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풋살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쿠웨이트 풋살 국가대표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쿠웨이트 풋살 국가대표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쿠웨이트 풋살 국가대표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풋살 대표팀: }}}[[쿠웨이트 풋살 국가대표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쿠웨이트 풋살 국가대표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쿠웨이트 풋살 국가대표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395> |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괌 |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
| | | | |
동티모르 | 라오스 | 레바논 | 마카오 | |
| | | |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
| | | |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
| | | | |
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
| | | |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 |
| | | |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인도 | |
| | | | |
인도네시아 | 일본 | 중국 | 카타르 | |
| | | |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 | | |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
| | | ||
필리핀 | 호주 | 홍콩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 서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 | |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
| | | | |
아랍에미리트 | 예멘 | 오만 | 요르단 | |
| | | | |
이라크 | 카타르 | 쿠웨이트 | 팔레스타인 | }}}}}}}}} |
<nopad> |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 | |||
منتخب الكويت لكرة القدم | |||
<colbgcolor=#1010B5><colcolor=#fff> 정식 명칭 | [1]منتخب الكويت لكرة القدم | ||
FIFA 코드 | KUW | ||
협회 | 쿠웨이트 축구 협회 (KFA) | ||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
지역 연맹 | 서아시아 축구 연맹 (WAFF) | ||
홈구장 | 자베르 알 아흐메드 국제경기장 (Jaber Al Ahmad International Stadium, 60,000석) 알 사다쿠아 왈살람 스타디움 (Al Sadaqua Walsalam Stadium, 21,500석) | ||
별칭 | الأزرق (푸른 물결) | ||
감독 |
엘리우 소자 (Hélio Sousa) | ||
주장 | 파하드 알하제리 (Fahad Al Hajeri) | ||
FIFA 랭킹 | 138위 (2025년 7월 10일 기준 / #) | ||
Elo 랭킹 | 139위 (2025년 8월 30일 기준 / #) | ||
{{{#!wiki style="color: #ff0000;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010B5><colcolor=#fff> A매치 최다 출전 | 바데르 알 무타와 (Bader Al-Mutawa) - 196경기 / 56골 | |
A매치 최다 득점 | 바샤르 압둘라흐 (Bashar Abdullah) - 134경기 / 75골 | ||
월드컵 최다 득점 | 파이살 알 다킬 (Faisal Al-Dakhil) - 1골 (1982) 압둘라 알 불루시 (Abdullah Al-Buloushi) - 1골 (1982) | ||
첫 국제 경기 출전 |
쿠웨이트 vs
아랍 연합 공화국[2] 0:8 패(모로코 / 1961년 9월 4일) | ||
최다 점수 차 승리 |
쿠웨이트 vs
부탄 20:0 승(쿠웨이트 쿠웨이트 시티 / 2000년 2월 14일) | ||
최다 점수 차 패배 |
쿠웨이트 vs
아랍 연합 공화국 0:8 패(모로코 / 1961년 9월 4일) | ||
쿠웨이트 vs
포르투갈 0:8 패(포르투갈 레이리아 / 2003년 11월 19일) |
{{{#!wiki style="color: #ff0000;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010B5> 세계 대회 | ||
월드컵 | [진출] 1회 [최고] 21위/조별리그 (1982) | ||
올림픽 | [진출] 3회 [최고] 5위/8강 (1980) | ||
대륙 대회 | |||
아시안컵 | [진출] 10회 [최고] | ||
WAFF컵 | [진출] 4회 [최고] | ||
SAFF컵 | [진출] 1회 [최고] | ||
걸프컵 | [진출] 25회 [최고] | ||
아랍컵 | [진출] 7회 [최고] |
유니폼 색상 | 홈 | 원정 |
상의 | ||
하의 | 10 | 22 |
양말 |
1. 개요
쿠웨이트의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24위(1998년 12월 23일), 최저 순위는 189위(2017년 12월 21일)이다.2. 상세
청색(Al-Azraq)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랍 연맹 국가의 유니폼은 백·적·녹 계열인데, 특이하게도 쿠웨이트만 파란색의 유니폼을 착용한다. 쿠웨이트라는 국명 자체의 뜻이 "물 근처에 세워진 요새"인 만큼, 전통적으로 파란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이며, 대표 항공사인 쿠웨이트 항공도 파란색을 메인 색으로 사용하고 있다.[3]아시아의 대표적인 강호 였고 한때는 중동 4강[4] 중 하나였지만 지금은 전력이 많이 약해져서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예선도 간신히 통과 했고 그마저도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 하였다. 사실상 21세기 이후로는 아시아 중하위권으로 엄청나게 몰락을 한 상태이다.
유니폼 스폰서는 2023년부터 아디다스이다. 하지만 쿠웨이트는 아시아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존재감이 없는 최약체팀이기에 아디다스 유니폼도 새시즌이 올때마다 발표하는 해당 시즌의 새로운 유니폼 디자인이 아닌, 다소 한~두시즌은 지난 디자인의, 그마저도 아디다스 "기본" 유니폼을 지급받고 있다.[5][6] 이는 쿠웨이트만 그런건 아니고 다른 축구 최약체국들도 이런 경우는 가끔 있다.
3. 역사
3.1. 20세기
1980년대의 쿠웨이트는 아시아 최고 수준의 강호였다. 파이살 알 다킬과 자셈 야쿱 투톱 공격수는 탈 아시아급이었다는 평가였다. 이들은 프로팀 알 카드시아에서도 투톱으로 활약하며 호흡을 맞추며 1970년대에서 1980년대 중반까지의 아시아 축구를 주도했다.1980 AFC 아시안컵 쿠웨이트에서 우승했고 1982년 스페인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예선에서 우승하여 준우승한 뉴질랜드와 함께 82월드컵 24개국 본선에 진출하여 24강 조별리그 체코슬로바키아전에서 첫 골과 첫 승점을 획득했다.[7] 다만 프랑스와의 경기에서 촌극이 있었는데, 3:1로 프랑스가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프랑스가 공격하고 있을 때 관중석의 누군가가 휘슬을 불었고, 이를 쿠웨이트 선수들이 심판의 휘슬로 착각하고 동작을 멈추자 프랑스는 손쉽게 4번째 득점을 얻었다. 이에 경기를 지켜보던 쿠웨이트 축구협회장 파하드 왕자가 경기장에 난입해 골을 무효로 할 것을 요구했고 소련인 심판은 왕자의 요구를 받아들였다.[8] 그러나 그 이후에 실점을 하여 결국 4:1로 패배했다.(...)
또 아랍 지역 축구 대회인 아라비안 걸프컵을 10번 우승하여 걸프컵 최다 우승국가[9]이기도 하다.
1990년대만 해도 자셈 알 후와이디를 앞세운 파괴력 있는 공격진이 자랑거리였고, 1996 아시안컵 8강전에선 전 대회 우승국 일본을 2-0으로 이기면서 4강까지 올라갔던 바 있다.
대한민국에게도 쿠웨이트는 난적이었다. 1994 히로시마 아시안게임에서도 조별본선[10]에서 한번, 3·4위전에서 한번, 총 두번 패했고 이어진 1996년 UAE 아시안컵에서 0-2로 패배, 2000년 레바논 아시안컵에서 0-1로 패배했다. 고비에서 한국의 발목을 잡는 대표적인 중동팀이었다.
3.2. 2000년대
그러나 쿠웨이트 축구는 2004년 이후 몰락하기 시작했다. 2006년 독일 월드컵 2차 지역예선(2004년)에선 중국과 둘 다 1:0으로 서로 이겨 1승 1패를 주고 받으며 결국 승무패를 기록했지만, 예선 다득점[11]에 앞서 일찌감치 중국을 광탈시켰으나, 최종예선에선 조 본프레레가 이끄는 대한민국에게 안방에서 0:4로 참패당하며[12] 조 꼴찌로 플레이오프도 못 나가보고 탈락하였고, 이후로 현재까지 아시아는 물론 중동 대회에서조차 맥을 못 출 정도로 동네북 신세가 되었다. 그리고 이 최종예선을 끝으로 쿠웨이트는 20년 동안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에 진출하지 못했다.한국이 열세였던 상대 전적은 2012년에 와서야 역전되었다. 2024년 기준 역대 전적은 25전 14승 4무 8패로 한국의 우세이며 2004년 이후로는 9승 1무 무패로 한국이 압도하고 있어 과거에 평가를 받았던 한국축구에 가장 강한 난적 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이제는 더 이상 한국의 적수가 아니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3.3. 2010년대 이후
아라비안 걸프컵 대회에선 1998년 우승 이후로 고전하다가 2010년에서야 12년 만에 우승을 달성했고, 2013년 대회는 3위를 거뒀으나 그 밖에 다른 대회는 고전하고 있다. 그 덕에 한 때는 자국 구단이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도 나왔으나, 현재는 AFC컵에 나가고 있다.그리고 2014 브라질 월드컵 3차예선에서 8년 만에 또 한국과 같은 조로 만나게 되었으나, 0:2로 패배하면서 탈락의 수모를 맛봐야 했다.
아라비아 반도 지역 대회인 아라비안 걸프컵에서는 강호다. 모두 10번 우승하여 최다 우승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2014년 사우디아라비아 대회에서는 첫 예선 경기에서 역사적으로 이가 갈리는 이라크를 1:0으로 이겼다.[13] 하지만 아랍에미리트와 2:2로 비기더니만 오만에게 무려 0:5 참패를 당하며 허무하게 탈락했다. 1998년 바레인에서 열린 걸프컵에서 오만을 5:0으로 이긴 뒤로 16년 만에 똑같은 점수차로 설욕당했으며, 쿠웨이트의 걸프컵 역사상 기록에서도 그야말로 찾아보기 어려운 대패를 당했다.
참고로 걸프컵 역대 최다골 승리 기록은 1976년 카타르 대회에서 쿠웨이트가 공교롭게도 오만을 상대로 거둔 8:0 승리인데 쿠웨이트가 이 대회 최다 실점패를 그 오만에게 당한 셈이다.
2015년 AFC 아시안컵[14]에서 모처럼 오랜만에 한국과 같은 조[15] 본선에서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상당히 선전했지만 0:1로 패배했다.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또 한국과 만나게 되었다. 5차전 쿠웨이트의 홈에서 한국에게 0:1로 석패했다. 이 당시까지만 해도 미얀마를 9:0으로 찍어누르는 등 쇠락했어도 동네북까지는 아니었다.
