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 #1868D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 margin: -6px -1px -12px" |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
독일 | 라트비아 | | 루마니아 |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몬테네그로 | |
몰도바 | 몰타 | 벨기에 | 벨라루스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북아일랜드 | 불가리아 |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
스코틀랜드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오스트리아 | |
우크라이나 | 웨일스 | 이스라엘 | 이탈리아 | |
잉글랜드 | 조지아 | 지브롤터 | 체코 | |
카자흐스탄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
튀르키예 | 페로 제도 | 포르투갈 | 폴란드 |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EE1C25>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대 모라비아 왕국 · 체코슬로바키아(슬로바키아 평의회 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 ·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연방공화국 | |
정치 | 정치 전반 · 슬로바키아 대통령 · 슬로바키아 총리 · 슬로바키아 인민당 · 슬로바키아 국민의회 | |
외교 | 외교 전반 · 비셰그라드 그룹 · 유럽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 |
국방 | 슬로바키아군 · 육군 · 공군 · NATO | |
문화 |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관광 · 슬로바키아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 슬로바키아어 | |
민족 | 슬로바키아인 · 슬로바키아계 미국인 · 슬로바키아계 세르비아인 |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 |||
Slovenské národné futbalové mužstvo[1] | |||
<colcolor=#fff><colbgcolor=#001860> FIFA 코드 | SVK | ||
축구 협회 | 슬로바키아 축구 협회 (SFZ) | ||
대륙 연맹 | 유럽 축구 연맹 (UEFA) | ||
홈구장 | 테헬네 폴레 (Tehelńe Pole / 22,500석) 안톤 말라틴스키 경기장 (Štadión Antona Malatinského / 19,200석) | ||
별칭 | Repre (대표팀) | ||
감독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프란체스코 칼초나 (Francesco Calzona) | ||
주장 | C 밀란 슈크리니아르 (Milan Škriniar) | ||
라이벌 |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체코]]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헝가리]] | ||
FIFA 랭킹 | 41위 (2024년 11월 28일 기준 / #) | ||
Elo 랭킹 | 45위 (2024년 11월 21일 기준 / #) | ||
공식 웹사이트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001860> A매치 최다 출전 | 마렉 함식 (Marek Hamšík) - 138경기 / 26골 | |
A매치 최다 득점 | 마렉 함식 (Marek Hamšík) - 138경기 / 26골 | ||
월드컵 최다 득점 | 로베르트 비테크 (Róbert Vittek) - 4골 (2010) | ||
첫 국제경기 출전 |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vs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아랍에미리트]] 1:0 승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 1994년 2월 2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vs [[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리히텐슈타인]] 7:0 승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 2004년 9월 8일)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vs [[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 산마리노]] 7:0 승 (슬로바키아 두브니차나드바홈 / 2007년 10월 13일)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vs [[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 산마리노]] 7:0 승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 2009년 6월 6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vs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아르헨티나]] 0:6 패 (아르헨티나 멘도사 / 1995년 6월 22일)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vs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스웨덴]] 0:6 패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 2017년 1월 12일)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1860> 세계대회 | ||
월드컵 | [진출] 1회 [최고] 16위/16강 (2010) | ||
대륙대회 | |||
유로 | [진출] 2회 [최고] 12위/16강 (2024) |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상의 | ||
하의 | 14 | 22 |
양말 |
[clearfix]
1. 개요
슬로바키아의 축구 국가대표팀.2. 상세
체코슬로바키아 시절 1934년 월드컵과 1962년 월드컵에서 준우승을 하며 축구 강국으로써의 모습을 보였다.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가 해체되고 나서는 축구에선 그다지 강호인 면을 보이지 못했다가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16강에 진출하며 이름을 날렸다. 참고로 체코가 20년 넘도록 월드컵 16강조차 넘겨보질 못한 걸 생각하면 대단한 셈.[2] 게다가 전 대회인 2006 독일 월드컵을 우승한 이탈리아를 맞아 3:2로 격침시키고 16강에 갔다. 자세한 건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F조/슬로바키아 vs 이탈리아 참고.하지만 겨우 2년도 안돼,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는 그동안 유럽 중하위권이라던 아르메니아에게 안방 경기에서 0:4, 원정에서 1:3 패배를 비롯해 2패를 당하며 조 4위로 일찌감치 탈락해버렸다.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에선 그리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과 같은 조를 이뤘다. 이 정도라면 2회 연속 월드컵 진출을 노릴 법했지만 결국 3위로 탈락. 게다가 1위 보스니아와 2위 그리스에 12점이나 승점이 뒤쳐졌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예선에서는 F조 2위를 차지했음에도 2위 팀 간 순위에 밀려 플레이오프에도 출전하지 못하고 탈락하고 말았다.
