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395> |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괌 |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
| | | | |
동티모르 | 라오스 | 레바논 | 마카오 | |
| | | |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
| | | |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
| | | | |
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
| | | |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 |
| | | |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인도 | |
| | | | |
인도네시아 | 일본 | 중국 | 카타르 | |
| | | |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 | | |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
| | | ||
필리핀 | 호주 | 홍콩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 서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 | |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
| | | | |
아랍에미리트 | 예멘 | 오만 | 요르단 | |
| | | | |
이라크 | 카타르 | 쿠웨이트 | 팔레스타인 | }}}}}}}}} |
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 | |||
لبنان الوطني لكرة القدم | |||
<colbgcolor=#c51218><colcolor=#fff> 정식명칭 | [1]لبنان الوطني لكرة القدم Équipe du Liban de football[2] | ||
FIFA 코드 | LBN | ||
협회 | 레바논 축구 협회 (LFA) | ||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
지역연맹 | 서아시아 축구 연맹 (WAFF) | ||
홈 구장 | 사이다 무니시팔 스타디움 (Saida Municipal Stadium, 22,600석) | ||
별칭 | الأرز (레바논삼나무) | ||
감독 |
미오드라그 라둘로비치 (Miodrag Radulovic) | ||
주장 | 모하마드 하이다르 (Mohamad Haidar) | ||
FIFA 랭킹 | 113위 (2025년 9월 18일 기준 / #) | ||
Elo 랭킹 | 123위 (2025년 9월 15일 기준 / #) | ||
{{{#!wiki style="color: #ff0000;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51218><colcolor=#fff> A매치 최다 출전 | 하산 마툭 (Hassan Maatouk) - 123경기 / 26골 | |
A매치 최다 득점 | 하산 마툭 (Hassan Maatouk) - 123경기 / 26골 | ||
첫 국제경기 출전 | 레바논 vs (영국령 팔레스타인 텔아비브 / 1940년 4월 27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레바논 vs
필리핀 11:1 승(일본 도쿄 / 1967년 9월 28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레바논 vs (이라크 바그다드 / 1959년 11월 25일) | ||
레바논 vs
카타르 0:8 패(카타르 도하 / 1985년 3월 27일)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51218> 대륙대회 | ||
아시안컵 | [진출] 3회 [최고] 10위/조별리그[4] (2000) | ||
WAFF컵 | [진출] 8회 [최고] 5위/조별리그 (2010) | ||
SAFF컵 | [진출] 1회 [최고] | ||
아랍컵 | [진출] 8회 [최고] |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상의 | ||
하의 | 7 | 8 |
양말 |
1. 개요
레바논의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81위(2018년 11월 29일 ~ 2019년 2월 6일), 최저 순위는 161위(1992년 12월 31일)이다.2. 상세
홈구장은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이며, 감독은 미오드라그 라둘로비치다. 삼나무들(Les Cèdres)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1960년대에는 아랍컵에서 3위[5], 4위[6]를 차지한 적이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볼때 실력이 좋지 않은 국가이다.
아직까지 FIFA 월드컵 본선에 출전한 기록은 없다. AFC 아시안컵은 2000년 대회 개최국으로써 본선에 올랐으나 조별리그에서 탈락하였다.
전력이 그렇게 강한 팀은 아니었기에 아시안컵도 거의 나오지 못했으나, 출전 국가가 늘어난 2019 AFC 아시안컵에서 간만에 본선에 진출했다. 다만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에게 연달아 패배했고 16강을 노리기 위해 3골 차 이상의 승리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는데, 최종전인 북한전에서 선제골을 먹히고도 4골을 몰아쳐 4-1로 근성의 승리를 따냈지만, 페어플레이 점수에서 밀리며 탈락의 고배를 마셔야 했다.
FIFA 랭킹으로 따지자면 약체로 볼 수 있지만 의외로 대한민국이 원정 가면 고전하는 팀이다. 2010년대 후반에 들어서 FIFA 랭킹이 많이 상승했다. 2025년 7월 기준 FIFA 랭킹이 112위로, 과거에 비하면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다. 당장 상술된 2016년 경기 이후 한국이 레바논을 상대로 거둔 4승이 모두 1점 차 승리다. 동네북이던 과거에 비해 아시아 강팀들에게 고춧가루를 뿌릴 정도의 전력은 갖추어졌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기복이 심한 편이라 카타르 월드컵 2차예선 때는 최종전에서 한국에게 선제골을 넣고도 자책골, PK 등으로 자멸하며 패하는 등 예선 내내 전반적으로 경기력이 좋지 않았다.[7] 그래서인지 최종예선 A조에서는 전력상 가장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3위 후보들인 이라크, 시리아, 아랍에미리트가 물고 물리는 바람에 운 좋게 아랍에미리트와 3위 다툼을 하는 중이었으나 결국 후반기에 들어서는 1무 4패라는 끔찍한 성적을 기록하며 최종예선에서 탈락했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capelli다.
주요 선수로는 J1리그에서 활약한 호안 오우마리, K리그 안산 그리너스에서 뛰었던 수니 사드, SV 메펜 1912에서 뛰었던 힐랄 엘헬웨 등이 있다. 유망한 선수론 잉글랜드 5부 리그 올더숏 타운 FC에서 뛰는 하디 간두르, EFL 리그 투의 AFC 윔블던에서 뛰고 있는 오마르 부기엘이 있다.
2023년 이후 레바논 대표팀의 노쇠화로 인해 전력이 많이 약화되었다. 2023 아시안컵에서는 1무 2패로 중국에게도 밀린 조 최하위로 조별리그에서 광탈하고 2026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에서 최약체 방글라데시전 1-1 무승부를 기록하고 팔레스타인과의 경기에서 무득점 무승부를 기록하여 결국 2차예선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이대로라면 다시 중동의 동네북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 그래도 2025년 8월 25일 친선경기에서 무려 아시안컵 2연패를 달성한 카타르를 원정에서 1-0으로 제압하며 도깨비팀의 모습은 여전한 듯하다.
