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06:25:55

몰디브 축구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395>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2025).svg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괌 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네팔 대만 대한민국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동티모르 라오스 레바논 마카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부탄 국기.svg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북한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태국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필리핀 호주 홍콩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남아시아축구연맹.png 남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부탄 국기.svg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네팔
몰디브
방글라데시
부탄
스리랑카
인도
파키스탄 }}}}}}}}}


파일:Maldives national football team.svg
몰디브 축구 국가대표팀
ދިވެހިރާއްޖޭ ގައުމީ ފުޓްބޯލް ޓީމް
<colbgcolor=#871a20><colcolor=#fff> 정식명칭 ދިވެހިރާއްޖޭ ގައުމީ ފުޓްބޯލް ޓީމް[1]
FIFA 코드 MDV
FIFA 랭킹 171위[2]
Elo 랭킹 203위[3]
협회 몰디브 축구 협회 (FAM)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연맹 남아시아 축구 연맹 (SAFF)
감독 파일:몰디브 국기.svg 알리 수자인 (Ali Suzain)
주장 알리 사무흐 (Ali Samooh)
최다출전자 임란 모하메드 (Imran Mohamed) - 110경기
최다득점자 알리 아쉬파크 (Ali Ashfaq) - 58골
홈 구장 라스미 단두 경기장 (Rasmee Dhandu Stadium, 11,850석)
첫 국제경기 출전 VS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0:9 패)
파일:프랑스 국기.svg 레위니옹 (1979년 8월 27일)
최다 점수차 승리 VS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12:0 승)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말레 (2003년 12월 3일)
최다 점수차 패배 VS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0:17 패)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다마스쿠스 (1997년 6월 2일)
SAFF 챔피언십 진출: 11회
최고 성적: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2회[4]
별칭 ރެޑް ސްނެޕަރސް އެވެ (적도미; Red Snappers)
유니폼 컬러 어웨이 서드
상의
빨강
파랑
남색
하의 빨강 파랑 회색
양말
1. 개요2. 상세3.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4. 역대전적5. 연령별 대표팀6. 국가별 전적
6.1. 대한민국과 전적

1. 개요

몰디브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룬 문서.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126위(2006년 7월 12일 ~ 9월 13일), 최저 순위는 183위(1997년 8월 20일 ~ 10월 16일)이다.

2. 상세

2024년 11월 기준 피파랭킹 162위의 약체다. 홈구장은 갈롤후 내셔널 스타디움이며, 현 감독은 프란체스코 모리에로다. 빨간 도미들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지금도 실력 없는 약체로 평가받는 팀이지만, 1990년대 후반만 해도 지금보다 더한 세계 최약체 축구 대표팀이었다. 바로 1997년에 벌어진 1998 프랑스 월드컵 예선 당시 이란에게 0:17로 대패하며[5] 피파 국제경기 사상 최대 실점패를 당했기 때문. 더불어 같은 조 시리아타지키스탄에게도 두 나라들한테 다 0:12로 대패하면서 6전 전패 0득점 59실점을 당했다. 이 기록은 1999년 부탄쿠웨이트에게 20-0으로 패한 2000 아시안컵 예선이나 2001년에 있었던 2002 한일 월드컵 예선에서 미국령 사모아호주에게 0:31로 참패한 기록으로 깨졌다. 사실 몰디브가 이렇게 대패를 당한 사유로는 첫 국제 경기는 1979년에 세이셸과 가진 친선 경기(0:9 패)가 있긴 했지만, 그 뒤로 국제축구에선 일절 관심을 기울이지 않던 점이 컸다.

그래도 2002 한일 월드컵 예선에선 캄보디아를 상대로 3:1로 이기며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처음으로 1승을 거뒀고,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맞붙어 원정에서 1-10으로 크게 패했지만 안방에서 0-1 선전을 벌여 중국선수들이 욕을 무진장 먹게 한 바 있다. 약체를 상대로 겨우 이겼다고... 예선 결과 1승 1무 4패.