유로에는 체코슬로바키아 시절 1976년 대회에서 우승하였지만 분리된 이후로는 2012년 대회까지 본선에 오르지 못하였다.
그런데 UEFA 유로 2016 예선에서는 1차전 우크라이나 원정을 1-0, 안방경기에서 스페인을 2-1로 이기며 초반에 1위로 올라섰다. 결국 스페인에 이어 조 2위로 유로 2016 본선에 진출하는데 성공했다. 본선에서는 첫 경기에 웨일즈에게 패했으나, 두 번째 경기에서 러시아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며 분리 이후 첫 유로 대회 승리를 기록했다. 세 번째 경기에서 잉글랜드를 상대로 영혼의 10백을 선보여 0:0으로 비기면서 조 3위로 16강에 진출하는데까지 성공. 16강 상대로는 독일을 만나 0:3으로 패했다.
UEFA 유로 2020 예선에서 웨일스에게 3점차로 밀려 조 3위로 본선직행에는 실패했다. 2018-19 네이션스 리그 성적 덕분에 플레이오프에 나가게 되었고, 플레이오프 준결승에서 아일랜드와 승부차기 혈전 끝에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했고 1달 뒤 열린 결승에서 북아일랜드를 원정에서 또다시 연장까지 가는 접전끝에 2-1로 이겨 2회 연속 본선진출에 성공했다.
유로 2020 본선에서는 폴란드에게 비등 내지 열세라는 예상을 뒤엎고 승리하고, 스웨덴에게는 분전 끝에 1점 차로 패하면서 16강 진출에 나름 유리한 고지를 점하였으나, 마지막 경기 스페인전에서 무려 0:5로 지면서 조 3위 중 최하위 득실을 기록해 탈락하고 말았다.
2022 카타르 월드컵 유럽 예선에서는 경쟁해야 할 대상인 크로아티아, 러시아[3]는 고사하고 반드시 잡아야할 몰타와 키프로스에게 비기는 충격적인 행보가 진행되고 있다. 결국 슬로베니아와 승점은 동점이나 골득실이 앞선 상태로 탈락 확정.
그리고 2022년 네이션스 리그 예선에서는 슬로바키아 축구가 더더욱 파국으로 치닫는 행보를 계속 보이고 있는데, 바로 자신들보다 FIFA 랭킹이 80위나 뒤인 유럽 최하위권 카자흐스탄에게 홈에서 0:1, 원정에서 2:1로 깨지는 충격적인 모습을 연출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거기다 예선에서 카자흐스탄 포함하여 같이 경기를 치르는 국가가 아제르바이잔, 벨라루스라는 메이저 대회 예선만 나왔다 하면 밑바닥 깔아주기 바쁜 팀들인데, 이들상대로도 전승은 커녕 최악의 졸전의 연속을 거듭하자 슬로바키아 축구팬들 사이에서 감독진, 축구협회 모두 싹다 갈아엎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중이다. 당연히 FIFA 랭킹도 쭉쭉 하락해 2022년 3월 45위에서 7개월 만에 무려 10계단이나 추락하는 수모를 당했다.