참고로, 레바논은 정세가 불안하고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나라가 아니다보니[8] 홈 경기장이 프로선수들이 쓰는 경기장이 맞나 싶을 정도로 열악하다. 잔디가 제대로 심어져 있지 않은데다 질도 떨어져서 사실상 학교 운동장하고 다를 바가 없을 정도로 심각한 편. 그런데 레바논은 이 점을 이용하여 원정팀을 공략하는 전략을 잘 활용하니[9] 원정팀 입장에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3. 역대 전적
3.1. FIFA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시리아-레바논 위임통치령의 일부 | |||||||||
1930 우루과이 | 축구협회 창립 이전 (대레바논) | ||||||||
1934 이탈리아 | FIFA 비회원국 | ||||||||
1938 프랑스 | 불참 | ||||||||
※ 레바논 공화국 | |||||||||
1950 브라질 | 불참 | ||||||||
1954 스위스 | |||||||||
1958 스웨덴 | |||||||||
1962 칠레 | |||||||||
1966 잉글랜드 | |||||||||
1970 멕시코 | |||||||||
1974 서독 | |||||||||
1978 아르헨티나 | |||||||||
1982 스페인 | |||||||||
1986 멕시코 | 기권 | ||||||||
1990 이탈리아 | 불참 | ||||||||
1994 미국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1998 프랑스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02 한일 | |||||||||
2006 독일 | |||||||||
2010 남아공 | |||||||||
2014 브라질 | |||||||||
2018 러시아 | |||||||||
2022 카타르 | |||||||||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본선 진출 실패[48개국] | ||||||||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 | ? | ? | ? | ? |
2034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3.2. AFC 아시안컵
-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24위
대회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56 홍콩 | AFC 비회원국 | |||||||||
1960 대한민국 | ||||||||||
1964 이스라엘 | ||||||||||
1968 이란 | 불참 | |||||||||
1972 태국 | 본선 진출 실패[6강] | |||||||||
1976 이란 | 기권 | |||||||||
1980 쿠웨이트 | 본선 진출 실패[10강] | |||||||||
1984 싱가포르 | 기권 | |||||||||
1988 카타르 | ||||||||||
1992 일본 | ||||||||||
1996 아랍에미리트 | 본선 진출 실패[12강] | |||||||||
2000 레바논 | 조별리그[16] | 10위 | 2 | 3 | 0 | 2 | 1 | 3 | 7 | |
2004 중국 | 본선 진출 실패[16강] | |||||||||
2007 아세안 | 기권 | |||||||||
2011 카타르 | 예선 탈락 | |||||||||
2015 호주 | ||||||||||
2019 아랍에미리트 | 조별리그 | 18위 | 3 | 3 | 1 | 0 | 2 | 4 | 5 | |
2023 카타르 | 조별리그 | 21위 | 1 | 3 | 0 | 1 | 2 | 1 | 5 | |
2027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3회[18] | 6 | 9 | 1 | 3 | 5 | 8 | 17 |
3.3.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요르단 2000 | 조별리그 | 5위 | 3 | 1 | 1 | 1 | 3 | 2 | 4 |
시리아 2002 | 조별리그 | 6위 | 2 | 0 | 0 | 2 | 0 | 3 | 0 |
이란 2004 | 조별리그 | 6위 | 2 | 0 | 0 | 2 | 1 | 7 | 0 |
요르단 2007 | 조별리그 | 6위 | 2 | 0 | 0 | 2 | 0 | 4 | 0 |
이란 2008 | 불참 | ||||||||
요르단 2010 | |||||||||
쿠웨이트 2012 | 조별리그 | 9위 | 3 | 1 | 0 | 2 | 2 | 3 | 3 |
카타르 2014 | 조별리그 | 8위 | 2 | 0 | 1 | 1 | 0 | 2 | 1 |
이라크 2019 | 조별리그 | 7위 | 4 | 1 | 1 | 2 | 3 | 4 | 4 |
아랍에미리트 2023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7회[19] | 18 | 3 | 3 | 12 | 9 | 25 | 12 |
3.4. FIFA 아랍컵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레바논 1963 | 결선리그 | 3위 | 4 | 2 | 0 | 2 | 13 | 4 | 6 |
쿠웨이트 1964 | 결선리그 | 4위 | 4 | 1 | 1 | 2 | 4 | 5 | 4 |
이라크 1966 | 4강 | 4위 | 6 | 3 | 1 | 2 | 11 | 10 | 10 |
사우디아라비아 1985 | 불참 | ||||||||
요르단 1988 | 조별리그 | 6위 | 4 | 1 | 2 | 1 | 2 | 4 | 5 |
시리아 1992 | 불참 | ||||||||
카타르 1998 | 조별리그 | 9위 | 2 | 0 | 1 | 1 | 1 | 4 | 1 |
쿠웨이트 2002 | 조별리그 | 8위 | 4 | 1 | 1 | 2 | 5 | 7 | 4 |
사우디아라비아 2012 | 조별리그 | 10위 | 3 | 0 | 1 | 2 | 1 | 4 | 1 |
카타르 2021 | 조별리그 | 10위 | 3 | 1 | 0 | 2 | 1 | 3 | 3 |
합계 | 본선진출 8회 / 3위 1회 | 30 | 9 | 7 | 14 | 38 | 41 | 34 |
3.5.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인도 2023 | 4강 | 3위 | 4 | 3 | 1 | 0 | 7 | 1 | 10 |
합계 | 본선진출 1회 / 3위 1회 | 4 | 3 | 1 | 0 | 7 | 1 | 10 |
4. 연령별 대표팀
4.1. U-23 대표팀
4.1.1. AFC U-23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14 오만 | 예선 탈락 | ||||||||||
2016 카타르 | |||||||||||
2018 중국 | |||||||||||
2020 태국 | |||||||||||
2022 우즈베키스탄 | |||||||||||
2024 카타르 | |||||||||||
2026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
굵은 글씨는 올림픽 출전권이 걸려있는 대회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2. U-20 대표팀
4.2.1. AFC U-20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59 말레이시아 | 비회원국 | ||||||||||
1960 말레이시아 | |||||||||||
1961 태국 | |||||||||||
1962 태국 | |||||||||||
1963 말레이시아 | |||||||||||
1964 남베트남 | |||||||||||
1965 일본 | 불참 | ||||||||||
1966 필리핀 | |||||||||||
1967 태국 | |||||||||||
1968 대한민국 | |||||||||||
1969 태국 | |||||||||||
1970 필리핀 | |||||||||||
1971 일본 | |||||||||||
1972 태국 | |||||||||||
1973 이란 | 8강 | 7위 | 6 | 4 | 1 | 3 | 0 | 3 | 1 | ||
1974 태국 | 불참 | ||||||||||
1975 쿠웨이트 | |||||||||||
1976 태국 | |||||||||||
1977 이란 | |||||||||||
1978 방글라데시 | |||||||||||
1980 태국 | |||||||||||
1982 태국 | |||||||||||
1985 UAE | |||||||||||
1986 사우디 | |||||||||||
1988 카타르 | 예선 탈락 | ||||||||||
1990 인도네시아 | 불참 | ||||||||||
1992 UAE | 예선 탈락 | ||||||||||
1994 인도네시아 | 불참 | ||||||||||
1996 대한민국 | 예선 탈락 | ||||||||||
1998 태국 | 불참 | ||||||||||
2000 이란 | 예선 탈락 | ||||||||||
2002 카타르 | 기권 | ||||||||||
2004 말레이시아 | 예선 탈락 | ||||||||||
2006 인도 | |||||||||||
AFC U-19 챔피언십 대회 | |||||||||||
2008 사우디[20] | 조별리그 | 16위 | 0 | 3 | 0 | 0 | 3 | 2 | 12 | ||
2010 중국 | 기권 | ||||||||||
2012 UAE | 예선 탈락 | ||||||||||
2014 미얀마 | |||||||||||
2016 바레인 | |||||||||||
2018 인도네시아 | |||||||||||
AFC U-20 아시안컵 | |||||||||||
2023 우즈베키스탄 | 예선 탈락 | ||||||||||
2025 중국 | |||||||||||
합계 | 본선진출 2회 / 8강 1회 | 6 | 7 | 1 | 3 | 3 | 5 | 13 |
4.3. U-17 대표팀
4.3.1. AFC U-17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AFC U-16 Championship | |||||||||||
1985 카타르 | 불참 | ||||||||||