그리고 2003년에 2006 독일 월드컵 1차 지역예선 경기로 몽골 축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12:0 대승을 거두며 역대 최다 골승리 기록을 가지고 있다.[6] 오래전 10골차 이상 대패를 당한 나라가 아닌 90년대 후반 들어서 10골차 이상 대패를 당한 나라에서 유일하게 다른 나라를 10골차로 뭉개버린 경력이 있다. 그렇게 2차예선에 올라 바로 한국과 0-0으로 비겼고, 이 경기는 오만 쇼크를 잇는 몰디브 쇼크로 남게 되었다. 이 경기 결과는 당시 한국 국가대표팀 감독이었던 움베르투 코엘류가 경질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이렇듯 한국인들에게는 별볼일 없는 실력을 가진 팀으로 평가받지만, 프로축구리그를 갖추고 2부리그 체제와 실업리그까지 갖춘 나라이다. 인구가 겨우 40만도 안 되는 자그마한 나라에 프로축구 역사가 겨우 10여년을 넘긴 수준을 생각하면 실로 대단한 것. 그래서 이 나라 클럽은 AFC프레지던트컵이 있던 시절에도 AFC프레지던트컵에 나가는 게 아니라 AFC컵에 두 팀씩 나갔을 정도로 축구 인프라만큼은 아시아 중위권으로 인정받는다. 몰디브 원정에서 무재배를 이뤄 몰디브에서 환호했지만 2차전 한국 원정에서는 0-2로 패했다.[7] 그리고 몰디브는 같은 조의 베트남, 레바논에게 밀려 조 4위 꼴지로 추락했다. 이 예선에서 한국과 비기고 베트남을 안방에서는 3-0으로 이기며 1승 1무 4패(몰디브 치고는 그래도 아주 못하진 않았다)를 기록했다. 참고로 베트남 원정에서는 0-4로 설욕당했다.

2010 남아공 월드컵 1차예선에서는 예멘을 상대로 2-0으로 이겼지만 원정에서 0-3으로 패해서 일찌감치 탈락했다.

그리고 2014 브라질 월드컵 예선에선 2차예선 자동 진출로 이란과 만났지만, 볼 것도 없이 탈락. 그래도 원정에선 0:4로 패했지만 안방에선 비록 패했어도 0:1이란 선전을 벌였듯이 약체이긴 해도 옛날 90년대 후반보단 많이 발전된 셈이다.

지역 대회인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강호이다. 1997년 이 대회에 처음 나온 뒤로 2018년까지 4강에 죄다 진출했으며, 준우승 3번, 2008년 자국 대회에선 최다 챔피언 인도를 제치고 우승도 차지했고, 2018년에 방글라데시에 열린 대회에서 다시 인도를 2-1로 이기며 2번째 우승을 거둬 7번 우승한 인도 다음으로 2번째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렇긴 해도 아시아 전체로 보면 약체급이라 아직까지 월드컵과 AFC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호마이다.

웨일스 축구리그 1부리그 랑게프니에서 뛰는 이브라힘 파질이라는 유럽파를 보유 중이다.

3.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71a20, #871a2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71a20><tablebgcolor=#871a20> 파일:Maldives national football team.svg몰디브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임란 모하메드 110회 2000.2.15 2016.10.11
}}}}}}}}}}}}}}} ||