결국 최악의 졸전을 거듭한 끝에 슈테판 타르코비치 감독은 경질되었고, 프란체스코 칼초나 감독이 부임했다. 유로 2024 예선에서 포르투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아이슬란드,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과 함께 J조에 편성되었다. 슬로바키아는 상술했다시피 지난 네이션스 리그에서 워낙 최악의 경기를 치러서 결국 포트 5까지 떨어졌는데, 자칫하면 포트 2에서 자타공인 최강인 프랑스, 잉글랜드에 포트 3에서 이름값 하는 우크라이나, 스웨덴, 엘링 홀란드를 앞세워 전력의 상승세가 매서운 노르웨이, 포트 4에서 2000년대에 이름 좀 날렸던 그리스, 튀르키예와 최근 복병으로 거론된 북마케도니아와 조지아를 만날 수 있던 것을 피했다는 것만으로도 슬로바키아의 입장에서 천만다행인 셈이다. 포르투갈을 제외하면 해볼 만 한 팀들이기 때문에[4] 충분히 감독진, 선수진 리빌딩을 해서 이전의 졸전을 끊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대회 시작부터 룩셈부르크와 경기에서 홈에서 무를 캐며 초장부터 먹구름이 끼는 듯 했으나, 2차전 홈 경기에서 보스니아를 2-0으로 잡아내면서 살아나는 단초를 마련하게 된다. 그리고 까다로운 아이슬란드 원정에서 2-1로 승리하며 2연승, 약체 리히텐슈타인을 꺾으면서 3연승을 달리게 된다. 물론 최강팀인 포르투갈에게 2연패를 당하면서 기세가 꺾이는 듯 했지만 오히려 다른팀은 포르투갈을 상대로 단 1골도 넣지도 못할 때 슬로바키아는 유일하게 2골을 넣는데 성공하면서 선전했다. 이후에는 순항을 거듭하며 2위 싸움을 하던 룩셈부르크를 원정에서 1-0으로 이기면서 본격적으로 2위 굳히기에 들어갔고, 마침내 홈에서 열린 9라운드 아이슬란드전에서 4-2로 승리하며 3회 연속 유로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대한민국과의 경기는 1998년 4월 15일(현지시간) 홈에서 평가전을 가진 것이 유일하며,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마크론이다.
국내에 알려진 주요 선수로는 주장 마렉 함식, 밀란 슈크리니아르, 마르틴 두브라프카, 페테르 페카리크, 유라이 쿠츠카, 스타니슬라프 로보트카, 온드레이 두다 과거 리버풀의 센터백으로 활약했던 마르틴 슈크르텔 등이 있다.
3.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993년 ~ 현재 | |||||
1대 벵글로시 | 2대 얀케치 | 3대 라돌스키 | 4대 갈리스 | 5대 아다메츠 | ||||||
6대 유르케믹 | 7대 갈리스 | 8대 코시안 | 9대 바이스 | 10대 힙 & 그리가 | ||||||
11대 코자크 | 12대 하팔 | 13대 타르코비치 | ||||||
현직 | ||||||
14대 칼초나 | ||||||
}}}}}} |
4.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1860, #001860)"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1860> |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186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1860> 순서 | 선수 이름 | 출전 횟수 | 첫 경기 | 마지막 경기 |
1 | 마렉 함식 | 138회 | 2007.2.7 | 2023.6.20 | |
2 | 페테르 페카리크 | 132회 | 2006.12.10 | 2024.10.14 | |
3 | 유라이 쿠츠카 | 112회 | 2008.11.19 | 2024.9.8 | |
4 | 미로슬라우 카르한 | 107회 | 1995.9.6 | 2011.10.7 | |
5 | 마르틴 슈크르텔 | 104회 | 2004.7.9 | 2019.10.13 |
5. 현재 선수 명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66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owcolor=#fff>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GK | 1 | 마르틴 두브라프카 (Martin Dúbravka) | 1989년 1월 15일 ([age(1989-01-15)]세) | 36 | 0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 |
12 | 마레크 로다크 (Marek Rodák) | 1996년 12월 13일 ([age(1996-12-13)]세) | 19 | 0 | 알 에티파크 FC | ||
23 | 헨리히 라바스 (Kristoffer Nordfeldt) | 1997년 8월 16일 ([age(1997-08-16)]세) | 0 | 0 | 비제프 우치 | ||
- | 도미닉 그라이프 (Dominik Greif) | 1997년 4월 6일 ([age(1997-04-06)]세) | 4 | 0 | RCD 마요르카 | ||