1986 카타르 | |||||||||||
1988 태국 | |||||||||||
1990 아랍에미리트 | |||||||||||
1992 사우디아라비아 | |||||||||||
1994 카타르 | |||||||||||
1996 태국 | |||||||||||
1998 카타르 | |||||||||||
2000 베트남 | 예선 탈락 | ||||||||||
AFC U-17 Championship | |||||||||||
2002 아랍에미리트 | 기권 | ||||||||||
2004 일본 | 예선 탈락 | ||||||||||
2006 싱가포르 | |||||||||||
AFC U-16 Championship | |||||||||||
2008 우즈베키스탄 | 예선 탈락 | ||||||||||
2010 우즈베키스탄 | |||||||||||
2012 이란 | 기권 | ||||||||||
2014 태국 | 예선 탈락 | ||||||||||
2016 인도 | |||||||||||
2018 말레이시아 | |||||||||||
AFC U-17 아시안컵 | |||||||||||
2023 태국 | 예선 탈락 | ||||||||||
2025 사우디아라비아 | 기권 | ||||||||||
2026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2027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2028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2029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5. 국가별 전적
5.1. 대한민국과 전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6002D> | 국가별 상대전적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colcolor=#fff> 대표팀 | 국가 | 최다득점 | 최근 전적 | |||||
<colcolor=#fff>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
<rowcolor=#fff> | | 박주영(3) | 1:0 승 (2022) | |||||
16 | 12 | 3 | 1 | 28 | 5 | +23 | ||
<rowcolor=#fff> | | 허정무, 최순호(4) | 3:1 승 (2024) | |||||
17 | 12 | 4 | 1 | 40 | 12 | +28 | ||
<rowcolor=#fff> | | 황선홍, 조규성(2) | 1:1 무 (2024) | |||||
19 | 5 | 9 | 5 | 20 | 16 | +4 | ||
<rowcolor=#fff> | | 박성화(2) | 2:0 승 (2022) | |||||
10 | 6 | 3 | 1 | 12 | 5 | +7 | ||
<rowcolor=#fff> | | 박주영 등 5명(3) | 0:1 패 (2022) | |||||
21 | 13 | 5 | 3 | 36 | 14 | +22 | ||
<rowcolor=#fff> | | 박성화(4) | 6:0 승 (1984) | |||||
1 | 1 | 0 | 0 | 6 | 0 | +6 | ||
<rowcolor=#666> | | 최순호(2) | 3:0 승 (1982) | |||||
1 | 1 | 0 | 0 | 3 | 0 | +3 | ||
<rowcolor=#fff> | | 안정환(2) | 1:1 무 (2025) | |||||
7 | 5 | 1 | 1 | 12 | 6 | +6 | ||
<rowcolor=#fff> | | 박주영(2) | 1:1 무 (2025) | |||||
9 | 4 | 4 | 1 | 10 | 7 | +3 | ||
<rowcolor=#fff> | | 이재성(3) | 2:0 승 (2025) | |||||
25 | 11 | 12 | 2 | 32 | 16 | +16 | ||
<rowcolor=#fff> | | 이근호(3) | 2:1 승 (2020) | |||||
11 | 6 | 2 | 3 | 19 | 13 | +6 | ||
<rowcolor=#fff> | | 이동국(5) | 4:0 승 (2025) | |||||
26 | 14 | 4 | 8 | 37 | 21 | +16 | ||
<rowcolor=#fff> | | 손흥민(1) | 1:1 무 (2024) | |||||
2 | 0 | 2 | 0 | 1 | 1 | 0 | ||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
| <colcolor=#fff> 역대 전적 | |
| A매치 | |
<nopad> 16 전[🏟️] | ||
<colbgcolor=#000><colcolor=#fff> 1 승 | <nopad> 3 무 | <colbgcolor=#000><colcolor=#fff> 12 승 |
5 득점 (-23) | <nopad> | 28 득점 (+5) |
<rowcolor=#fff> 수니 사드 등 5명(1) | 최다득점자 | 박주영(3) |
| 선수 기록 | |
<nopad> 최근경기: 대한민국 승 (2022) |
대한민국과의 역대 전적은 16전 1승 3무 12패로 절대열세. 대한민국이 이스라엘, 이란을 제외[25]하고 현재 순수하게 서아시아 축구로 남아있는 국가들 중에 가장 처음으로 조우한 중동국가이다. 1967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예선이 첫 만남으로 한국에 0-2로 패했다.
이후에도 한국과 꽤 많이 만났는데, 유달리 이상할 정도로 중동 팀 중에서는 월드컵 예선에서 한국과 매우 자주 만난다.
1993년 미국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만나 한국에게 0:1, 0:2로 졌으며 2004년 독일 월드컵 2차예선에서 1:1, 0:2를 기록했다. 그리고 2014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에서 또 한국과 만났는데 한국 원정경기에서 0:6으로 대패하면서 별 거 아닌 팀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2011년 11월 15일 벌어진 레바논 원정에선 침대축구를 벌이긴 해도 한국 국대팀의 부진이 드러난 경기를 보여주면서 사상 처음으로 레바논에게 1:2로 져버렸다. FIFA 랭킹 146위 레바논에게 설마 지겠냐는 분위기었으나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이 경기가 결정타가 되어 당시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인 조광래가 귀국 직후에 경질되었다. 레바논은 덕분에 아랍에미리트전에 2:4로 패배했지만 한국이 쿠웨이트를 이기면서 2위로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이후 레바논은 홈이긴 했어도 한 수 위로 여겨진 아랍에미리트를 3:1로 관광태웠으며 쿠웨이트와도 홈에서 2:2로 비기고 원정에서 1: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였다.
하지만 이후 친선전 및 월드컵 최종 예선에서 2무 7패로 도통 이기질 못했다. 그것도 대부분 상대들이 한국을 빼면 아랍 및 북아프리카 국가들로 수단, 오만 같은 나라들([26]에게 졌다. 한 마디로 중동에서조차 동네북 신세로 다시 전락한 셈이다. 그나마 FIFA 랭킹 63위 우즈베키스탄을 상대로 월드컵 최종예선 경기를 안방에서 1:1로 비긴 게 가장 선전한 성과였다. 2014 월드컵 최종예선도 초반부터 1무 2패(한국에게 0:3 패, 카타르에게 0:1 패, 우즈벡전 무승부)로 꼴찌로 떨어졌으며, 2012년 6월 24일에 열린 아랍컵 대회에서도 2연패로 광탈했다. 한편 부진에 빠진 레바논 소식이 국내에 보도되자 다시 한번 조광래에 대한 비난이 고개를 들기도 했다. 이런 팀에게 진 한국은 대체 뭐냐며...
그러다가 2012년 9월 11일에 벌어진 월드컵 최종예선 3차전 홈에서 역사상 처음으로 이란을 1:0으로 이기면서 오랜만에 이겼고, 더불어 한국에 이어 이란에게도 레바논 쇼크를 안겨줬다. 그러나 이 승리를 빼곤 1승 1무 4패 부진 속에 A조에서 맨 먼저 탈락했다. 남은 2경기를 이겨도 승점 10점이 되기에 이미 10점으로 골득실에 앞선 한국과 11점인 우즈베키스탄을 따라잡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거기에 2013년 4월, 난데없이 승부조작으로 무려 23명이나 되는 축구선수들이 처벌받았다. 그 중 영구제명 및 중징계를 받은 선수들 일부는 국가대표 선수들이라 앞으로 남은 월드컵 예선 경기도 큰 타격을 받을 듯. 결국 일찌감치 조 꼴찌로 본선 탈락했다. 그리고 국가대표 감독인 테오 뷔커는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알 에티파크 FC 감독으로 새롭게 계약하면서 레바논을 떠났다.[27]
2015년 9월 8일 레바논 홈에서 2018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지역 2차예선 한국 대 레바논 경기가 있었다. 자세한 건 여기와 이 문서 참고.
2016년 3월 24일 다시 한국 원정에서 최종예선에 진출하기 위해 침대축구, 우주수비를 동원해 대한민국의 공격을 막았으나, 막판 기성용의 돌파에 이은 이정협의 골로 0:1로 지고 만다. 그리고 3월 29일에 홈에서 미얀마를 만났으나 뚫기 어려운 한국의 수비에 비해 쉽게 뚫릴 것 같았던 미얀마의 수비를 뚫지 못하고 되려 미얀마의 수비에 말려들다 선취골을 먹히고 막판 동점골을 넣었으나 1:1로 비기고 월드컵 예선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예선에서 또 한국과 만났다. 이번에는 레바논 홈경기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했고, 한국 홈경기에서는 한국이 2:1로 역전승했다.
이후 최종예선에서도 또 다시 한국을 만나게 되었고, 2021년 9월 7일 한국 홈에서 열린 경기에서 권창훈의 결승골로 한국이 1:0 승리를 거뒀다. 2022년 1월 27일 레바논 원정에서 치러진 경기에서는 조규성의 결승골로 한국이 또 1:0 승리를 거뒀다.
