다시만난 라트비아 원정에서 0-2로 패배를 당하기 시작하면서 암울해지기 시작하더니 그후 이변의 희생양으로 만들어버렸던 웨일스와 1대1 무승부, 크로아티아 원정에서 또 1-0으로 더블 패를 당하면서 탈락이 확정되었다. 여전히 고질병인 뒷심 부족이 해결이 안되고 있는 중이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예선 8경기 동안 2실점 이상은 하지 않으면서 최소한 상대팀과 3골차 이상으로 대량실점은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웃 나라인 아제르바이잔과는 남북관계 이상으로 사이가 좋지 못해 서로의 홈에서 경기를 치를 수 없기 때문에 월드컵 유럽 지역예선이나 유로 예선에서 이 두 나라는 서로 다른 조로 배정된다. 대한민국과 북한은 서로 같은 조에 배정될 수 있다는 걸 생각하면 둘의 사이가 얼마나 나쁜지 알 수 있는 부분. 유로 2008 예선에선 같은 조로 편성되었으나 경기가 열리지 않았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마크론이다.

아르메니아 축구 협회의 휘장에는 아르메니아 민족이 성지로 여기며, 현재는 튀르키예의 영토인 아라라트 산이 그려져 있다.

3.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0%, #fff 20%, #fff 80%, #fff)"<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파일: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d90012>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사르기스 홉세퍈 132회 1992.10.14 2012.11.14
}}}}}}}}}}}}}}} ||

4. 현재 선수 명단

포지션 등번호 한글 성명 영문 성명 아르메니아 문자 성명 생년월일 출장 득점 클럽 비고
GK 오그넨 찬차레비치 Ognjen Cancarevic Օգնյեն Չանչարևիչ 1989년 9월 25일 15 0 FC 노아
아르센 베글라랸 Arsen Beglaryan Արսեն Բեգլարյան 1993년 2월 18일 16 0 FC 아라라트-아르메니아
헨리 아바갼 Henri Avagyan Հենրի Ավագյան 1996년 1월 16일 1 0 FC 퓨니크 예레반
DF 바라트닷 하로얀 Varazdat Haroyan Վարազդատ Հարոյան 1992년 8월 24일 87 4 칭다오 시하이안
안드레 칼리시르 Andre Calisir Անդրե Չալըշըր 1990년 6월 13일 33 0 IF 브롬마포이카르나
나이르 티크니쟌 Nair Tiknizyan Նաիր Թիկնիզյան 1999년 3월 12일 16 1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게오르기 하루튜냔 Georgi Arutiunian Գեորգի Հարությունյան 2004년 8월 9일 18 0 FC 크라스노다르
에리크 시모냔 Erik Simonyan Էրիկ Սիմոնյան 2003년 6월 12일 0 0 FC 우라르투
에드가르 그리고랸 Edgar Grigoryan Էդգար Գրիգորյան 1999년 8월 25일 4 0 FC 아라라트-아르메니아
세르게이 무라댠 Sergey Muradian Սերգեյ Մուրադյան 2004년 8월 27일 5 0 FC 노아
호브한네스 함바르주먄 Hovhannes Hambardzumyan Հովհաննես Համբարձումյան 1990년 10월 4일 50 4 FC 노아
MF/FW 에두아르트 스페르챤 Eduard Spertsyan Էդուարդ Սպերցյան 2000년 7월 7일 30 5 FC 크라스노다르
우고추쿠 이우 Ugochukwu Iwu Ուգոչուկվու Իվու 1999년 11월 28일 13 0 FC 루빈 카잔
솔로몬 이메 우도 Solomon Ime Udo Սոլոմոն Իմե Ուդո 1995년 7월 15일 19 0 FC 퓨니크 예레반
나레크 그리고랸 Narek Grigoryan Նարեկ Գրիգորյան 2001년 6월 17일 5 0 FCV 파룰 콘스탄차
호브한네스 하루튜냔 Hovhannes Harutyunyan Հովհաննես Հարությունյան 1999년 5월 25일 15 0 FC 아라라트-아르메니아
카렌 무라댠 Karen Muradyan Կարեն Մուրադյան 1992년 11월 1일 11 0 FC 아라라트-아르메니아
고르 만벨랸 Gor Manvelyan Գոռ Մանվելյան 2002년 4월 9일 3 1 FC 노아
아르투르 세로뱐 Artur Serobyan Արթուր Սերոբյան 2003년 7월 2일 18 0 FC 아라라트-아르메니아
바한 비차키챤 Vahan Bichakhchyan Վահան Բիչախչյան 1999년 7월 9일 38 5 포곤 슈체친
에드가르 세비캰 Edgar Sevikyan Էդգար Սևիկյան 2001년 8월 8일 12 1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티그란 바르세갼 Tigran Barseghyan Տիգրան Բարսեղյան 1993년 9월 22일 58 9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루카스 셀라라얀 Lucas Zelarayan Լուկաս Զելարայան 1992년 6월 20일 20 5 알 파테 SC
지라이르 샤고얀 Zhirayr Shaghoyan Ժիրայր Շաղոյան 2001년 4월 10일 14 1 데브레첸 VSC
아르투르 미라냔 Artur Miranyan Արթուր Միրանյան 1995년 12월 27일 10 0 FC 우니베르시타테아 클루지
그란트레온 라노스 Grant-Leon Ranos Հրանտ-Լեոն Ռանոս 2003년 7월 20일 15 4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3]

5. 역대전적

5.1. FIFA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 소련의 일부 (러시아에 승계)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1950년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 아르메니아 제2공화국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불참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예선 탈락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예선 탈락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예선 탈락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중미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5.2. UEFA 유로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 소련의 일부 (러시아에 승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60년 프랑스
독립 이전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64년 스페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68년 이탈리아
파일:벨기에 국기.svg
1972년 벨기에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1976년 유고슬라비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0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84년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1988년 서독
※ 아르메니아 제2공화국
파일:스웨덴 국기.svg
1992년 스웨덴
없음[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96년 잉글랜드
예선 탈락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0년 벨기에/네덜란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4년 포르투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2008년 오스트리아/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12년 폴란드/우크라이나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6년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20년 분산개최
파일:독일 국기.svg
2024년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2028년 영국/아일랜드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6. 연령별 대표팀

6.1. U-23 대표팀

6.1.1. 올림픽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1992년 대회 부터 u-23세로 나이 변경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2 바르셀로나
예선 탈락
파일:미국 국기.svg
1996 애틀란타
예선 탈락
파일:호주 국기.svg
2000 시드니
예선 탈락
파일:그리스 국기.svg
2004 아테네
예선 탈락
파일:중국 국기.svg
2008 베이징
예선 탈락
파일:영국 국기.svg
2012 런던
예선 탈락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2020 도쿄
예선 탈락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4 파리
예선 탈락
파일:미국 국기.svg
2028 로스엔젤레스
파일:호주 국기.svg
2032 브리즈번
합계 본선진출 없음


[1] 로마자로는 Hayastani futboli azgayin havak’akan. 아르메니아어[2] Elo 레이팅스는 상시 나오는 것이므로, 가장 최근 A매치와 그 직전 A매치 사이의 순위변동을 기입함.[3] 2024년 11월 13일 기준.[4] 독립 이전에 예선이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