DF | 2 | 페테르 페카리크 (Peter Pekarík) | 1986년 10월 30일 ([age(1986-10-30)]세) | 119 | 2 | 헤르타 BSC | |
3 | 데니스 바브로 (Denis Vavro) | 1996년 4월 10일 ([age(1996-04-10)]세) | 15 | 2 | FC 코펜하겐 | ||
4 | 마르틴 발리옌트 (Martin Valjent) | 1995년 12월 11일 ([age(1995-12-11)]세) | 13 | 0 | RCD 마요르카 | ||
5 | 루보미르 샤트카 (Ľubomír Šatka) | 1995년 12월 2일 ([age(1995-12-02)]세) | 32 | 0 | 삼순스포르 | ||
6 | 노르베르트 기옴베르 (Norbert Gyömbér) | 1992년 7월 3일 ([age(1992-07-03)]세) | 33 | 0 | US 살레르니타나 1919 | ||
14 | 밀란 슈크리니아르 (Milan Škriniar) | 1995년 2월 11일 ([age(1995-02-11)]세) | 60 | 3 | 파리 생제르맹 FC | ||
15 | 버논 드마르코 (Vernon De Marco) | 1992년 11월 18일 ([age(1992-11-18)]세) | 6 | 1 |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
16 | 다비드 한츠코 (Dávid Hancko) | 1997년 12월 13일 ([age(1997-12-13)]세) | 29 | 2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
23 | 미할 토믹 (Michal Tomic) | 1999년 4월 22일 ([age(1999-04-22)]세) | 1 | 0 | SK 슬라비아 프라하 | ||
MF | 7 | 토마시 수슬로프 (Tomáš Suslov) | 2002년 6월 7일 ([age(2002-06-07)]세) | 20 | 2 | 엘라스 베로나 FC | |
13 | 파트리크 흐로쇼프스키 (Patrik Hrošovský) | 1992년 4월 22일 ([age(1992-04-22)]세) | 49 | 0 | KRC 헹크 | ||
19 | 유라이 쿠츠카 (Juraj Kucka) | 1987년 2월 26일 ([age(1987-02-26)]세) | 99 | 12 |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
20 | 로베르트 마크 (Róbert Mak) | 1991년 3월 8일 ([age(1991-03-08)]세) | 77 | 15 | 시드니 FC | ||
21 | 마투스 베로 (Matúš Bero) | 1995년 2월 6일 ([age(1995-02-06)]세) | 28 | 1 | VfL 보훔 | ||
22 | 스타니슬라프 로보트카 (Stanislav Lobotka) | 1994년 11월 25일 ([age(1994-11-25)]세) | 47 | 3 | SSC 나폴리 | ||
- | 크리스티안 헤르크 (Christián Herc) | 1998년 9월 30일 ([age(1998-09-30)]세) | 4 | 0 |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 ||
- | 온드레이 두다 (Ondrej Duda) | 1994년 12월 5일 ([age(1994-12-05)]세) | 63 | 10 | 엘라스 베로나 FC | ||
- | 알베르트 루스낙 (Albert Rusnak) | 1994년 7월 7일 ([age(1994-07-07)]세) | 38 | 7 | 시애틀 사운더스 FC | ||
FW | 8 | 다비드 스트렐레츠 (David Strelec) | 2001년 4월 4일 ([age(2001-04-04)]세) | 1 | 0 | 스페치아 칼초 | |
9 | 로베르트 보제니크 (Róbert Boženík) | 1999년 11월 18일 ([age(1999-11-18)]세) | 31 | 5 | 보아비스타 FC | ||
10 | 로베르트 폴리에브카 (Róbert Polievka) | 1996년 6월 9일 ([age(1996-06-09)]세) | 4 | 0 | MFK 두클라 반스카비스트리차 | ||
11 | 다비드 두리스 (Dávid Ďuriš) | 1999년 3월 27일 ([age(1999-03-27)]세) | 5 | 0 | MŠK 질리나 | ||
18 | 이반 슈란츠 (Ivan Schranz) | 1993년 9월 13일 ([age(1993-09-13)]세) | 17 | 3 | SK 슬라비아 프라하 | ||
- | 루카스 하라슬린 (Lukáš Haraslín) | 1996년 5월 26일 ([age(1996-05-26)]세) | 29 | 3 | AC 스파르타 프라하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07월 26일 |
6. 역대전적
6.1. FIFA 월드컵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 55위⑯[5]
- 1994년 대회까지는 체코슬로바키아 기록이다. 하지만 체코슬로바키아의 기록은 모두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이 이어받는다. 따라서 슬로바키아는 공식적으로 월드컵 진출 1회다.