5.1.1. 대한민국 역대 경기결과
| <nopad> 2022-01-27 | ||||
<nopad> 0: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22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아시아 최종예선 A조 7차전 | ||||
일시: 2022년 1월 27일 14:00[UTC+2]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사이다 무니시팔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30> - | 0:1 (0:1) | <colbgcolor=#fff><colcolor=#030> 정우영 조규성 김영권 | |||
호안 오우마리 | - | ||||
감독: | 승 | 감독: | |||
|
A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최종예선 조별리그 7차전 종료 후 A조 순위[32]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19 | 7 | 6 | 1 | 0 | 12 | 2 | +10 |
<rowcolor=#fff> | • 2 | 17 | 7 | 5 | 2 | 0 | 9 | 2 | +7 |
<rowcolor=#fff> | • 3 | 9 | 7 | 2 | 3 | 2 | 6 | 5 | +1 |
<rowcolor=#fff> | • 4 | 5 | 7 | 1 | 2 | 4 | 4 | 7 | -3 |
<rowcolor=#fff> | • 5 | 4 | 7 | 0 | 4 | 3 | 3 | 10 | -7 |
<rowcolor=#fff> | • 6 | 2 | 7 | 0 | 2 | 5 | 5 | 13 | -8 |
<nopad> 2021-09-07 | | ||||
<nopad> 1: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22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아시아 최종예선 A조 2차전 | ||||
일시: 2021년 9월 7일 20: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수원월드컵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030> - | 1:0 (0:0) | <colbgcolor=#fff><colcolor=#030> - | |||
권창훈 | 하산 마툭 왈리드 슈르 카셈 엘제인 | ||||
감독: | 승 | 감독: | |||
|
A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최종예선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A조 순위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6 | 2 | 2 | 0 | 0 | 4 | 0 | +4 |
<rowcolor=#fff> | • 2 | 4 | 2 | 1 | 1 | 0 | 1 | 0 | +1 |
<rowcolor=#fff> | | 2 | 2 | 0 | 2 | 0 | 1 | 1 | 0 |
<rowcolor=#fff> | | 1 | 2 | 0 | 1 | 1 | 1 | 2 | -1 |
<rowcolor=#fff> | | 1 | 2 | 0 | 1 | 1 | 0 | 1 | -1 |
<rowcolor=#fff> | | 1 | 2 | 0 | 1 | 1 | 0 | 3 | -3 |
<nopad> 2021-06-13 | | ||||
<nopad> 2: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22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아시아 2차예선 H조 10차전[2022Q2][CV19] | ||||
일시: 2021년 6월 13일 15: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고양종합운동장 | ||||
<colbgcolor=#fff><colcolor=#060> - | 2:1 (0:1) | <colbgcolor=#fff><colcolor=#060> 수니 사드 | |||
마헤르 사브라 손흥민 | - | ||||
감독: | 승 | 감독: | |||
|
H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2차예선 조별리그 10차전 종료 후 H조 최종순위[47]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16 | 6 | 5 | 1 | 0 | 22 | 1 | +21 |
<rowcolor=#fff> | • 2 | 10 | 6 | 3 | 1 | 2 | 11 | 8 | +3 |
<rowcolor=#fff> | • 3 | 9 | 6 | 3 | 0 | 3 | 8 | 11 | -3 |
<rowcolor=#fff> | • 4 | 0 | 6 | 0 | 0 | 6 | 2 | 23 | -21 |
<rowcolor=#fff> | 기권[48] | ||||||||
2022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진출확정(H조 1위)[49] | |||||||||
|
| <nopad> 2019-11-14 | | |||
<nopad> 0: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22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아시아 2차예선 H조 5차전[2022Q2] | ||||
일시: 2019년 11월 14일 22:00[UTC+2]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카밀 샤문 스포츠시티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60> - | 0:0 | <colbgcolor=#fff><colcolor=#060> 모하마드 하이다르 | |||
황희찬 | - | ||||
감독: | 무 | 감독: | |||
|
H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2차예선 조별리그 5차전 종료 후 H조 순위[*]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8 | 4 | 2 | 2 | 0 | 10 | 0 | +10 |
<rowcolor=#fff> | • 2 | 7 | 4 | 2 | 1 | 1 | 4 | 3 | +1 |
<rowcolor=#fff> | • 3 | 7 | 4 | 2 | 1 | 1 | 5 | 3 | +2 |
<rowcolor=#fff> | • 4 | 6 | 4 | 2 | 0 | 2 | 6 | 5 | +1 |
<rowcolor=#fff> | • 5 | 0 | 4 | 0 | 0 | 4 | 0 | 14 | -14 |
| <nopad> 2016-03-24 | ||||
<nopad> 1: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8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아시아 2차예선 G조 9차전[2018Q2] | ||||
일시: 2016년 3월 24일 20: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안산 와~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60> - | 1:0 (0:0) | <colbgcolor=#fff><colcolor=#060> 호안 오우마리 | |||
이정협 | 아드난 하이다르 힐랄 엘헬위 | ||||
감독: | 승 | 감독: | |||
|
| <nopad> 2019-11-14 | | |||
<nopad> 0: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22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아시아 2차예선 H조 5차전[2022Q2] | ||||
일시: 2019년 11월 14일 22:00[UTC+2]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카밀 샤문 스포츠시티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60> - | 0:0 | <colbgcolor=#fff><colcolor=#060> 모하마드 하이다르 | |||
황희찬 | - | ||||
감독: | 무 | 감독: | |||
|
H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2차예선 조별리그 5차전 종료 후 H조 순위[*]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8 | 4 | 2 | 2 | 0 | 10 | 0 | +10 |
<rowcolor=#fff> | • 2 | 7 | 4 | 2 | 1 | 1 | 4 | 3 | +1 |
<rowcolor=#fff> | • 3 | 7 | 4 | 2 | 1 | 1 | 5 | 3 | +2 |
<rowcolor=#fff> | • 4 | 6 | 4 | 2 | 0 | 2 | 6 | 5 | +1 |
<rowcolor=#fff> | • 5 | 0 | 4 | 0 | 0 | 4 | 0 | 14 | -14 |
G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2차예선 조별리그 9차전 종료 후 G조 순위[72]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24 | 8 | 8 | 0 | 0 | 27 | 0 | +27 |
<rowcolor=#fff> | • 2 | 10 | 7 | 3 | 1 | 3 | 11 | 5 | +6 |
<rowcolor=#fff> | • 3 | 10 | 8 | 3 | 1 | 4 | 12 | 10 | +2 |
<rowcolor=#fff> | • 4 | 7 | 7 | 2 | 1 | 4 | 8 | 20 | -12 |
<rowcolor=#fff> | • 5 | 4 | 8 | 1 | 1 | 6 | 6 | 29 | -23 |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진출확정(G조 1위)[73] | |||||||||
|
<nopad> 2015-09-08 | |||||
<nopad> 0:3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8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아시아 2차예선 G조 4차전[2018Q2] | ||||