그런데 느닷없는 변수가 생겼다. 쿠웨이트 정부의 축구협회 간섭에 대해 FIFA가 경고하고 간섭 철회를 요구한 것이다. 만약 쿠웨이트 정부가 이 경고를 무시할 경우 FIFA 주관대회 참가 금지라는 초강력 징계가 내려질 가능성이 높다.
쿠웨이트는 안 그래도 이미 2007년에도 축구협회 회장 선거 개입 문제로 같은 징계를 받은 적이 있다. 물론 그때는 깜놀한 쿠웨이트가 10일 만에 백기 투항하면서 징계가 철회된 적이 있으니 이번에도 쿠웨이트가 순순히 경고에 따를 가능성이 높지만, 만에 하나 쿠웨이트가 경고를 무시하고 출전금지 징계라도 당하면 쿠웨이트가 치렀고, 치러야 할 경기들이 모조리 0:3 몰수패 처리될 가능성이 크다. 물론 그렇게 되면 가장 신나는 쪽은 단연 레바논.
결국 쿠웨이트 측이 꼬리를 내리며 더 이상의 징계는 없었지만, 1차전 쿠웨이트 원정에서 한국이 고전했지만 1-0으로 이기며 한숨 돌리게 됐다.
그런데 2015년 10월 17일, 자격 정지를 받았다.
이어 2016년 1월 14일, 피파는 결국 쿠웨이트의 모든 국제경기 출장을 금지시키고 미얀마와의 경기는 몰수패를 선언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어부지리로 최종예선 진출을 자동으로 확정지었다. 그 후에도 계속 징계가 지속되다가 결국 1월 11일에 징계를 철회하지 못해서 2019년 아랍에미리트 아시안컵 최종 예선에도 진출하지 못하고 실격당하게 된다.
이후 2018년 초 자국에서 열린 걸프컵 대회에서도 조 꼴찌를 하는 등 근래 최악의 암흑기를 겪고 있다.
2019년에는 2022년 카타르 월드컵 2차예선 단 2경기를 치르고 성적 부진을 이유로 감독이 경질되었다.
2022년에는 2023년 카타르 아시안컵 예선 경기를 모두 홈에서 개최하게 되었는데, 최약체 네팔만 이겼을 뿐, 요르단에게 3:0, 그리고 심지어 신태용 감독의 동남아시아에서도 약체인 인도네시아에게까지 2:1로 패배하면서 또 아시안컵 본선에 못 나가게 되었다. 결국 이 여파로 비테츠슬라브 라비카 감독은 취임한 지 4개월 만에 사임했다. 이젠 동남아시아 팀에게까지 홈에서 털리는 신세까지 추락한 셈.
이런 가운데 FIFA 랭킹 약체 팀들끼리 모여 벌이는 2023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에 특별 초청팀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아시안컵 우승까지 해 본 쿠웨이트로선 굴욕이 아닐 수 없지만, 개최국이자 대회 최다 우승팀인 인도가 이젠 FIFA 랭킹으로 쿠웨이트보다 40위 가까이나 우위다. 그렇게 인도와 조별리그, 결승에서 2차례 맞붙었지만 모두 1:1로 무승부가 나왔고, 결승전이었기에 시행한 승부차기에선 결국 인도에 패했다.
한편 비록 연령별 대표팀이긴 해도 2023년에 열린 항저우 아시안게임 축구[16]에서 한국에게 무려 0:9 참패를 당하고 말았다. 참고로 쿠웨이트 U-23 대표팀과 역대 전적은 3전 2승 1무로 한국이 앞서긴 하지만 이렇게 엄청 크게 이긴 적이 없었다. 가장 최근 맞대결인 2014년 아시안 게임 대표팀 친선 경기에서 김승대와 장현수의 연속골로 2:1 승리를 거둔 바 있다. 아시안 게임으로만 한정하면 역대 전적은 6전 3승 3패이고, 1974 테헤란 아시안 게임에서 쿠웨이트에게 0:4로 진 게 역대 최다 실점패였다. 아시안 게임 축구[17]에서 만난 것은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이후 29년 만으로, 0:1로 패한 바 있고 동메달 결정전에서 재대결해서 1:2로 패해 대한민국은 4위 목메달로 끝내야 했던 쿠웨이트였는데 이젠 쿠웨이트는 완전히 동네북이라는 게 만천하에 드러난 꼴이었다. 아니, 역대 대한민국 대표팀이 중동 팀을 상대로 이렇게 손쉽게 대승을 거둬본 적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쿠웨이트가 몰락했다. 우습게도 1994년 아시안 게임에 선수로 나와 2경기 모두 쿠웨이트에게 패한 황선홍이 감독으로서 가혹하게 설욕한 셈이 되었다.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A조에서 카타르, 인도, 아프가니스탄과 만났다. 3차예선 진출을 위해서는 카타르와 인도 중 적어도 한 팀은 제치고 조 2위 이상을 해야 하기 때문에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결국 1차전에서 인도에게 0:1로 패했다. 심지어 홈경기였음에도 반드시 잡았어야 할 상대에게 덜미를 잡혔다.
2024년 2월 기준 쿠웨이트의 FIFA 랭킹은 137위에 불과하다. 참고로 아시안컵 우승국 중 세자릿수 FIFA 랭킹을 찍고 있는 나라는 쿠웨이트가 유일하다. 얼마나 쿠웨이트 축구가 처참하게 몰락했는지 보여주는 셈. 6월초에는 139위까지 추락했다가 다시 137위로 올랐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이후 아프가니스탄을 상대로 더블을 기록하고 인도 원정에서 무승부를 기록하고 인도가 아프가니스탄에게 패하는 통에 A조에서 마지막에 겨우 인도를 제치고 카타르에 이은 조 2위로 3차 최종예선에 진출하면서 20년만에 월드컵 최종예선에 올랐고 더불어 차기 아시안컵 진출까지 확정지으며 2015년 대회 이후 12년만에 아시안컵 본선 무대를 밟게 되었다.
그리고 B조에 속하면서 1강(대한민국) - 2중(이라크, 요르단) - 3약(오만, 팔레스타인)으로 들어가 20년동안 한국에게 연이어 참패를 당하는 와중에 이라크와 요르단도 벅차며 같은 약체급인 오만이나 팔레스타인도 힘겨운 상황이라고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예상을 꺾고 시작부터 요르단과 이라크와 비기는 이변을 만들어냈지만 이후 오만에게 0:4로 대패하고 이길 수 있었던 팔레스타인전에서 극장골을 먹히고 2:2로 비기며 빛이 바랬다. 이후로는 한국과의 경기에서 1:3 패배로 하위권에 머물었다. 그러나 요르단과의 경기에서 다시한번 무승부를 기록하고 이라크원정에서는 2:0으로 압서가다가 후반추가시간에만 2골을 먹으며 2-2로 비겼다. 남은 오만,팔레스타인에는 2패를 기록하며 3차예선에서 탈락했다. 마지막 대한민국 원정경기에는 0:4로 대패하며 3차예선을 무승으로 마무리지으며 결과적으로 대한민국이 월드컵에 쉽게 진출하도록 이라크와 요르단에게 고춧가루를 뿌리는 역할을 톡톡히 해냈지만 그게 전부였다.
4.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CE1126 8%, #ffffff 8%, #ffffff 16%, #007A3D 16%, #007A3D)"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7A3D><tablebgcolor=#007A3D>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7A3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순서 | 선수 이름 | 출전 횟수 | 첫 경기 | 마지막 경기 |
1 | 바데르 알 무타와 | 196회 | 2003.9.4 | 2022.6.14 | |
2 | 왈리드 알리 | 136회 | 2002.5.9 | 2014.1.20 | |
3 | 바샤르 압둘라 | 134회 | 1996.3.16 | 2018.5.25 | |
4 | 무사에드 네다 | 126회 | 2002.12.18 | 2015.10.13 | |
5 | 유세프 나세르 | 121회 | 2009.5.31 | 2025.3.20 | |
6 | 나와프 알 칼디 | 116회 | 2000.2.18 | 2014.11.20 | |
7 | 자라 알 아티키 | 112회 | 2001.8.3 | 2013.11.19 | |
8 | 노하일 알샴마리 | 109회 | 1996.3.16 | 2009.1.14 | |
와엘 술라이만 | 1986.10.1 | 1998.12.27 | |||
10 | 자말 무바라크 | 107회 | 1994.11.13 | 2006.10.11 | |
11 | 파하드 알 안사리 | 104회 | 2009.1.20 | 2022.6.6 | |
12 | 파하드 아와드 | 102회 | 2005.5.27 | 2015.10.13 | |
13 | 마부브 주마 | 101회 | 1976.3.28 | 1990.3.9 |
5. 역대전적
5.1. FIFA 월드컵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 67위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영국의 보호국 | |||||||||
1930 우루과이 | 축구협회 창립 이전 (쿠웨이트 셰이크국) | ||||||||
1934 이탈리아 | |||||||||
1938 프랑스 | |||||||||
1950 브라질 | |||||||||
1954 스위스 | FIFA 비회원국 | ||||||||
1958 스웨덴 | |||||||||
※ 쿠웨이트국(걸프 전쟁 이전) | |||||||||
1962 칠레 | FIFA 비회원국 | ||||||||
1966 잉글랜드 | 불참 | ||||||||
1970 멕시코 | |||||||||
1974 서독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1978 아르헨티나 | |||||||||
1982 스페인 | 조별리그[19] | 21위 | 3 | 1 | 0 | 1 | 2 | 2 | 6 |
1986 멕시코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1990 이탈리아 | |||||||||
※ 쿠웨이트국(걸프 전쟁 이후) | |||||||||
1994 미국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1998 프랑스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02 한일 | |||||||||
2006 독일 | |||||||||