4. 역대전적

4.1. FIFA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 영국의 보호국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 우루과이
독립 이전 (몰디브 술탄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 브라질
※ 몰디브 술탄국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 스위스
축구협회 창립 이전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 잉글랜드
※ 몰디브 제2공화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 멕시코
축구협회 창립 이전
파일:독일 국기.svg
1974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 스페인
FIFA 비회원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 이탈리아
기권
파일:미국 국기.svg
1994 미국
불참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 프랑스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 한일
파일:독일 국기.svg
2006 독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 사우디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4.2. AFC 아시안컵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 몰디브 술탄국
파일:영국령 홍콩 기(1955~1959).svg
1956 홍콩
축구협회 창립 이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960 대한민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964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1964-1980).svg
1968 이란
※ 몰디브 제2공화국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1972 태국
축구협회 창립 이전
파일:이란 국기(1964-1980).svg
1976 이란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80 쿠웨이트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1984 싱가포르
AFC 비회원국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카타르
불참
파일:일본 국기.svg
1992 일본
기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 UAE
예선 탈락
파일:레바논 국기.svg
2000 레바논
파일:중국 국기.svg
2004 중국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7 아세안
불참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1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호주 국기.svg
2015 호주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9 UAE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3 카타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7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4.3. SAFF 챔피언십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1993
불참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1995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1997
준우승 2위 4 1 2 1 6 9 5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1999
4강 3위 4 2 1 1 6 4 7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003
준우승 2위 5 3 1 1 11 4 10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2005
4강 3위 4 2 1 1 11 2 7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몰디브&스리랑카 2008
우승 1위 5 4 0 1 8 2 1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009
준우승 2위 5 3 2 0 11 3 11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11
4강 3위 4 1 2 1 5 5 5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2013
4강 3위 4 2 1 1 18 3 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15
4강 3위 4 2 0 2 9 9 6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018
우승 1위 4 2 1 1 5 3 7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2021
조별리그 3위 4 2 0 2 4 4 6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23
조별리그 5위 3 1 0 2 3 4 3
합계 본선진출 12회 / 우승 2회 50 25 11 14 97 52 86

5. 연령별 대표팀

5.1. U-23 대표팀

5.1.1. AFC U-23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U-23 챔피언십 대회
파일:오만 국기.svg
2014 오만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6 카타르
파일:중국 국기.svg
2018 중국
불참
파일:태국 국기.svg
2020 태국
예선 탈락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2 우즈베키스탄
AFC U-23 아시안컵 [8]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4 카타르
기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6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5.2. U-20 대표팀

5.2.1. AFC U-20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youth championship 대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59 말레이시아
독립 이전(영국령 인도 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0 말레이시아
파일:태국 국기.svg
1961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2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3 말레이시아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64 남베트남
파일:일본 국기.svg
1965 일본
파일:필리핀 국기.svg
1966 필리핀
없음[9]
파일:태국 국기.svg
1967 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8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9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1970 필리핀
파일:일본 국기.svg
1971 일본
파일:태국 국기.svg
1972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3 이란
파일:태국 국기.svg
1974 태국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5 쿠웨이트
파일:태국 국기.svg
1976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7 이란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1978 방글라데시
파일:태국 국기.svg
1980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1982 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5 UAE
비회원국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6 사우디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카타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0 인도네시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2 UAE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4 인도네시아
불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대한민국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2000 이란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2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04 말레이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2006 인도
AFC U-19 챔피언십 대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8 사우디아라비아[10]
예선 탈락
파일:중국 국기.svg
2010 중국
기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2 UAE
예선 탈락
파일:미얀마 국기.svg
2014 미얀마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6 바레인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18 인도네시아
AFC U-20 아시안컵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우즈베키스탄
예선 탈락
파일:중국 국기.svg
2025 중국
합계 본선진출 없음

5.3. U-17 대표팀

5.3.1. AFC U-17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U-16 Championship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5 카타르
불참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6 카타르
파일:태국 국기.svg
1988 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0 아랍에미리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92 사우디아라비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4 카타르
불참
파일:태국 국기.svg
1996 태국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8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0 베트남
AFC U-17 Championship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2 아랍에미리트
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2004 일본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2006 싱가포르
AFC U-16 Championship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08 우즈베키스탄
불참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0 우즈베키스탄
기권
파일:이란 국기.svg
2012 이란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2014 태국
기권
파일:인도 국기.svg
2016 인도
예선 탈락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 말레이시아
AFC U-17 아시안컵
파일:태국 국기.svg
2023 태국
예선 탈락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5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6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7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8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9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6. 국가별 전적