일시: 2015년 9월 8일 17:00[UTC+3]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사이다 무니시팔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60> - | 0:3 (0:2) | <colbgcolor=#fff><colcolor=#060> 장현수 알리 함맘 | |||
- | 권창훈 | ||||
감독: | 승 | 감독: | |||
|
G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2차예선 조별리그 4차전 종료 후 G조 순위[83]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9 | 3 | 3 | 0 | 0 | 13 | 0 | +13 |
<rowcolor=#fff> | | 9 | 3 | 3 | 0 | 0 | 12 | 0 | +12 |
<rowcolor=#fff> | • 3 | 3 | 3 | 1 | 0 | 2 | 2 | 4 | -2 |
<rowcolor=#fff> | | 1 | 3 | 0 | 1 | 2 | 2 | 13 | -11 |
<rowcolor=#fff> | | 1 | 4 | 0 | 1 | 3 | 2 | 14 | -12 |
<nopad> 2013-06-04 | |||||
<nopad> 1: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4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시아 최종예선 A조 8차전[2014Q4] | ||||
일시: 2013년 6월 24일 20:30[UTC+2] | 장소: | ||||
주심: | 경기장: 베이루트 스포츠시티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30> 하산 마투크 | 1:1 (1:0) | <colbgcolor=#fff><colcolor=#030> 이청용 | |||
왈리드 이스마일 하이담 파우르 모하마드 하이다르 왈리드 이스마일 | 김치우 | ||||
감독: | 무 | 감독: | |||
|
A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최종예선 조별리그 8차전 종료 후 A조 순위[91]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1 | 6 | 3 | 2 | 1 | 12 | 6 | +6 |
<rowcolor=#fff> | | 11 | 6 | 3 | 2 | 1 | 6 | 4 | +2 |
<rowcolor=#fff> | • 3 | 10 | 6 | 3 | 1 | 2 | 3 | 2 | +1 |
<rowcolor=#fff> | • 4 | 7 | 7 | 2 | 1 | 4 | 4 | 8 | -4 |
<rowcolor=#fff> | • 5 | 5 | 7 | 1 | 2 | 4 | 3 | 8 | -5 |
| <nopad> 2012-06-12 | ||||
<nopad> 3: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4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시아 최종예선 A조 3차전[2014Q4] | ||||
일시: 2012년 6월 12일 20: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고양종합운동장 | ||||
<colbgcolor=#fff><colcolor=#030> 김보경 | 3:0 (1:0) | <colbgcolor=#fff><colcolor=#030> - | |||
김보경 박주호 구자철 | 자카리아 차라라 아흐마드 즈레이크 | ||||
감독: | 승 | 감독: | |||
|
A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최종예선 조별리그 3차전 종료 후 A조 순위[100]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6 | 2 | 2 | 0 | 0 | 7 | 1 | +6 |
<rowcolor=#fff> | • 2 | 4 | 2 | 1 | 1 | 0 | 1 | 0 | +1 |
<rowcolor=#fff> | • 3 | 4 | 3 | 1 | 1 | 1 | 2 | 4 | -2 |
<rowcolor=#fff> | • 4 | 1 | 2 | 0 | 1 | 1 | 1 | 2 | -1 |
<rowcolor=#fff> | | 1 | 3 | 0 | 1 | 2 | 1 | 5 | -4 |
| <nopad> 2011-11-15 | ||||
<nopad> 2: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4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시아 3차예선 B조 5차전 | ||||
일시: 2011년 11월 15일 14:30[UTC+2]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카밀 카문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06600> 알리 알 사디 로다 안타르 아바스 아트위 | 2:1 (2:1) | <colbgcolor=#fff><colcolor=#006600> 구자철 | |||
아흐마드 즈레이크 | - | ||||
감독: | 패 | 감독: | |||
|
B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3차예선 조별리그 5차전 종료 후 B조 순위[107]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10 | 4 | 3 | 1 | 1 | 12 | 4 | +8 |
<rowcolor=#fff> | • 2 | 10 | 5 | 3 | 1 | 1 | 8 | 10 | -2 |
<rowcolor=#fff> | • 3 | 8 | 5 | 2 | 2 | 1 | 8 | 7 | +1 |
<rowcolor=#fff> | • 4 | 0 | 5 | 0 | 0 | 5 | 5 | 12 | -7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바논 쇼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바논 쇼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nopad> 2011-09-02 | | ||||
<nopad> 6: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4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시아 3차예선 B조 1차전 | ||||
일시: 2011년 9월 2일 20: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고양종합운동장 | ||||
<colbgcolor=#fff><colcolor=#006600> 박주영 | 6:0 (2:0) | <colbgcolor=#fff><colcolor=#006600> 라메즈 데이웁 | |||
지동원 박주영 김정우 | 왈리드 이스마일 | ||||
감독: | 승 | 감독: | |||
|
B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3차예선 조별리그 1차전 종료 후 B조 순위[121]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1 | 3 | 1 | 1 | 0 | 0 | 6 | 0 | +6 |
<rowcolor=#fff> | 2 | 3 | 1 | 1 | 0 | 0 | 3 | 2 | +1 |
<rowcolor=#fff> | 3 | 0 | 1 | 0 | 0 | 1 | 2 | 3 | -1 |
<rowcolor=#fff> | 4 | 0 | 1 | 0 | 0 | 1 | 0 | 6 | -6 |
| <nopad> 2004-10-13 | ||||
<nopad> 1: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6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06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7조 5차전 | ||||
일시: 2004년 10월 13일 18:00[UTC+3] | 장소: | ||||
주심: | 경기장: 무니시팔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60> 알리 나세르딘 | 1:1 (1:1) | <colbgcolor=#fff><colcolor=#060> 최진철 | |||
- | 이민성 이영표 | ||||
감독: | 무 | 감독: | |||
|
7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2차예선 조별리그 5차전 종료 후 7조 순위[128]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11 | 5 | 3 | 2 | 0 | 7 | 2 | +5 |
<rowcolor=#fff> | • 2 | 10 | 5 | 3 | 1 | 1 | 11 | 5 | +6 |
<rowcolor=#fff> | | 4 | 5 | 1 | 1 | 3 | 5 | 12 | -7 |
<rowcolor=#fff> | | 3 | 5 | 1 | 0 | 4 | 5 | 9 | -4 |
<nopad> 2004-02-18 | |||||
<nopad> 2: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6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06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7조 1차전 | ||||
일시: 2004년 2월 18일 19: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수원월드컵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060> 김남일 김태영 차두리 | 2:0 (1:0) | <colbgcolor=#fff><colcolor=#060> 칼레드 하미에 모하메드 카사스 | |||
조병국 | 루이스 페르난데즈 | ||||
감독: | 승 | 감독: | |||
|
7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2차예선 조별리그 1차전 종료 후 7조 순위[138]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1 | 3 | 1 | 1 | 0 | 0 | 4 | 0 | +4 |
<rowcolor=#fff> | 2 | 3 | 1 | 1 | 0 | 0 | 2 | 0 | +2 |
<rowcolor=#fff> | 3 | 0 | 1 | 0 | 0 | 1 | 0 | 2 | -2 |