2010 남아공 | |||||||||
2014 브라질 | |||||||||
2018 러시아 | |||||||||
2022 카타르 | |||||||||
2026 북미 | 본선 진출 실패[48개국][24] | ||||||||
2030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2034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1회 | 1 | 3 | 0 | 1 | 2 | 2 | 6 |
5.2. AFC 아시안컵
-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9위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영국의 보호국 | |||||||||
1956년 홍콩 | AFC 비회원국 | ||||||||
1960년 대한민국 | |||||||||
※ 쿠웨이트국 | |||||||||
1964년 이스라엘 | AFC 비회원국 | ||||||||
1968년 이란 | 기권 | ||||||||
1972년 태국 | 조별리그 | 5위 | 3 | 2 | 0 | 1 | 4 | 5 | 6 |
1976년 이란 | 준우승 | 2위 | 4 | 3 | 0 | 1 | 6 | 3 | 9 |
1980년 쿠웨이트 | 우승 | 1위 | 6 | 4 | 1 | 1 | 13 | 6 | 13 |
1984년 싱가포르 | 3위[25] | 6 | 2 | 2 | 2 | 5 | 4 | 8 | |
1988년 카타르 | 조별리그 | 7위 | 4 | 0 | 3 | 1 | 2 | 3 | 3 |
1992년 일본 | 본선 진출 실패[8개국] | ||||||||
1996년 아랍에미리트 | 4위[27] | 6 | 2 | 2 | 2 | 9 | 7 | 8 | |
2000년 레바논 | 8강 | 6위 | 4 | 1 | 2 | 1 | 3 | 3 | 5 |
2004년 중국 | 조별리그 | 10위 | 3 | 1 | 0 | 2 | 3 | 7 | 3 |
2007년 아세안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2011년 카타르 | 조별리그 | 14위 | 3 | 0 | 0 | 3 | 1 | 7 | 0 |
2015년 호주 | 조별리그 | 15위 | 3 | 0 | 0 | 3 | 1 | 6 | 0 |
2019년 아랍에미리트 | 예선 도중 실격 | ||||||||
2023년 카타르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2027년 사우디 | 본선진출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10회 / 우승 1회 | 42 | 15 | 10 | 17 | 47 | 51 | 55 |
5.3.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요르단 2000 | 불참 | ||||||||
시리아 2002 | |||||||||
이란 2004 | |||||||||
요르단 2007 | |||||||||
이란 2008 | |||||||||
요르단 2010 | 우승 | 1위 | 4 | 2 | 2 | 0 | 7 | 5 | 8 |
쿠웨이트 2012 | 조별리그 | 5위 | 3 | 2 | 0 | 1 | 4 | 4 | 6 |
카타르 2014 | 4강 | 4위 | 4 | 1 | 1 | 2 | 3 | 5 | 4 |
이라크 2019 | 조별리그 | 5위 | 3 | 1 | 1 | 1 | 3 | 3 | 4 |
아랍에미리트 2023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4회 / 우승 1회 | 14 | 6 | 4 | 4 | 17 | 17 | 22 |
5.4. 아라비안 걸프컵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70 바레인 | 우승 | 1위 | 3 | 3 | 0 | 0 | 10 | 4 | 9 |
1972 사우디아라비아 | 우승 | 1위 | 3 | 2 | 1 | 0 | 14 | 2 | 7 |
1974 쿠웨이트 | 우승 | 1위 | 4 | 4 | 0 | 0 | 16 | 0 | 12 |
1976 카타르 | 우승 | 1위 | 7 | 5 | 2 | 0 | 26 | 7 | 17 |
1979 이라크 | 준우승 | 2위 | 6 | 4 | 1 | 1 | 15 | 4 | 13 |
1982 아랍에미리트 | 우승 | 1위 | 5 | 4 | 0 | 1 | 8 | 2 | 12 |
1984 오만 | 결선리그 | 6위 | 6 | 1 | 2 | 3 | 4 | 8 | 5 |
1986 바레인 | 우승 | 1위 | 6 | 5 | 1 | 0 | 11 | 4 | 16 |
1988 사우디아라비아 | 결선리그 | 5위 | 6 | 1 | 2 | 3 | 3 | 4 | 5 |
1990 쿠웨이트 | 우승 | 1위 | 4 | 3 | 1 | 0 | 10 | 2 | 10 |
1992 카타르 | 결선리그 | 5위 | 5 | 2 | 0 | 3 | 5 | 8 | 6 |
1994 아랍에미리트 | 결선리그 | 5위 | 5 | 1 | 1 | 3 | 2 | 6 | 4 |
1996 오만 | 우승 | 1위 | 5 | 4 | 0 | 1 | 7 | 4 | 12 |
1998 바레인 | 우승 | 1위 | 5 | 4 | 0 | 1 | 18 | 5 | 12 |
2002 사우디아라비아 | 결선리그 | 3위 | 5 | 1 | 2 | 2 | 4 | 6 | 5 |
2003-04 쿠웨이트 | 결선리그 | 6위 | 6 | 1 | 2 | 3 | 6 | 9 | 5 |
2004 카타르 | 4강 | 4위 | 5 | 2 | 1 | 2 | 7 | 7 | 7 |
2007 아랍에미리트 | 조별리그 | 6위 | 3 | 0 | 1 | 2 | 4 | 6 | 1 |
2009 오만 | 4강 | 3위 | 4 | 1 | 2 | 1 | 2 | 2 | 5 |
2010 예멘 | 우승 | 1위 | 5 | 3 | 2 | 0 | 7 | 2 | 11 |
2013 바레인 | 4강 | 3위 | 5 | 3 | 0 | 2 | 9 | 3 | 9 |
2014 사우디아라비아 | 조별리그 | 5위 | 3 | 1 | 1 | 1 | 3 | 7 | 4 |
2017-18 쿠웨이트 | 조별리그 | 7위 | 3 | 0 | 1 | 2 | 1 | 3 | 1 |
2019 카타르 | 조별리그 | 6위 | 3 | 1 | 0 | 2 | 6 | 7 | 3 |
2023 이라크 | 조별리그 | 5위 | 3 | 1 | 1 | 1 | 2 | 3 | 4 |
2024 쿠웨이트 | ? | ? | ? | ? | ? | ? | ? | ? | ? |
2025 오만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24회 / 우승 10회 | 112 | 56 | 23 | 33 | 198 | 112 | 191 |
5.5. FIFA 아랍컵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레바논 1963 | 결선리그 | 4위 | 4 | 1 | 0 | 3 | 5 | 15 | 3 |
쿠웨이트 1964 | 결선리그 | 3위 | 4 | 1 | 1 | 2 | 5 | 5 | 4 |
이라크 1966 | 조별리그 | 7위 | 4 | 0 | 2 | 2 | 8 | 11 | 2 |
사우디아라비아 1985 | 불참 | ||||||||
요르단 1988 | 조별리그 | 8위 | 4 | 1 | 1 | 2 | 2 | 3 | 4 |
시리아 1992 | 불참 | ||||||||
카타르 1998 | 4강 | 3위 | 4 | 3 | 0 | 1 | 13 | 4 | 9 |
쿠웨이트 2002 | 조별리그 | 6위 | 4 | 1 | 2 | 1 | 6 | 6 | 5 |
사우디아라비아 2012 | 조별리그 | 5위 | 2 | 1 | 0 | 1 | 2 | 4 | 3 |
카타르 2021 | 예선 탈락 | ||||||||
합계 | 본선진출 7회 / 3위 1회 | 26 | 8 | 6 | 12 | 41 | 48 | 30 |
5.6.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인도 2023 | 준우승 | 2위 | 5 | 3 | 2 | 0 | 10 | 3 | 11 |
합계 | 본선진출 1회 / 준우승 1회 | 5 | 3 | 2 | 0 | 10 | 3 | 11 |
6. 연령별 대표팀
6.1. U-23 대표팀
6.1.1. AFC U-23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AFC U-23 챔피언십 대회 | |||||||||||
2014 오만 | 조별리그 | 13위 | 1 | 3 | 0 | 1 | 2 | 1 | 4 | ||
2016 카타르 | 예선 탈락 | ||||||||||
2018 중국 | 출전 금지 | ||||||||||
2020 태국 | 예선 탈락 | ||||||||||
AFC U-23 아시안컵 [30] | |||||||||||
2022 우즈베키스탄 | 조별리그 | 14위 | 0 | 3 | 0 | 0 | 3 | 1 | 6 | ||
2024 카타르 | 조별리그 | 12위 | 3 | 3 | 1 | 0 | 2 | 3 | 9 | ||
2026 사우디아라비아 | 예선 탈락 | ||||||||||
합계 | 본선진출 3회[31] | 4 | 9 | 1 | 1 | 7 | 5 | 19 |
6.1.2.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21강 조별리그 E조 1경기 한국전 0:9 패
- E조 4경기 바레인전 1:1 무
- E조 5-2경기 태국전 1:1 무
- 승점 2점 2무 1패(골득실: -9)로 대회 19위
6.2. U-20 대표팀
6.2.1. AFC U-20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AFC youth 챔피언십 대회 | |||||||||||
1959 말레이시아 | 독립 이전(영국의 보호령) | ||||||||||
1960 말레이시아 | |||||||||||
1961 태국 | |||||||||||
1962 태국 | 비회원국 | ||||||||||
1963 말레이시아 | |||||||||||