체코슬로바키아 시절 축구협회 엠블렘 |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체코에 승계) | |||||||||
1930년 우루과이 | 독립 이전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 ||||||||
1934년 이탈리아 | |||||||||
1938년 프랑스 | |||||||||
1950년 브라질 | |||||||||
1954년 스위스 | |||||||||
1958년 스웨덴 | |||||||||
1962년 칠레 | |||||||||
1966년 잉글랜드 | |||||||||
1970년 멕시코 | 독립 이전 (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
1974년 서독 | |||||||||
1978년 아르헨티나 | |||||||||
1982년 스페인 | |||||||||
1986년 멕시코 | |||||||||
1990년 이탈리아 | 독립 이전 (슬로바키아 공화국) | ||||||||
※ 슬로바키아 제2공화국 | |||||||||
1994년 미국 | 없음[6] | ||||||||
1998년 프랑스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02년 한일 | |||||||||
2006년 독일 | |||||||||
2010년 남아공 | 16강 | 16위 | 4 | 4 | 1 | 1 | 2 | 5 | 7 |
2014년 브라질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18년 러시아 | |||||||||
2022년 카타르 | |||||||||
2026년 북중미 | ? | ? | ? | ? | ? | ? | ? | ? | ? |
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2034년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1회 / 16강 1회 | 4 | 4 | 1 | 1 | 2 | 5 | 7 |
총성적은 1승 1무 2패, 승점 4점으로 월드컵 랭킹 55위를 기록하고 있다. 북한, 슬로베니아, 쿠바와 승점이 같지만 쿠바의 경우 당시 쿠바가 참여한 1938 대회는 15개국 출전 기준으로 평균 점수를 동일한 기준으로 판단하기 어려워 골득실로 판단, 승점이 같은 네 나라 중 1위를 지키고 있다. 2010 남아공월드컵에도 1990 이탈리아 이후 20년만에, 분리독립 이후 처음이었으므로 국제대회에서 모습을 보기는 힘들지만 어느 정도 저력이 있는 팀이다.
다른 나라들과의 상대전적은 이탈리아 1승(2010), 네덜란드 1패(2010), 파라과이 1패(2010), 뉴질랜드 1무(2010)이다.
대륙별 상대전적은 유럽 1승 1패, 남미 1패, 오세아니아 1무이다. 한경기 최다득점은 2010년 32강 조별리그 이탈리아전 3:2 승으로 세 골을 넣었으며, 최다실점 기록은 2010년 32강 조별리그 파라과이전 0:2 패, 이탈리아전 3:2 승, 2010년 16강 네덜란드전 1:2 패로 두 골을 허용했다.
자세한 내용은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참조
6.2.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UEFA 유럽 선수권 대회 순위: 16위- 1992년 대회까지 체코슬로바키아 기록이다.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체코에 승계) | |||||||||
1960년 프랑스 | 독립 이전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 ||||||||
1964년 스페인 | |||||||||
1968년 이탈리아 | 독립 이전 (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
1972년 벨기에 | |||||||||
1976년 유고슬라비아 | |||||||||
1980년 이탈리아 | |||||||||
1984년 프랑스 | |||||||||
1988년 독일 | |||||||||
1992년 스웨덴 | 독립 이전 (슬로바키아 공화국) | ||||||||
※ 슬로바키아 제2공화국 | |||||||||
1996년 잉글랜드 | 본선 진출 실패[16강] | ||||||||
2000년 벨기에/네덜란드 | |||||||||
2004년 포르투갈 | |||||||||