<rowcolor=#fff> | 4 | 0 | 1 | 0 | 0 | 1 | 0 | 4 | -4 |
<nopad> 1993-06-07 | |||||
<nopad> 2: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4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94 FIFA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 D조 7차전[1994Q1] | ||||
일시: 1993년 6월 7일 16: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060> 하석주 | 2:0 (1:0) | <colbgcolor=#fff><colcolor=#060> - | |||
황보관 홍명보 | - | ||||
감독: | 승 | 감독: | |||
|
D조 타팀 결과 | (7차전) | ||||||||
월드컵 1차예선 조별리그 7차전 종료 후 D조 순위[142]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11 | 6 | 5 | 1 | 0 | 13 | 1 | +12 |
<rowcolor=#fff> | • 2 | 7 | 6 | 2 | 3 | 1 | 6 | 3 | +3 |
<rowcolor=#fff> | • 3 | 5 | 5 | 2 | 1 | 2 | 7 | 11 | -4 |
<rowcolor=#fff> | • 4 | 4 | 6 | 0 | 4 | 2 | 4 | 7 | -3 |
<rowcolor=#fff> | • 5 | 1 | 5 | 0 | 1 | 4 | 4 | 12 | -8 |
<nopad> 1993-05-11 | |||||
<nopad> 0: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4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94 FIFA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 D조 3차전[1994Q1] | ||||
일시: 1993년 5월 11일 17:15[UTC+3] | 장소: | ||||
주심: | 경기장: 부르지 하무드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60> - | 0:1 (0:1) | <colbgcolor=#fff><colcolor=#060> 하석주 황보관 | |||
- | - | ||||
감독: | 승 | 감독: | |||
|
D조 타팀 결과 | (3차전) | ||||||||
월드컵 1차예선 조별리그 3차전 종료 후 D조 순위[147]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5 | 3 | 2 | 1 | 0 | 6 | 4 | +2 |
<rowcolor=#fff> | | 3 | 2 | 1 | 1 | 0 | 1 | 0 | +1 |
<rowcolor=#fff> | | 2 | 3 | 0 | 2 | 1 | 4 | 5 | -1 |
<rowcolor=#fff> | | 1 | 2 | 0 | 1 | 1 | 3 | 4 | -1 |
<rowcolor=#fff> | • 5 | 1 | 2 | 0 | 1 | 1 | 1 | 2 | -1 |
<nopad> 1975-05-16 | | ||||
<nopad> 1: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75 코리아컵 대회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75 박대통령컵 쟁탈 국제축구대회 10강 조별리그 B조 2차전 | ||||
일시: 1975년 5월 16일 19:40[UTC+9] | 장소: | ||||
주심: [None] | 경기장: 동대문운동장 | ||||
<colbgcolor=#fff><colcolor=#666> 박병철 | 1:0 (1:0) | <colbgcolor=#fff><colcolor=#666> - | |||
- | - | ||||
감독: | 승 | 감독: [None] |
A조 타팀 결과 | (2차전) | ||||||||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B조 순위[151]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3 | 2 | 1 | 1 | 0 | 2 | 0 | +2 |
<rowcolor=#fff> | | 2 | 2 | 1 | 0 | 1 | 4 | 1 | +3 |
<rowcolor=#fff> | • 3 | 1 | 2 | 0 | 1 | 1 | 1 | 2 | -1 |
<rowcolor=#fff> | • 4 | 1 | 2 | 0 | 1 | 1 | 1 | 5 | -4 |
| <nopad> 1967-10-01 | ||||
<nopad> 2: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68 올림픽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 남자축구 아시아예선 조별리그 1조 2차전[1968OQ] | ||||
일시: 1967년 10월 1일 19:30[UTC+9] | 장소: | ||||
주심:[None] | 경기장: 국립 요요기 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c69> 정병탁 | 2:0 (1:0) | <colbgcolor=#fff><colcolor=#c69> - | |||
정병탁 | - | ||||
감독: | 승 | 감독: |
1조 타팀 결과 | | ||||||||
올림픽 예선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1조 순위[156]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4 | 2 | 2 | 0 | 0 | 19 | 0 | +19 |
<rowcolor=#fff> | | 4 | 2 | 2 | 0 | 0 | 6 | 2 | +4 |
<rowcolor=#fff> | | 2 | 1 | 1 | 0 | 0 | 10 | 0 | +10 |
<rowcolor=#fff> | | 2 | 2 | 1 | 0 | 1 | 11 | 3 | +8 |
<rowcolor=#fff> | • 5 | 0 | 2 | 0 | 0 | 2 | 2 | 8 | -6 |
<rowcolor=#fff> | • 6 | 0 | 3 | 0 | 0 | 3 | 1 | 36 | -35 |
[1] 아랍어[2] 프랑스어[3] 베이루트 항구 폭발 사고로 인해 경기장이 파손되었으며, 현재 파괴된 항구의 식량 창고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경기 개최가 불가능한 상태다.[4] 12강 조별리그[5] 1963년(결선리그 3위)[6] 1964년(결선리그 4위), 1966년(4강 4위)[7] 사실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도 북한의 기권으로 어부지리로 올라온 것이지, 북한이 제대로 경기를 다 치렀다면 이미 북한에게 모두 졌던 레바논은 그냥 탈락이었다.[8] 더구나 2020년 8월 발생한 베이루트 항구 폭발 사고로 인해 더욱 경제가 어려워졌다.[9] 레바논 입장에서야 훈련을 할 때 여기서 하니 아무리 잔디가 개떡같아도 잘 적응이 되어 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48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6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0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2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6] 12강 조별리그 진출[16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8] 최고순위 2000아시안컵 10위(12강 조별리그)[19] 최고순위 조별리그 5위(2000)[20] 이 대회부터 3.4위전 폐지[🏟️] 중립 경기: 1
LBN 홈 경기: 7
KOR 홈 경기: 8[22]
1골, 알리 나세르딘, 알리 알 사디, 아바스 아트위, 하산 마투크, 수니 사드[23]
1호, 왈리드 이스마일(2013)[24]
3골, 박주영
2골, 정병탁, 하석주, 지동원, 김보경, 구자철, 권창훈
1골, 박병철, 황보관, 차두리, 조병국, 최진철, 김정우, 김치우, 장현수, 이정협, 손흥민, 조규성
자책골, 2골[25] 이스라엘은 현재 유럽 축구연맹 소속이고 이란도 중앙아시아로 소속을 옮겼다.[26] 그래도 당시 FIFA 랭킹에서 수단은 104위, 오만은 92위로 127위인 레바논보다 한참 위였다.[27] 독일 출신이지만 스스로를 반 레바논인이라고 부를 정도로 레바논에 대한 애정이 아주 강한 사람이었으며 아내도 레바논인이다.[UTC+2] [황의조] 황의조 도움[H] [tvN] [32] 이란은 7차전 결과로 남은 3경기 상관없이 조 2위를 확보하며 월드컵 본선 직행에 성공했다. 한국은 최소 조 3위 와일드카드를 확보했다.[UTC+9] [34] 본래는 레바논의 홈으로 정해진 경기였으나 레바논 축구협회의 요청을 대한축구협회가 받아들여 한국에서 먼저 홈 경기를 갖게되었다. 이에 따라 7차전은 레바논 홈 경기로 바뀌었다.[황희찬] 황희찬 도움[H] [tvN] [2022Q2] 2022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은 5개국이 1조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각팀당 2차례씩 빠지게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1차전과 6차전을 빠진다.[CV19] 코로나19 사태로 2차예선 진행에 차질이 발생하였고 연기된 일정을 1개국에서 집중 경기로 진행하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자세한 내용 참조.[UTC+9] [41] 본래는 코너킥 상황에서 송민규의 득점과 손흥민 도움으로 기록되었지만 추후에 수정되었다.[남태희P] 남태희 도움, 페널티킥 유도[43] Jamal Khamis Taha[H] [Kof] [취소] 북한이 2021년 남은 경기를 기권하면서 경기가 취소되었다.[47] 조의 순위는 이미 정해졌다. 스리랑카는 6차전 종료 이후 북한이 기권하면서 산술적 조정에 따라 남은 경기 수가 줄어들며 탈락이 확정되었다. 한국은 이미 7차전 승리로 남은 경기 결과에 상관없이 최종예선 진출 및 2023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또한 8차전 결과에 따라 레바논이 최종예선 진출을 확정지었고 투르크메니스탄은 탈락이 확정되었다.