1964 남베트남 | |||||||||||
1965 일본 | 불참 | ||||||||||
1966 필리핀 | |||||||||||
1967 태국 | |||||||||||
1968 대한민국 | |||||||||||
1969 태국 | |||||||||||
1970 필리핀 | |||||||||||
1971 일본 | 8강 | 6위 | 7 | 4 | 2 | 1 | 1 | 2 | 2 | ||
1972 태국 | 불참 | ||||||||||
1973 이란 | |||||||||||
1974 태국 | |||||||||||
1975 쿠웨이트 | 4강 | 3위[32] | 15 | 7 | 4 | 3 | 0 | 15 | 2 | ||
1976 태국 | 조별리그 | 9위 | 3 | 3 | 0 | 3 | 0 | 6 | 6 | ||
1977 이란 | 불참 | ||||||||||
1978 방글라데시 | 4강[33] | 3위 | 15 | 7 | 4 | 3 | 0 | 12 | 3 | ||
1980 태국 | 불참 | ||||||||||
1982 태국 | 예선 탈락 | ||||||||||
1985 UAE | |||||||||||
1986 사우디 | |||||||||||
1988 카타르 | |||||||||||
1990 인도네시아 | 불참 | ||||||||||
1992 UAE | 예선 탈락 | ||||||||||
1994 인도네시아 | 조별리그 | 9위 | 2 | 4 | 0 | 2 | 2 | 3 | 9 | ||
1996 대한민국 | 예선 탈락 | ||||||||||
1998 태국 | 조별리그 | 9위 | 2 | 4 | 0 | 2 | 2 | 2 | 5 | ||
2000 이란 | 조별리그 | 6위 | 6 | 4 | 2 | 0 | 2 | 8 | 8 | ||
2002 카타르 | 예선 탈락 | ||||||||||
2004 말레이시아 | |||||||||||
2006 인도 | |||||||||||
AFC U-19 챔피언십 대회 | |||||||||||
2008 사우디 | 예선 탈락 | ||||||||||
2010 중국 | |||||||||||
2012 UAE | 조별리그 | 14위 | 1 | 3 | 0 | 1 | 2 | 1 | 8 | ||
2014 미얀마 | 예선 탈락 | ||||||||||
2016 바레인 | |||||||||||
2018 인도네시아 | 실격 | ||||||||||
AFC U-20 아시안컵 | |||||||||||
2023 우즈베키스탄 | 예선 탈락 | ||||||||||
2025년 중국 | |||||||||||
합계 | 본선진출 8회 / 3위 2회 | 51 | 36 | 12 | 15 | 9 | 49 | 44 |
6.3. U-17 대표팀
6.3.1. AFC U-17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AFC U-16 Championship | |||||||||||
카타르 1985 | 기권 | ||||||||||
카타르 1986 | 예선 탈락 | ||||||||||
태국 1988 | |||||||||||
아랍에미리트 1990 | |||||||||||
사우디아라비아 1992 | |||||||||||
카타르 1994 | |||||||||||
태국 1996 | 조별리그 | 8위 | 3 | 4 | 1 | 0 | 3 | 5 | 9 | ||
카타르 1998 | 예선 탈락 | ||||||||||
베트남 2000 | 조별리그 | 9위 | 0 | 4 | 0 | 0 | 4 | 6 | 12 | ||
AFC U-17 Championship | |||||||||||
아랍에미리트 2002 | 예선 탈락 | ||||||||||
일본 2004 | 8강 | 8위 | 4 | 4 | 1 | 1 | 2 | 6 | 8 | ||
싱가포르 2006 | 예선 탈락 | ||||||||||
AFC U-16 Championship | |||||||||||
우즈베키스탄 2008 | 예선 탈락 | ||||||||||
우즈베키스탄 2010 | 조별리그 | 10위 | 4 | 3 | 1 | 1 | 1 | 1 | 3 | ||
이란 2012 | 8강 | 8위 | 4 | 4 | 1 | 1 | 2 | 7 | 9 | ||
태국 2014 | 조별리그 | 15위 | 0 | 3 | 0 | 0 | 3 | 3 | 9 | ||
인도 2016 | 실격 | ||||||||||
말레이시아 2018 | |||||||||||
AFC U-17 아시안컵 | |||||||||||
태국 2023 | 예선 탈락 | ||||||||||
2025년 사우디 | |||||||||||
합계 | 본선진출 6회 / 8강 2회 | 15 | 22 | 4 | 3 | 15 | 28 | 50 |
7. 국가별 전적
7.1. 대한민국과 전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6002D> | 국가별 상대전적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colcolor=#fff> 대표팀 | 국가 | 최다득점 | 최근 전적 | |||||
<colcolor=#fff>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
<rowcolor=#fff> | | 박주영(3) | 1:0 승 (2022) | |||||
16 | 12 | 3 | 1 | 28 | 5 | +23 | ||
<rowcolor=#fff> | | 허정무, 최순호(4) | 3:1 승 (2024) | |||||
17 | 12 | 4 | 1 | 40 | 12 | +28 | ||
<rowcolor=#fff> | | 황선홍, 조규성(2) | 1:1 무 (2024) | |||||
19 | 5 | 9 | 5 | 20 | 16 | +4 | ||
<rowcolor=#fff> | | 박성화(2) | 2:0 승 (2022) | |||||
10 | 6 | 3 | 1 | 12 | 5 | +7 | ||
<rowcolor=#fff> | | 박주영 등 5명(3) | 0:1 패 (2022) | |||||
21 | 13 | 5 | 3 | 36 | 14 | +22 | ||
<rowcolor=#fff> | | 박성화(4) | 6:0 승 (1984) | |||||
1 | 1 | 0 | 0 | 6 | 0 | +6 | ||
<rowcolor=#666> | | 최순호(2) | 3:0 승 (1982) | |||||
1 | 1 | 0 | 0 | 3 | 0 | +3 | ||
<rowcolor=#fff> | | 안정환(2) | 1:1 무 (2025) | |||||
7 | 5 | 1 | 1 | 12 | 6 | +6 | ||
<rowcolor=#fff> | | 박주영(2) | 1:1 무 (2025) | |||||
9 | 4 | 4 | 1 | 10 | 7 | +3 | ||
<rowcolor=#fff> | | 이재성(3) | 2:0 승 (2025) | |||||
25 | 11 | 12 | 2 | 32 | 16 | +16 | ||
<rowcolor=#fff> | | 이근호(3) | 2:1 승 (2020) | |||||
11 | 6 | 2 | 3 | 19 | 13 | +6 | ||
<rowcolor=#fff> | | 이동국(5) | 4:0 승 (2025) | |||||
26 | 14 | 4 | 8 | 37 | 21 | +16 | ||
<rowcolor=#fff> | | 손흥민(1) | 1:1 무 (2024) | |||||
2 | 0 | 2 | 0 | 1 | 1 | 0 | ||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
| <colcolor=#fff> 역대 전적 | |
| A매치 | |
<nopad> 26 전[🏟️] | ||
<colbgcolor=#000><colcolor=#fff> 8 승 | <nopad> 4 무 | <colbgcolor=#000><colcolor=#fff> 14 승 |
21 득점 (-16) | <nopad> | 37 득점 (+16) |
<rowcolor=#fff> 파이살 알 다킬(3) | 최다득점자 | 이동국(5) |
| 선수 기록 | |
<nopad> 최근경기: 대한민국 승 (2025) |
한국과 전적은 26전 8승 4무 14패로 열세이다. 서아시아에서 한국과 현재까지 가장 많은 경기를 펼쳤고 중동 전역에서도 이란 다음으로 많다. 또한 한국에게 8승 이상을 거둔 아시아 국가로 이는 일본, 이란, 호주, 태국, 말레이시아와 함께 6개국뿐이다. 게다가 이들 중 경기 수는 가장 적어 승리 비율이 꽤 높은 편인데 다만, 가장 마지막으로 한국을 꺾은 것은 2000년인 상당히 오래 전 일로 현재는 중동에서도 하위권으로 굴러떨어졌지만 20세기, 특히 1980년대 쿠웨이트의 축구 위상이 어땠는지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양 팀의 첫 맞대결은 1972년 아시안컵으로 이후 각종 메이저 본선 예선에서 자주 만났다. 신기한 것은 현재까지도 쿠웨이트와 친선 대회나 친선 경기가 없는데도 중동에서 가장 많이 경기를 한 것으로 그만큼 중요한 길목에서 많이 격돌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80년대 당시 아시아 최강국이었던 쿠웨이트는 한국에겐 강력한 호적수였고 1980년 아시안컵 결승에서 격돌하지만 개최국 쿠웨이트가 3-0으로 한국을 완파하고 사상 첫 아시안컵 우승을 이룬다. 당시 한국도 강한 전력이었고 이미 조별리그에서 쿠웨이트를 3-0으로 이긴 바 있었지만 준결승에서 만난 북한과 맞대결에서 무려 9명이 부상당하는 등 전력 누수 등이 겹치며 결국 우승을 내주고 말았다.
20세기까지 한국과 전적은 8승 3무 5패로 우세했다. 하지만 2005년을 기점으로 현재는 한국이 상대전적 우위를 가진다. 심지어 그 경기에서 홈에 무려 0-4 대패를 당하며 중동 축구 강국으로서의 지위를 완전히 상실해 버린다.
2016년, 러시아 월드컵 예선에서는 이른바 쿠웨이트 정부의 축구협회 간섭 파문으로 대한민국에게 0:3 몰수패를 당한다.[38]
가장 최근 경기는 2025년 펼쳐진 2026년 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B조 10차전으로 원정에서 한국에 0-4로 대패했다.