2008년 오스트리아/스위스 | |||||||||
2012년 폴란드/우크라이나 | |||||||||
2016년 프랑스 | 16강 | 14위 | 4 | 4 | 1 | 1 | 2 | 3 | 6 |
2020년 유로 | 조별리그 | 18위 | 3 | 3 | 1 | 0 | 2 | 2 | 7 |
2024년 독일 | 16강 | 12위 | 4 | 4 | 1 | 1 | 2 | 4 | 5 |
합계 | 본선진출 3회 / 16강 2회[10] | 11 | 11 | 3 | 2 | 6 | 9 | 18 |
국가명 | 전적 | 대회연도 |
독일 | 1패 | 2016 |
스페인 | 1패 | 2020 |
잉글랜드 | 1무 1패 | 2016, 2024 |
러시아 | 1승 | 2016 |
벨기에 | 1승 | 2024 |
스웨덴 | 1패 | 2020 |
폴란드 | 1승 | 2020 |
웨일스 | 1패 | 2016 |
루마니아 | 1무 | 2024 |
우크라이나 | 1패 | 2024 |
유로 2016 대회에 분리독립 이후 처음으로 24강 본선에 진출했다. 당시 마렉 함식의 활약으로 러시아를 잡고 16강 14위까지 올랐다. 다음 대회인 유로 2020에서도 24강 본선 진출에 성공했고, 24강 조별리그에서 폴란드를 잡고 산뜻한 출발을 했으나, 스웨덴에게 지고, 마지막 경기 스페인에게 큰 점수차로 지지만 않아도 16강 진출에 성공하는 상황에서 어이없게 0-5 대패를 당하는 바람에 골득실에 밀려 조 3위에 주어진 티켓까지 놓치는 참사를 경험했다.
6.3. 대한민국과의 전적
1998년 프랑스 월드컵을 대비한 대한민국의 유럽 원정 평가전의 상대로 슬로바키아 홈에서 1차례 맞대결을 가진바 있다. 당시 슬로바키아는 월드컵 본선진출에 실패했지만, 유럽 예선에서 같은 조의 강호 체코를 2-1로 잡고, 유고슬라비아와 1-1로 한 차례 비기기도 한 만만치 않은 전력의 팀이었다. 게다가 슬로바키아의 홈에서 펼쳐진 경기로, 힘든 경기가 예상되었고, 결국 0-0으로 비기며 경기가 끝났다. 이후 두 팀의 맞대결은 26년째 성사되지 않고 있다.경기 스코어는 슬로바키아가 왼쪽이며, 괄호안은 전반전 스코어다.
일자 | 장소 | 스코어 | 슬로바키아 득점자 | 대한민국 득점자 | 비고 |
1998년 4월 15일 | 브라티슬라바 스타디움 (슬로바키아) | 0:0 | X | X | 친선경기 |
총 전적 | 1전 1무 |
7. 연령별 대표팀
7.1. U-23 대표팀
7.1.1. 올림픽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2년 대회 부터 u-23세로 나이 변경 | |||||||||
1992 바르셀로나 |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 ||||||||
1996 애틀란타 | |||||||||
2000 시드니 | 조별리그 | 15위 | 3 | 3 | 1 | 0 | 2 | 4 | 6 |
2004 아테네 |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 ||||||||
2008 베이징 | |||||||||
2012 런던 |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
2020 도쿄 | |||||||||
2024 파리 | |||||||||
2028 로스엔젤레스 | |||||||||
2032 브리즈번 | |||||||||
합계 | 본선진출 1회 | 3 | 3 | 1 | 0 | 2 | 4 | 6 |
[1] 슬로바키아어[2] 대신 체코는 유로 1996 준우승, 유로 2004 4강, 유로 2012 8강에 해체 후 전 대회(5연속) 진출하며, 유로에선 슬로바키아를 압도한다.[3] 물론 러시아 상대로 홈에서 2대1 승리는 거두었으나 원정경기에서 자책골까지 넣고 패배를 당한 바람에 앞전에 졸전한 경기들을 만회할 수 조차 없게 되었다.[4] 이 조에서 포르투갈을 제외하고 슬로바키아는 유일하게 월드컵에서 조별예선을 통과해 16강까지 가본 경험이 있다. 보스니아와 아이슬란드 또한 각각 2014년, 2018년에 월드컵 처녀출전을 했지만 두 국가 모두 16강 진출에 실패했다.[5] 체코슬로바키아 시절 기록 제외[6] 독립 당시 이미 예선이 진행 중이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10] 최고순위 12위(2024 독일)[16개팀] 본선 올림픽 축구에 진출 실패했다.[16개팀] 본선 올림픽 축구에 진출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