6.1. 대한민국과 전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국가별 상대전적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2025).svg 남아시아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남아시아축구연맹.png 남아시아 축구 연맹(SAFF)
<colcolor=#fff> 대표팀 국가 최다득점 최근 전적
<colcolor=#fff>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colcolor=#fff> + <colcolor=#fff> - <colcolor=#fff> ±
<rowcolor=#fff> 파일:Nepal_football_national_team_logo.png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황선홍(8) 7:0 승 (2003)
7 7 0 0 53 0 +53
<rowcolor=#fff>
파일:Maldives national football team.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김두현, 이동국(1) 2:0 승 (2004)
2 1 1 0 2 0 +2
<rowcolor=#fff>
파일:방글라데시 국대 2023이.pn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박성화(4) 9:0 승 (1979)
2 2 0 0 13 0 +13
<rowcolor=#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hutan_FA.png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
파일:스리랑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김신욱(6) 5:0 승 (2021)
3 3 0 0 19 0 +19
<rowcolor=#fff> 파일:인도 대표팀 로고.png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차범근(6) 4:1 승 (2011)
19 14 2 3 48 12 +36
<rowcolor=#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황선홍(3) 7:0 승 (1990)
2 2 0 0 13 0 +13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 EAFF | ASEAN | SAFF | WAFF | CAFA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CFA |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OFC |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UEFA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CONCACAF |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CONMEBOL
}}}}}}}}}}}}}}} ||
파일:Maldives national football team.sv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MDV A매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nopad> 2 [🏟️]
<colbgcolor=#000><colcolor=#fff> 0 <nopad> 1 <colbgcolor=#000><colcolor=#fff> 1
0 득점 (-2) <nopa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우세
2 득점 (+2)
<rowcolor=#fff> 없음 최다득점자 김두현, 이동국(1)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선수 기록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12]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nopad> 최근경기: 대한민국 승 (2004)

한국과 역대전적은 1무 1패로 열세.

그 첫 만남은 2003년으로 2006 독일 월드컵 2차예선에서 몰디브 원정경기를 갖게 되었다. 하지만 바로 이 경기가 몰디브 쇼크로 당연히 한국이 압도적으로 이길 것이라 생각했으나 0-0 무승부로 끝이 났고 몰디브 전역은 축제에 빠졌다. 이에 반해 한국은 초상집이었고 자칫하다 미끌어지면 레바논에게 밀려 월드컵 예선에 떨어질 수도 있겠다는 공포에 빠지기도 했다. 또한 이미 오만 쇼크로 입지가 불안해졌던 움베르투 코엘류 감독은 결국 이 경기를 끝으로 해임되고 만다.

1년 뒤, 다시 한국 홈에서 2차예선 경기를 가졌고 여기서도 의외로 득점이 잘 터지지 않고 고전하다가 김두현의 중거리포로 득점에 성공하며 활로를 찾았고 이동국의 추가골이 터지며 몰디브를 상대로 첫 승리를 따냈다. 이후 현재까지 맞대결은 없다.

다른 연령별 대표를 살펴보자면 2002 부산 아시안게임 축구에서 한국 U-23대표팀과 맞붙어 0-4로 패한 적이 한 번 있다.
<nopad> 2004-11-17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nopad> 2:0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6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6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7조 6차전
일시: 2004년 11월 17일 20:00[UTC+9] 장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주심: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수바시 라자르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colbgcolor=#fff><colcolor=#060> - 2:0
(0:0)
<colbgcolor=#fff><colcolor=#060> 모하메드 자밀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6’
안와르 압둘 가니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34’
김두현 파일:득점 아이콘.svg 65’[이동국]
이동국 파일:득점 아이콘.svg 79’[설기현]
후세인 하빕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7’
이브라힘 파질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0’
아담 샤리프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5’
감독: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조 본프레레 감독: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마누엘 곤살베스 고메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MBC]