7.1.1. 대한민국과 역대 경기결과
<nopad> 2025-06-10 | |||||
<nopad> 4: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26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B조 10차전 | ||||
일시: 2025년 6월 10일 20: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003300> 전진우 | 4:0 (1:0) | <colbgcolor=#fff><colcolor=#003300> 유세프 마제드 레다 하니 | |||
이강인 오현규 이태석 이재성 | - | ||||
감독: | 승 | 감독: | |||
|
B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3차예선 조별리그 10차전 종료 후 B조 최종순위[47]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22 | 10 | 6 | 4 | 0 | 20 | 7 | +13 |
<rowcolor=#fff> | • 2 | 16 | 10 | 4 | 4 | 2 | 16 | 8 | +8 |
<rowcolor=#fff> | • 3 | 15 | 10 | 4 | 3 | 3 | 9 | 9 | 0 |
<rowcolor=#fff> | • 4 | 11 | 10 | 3 | 2 | 5 | 9 | 14 | -5 |
<rowcolor=#fff> | • 5 | 10 | 10 | 2 | 4 | 4 | 10 | 13 | -3 |
<rowcolor=#fff> | • 6 | 5 | 10 | 0 | 5 | 5 | 7 | 20 | -13 |
|
<nopad> 2024-11-14 | |||||
<nopad> 1:3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26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B조 5차전 | ||||
일시: 2024년 11월 14일 17:00[UTC+3]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자베르 알아흐마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03300> 사미 알-사네아 | 1:3 (0:2) | <colbgcolor=#fff><colcolor=#003300> 오세훈 손흥민 | |||
모아트 알 다피리 모하마드 다함 | 조유민 배준호 | ||||
감독: | 승 | 감독: | |||
|
B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3차예선 조별리그 5차전 종료 후 B조 순위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13 | 5 | 4 | 1 | 0 | 11 | 4 | +7 |
<rowcolor=#fff> | • 2 | 8 | 5 | 2 | 2 | 1 | 8 | 4 | +4 |
<rowcolor=#fff> | • 3 | 8 | 5 | 2 | 2 | 1 | 4 | 3 | +1 |
<rowcolor=#fff> | • 4 | 6 | 5 | 2 | 0 | 3 | 6 | 8 | -2 |
<rowcolor=#fff> | • 5 | 3 | 5 | 0 | 3 | 2 | 4 | 10 | -6 |
<rowcolor=#fff> | • 6 | 2 | 5 | 0 | 2 | 3 | 3 | 7 | -4 |
<nopad> 2016-03-29 | |||||
<nopad> 3:0 [Fo][57]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8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아시아 2차예선 G조 10차전[2018Q2] | ||||
| 몰수승 | |
G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2차예선 조별리그 10차전 종료 후 G조 최종 순위[60]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24 | 8 | 8 | 0 | 0 | 27 | 0 | +27 |
<rowcolor=#fff> | • 2 | 11 | 8 | 3 | 2 | 3 | 12 | 6 | +6 |
<rowcolor=#fff> | • 3 | 10 | 8 | 3 | 1 | 4 | 12 | 10 | +2 |
<rowcolor=#fff> | • 4 | 8 | 8 | 2 | 2 | 4 | 9 | 21 | -12 |
<rowcolor=#fff> | • 5 | 4 | 8 | 1 | 1 | 6 | 6 | 29 | -23 |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진출확정(G조 1위)[61] | |||||||||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 | <nopad> 2015-10-08 | ||||
<nopad> 0: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8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아시아 2차예선 G조 5차전[2018Q2] | ||||
일시: 2015년 10월 8일 17:50[UTC+3]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쿠웨이트 스포츠 클럽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60> - | 0:1 (0:1) | <colbgcolor=#fff><colcolor=#060> 구자철 정우영 | |||
- | 김영권 구자철 석현준 | ||||
감독: | 승 | 감독: | |||
|
G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2차예선 조별리그 5차전 종료 후 G조 순위[70]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12 | 4 | 4 | 0 | 0 | 14 | 0 | +14 |
<rowcolor=#fff> | • 2 | 9 | 4 | 3 | 0 | 1 | 12 | 1 | +11 |
<rowcolor=#fff> | • 3 | 6 | 3 | 2 | 0 | 2 | 4 | 4 | 0 |
<rowcolor=#fff> | | 1 | 4 | 0 | 1 | 3 | 2 | 14 | -12 |
<rowcolor=#fff> | | 1 | 4 | 0 | 1 | 3 | 2 | 15 | -13 |
<nopad> 2015-01-13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 | ||||
<nopad> 1: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5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2015년 1월 13일 18:00[UTC+11]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캔버라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장현수 남태희 | 1:0 (1:0)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파하드 아와드 | |||
차두리 | - | ||||
감독: | 승 | 감독: | |||
|
A조 타팀 결과 | | ||||||||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A조 순위[75]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6 | 2 | 2 | 0 | 0 | 8 | 1 | +7 |
<rowcolor=#fff> | • 2 | 6 | 2 | 2 | 0 | 0 | 2 | 0 | +2 |
<rowcolor=#fff> | | 0 | 2 | 0 | 0 | 2 | 1 | 5 | -4 |
<rowcolor=#fff> | | 0 | 2 | 0 | 0 | 2 | 0 | 5 | -5 |
<nopad> 2012-02-29 | |||||
<nopad> 2: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4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시아 3차예선 B조 6차전 | ||||
일시: 2012년 2월 29일 21: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006600> - | 2:0 (0:0) | <colbgcolor=#fff><colcolor=#006600> 바데르 알 무트와 타랄 알렌지 | |||
이동국 이근호 기성용 김신욱 | 메사에드 알 엔지 파헤드 알 에브라힘 | ||||
감독: | 승 | 감독: | |||
|
B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3차예선 조별리그 6차전 종료 후 B조 최종 순위[81]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13 | 6 | 4 | 1 | 1 | 14 | 4 | +10 |
<rowcolor=#fff> | • 2 | 10 | 6 | 3 | 1 | 2 | 10 | 14 | -4 |
<rowcolor=#fff> | • 3 | 8 | 6 | 2 | 2 | 2 | 8 | 9 | -1 |
<rowcolor=#fff> | • 4 | 3 | 6 | 1 | 0 | 5 | 9 | 14 | -5 |
2014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진출확정(B조 1위)[82] |
| <nopad> 2011-09-06 | ||||
<nopad> 1: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14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아시아 3차예선 B조 2차전 | ||||
일시: 2011년 9월 6일 20:00[UTC+3] | 장소: | ||||
주심: | 경기장: 피스 앤 프랜드쉽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06600> - | 1:1 (0:1) | <colbgcolor=#fff><colcolor=#006600> 박주영 | |||
왈리드 알리 주마 후사인 파드헬 알리 | 김재성 | ||||
감독: | 무 | 감독: | |||
|
B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3차예선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B조 순위[86]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4 | 2 | 1 | 1 | 0 | 7 | 1 | +6 |
<rowcolor=#fff> | • 2 | 4 | 2 | 1 | 1 | 0 | 4 | 3 | +1 |
<rowcolor=#fff> | | 3 | 2 | 1 | 0 | 1 | 3 | 7 | -4 |
<rowcolor=#fff> | | 0 | 2 | 0 | 0 | 2 | 3 | 6 | -3 |
| <nopad> 2005-06-08 | ||||
<nopad> 0:4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6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06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A조 5차전 | ||||
일시: 2005년 6월 8일 18:05[UTC+3]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카즈마 스포츠 클럽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30> 무사에드 네다 | 0:4 (0:2) | <colbgcolor=#fff><colcolor=#030> 차두리 박주영 이동국 | |||
압둘라흐 야콥 | 정경호 김한윤 박지성 김정우 | ||||
감독: | 승 | 감독: | |||
|
B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최종예선 조별리그 5차전 종료 후 A조 순위[95]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11 | 5 | 3 | 2 | 0 | 9 | 1 | +8 |
<rowcolor=#fff> | • 2 | 10 | 5 | 3 | 1 | 1 | 9 | 4 | +5 |
<rowcolor=#fff> | • 3 | 4 | 5 | 1 | 1 | 3 | 2 | 10 | -8 |
<rowcolor=#fff> | • 4 | 2 | 5 | 0 | 2 | 3 | 4 | 9 | -5 |
|
<nopad> 2005-02-09 | | ||||
<nopad> 2: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6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06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A조 1차전 | ||||
일시: 2005년 2월 9일 20: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030> 이동국 박재홍 | 2:0 (1:0) | <colbgcolor=#fff><colcolor=#030> 모하마드 알무타리 알리 아셀 카레드 알사마르 | |||
이영표 | 메사에드 알넨지 | ||||
감독: | 승 | 감독: | |||
|
B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최종예선 조별리그 1차전 종료 후 A조 순위[102]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1 | 3 | 1 | 1 | 0 | 0 | 2 | 0 | +2 |
<rowcolor=#fff> | 2 | 1 | 1 | 0 | 1 | 0 | 1 | 1 | 0 |
<rowcolor=#fff> | = | 1 | 1 | 0 | 1 | 0 | 1 | 1 | 0 |
<rowcolor=#fff> | 4 | 0 | 1 | 0 | 0 | 1 | 0 | 2 | -2 |
<nopad> 2004-07-27 | |||||