[48] 북한이 코로나19 사태 및 내부사정을 이유로 잔여 경기 불참 및 기권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북한의 모든 경기는 무효로 처리되어 친선경기 기록으로 남고 승점 등 집계에서도 제외된다. 이에 북한에 유일하게 승리했던 투르크메니스탄은 승점에 큰 손해를 보았고 반면 북한에 패했던 레바논은 반사적인 수혜를 입게 되었다.[49] 7차전 종료 후 확정(2021.06.05.)[50] 7차전 종료 후 확정(2021.06.05.)[2022Q2] 2022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은 5개국이 1조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각팀당 2차례씩 빠지게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1차전과 6차전을 빠진다.[UTC+2] [H] [SPO] [무효] 경기 이후 북한이 2021년 남은 경기를 기권하면서 공식적으로는 월드컵 예선이 아닌 친선경기로 분류되었다.[*] 북한과 레바논은 득실차에서 레바논이 앞서지만 조별리그 1차전에서 북한이 레바논에 승리하였기 때문에 승자승 원칙에 따라 조 2위에 머무르게 되었다.[2018Q2]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은 5개국이 1조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각팀당 2차례씩 빠지게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1차전과 6차전을 빠진다.[UTC+9] [기성용] 기성용 도움[H1] [Kof] [H2] [Kof] [2022Q2] 2022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은 5개국이 1조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각팀당 2차례씩 빠지게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1차전과 6차전을 빠진다.[UTC+2] [H] [SPO] [무효] 경기 이후 북한이 2021년 남은 경기를 기권하면서 공식적으로는 월드컵 예선이 아닌 친선경기로 분류되었다.[*] 북한과 레바논은 득실차에서 레바논이 앞서지만 조별리그 1차전에서 북한이 레바논에 승리하였기 때문에 승자승 원칙에 따라 조 2위에 머무르게 되었다.[Fo] [71] 2015년 11월, 쿠웨이트 정부의 축구협회 개입 문제로 경기가 잠정 연기되었고 결국 2016년 1월 14일 최종 몰수패 처리되었다. 미얀마와의 8차전 포함 남은 경기인 9차전 라오스, 10차전 대한민국 경기 결과 역시 몰수패가 확정된다.[72] 조 1위는 최종예선 직행 조 2위는 8개조에서 상위 4팀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라오스는 7차전 종료 후 탈락이 확정되었다. 쿠웨이트의 남은 경기 몰수패 선언 및 국제대회 출전 금지 처분에 따라 산술상 미얀마 역시 탈락했다. 한국의 최종예선 진출이 확정되었고 레바논만 2경기가 남았는데, 조 2위 와일드카드 자리를 확보했다. 다만 최종예선 진출 여부는 9차전 한국, 10차전 미얀마 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73] 8차전 종료 후 쿠웨이트 징계에 따라 확정(2016.01.14.)[74] 8차전 종료 후 쿠웨이트 징계에 따라 확정(2016.01.14.)[2018Q2]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은 5개국이 1조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각팀당 2차례씩 빠지게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1차전과 6차전을 빠진다.[UTC+3] [77] 아랍어로는 사이다로 시돈은 라틴어식, 영어식 명칭이다.[석현준P] 석현준 페널티킥 유도[79] 권창훈의 날카로운 전진패스를 받은 구자철이 좋은 위치에서 슛을 하려는 순간 이를 수비하던 알리 함맘이 공을 건드려 골문 구석으로 밀어 넣었다.[기성용] 기성용 도움[G] [SPO] [83] 조 1위는 최종예선 직행 조 2위는 8개조에서 상위 4팀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2014Q4] 2014 월드컵 아시아 최종(4차)예선은 각 5팀씩 조를 편성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은 1차전과 6차전 경기를 쉰다.[UTC+2] [H.차이토] 하산 차이토 도움[87] 후반 막판 공격진영에 올라온 곽태휘에게 김남일의 킬패스가 들어가자 이를 잡아채며 경고를 받았다. 결국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했다.[김신욱F] 모타즈 주나이디가 김신욱의 옷을 붙잡고 늘어지는 파울을 범했다.[F] [MBC] [91] 조 1, 2위는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조 3위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레바논은 1경기가 남은 상황에서 8차전 한국에 극적인 동점골을 먹히면서 탈락이 확정되었다. 카타르 역시 1경기만 남아 직행은 불가능하고 희박하게나마 플레이오프 진출 가능성이 남아있다. 상위권 3팀은 승점 1점 내에 포진하며 치열한 접전을 벌이고 있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은 8차전 결과 최소 조 3위는 확보했다.[2014Q4] 2014 월드컵 아시아 최종(4차)예선은 각 5팀씩 조를 편성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은 1차전과 6차전 경기를 쉰다.[UTC+9] [이근호] 이근호 도움[De] [염기훈] 염기훈 도움[2G] [F] [JTBC] [100] 조 1, 2위는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조 3위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UTC+2] [R.안타르] 로다 안타르 도움[M.엘-알리P] 마흐무드 엘 알리 페널티킥 유도[이근호P] 이근호의 페널티킥 유도[F] [KBS] [107] 조 1, 2위까지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4차전 종료 후 아랍에미리트의 탈락이 확정되었다.[UTC+9] [109] Abdul Malik Abdul Bashir[홍철] 홍철 도움[기성용] 기성용 도움[남태희*] 남태희의 슛이 선방에 막혔으나 지동원이 밀어넣었다.[김정우] 김정우 도움[2G] 멀티골[구자철] 구자철 도움[3G] 해트트릭[이근호] 이근호 도움[118] Theo Bücker[F] [MBC] [121] 조 1, 2위까지 최종예선에 진출한다.[UTC+3] [123] 최진철의 어중간한 백패스와 유상철, 이운재 사이의 애매한 사인미스로 인한 실책으로 실점했다.[송종국] 송종국 도움[125] Mohammad Kwid[F] [MBC] [128] 조 1위만 최종예선인 3차예선에 진출한다. 4차전 종료 후 몰디브의 탈락이 확정되었다. 5차전 종료 후 베트남의 탈락이 확정되었다.[UTC+9] [PK] [이영표] 이영표 도움[선방] [박지성] 박지성 도움[De] [135] Mahmoud Hammoud[F] [KBS] [138] 조 1위만 최종예선인 3차예선에 진출한다.[1994Q1] 1994년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에서 D조는 5팀이 한 조에 편성되어 레바논에서 전반기, 한국에서 후반기가 진행되며 팀당 총 8경기를 진행한다. 전체 10차전 중 한국은 1, 9차전 경기를 쉰다. 1~5차전은 레바논에서 6~10차전은 대한민국에서 경기가 진행된다.[UTC+9] [G] [142] 조 1위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이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다. 6차전 종료 후 레바논과 인도가 남은 경기에 상관없이 탈락했다.[1994Q1] 1994년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에서 D조는 5팀이 한 조에 편성되어 레바논에서 전반기, 한국에서 후반기가 진행되며 팀당 총 8경기를 진행한다. 전체 10차전 중 한국은 1, 9차전 경기를 쉰다. 1~5차전은 레바논에서 6~10차전은 대한민국에서 경기가 진행된다.[UTC+3] [황보관] 황보관 도움[G] [147] 조 1위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이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다.[UTC+9] [None] [None] [151] 인도네시아와 일본은 국가대표 B팀이 출전하였다. 조 1, 2위까지 4강 준결승전에 진출한다.[1968OQ] 1968년 올림픽 남자축구 아시아 예선 1조는 총 6팀으로 구성되어 경기를 치른다. 1조의 모든 예선전은 일본에서 진행된다.[UTC+9] [None] [2G] [156] 당시 승리팀 승점은 2점이었다. 조 1위만 올림픽 남자축구 본선에 진출한다.
LBN 홈 경기: 7
KOR 홈 경기: 8[22]
1골, 알리 나세르딘, 알리 알 사디, 아바스 아트위, 하산 마투크, 수니 사드[23]
1호, 왈리드 이스마일(2013)[24]
3골, 박주영
2골, 정병탁, 하석주, 지동원, 김보경, 구자철, 권창훈
1골, 박병철, 황보관, 차두리, 조병국, 최진철, 김정우, 김치우, 장현수, 이정협, 손흥민, 조규성