7조 타팀 결과 파일:레바논 국기.svg LBN 0:0 VIE 파일:베트남 국기.svg
월드컵 2차예선 조별리그 6차전 종료 후 7조 최종 순위[18]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 1 14 6 4 2 0 9 2 +7
<rowcolor=#fff> 파일:레바논 국기.svg LBN • 2 11 6 3 2 1 11 5 +6
<rowcolor=#fff> 파일:베트남 국기.svg VIE 파일:상승 아이콘.svg 3 4 6 1 1 4 5 9 -4
<rowcolor=#fff> 파일:몰디브 국기.svg MDV 파일:하강 아이콘.svg 4 4 6 1 1 4 5 14 -9
2006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진출확정(7조 1위)[19]
}}}}}}}}} ||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nopad> 2004-03-31
<nopad> 0:0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6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6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7조 2차전
일시: 2004년 3월 31일 16:00[UTC+5] 장소: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말레
주심: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아누라 데 실바 경기장: 몰디브 내셔널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060> - 0:0 <colbgcolor=#fff><colcolor=#060> -
사바 모하메드 이브라힘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1’ 정경호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4’
이을용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74’
설기현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90’
박요셉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90+2’
감독: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마누엘 곤살베스 고메스 감독: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움베르투 코엘류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KBS]

7조 타팀 결과 파일:베트남 국기.svg VIE 0:2 LBN 파일:레바논 국기.svg
월드컵 2차예선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7조 순위[23]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파일:상승 아이콘.svg 1 4 2 1 1 0 2 0 +2
<rowcolor=#fff> 파일:베트남 국기.svg VIE 파일:하강 아이콘.svg 2 3 2 1 0 1 4 2 +2
<rowcolor=#fff> 파일:레바논 국기.svg LBN • 3 3 2 1 0 1 2 2 0
<rowcolor=#fff> 파일:몰디브 국기.svg MDV • 4 1 2 0 1 1 0 4 -4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몰디브 쇼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몰디브 쇼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몰디브 쇼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디베히어[2] 2025년 7월 10일 기준[3] 2025년 9월 8일 기준[4] 2008, 2018[5] 다만 경기는 시리아에서 열렸으며, 이 때 예선 6경기 모두 시리아와 이란에서만 열렸다.[6] 원정에서는 1-0 승리.[7] 물론 한국 원정에서 0-2 정도면 선전한 거다. 거기다 이 날 경기에서 한국은 전반에 가볍게 일찍 앞서 나가리라던 당연한 예상과 달리 후반 중반 정도에나 선제골이 겨우 나왔을 정도로(김두현의 중거리슛 득점) 경기 당일 추워서 더운 나라 몰디브 선수들이 고전할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 달리 막상 당일 기온도 많이 춥지 않았으며, 하여간 한국이 생각보다 많이 고전했다.[8] 2028 대회 이후부터는 4년 주기로 변경 (올림픽 예선)[9] 몰디브 축구 협회 창립 이전[10] 이 대회부터 3.4위전 폐지[🏟️] 중립 경기: 0
MDV 홈 경기: 1
KOR 홈 경기: 1
[12]
1골, 김두현, 이동국
[UTC+9] [이동국] 이동국 도움[설기현] 설기현 도움[F] [MBC] [18] 조 1위만 최종예선인 3차예선에 진출한다. 4차전 종료 후 몰디브의 탈락이 확정되었다. 5차전 종료 후 베트남의 탈락이 확정되었다. 최종전 결과 한국이 최종예선에 진출했고 레바논의 탈락이 확정되었다.[19] 6차전 종료 후 확정(2004.11.17.)[UTC+5] [F] [KBS] [23] 조 1위만 최종예선인 3차예선에 진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