<nopad> 4: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4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2004년 7월 27일 19:00[UTC+8]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산둥 스포츠 센터 |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이동국 김진규 차두리 | 4:0 (3:0)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무사에드 알 에네지[108] 바더 알 모타와아[109] | |||
최진철 안정환 | - | ||||
감독: | 승 | 감독: | |||
|
B조 타팀 결과 | | ||||||||
조별리그 3차전 종료 후 B조 최종순위[114]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7 | 3 | 2 | 1 | 0 | 6 | 0 | +6 |
<rowcolor=#fff> | | 5 | 3 | 1 | 2 | 0 | 2 | 0 | +2 |
<rowcolor=#fff> | • 3 | 3 | 3 | 1 | 0 | 2 | 3 | 7 | -4 |
<rowcolor=#fff> | • 4 | 1 | 3 | 0 | 1 | 2 | 1 | 5 | -4 |
<nopad> 2000-10-16 | |||||
<nopad> 0: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0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2000년 10월 16일 19:45[UTC+2]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인터내셔널 올림픽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박진섭 | 0:1 (0:1)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자셈 알후와이디 | |||
- | - | ||||
감독: | 패 | 감독: | |||
|
B조 타팀 결과 | | ||||||||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B조 순위[120]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4 | 2 | 1 | 1 | 0 | 6 | 2 | +4 |
<rowcolor=#fff> | | 4 | 2 | 1 | 1 | 0 | 1 | 0 | +1 |
<rowcolor=#fff> | | 1 | 2 | 0 | 1 | 1 | 2 | 3 | -1 |
<rowcolor=#fff> | | 1 | 2 | 0 | 1 | 1 | 0 | 4 | -4 |
<nopad> 1998-12-11 | |||||
<nopad> 1: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8 아시안게임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1998년 12월 11일 17:00[UTC+7] | 장소: [[태국|{{{#fff | ||||
주심: | 경기장: 라차망칼라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36c> 윤정환 | 1:0 (0:0) | <colbgcolor=#fff><colcolor=#36c> - | |||
최용수 안효연 | - | ||||
감독: | 승 | 감독: | |||
|
2조 타팀 결과 | | ||||||||
2차 조별리그 3차전 종료 후 A조 최종순위[125]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9 | 3 | 3 | 0 | 0 | 5 | 1 | +4 |
<rowcolor=#fff> | • 2 | 3 | 3 | 1 | 0 | 2 | 6 | 3 | +3 |
<rowcolor=#fff> | • 3 | 3 | 3 | 1 | 0 | 2 | 2 | 4 | -2 |
<rowcolor=#fff> | • 4 | 3 | 3 | 1 | 0 | 2 | 2 | 7 | -5 |
<nopad> 1996-12-10 | |||||
<nopad> 0:2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6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1996년 12월 10일 19:00[UTC+4]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셰이크 자예드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 | 0:2 (0:0)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와일 알 하바시 사미 알 렌카위 | |||
- | 자셈 알 후와이디 바샤르 압둘라 | ||||
감독: | 패 | 감독: | |||
|
A조 타팀 결과 | | ||||||||
조별리그 3차전 종료 후 A조 최종순위[131]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7 | 3 | 2 | 1 | 0 | 6 | 3 | +3 |
<rowcolor=#fff> | | 4 | 3 | 1 | 1 | 1 | 6 | 5 | +1 |
<rowcolor=#fff> | | 4 | 3 | 1 | 1 | 1 | 5 | 5 | 0 |
<rowcolor=#fff> | • 4 | 1 | 3 | 0 | 1 | 2 | 4 | 8 | -4 |
<nopad> 1994-10-15 | |||||
<nopad> 1:2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4 아시안게임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1994년 10월 15일 19:00[UTC+9] | 장소: [[일본|{{{#fff | ||||
주심: | 경기장: 히로시마 광역공원 제1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36c> 서정원 한정국 | 1:2 (1:2) | <colbgcolor=#fff><colcolor=#36c> 와엘 알 하바시 파와즈 알 아흐마드 | |||
- | - | ||||
감독: | 패 | 감독: |
<nopad> 1994-10-07 | |||||
<nopad> 0: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4 아시안게임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1994년 10월 7일 19:00[UTC+9] | 장소: [[일본|{{{#fff | ||||
주심: | 경기장: 미요시 체육공원 육상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36c> - | 0:1 (0:0) | <colbgcolor=#fff><colcolor=#36c> 나와프 알 아네지 | |||
- | 바셰르 살부크 | ||||
감독: | 패 | 감독: |
C조 타팀 결과 | | ||||||||
조별리그 3차전 종료 후 C조 최종순위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7 | 3 | 2 | 1 | 0 | 11 | 2 | +9 |
<rowcolor=#fff> | | 6 | 3 | 2 | 0 | 1 | 13 | 2 | +11 |
<rowcolor=#fff> | • 3 | 4 | 3 | 1 | 1 | 1 | 4 | 4 | 0 |
<rowcolor=#fff> | • 4 | 0 | 3 | 0 | 0 | 3 | 0 | 20 | -20 |
<nopad> 1990-10-01 | | ||||
<nopad> 1: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0 아시안게임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1990년 10월 1일 18:00[UTC+8] | 장소: [[중국|{{{#fff | ||||
주심: | 경기장: 펑타이 스포츠센터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36c> - | 1:0 (0:0) | <colbgcolor=#fff><colcolor=#36c> - | |||
구상범 | - | ||||
감독: | 승 | 감독: |
<nopad> 1984-12-05 | |||||
<nopad> 0: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84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1984년 12월 5일 19:00[UTC+8]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싱가포르 내셔널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 | 0:0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 | |||
3명[141] | 3명[142] | ||||
감독: | 무 | 감독: |
1조 타팀 결과 | | ||||||||
조별리그 5경기 종료 후 1조 순위[144]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3 | 2 | 1 | 1 | 0 | 2 | 1 | +1 |
<rowcolor=#fff> | | 3 | 2 | 1 | 1 | 0 | 1 | 0 | +1 |
<rowcolor=#fff> | | 2 | 2 | 0 | 2 | 0 | 1 | 1 | 0 |
<rowcolor=#fff> | | 1 | 2 | 0 | 1 | 1 | 1 | 2 | -1 |
<rowcolor=#fff> | | 1 | 2 | 0 | 1 | 1 | 1 | 2 | -1 |
<nopad> 1984-04-17 | | ||||
<nopad> 0: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84 올림픽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남자축구 아시아 2차예선 조별리그 1조 3경기[1984OQ] | ||||
일시: 1984년 4월 17일 18:30[UTC+8]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c69> - | 0:0 | <colbgcolor=#fff><colcolor=#c69> - | |||
- | - | ||||
감독: | 무 | 감독: |
1조 타팀 결과 | (1경기) (2경기) | ||||||||
올림픽 2차예선 조별리그 3경기 종료 후 1조 순위[147]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1 | 3 | 2 | 1 | 1 | 0 | 2 | 0 | +2 |
<rowcolor=#fff> | 2 | 2 | 1 | 1 | 0 | 0 | 3 | 1 | +2 |
<rowcolor=#fff> | 3 | 1 | 1 | 0 | 1 | 0 | 0 | 0 | 0 |
<rowcolor=#fff> | 4 | 0 | 1 | 0 | 0 | 1 | 1 | 3 | -2 |
<rowcolor=#fff> | 5 | 0 | 1 | 0 | 0 | 1 | 0 | 2 | -2 |
| <nopad> 1981-04-29 | ||||
<nopad> 2: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82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82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1차예선 3조 3차전 | ||||
일시: 1981년 4월 29일 16:00[UTC+3]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알 카디시야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60> - | 2:0 (0:0) | <colbgcolor=#fff><colcolor=#060> - | |||
압둘아지즈 알 안바리 파티 카밀 마타르 나시르 알 가넴 왈리드 알 자셈 | 조광래 홍성호 이태호 | ||||
감독: | 승 | 감독: |
3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1차예선 조별리그 3차전 종료 후 3조 최종 순위[149]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6 | 3 | 3 | 0 | 0 | 12 | 0 | +12 |
<rowcolor=#fff> | • 2 | 2 | 3 | 2 | 0 | 1 | 7 | 4 | +3 |
<rowcolor=#fff> | • 3 | 1 | 2 | 0 | 1 | 2 | 3 | 8 | -5 |
<rowcolor=#fff> | • 4 | 1 | 3 | 0 | 1 | 2 | 3 | 13 | -10 |
|
| <nopad> 1980-09-30 | ||||
<nopad> 3: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80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1980년 9월 30일 18:30[UTC+3]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사바 알 사렘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사드 알 후티 파이살 알 다킬 | 3:0 (2:0)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 | |||
파이살 알 다킬 | 이강조 | ||||
감독: | 패 | 감독: |
<nopad> 1980-09-21 | |||||
<nopad> 0:3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80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1980년 9월 21일 16:30[UTC+3]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사바 알 사렘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 | 0:3 (0:0)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 | |||
- | 황석근 최순호 | ||||
감독: | 승 | 감독: |
B조 타팀 결과 | | ||||||||
조별리그 4차전 종료 후 B조 순위[156]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5 | 3 | 2 | 1 | 0 | 6 | 1 | +5 |