자책골, 2골[25] 이스라엘은 현재 유럽 축구연맹 소속이고 이란도 중앙아시아로 소속을 옮겼다.[26] 그래도 당시 FIFA 랭킹에서 수단은 104위, 오만은 92위로 127위인 레바논보다 한참 위였다.[27] 독일 출신이지만 스스로를 반 레바논인이라고 부를 정도로 레바논에 대한 애정이 아주 강한 사람이었으며 아내도 레바논인이다.[UTC+2] [황의조] 황의조 도움[H] [tvN] [32] 이란은 7차전 결과로 남은 3경기 상관없이 조 2위를 확보하며 월드컵 본선 직행에 성공했다. 한국은 최소 조 3위 와일드카드를 확보했다.[UTC+9] [34] 본래는 레바논의 홈으로 정해진 경기였으나 레바논 축구협회의 요청을 대한축구협회가 받아들여 한국에서 먼저 홈 경기를 갖게되었다. 이에 따라 7차전은 레바논 홈 경기로 바뀌었다.[황희찬] 황희찬 도움[H] [tvN] [2022Q2] 2022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은 5개국이 1조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각팀당 2차례씩 빠지게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1차전과 6차전을 빠진다.[CV19] 코로나19 사태로 2차예선 진행에 차질이 발생하였고 연기된 일정을 1개국에서 집중 경기로 진행하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자세한 내용 참조.[UTC+9] [41] 본래는 코너킥 상황에서 송민규의 득점과 손흥민 도움으로 기록되었지만 추후에 수정되었다.[남태희P] 남태희 도움, 페널티킥 유도[43] Jamal Khamis Taha[H] [Kof] [취소] 북한이 2021년 남은 경기를 기권하면서 경기가 취소되었다.[47] 조의 순위는 이미 정해졌다. 스리랑카는 6차전 종료 이후 북한이 기권하면서 산술적 조정에 따라 남은 경기 수가 줄어들며 탈락이 확정되었다. 한국은 이미 7차전 승리로 남은 경기 결과에 상관없이 최종예선 진출 및 2023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또한 8차전 결과에 따라 레바논이 최종예선 진출을 확정지었고 투르크메니스탄은 탈락이 확정되었다.[48] 북한이 코로나19 사태 및 내부사정을 이유로 잔여 경기 불참 및 기권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북한의 모든 경기는 무효로 처리되어 친선경기 기록으로 남고 승점 등 집계에서도 제외된다. 이에 북한에 유일하게 승리했던 투르크메니스탄은 승점에 큰 손해를 보았고 반면 북한에 패했던 레바논은 반사적인 수혜를 입게 되었다.[49] 7차전 종료 후 확정(2021.06.05.)[50] 7차전 종료 후 확정(2021.06.05.)[2022Q2] 2022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은 5개국이 1조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각팀당 2차례씩 빠지게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1차전과 6차전을 빠진다.[UTC+2] [H] [SPO] [무효] 경기 이후 북한이 2021년 남은 경기를 기권하면서 공식적으로는 월드컵 예선이 아닌 친선경기로 분류되었다.[*] 북한과 레바논은 득실차에서 레바논이 앞서지만 조별리그 1차전에서 북한이 레바논에 승리하였기 때문에 승자승 원칙에 따라 조 2위에 머무르게 되었다.[2018Q2]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은 5개국이 1조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각팀당 2차례씩 빠지게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1차전과 6차전을 빠진다.[UTC+9] [기성용] 기성용 도움[H1] [Kof] [H2] [Kof] [2022Q2] 2022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은 5개국이 1조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각팀당 2차례씩 빠지게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1차전과 6차전을 빠진다.[UTC+2] [H] [SPO] [무효] 경기 이후 북한이 2021년 남은 경기를 기권하면서 공식적으로는 월드컵 예선이 아닌 친선경기로 분류되었다.[*] 북한과 레바논은 득실차에서 레바논이 앞서지만 조별리그 1차전에서 북한이 레바논에 승리하였기 때문에 승자승 원칙에 따라 조 2위에 머무르게 되었다.[Fo] [71] 2015년 11월, 쿠웨이트 정부의 축구협회 개입 문제로 경기가 잠정 연기되었고 결국 2016년 1월 14일 최종 몰수패 처리되었다. 미얀마와의 8차전 포함 남은 경기인 9차전 라오스, 10차전 대한민국 경기 결과 역시 몰수패가 확정된다.[72] 조 1위는 최종예선 직행 조 2위는 8개조에서 상위 4팀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라오스는 7차전 종료 후 탈락이 확정되었다. 쿠웨이트의 남은 경기 몰수패 선언 및 국제대회 출전 금지 처분에 따라 산술상 미얀마 역시 탈락했다. 한국의 최종예선 진출이 확정되었고 레바논만 2경기가 남았는데, 조 2위 와일드카드 자리를 확보했다. 다만 최종예선 진출 여부는 9차전 한국, 10차전 미얀마 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73] 8차전 종료 후 쿠웨이트 징계에 따라 확정(2016.01.14.)[74] 8차전 종료 후 쿠웨이트 징계에 따라 확정(2016.01.14.)[2018Q2]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은 5개국이 1조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각팀당 2차례씩 빠지게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1차전과 6차전을 빠진다.[UTC+3] [77] 아랍어로는 사이다로 시돈은 라틴어식, 영어식 명칭이다.[석현준P] 석현준 페널티킥 유도[79] 권창훈의 날카로운 전진패스를 받은 구자철이 좋은 위치에서 슛을 하려는 순간 이를 수비하던 알리 함맘이 공을 건드려 골문 구석으로 밀어 넣었다.[기성용] 기성용 도움[G] [SPO] [83] 조 1위는 최종예선 직행 조 2위는 8개조에서 상위 4팀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2014Q4] 2014 월드컵 아시아 최종(4차)예선은 각 5팀씩 조를 편성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은 1차전과 6차전 경기를 쉰다.[UTC+2] [H.차이토] 하산 차이토 도움[87] 후반 막판 공격진영에 올라온 곽태휘에게 김남일의 킬패스가 들어가자 이를 잡아채며 경고를 받았다. 결국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했다.[김신욱F] 모타즈 주나이디가 김신욱의 옷을 붙잡고 늘어지는 파울을 범했다.[F] [MBC] [91] 조 1, 2위는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조 3위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레바논은 1경기가 남은 상황에서 8차전 한국에 극적인 동점골을 먹히면서 탈락이 확정되었다. 카타르 역시 1경기만 남아 직행은 불가능하고 희박하게나마 플레이오프 진출 가능성이 남아있다. 상위권 3팀은 승점 1점 내에 포진하며 치열한 접전을 벌이고 있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은 8차전 결과 최소 조 3위는 확보했다.[2014Q4] 2014 월드컵 아시아 최종(4차)예선은 각 5팀씩 조를 편성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은 1차전과 6차전 경기를 쉰다.[UTC+9] [이근호] 이근호 도움[De] [염기훈] 염기훈 도움[2G] [F] [JTBC] [100] 조 1, 2위는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조 3위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UTC+2] [R.안타르] 로다 안타르 도움[M.엘-알리P] 마흐무드 엘 알리 페널티킥 유도[이근호P] 이근호의 페널티킥 유도[F] [KBS] [107] 조 1, 2위까지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4차전 종료 후 아랍에미리트의 탈락이 확정되었다.[UTC+9] [109] Abdul Malik Abdul Bashir[홍철] 홍철 도움[기성용] 기성용 도움[남태희*] 남태희의 슛이 선방에 막혔으나 지동원이 밀어넣었다.[김정우] 김정우 도움[2G] 멀티골[구자철] 구자철 도움[3G] 해트트릭[이근호] 이근호 도움[118] Theo Bücker[F] [MBC] [121] 조 1, 2위까지 최종예선에 진출한다.[UTC+3] [123] 최진철의 어중간한 백패스와 유상철, 이운재 사이의 애매한 사인미스로 인한 실책으로 실점했다.[송종국] 송종국 도움[125] Mohammad Kwid[F] [MBC] [128] 조 1위만 최종예선인 3차예선에 진출한다. 4차전 종료 후 몰디브의 탈락이 확정되었다. 5차전 종료 후 베트남의 탈락이 확정되었다.[UTC+9] [PK] [이영표] 이영표 도움[선방] [박지성] 박지성 도움[De] [135] Mahmoud Hammoud[F] [KBS] [138] 조 1위만 최종예선인 3차예선에 진출한다.[1994Q1] 1994년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에서 D조는 5팀이 한 조에 편성되어 레바논에서 전반기, 한국에서 후반기가 진행되며 팀당 총 8경기를 진행한다. 전체 10차전 중 한국은 1, 9차전 경기를 쉰다. 1~5차전은 레바논에서 6~10차전은 대한민국에서 경기가 진행된다.[UTC+9] [G] [142] 조 1위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이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다. 6차전 종료 후 레바논과 인도가 남은 경기에 상관없이 탈락했다.[1994Q1] 1994년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에서 D조는 5팀이 한 조에 편성되어 레바논에서 전반기, 한국에서 후반기가 진행되며 팀당 총 8경기를 진행한다. 전체 10차전 중 한국은 1, 9차전 경기를 쉰다. 1~5차전은 레바논에서 6~10차전은 대한민국에서 경기가 진행된다.[UTC+3] [황보관] 황보관 도움[G] [147] 조 1위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이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다.[UTC+9] [None] [None] [151] 인도네시아와 일본은 국가대표 B팀이 출전하였다. 조 1, 2위까지 4강 준결승전에 진출한다.[1968OQ] 1968년 올림픽 남자축구 아시아 예선 1조는 총 6팀으로 구성되어 경기를 치른다. 1조의 모든 예선전은 일본에서 진행된다.[UTC+9] [None] [2G] [156] 당시 승리팀 승점은 2점이었다. 조 1위만 올림픽 남자축구 본선에 진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