<rowcolor=#fff> | | 4 | 4 | 1 | 2 | 1 | 5 | 5 | 0 |
<rowcolor=#fff> | | 3 | 3 | 1 | 1 | 1 | 4 | 5 | -1 |
<rowcolor=#fff> | • 4 | 3 | 3 | 1 | 1 | 1 | 3 | 4 | -1 |
<rowcolor=#fff> | • 5 | 1 | 3 | 0 | 1 | 2 | 2 | 5 | -3 |
<nopad> 1978-12-13 | | ||||
<nopad> 2: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78 아시안게임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1978년 12월 13일 20:10[UTC+7] | 장소: [[태국|{{{#fff | ||||
주심: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36c> - | 2:0 (0:0) | <colbgcolor=#fff><colcolor=#36c> - | |||
오석재 허정무 | - | ||||
감독: | 승 | 감독: |
C조 타팀 결과 | | ||||||||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C조 순위[158]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4 | 2 | 2 | 0 | 0 | 7 | 1 | +6 |
<rowcolor=#fff> | | 2 | 2 | 1 | 0 | 1 | 4 | 2 | +2 |
<rowcolor=#fff> | | 2 | 2 | 1 | 0 | 1 | 2 | 2 | 0 |
<rowcolor=#fff> | • 4 | 0 | 2 | 0 | 0 | 2 | 1 | 9 | -8 |
| <nopad> 1977-11-05 | ||||
<nopad> 2:2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78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78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최종예선 13경기[1978Q2] | ||||
일시: 1977년 11월 5일 17:00[UTC+3]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알쿠웨이트 스포츠 클럽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30> - | 2:2 (0:1) | <colbgcolor=#fff><colcolor=#030> 차범근 | |||
파이살 알 다킬 바드로 부 아바스 | 김호곤 최종덕 | ||||
감독: | 무 | 감독: |
타팀 경기 결과 | (12경기) | ||||||||
월드컵 최종예선 13경기 종료 후 전체 순위[161]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7 | 6 | 3 | 1 | 2 | 11 | 5 | +6 |
<rowcolor=#fff> | | 7 | 4 | 3 | 1 | 0 | 4 | 0 | +4 |
<rowcolor=#fff> | | 7 | 6 | 2 | 3 | 1 | 5 | 4 | +1 |
<rowcolor=#fff> | • 4 | 5 | 5 | 2 | 1 | 2 | 7 | 6 | +1 |
<rowcolor=#fff> | • 5 | 0 | 5 | 0 | 0 | 5 | 3 | 15 | -12 |
<nopad> 1977-10-09 | | ||||
<nopad> 1: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78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78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최종예선 8경기[1978Q2] | ||||
일시: 1977년 10월 9일 14:3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동대문운동장 | ||||
<colbgcolor=#fff><colcolor=#030> - | 1:0 (0:0) | <colbgcolor=#fff><colcolor=#030> - | |||
박상인 | - | ||||
감독: | 승 | 감독: |
타팀 경기 결과 | (9경기) | ||||||||
월드컵 최종예선 9경기 종료 후 전체 순위[164]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5 | 3 | 2 | 1 | 0 | 3 | 0 | +3 |
<rowcolor=#fff> | | 5 | 4 | 2 | 1 | 1 | 3 | 2 | +1 |
<rowcolor=#fff> | | 4 | 4 | 2 | 0 | 2 | 6 | 3 | +3 |
<rowcolor=#fff> | • 4 | 4 | 3 | 2 | 0 | 1 | 5 | 3 | +2 |
<rowcolor=#fff> | • 5 | 0 | 4 | 0 | 0 | 4 | 1 | 9 | -8 |
<nopad> 1974-09-06 | | ||||
<nopad> 0:4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74 아시안게임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1974년 9월 6일 18:30[UTC+3.5] | 장소: [[팔라비 왕조|{{{#fff | ||||
주심: [None] | 경기장: 아라야메르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36c> - | 0:4 (0:3) | <colbgcolor=#fff><colcolor=#36c> 파티 카멜 자셈 야쿠브 | |||
- | 자셈 야쿠브 | ||||
감독: | 패 | 감독: [None] |
조별리그 3경기 종료 후 A조 최종순위[170]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4 | 2 | 2 | 0 | 0 | 7 | 2 | +5 |
<rowcolor=#fff> | • 2 | 2 | 2 | 1 | 0 | 1 | 4 | 0 | -3 |
<rowcolor=#fff> | • 3 | 0 | 2 | 0 | 0 | 2 | 2 | 4 | -2 |
<nopad> 1972-05-12 | | ||||
<nopad> 1:2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72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1972년 5월 12일 | 장소: | ||||
주심:[None] | 경기장: 타일랜드 내셔널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박이천 | 1:2 (1:1) | <colbgcolor=#fff><colcolor=#000066> 모하마드 술탄 | |||
- | 이브라힘 듀라이햄 | ||||
감독: | 패 | 감독: |
2조 타팀 결과 | | ||||||||
조별리그 3경기 종료 후 2조 최종순위[173]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2 | 2 | 1 | 0 | 1 | 5 | 3 | +2 |
<rowcolor=#fff> | | 2 | 2 | 1 | 0 | 1 | 5 | 4 | +1 |
<rowcolor=#fff> | | 2 | 2 | 1 | 0 | 1 | 2 | 5 | -3 |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fff,#191919> | AFC 아시안컵 우승 국가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000000" | 순서 | 우승국 | 우승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eeeeef,#191919> | <colbgcolor=#002395,#000> 대한민국 | 1956, 1960 | ★★ 2회 | |
2 | | 이스라엘[1] | 1964 | ★ 1회 | |
3 | | 이란 | 1968, 1972, 1976 | ★★★ 3회 | |
4 | | 쿠웨이트 | 1980 | ★ 1회 | |
5 | | 사우디아라비아 | 1984, 1988, 1996 | ★★★ 3회 | |
6 | | 일본 | 1992, 2000, 2004, 2011 | ★★★★ 4회 | |
7 | | 이라크 | 2007 | ★ 1회 | |
8 | | 호주 | 2015 | ★ 1회 | |
9 | | 카타르 | 2019, 2023 | ★★ 2회 | |
[1] 1976년 AFC에서 축출, 현재는 UEFA 소속. | }}}}}}}}} |
[1] 아랍어[2] 이집트 시리아 연합 공화국이다. 경기기록은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이 승계한다.[3] 이와 비슷하게 일본의 경우도 국기의 색이 적·백이지만 물로 둘러싸인 섬나라이고 예로부터 바다와 상당히 밀접한 문화였기에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메인 컬러도 이를 본따 파란색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다. 다만 일본은 옛날에는 국기 색깔을 본따 그대로 빨간색 유니폼을 입던 시기가 가끔 있긴 했다.[4]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5] 참고로 아디다스는 축구 약소국에게는 정말 단조롭기 그지없는 기본 킷만 지급하기로 악명이 높으며 이로인해 벨라루스, 페로 제도, 키프로스, 산마리노, 안도라, 리히텐슈타인, 알바니아 등 유럽 축구 약소국들이 단체로 아디다스와의 차별 계약을 끊고 마크론 등의 다른 스포츠 용품사와 스폰서 계약을 하였다.[6] 한때 아프리카에도 아디다스 유니폼을 입는 대표팀이 상당히 많았으나 상기한 아디다스의 기본 킷만 제공하는 차별성 대우로 인해 2020년대 기준 아프리카에선 아디다스 유니폼을 입는 국가대표팀은 알제리, 리비아, 세이셸 정도 밖에 없는 상태이다.[7] 쿠웨이트는 82월드컵 21위를 기록했다.[8] 당시 쿠웨이트 선수들은 심판의 판정에 불복하여 경기를 기권하겠다고 우겼는데, 왕자가 골의 무효를 주장하면서 자국 선수들에게 정상적으로 플레이할 것도 요구하였다.[9] 여담으로 2번째로 걸프컵을 많이 우승한 이라크는 2023년까지 4번 우승했다.[10] 당시 18강 조별리그[11] 쿠웨이트는 15점, 중국은 14점이었다.[12] 0:4로 점수가 벌어지자 자국 대표팀의 경기력에 크게 실망한 쿠웨이트 관중들이 상대팀인 대한민국을 응원하는 웃지 못할 상황이 연출되었고, 이를 아니꼽게 본 일부 사람들은 폭죽을 터뜨리는 등 난장판을 일으켜 경기가 10분 이상 중단되기도 했다.[13] 걸프컵을 빼고는 대게 쿠웨이트와 이라크는 주최 측이 떼어놓고 조편성이 같이 되면 재편성해 떼어놓는다.[14] 마지막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15] 16강 조별리그[16] 21강 조별리그. 원래 23강이지만 2팀이 기권했다.[17] 당시 18강 조별리그[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9] 첫 본선 진출(24개국), 첫 골, 첫 승점(VS 체코슬로바키아)[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48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24] 예선이 진행 중이긴 하나 9경기 중 5무 4패(5점)로 남은 1경기를 모두 승리로 장식한다 해도 조 4위의 승점(10점)을 넘을 수 없기에 자동으로 탈락이 확정되었다.[25]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3위[8개국] 8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27]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16개국] 16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24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30] 2028 대회 부터는 4년 주기로 변경 (올림픽 예선)[31] 최고순위 12위(2024 카타르)[32] 북한과 공동 3위[33] 북한과 공동 3위[🏟️] 중립 경기: 13
KUW 홈 경기: 8
KOR 홈 경기: 5[35]
3골, 파이살 알 다킬
2골, 파티 카멜, 자셈 야쿠브, 자셈 알 후와이디
1골, 모하메드 술탄, 이브라힘 듀라이햄, 바드로 부 아바스, 사드 알 후티, 알둘아지즈 알 안바리, 나시르 알 가넴, 바셰르 살부크, 와엘 알 하바시, 파와즈 알 아흐마드, 바샤르 압둘라, 모하마드 다함[36]
5골, 이동국
2골, 최순호, 박주영
1골, 박이천, 박상인, 차범근, 최종덕, 오석재, 허정무, 황석근, 구상범, 서정원, 최용수, 차두리, 안정환, 이영표, 정경호, 박지성, 이근호, 남태희, 구자철, 오세훈, 손흥민, 배준호, 전진우, 이강인, 오현규, 이재성
몰수승, 3골[37]
1호, 김호곤(1977)
2호, 이태호(1981)[38] 이로 인해 몰수승을 거둔 한국은 몰수패(중화민국), 몰수무(이집트), 몰수승을 모두 거두어본 유일한 국가가 된다.[UTC+9] [황인범] 황인범의 도움[De] [배준호] 배준호의 도움[배준호] 배준호의 도움[김주성] 김주성 도움[H] [cou] [47] 7차전 결과 한국은 최소 조 4위를 확정했고 최소 4차예선 진출권까지는 확보했다. 8차전 결과 요르단도 최소 조 4위를 확보했다. 9차전 경기결과에 따라 대한민국과 요르단이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했다. 이라크는 4차예선 진출이 확정되었고 쿠웨이트는 월드컵 진출에 실패했다. 최종전 결과 오만이 순위를 지켜내며 4차예선에 올라갔고 팔레스타인은 탈락했다.[48] 9차전 종료 후 확정(2025.06.05.)[UTC+3] [황인범] 황인범 도움[P:] 본인이 직접 얻어낸 페널티킥 득점[Y.마제드] 유세프 마제드 도움[황인범] 황인범 도움[H] [cou] [Fo] [57] 2015년 10월 17일,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이 쿠웨이트 정부의 축구협회 개입과 관련한 법안 제정에 따라, FIFA로부터 자격 정지를 받았다. 곧 이어 8차전 미얀마 전이 연기되었다. 이어 법안 폐기가 이루어지지 않자 2016년 1월 14일, FIFA는 결국 8~10차전 남은 월드컵 예선 경기를 몰수패 처리하고 쿠웨이트의 모든 국제경기 출장을 금지시켰다.[2018Q2]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은 5개국이 1조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각팀당 2차례씩 빠지게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1차전과 6차전을 빠진다.[UTC+9] [60] 조 1위는 최종예선 직행 조 2위는 8개조에서 상위 4팀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라오스는 7차전 종료 후 탈락이 확정되었다. 쿠웨이트의 남은 경기 몰수패 선언 및 국제대회 출전 금지 처분에 따라 산술상 미얀마 역시 탈락했다. 한국의 최종예선 진출이 확정되었고 레바논만 2경기가 남았는데, 조 2위 와일드카드 자리를 확보했다. 다만 최종예선 진출 여부는 9차전 한국, 10차전 미얀마 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남은 2경기를 1무 1패라는 낮은 성적을 보여주며 결국 최종예선 진출에 실패하였다.[61] 8차전 종료 후 쿠웨이트 징계에 따라 확정(2016.01.14.)[62] 8차전 종료 후 쿠웨이트 징계에 따라 확정(2016.01.14.)[2018Q2]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은 5개국이 1조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각팀당 2차례씩 빠지게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1차전과 6차전을 빠진다.[UTC+3] [박주호] 박주호 도움[H1] [JTBC] [H2] [JTBC] [70] 조 1위는 최종예선 직행 조 2위는 8개조에서 상위 4팀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UTC+11] [차두리] 차두리 도움[H] [Aof] [75] 2차전 종료 후 자이언트 2팀 한국과 호주가 3차전 결과에 상관없이 토너먼트 진출을 확정했고 오만과 쿠웨이트는 그대로 탈락이 확정되며, 최종 순위만 남겨둔 채 모든 것이 확정되었다.[UTC+9] [이근호] 이근호 도움[최효진] 최효진 도움[F] [SBS] [81] 조 1, 2위까지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4차전 종료 후 아랍에미리트의 탈락이 확정되었다. 조 1, 2위는 최종전인 6차전에서 결정되었다. 변동없이 한국과 레바논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레바논은 패했지만 쿠웨이트가 패하며 최종예선에 진출하게 되었다.[82] 6차전 종료 후 확정(2012.02.29.)[UTC+3] [남태희] 남태희 도움[H] [86] 조 1, 2위까지 최종예선에 진출한다.[UTC+3] [PK] [김동진] 김동진 도움[박주영] 박주영 도움[이동국] 이동국 도움[92] Mohammed Ebrahim Hajeyah[F] [KBS] [95] 조 1, 2위는 월드컵 본선 직행, 조 3위는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위한 아시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5차전 결과 한국과 사우디가 모두 승리하면서 3위권과의 격차가 크게 벌어지면서 최종전과 상관없이 두 팀이 월드컵 본선 직행을 확정한다.[96] 5차전 종료 후 확정(2005.6.8.)[UTC+9] [98] 김남일의 크로스를 상대 수비가 머리로 막아내지만 공중에 뜬 것을 그대로 발리슛으로 연결했다.[박지성] 박지성의 도움[F] [KBS] [102] 조 1, 2위는 월드컵 본선 직행, 조 3위는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위한 아시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UTC+8] [차두리F] 차두리의 프리킥 유도[박진섭] 박진섭 도움[2G] [박지성] 박지성 도움[108] Musaed Al Enezi# / KFA 기록에는 Mesaed Neda로 기록되어 있는데 라인업에서 확인되지 않는다.[109] Bader Al Motawaa[박요셉] 박요셉 도움[111] Mohammed Ebrahim Hajeyah[F] [SBS] [114] 아랍에미리트는 이미 지난 2차전에서 탈락이 확정되었다.[UTC+2] [B.압둘라] 바샤르 압둘라 도움[117] Dušan Uhrin[F] [MBC] [120] 만약 3차전에서 중국과 쿠웨이트가 무승부를 거두는 경우에는 두 팀이 한국 인도네시아 경기결과에 상관없이 조 1, 2위를 확보한다. 조 3위 와일드카드를 포함하면 사실상 두 팀은 결과에 상관없이 토너먼트 진출이 확실시된다.[UTC+7] [박진섭] 박진섭 도움[F] [KBS] [125] 최종전이지만 동시에 진행된 것은 아니다. 한국 대 쿠웨이트 경기 바로 2시간 전에 치러진 경기로 쿠웨이트는 이미 아랍에미리트가 일본에 승리하자 한국에 7점차 이상 대패를 하지 않는 이상 진출이 가능한 상황이었고 다소 유리하게 경기할 수 있었다.[UTC+4] [W.알-하바시*] 와일 알 하바시의 직접 프리킥 슈팅을 김병지 골키퍼가 막지만 바로 앞에 있던 알 후와이디가 마무리했다.[B.알-할라비즈] 바데르 알 할라비즈 도움[F] [KBS] [131] 한국은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일격을 당하며 조3위로 미끄러지지만 와일드카드로 8강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UTC+9] [133] Valeriy Lobanovskyi[UTC+9] [135] Valeriy Lobanovskyi[UTC+8] [137] Mohammad Karam[1984AC] 총 10팀이 5팀씩 2조로 나뉘어 홀수로 구성되었으며, 경기 일정도 고르지 않아 실제 경기 순서에 따라 번호를 부여했다.[UTC+8] [140] Cheung Kwok Kui[141] 박경훈, 이태호, 정종수[142] 압둘라 알-부루시, 사미 알-하샤시, 나임 무바라크[143] Antônio Lopes dos Santos[144] 이 당시 승점은 2점이었다.[1984OQ] 1984년 올림픽 남자축구 아시아 2차예선 1조는 총 5팀으로 편성되었다. 각 대표팀별 4경기씩 총 10경기가 진행되며, 한국은 3경기, 6경기, 8경기, 10경기를 진행하였다. 배번은 각 경기 일정별 순서이다. 예선전은 싱가포르에서 진행된다.[UTC+8] [147] 당시 승리팀 승점은 2점이었다. 조 1위는 올림픽 본선에 진출한다. 조 2위는 2조 2위와 단판 플레이오프를 치른다.[UTC+3] [149] 조 1위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2차전 결과에 따라 말레이시아와 태국이 탈락했다. 최종전 결과 쿠웨이트가 최종예선에 진출하였다.[150] 현재까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월드컵 지역예선 마지막 탈락이다. 이후로는 다음 대회인 1986년 월드컵 예선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월드컵 예선을 통과했다.[UTC+3] [2G] [1980AC] 총 10팀이 5팀씩 2조로 나뉘어 홀수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팀당 1차례식 경기를 쉬어야 했다. 한국은 2차전을 쉬었다.[UTC+3] [2G] [156] 이 당시 승점은 2점이었다. 아랍에미리트는 이미 3차전 후 탈락이 확정되었다. 한국은 최종전 관계없이 조 2위를 확보했으며, 득실차가 매우 커 사실상 조 1위를 확보해 4강 토너먼트 진출권 한자리를 차지했다. 말레이시아는 조 2위로 올라왔으나 모든 경기를 마무리지어 타팀 결과를 지켜봐야 하는데, 반드시 쿠웨이트 대 카타르 경기가 무승부로 끝나야만 조 2위를 사수할 수 있다. 쿠웨이트와 카타르는 반드시 서로를 상대로 승리해야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있다.[UTC+7] [158]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었다.[1978Q2] 최종예선에 총 5팀이 올라왔다. 교통이 원활하지 않던 시기라 경기 일정이 팀별로 고르지 않기 때문에 경기 순서에 따라 배번되어있다. 각 팀당 8경기를 치르며 총 20경기가 진행된다. 대한민국의 경기는 2경기, 3경기, 6경기, 8경기, 10경기, 13경기, 14경기, 20경기에 진행되었다.[UTC+3] [161] 최종예선 1위만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 제12경기 종료 후 홍콩의 탈락이 확정되었다.[1978Q2] 최종예선에 총 5팀이 올라왔다. 교통이 원활하지 않던 시기라 경기 일정이 팀별로 고르지 않기 때문에 경기 순서에 따라 배번되어있다. 각 팀당 8경기를 치르며 총 20경기가 진행된다. 대한민국의 경기는 2경기, 3경기, 6경기, 8경기, 10경기, 13경기, 14경기, 20경기에 진행되었다.[UTC+9] [164] 최종예선 1위만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UTC+3.5] [None] [2G] [2G] [None] [170]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었다. 이미 태국이 2패를 기록하며 3경기 결과에 상관없이 탈락이 확정되었고 한국 대 쿠웨이트 경기는 조 1위 진출 결정전이 되었다.[None] [172] Ljubiša Broćić[173] 이 당시 승점은 2점이었다. 한국은 크메르를 대파하고 토너먼트 진출 가능성을 높였고 쿠웨이트에 패해 조 2위가 유력해 보였다. 하지만 크메르가 쿠웨이트를 대파하며 득실차에서 앞서 간발의 차로 조 1위 다음 라운드 진출을 확정한다.
KUW 홈 경기: 8
KOR 홈 경기: 5[35]
3골, 파이살 알 다킬
2골, 파티 카멜, 자셈 야쿠브, 자셈 알 후와이디
1골, 모하메드 술탄, 이브라힘 듀라이햄, 바드로 부 아바스, 사드 알 후티, 알둘아지즈 알 안바리, 나시르 알 가넴, 바셰르 살부크, 와엘 알 하바시, 파와즈 알 아흐마드, 바샤르 압둘라, 모하마드 다함[36]
5골, 이동국
2골, 최순호, 박주영
1골, 박이천, 박상인, 차범근, 최종덕, 오석재, 허정무, 황석근, 구상범, 서정원, 최용수, 차두리, 안정환, 이영표, 정경호, 박지성, 이근호, 남태희, 구자철, 오세훈, 손흥민, 배준호, 전진우, 이강인, 오현규, 이재성
몰수승, 3골[37]
1호, 김호곤(1977)
2호, 이태호(1981)[38] 이로 인해 몰수승을 거둔 한국은 몰수패(중화민국), 몰수무(이집트), 몰수승을 모두 거두어본 유일한 국가가 된다.[UTC+9] [황인범] 황인범의 도움[De] [배준호] 배준호의 도움[배준호] 배준호의 도움[김주성] 김주성 도움[H] [cou] [47] 7차전 결과 한국은 최소 조 4위를 확정했고 최소 4차예선 진출권까지는 확보했다. 8차전 결과 요르단도 최소 조 4위를 확보했다. 9차전 경기결과에 따라 대한민국과 요르단이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했다. 이라크는 4차예선 진출이 확정되었고 쿠웨이트는 월드컵 진출에 실패했다. 최종전 결과 오만이 순위를 지켜내며 4차예선에 올라갔고 팔레스타인은 탈락했다.[48] 9차전 종료 후 확정(2025.06.05.)[UTC+3] [황인범] 황인범 도움[P:] 본인이 직접 얻어낸 페널티킥 득점[Y.마제드] 유세프 마제드 도움[황인범] 황인범 도움[H] [cou] [Fo] [57] 2015년 10월 17일,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이 쿠웨이트 정부의 축구협회 개입과 관련한 법안 제정에 따라, FIFA로부터 자격 정지를 받았다. 곧 이어 8차전 미얀마 전이 연기되었다. 이어 법안 폐기가 이루어지지 않자 2016년 1월 14일, FIFA는 결국 8~10차전 남은 월드컵 예선 경기를 몰수패 처리하고 쿠웨이트의 모든 국제경기 출장을 금지시켰다.[2018Q2]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은 5개국이 1조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각팀당 2차례씩 빠지게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1차전과 6차전을 빠진다.[UTC+9] [60] 조 1위는 최종예선 직행 조 2위는 8개조에서 상위 4팀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라오스는 7차전 종료 후 탈락이 확정되었다. 쿠웨이트의 남은 경기 몰수패 선언 및 국제대회 출전 금지 처분에 따라 산술상 미얀마 역시 탈락했다. 한국의 최종예선 진출이 확정되었고 레바논만 2경기가 남았는데, 조 2위 와일드카드 자리를 확보했다. 다만 최종예선 진출 여부는 9차전 한국, 10차전 미얀마 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남은 2경기를 1무 1패라는 낮은 성적을 보여주며 결국 최종예선 진출에 실패하였다.[61] 8차전 종료 후 쿠웨이트 징계에 따라 확정(2016.01.14.)[62] 8차전 종료 후 쿠웨이트 징계에 따라 확정(2016.01.14.)[2018Q2]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은 5개국이 1조로 편성되었기 때문에 각팀당 2차례씩 빠지게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1차전과 6차전을 빠진다.[UTC+3] [박주호] 박주호 도움[H1] [JTBC] [H2] [JTBC] [70] 조 1위는 최종예선 직행 조 2위는 8개조에서 상위 4팀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UTC+11] [차두리] 차두리 도움[H] [Aof] [75] 2차전 종료 후 자이언트 2팀 한국과 호주가 3차전 결과에 상관없이 토너먼트 진출을 확정했고 오만과 쿠웨이트는 그대로 탈락이 확정되며, 최종 순위만 남겨둔 채 모든 것이 확정되었다.[UTC+9] [이근호] 이근호 도움[최효진] 최효진 도움[F] [SBS] [81] 조 1, 2위까지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4차전 종료 후 아랍에미리트의 탈락이 확정되었다. 조 1, 2위는 최종전인 6차전에서 결정되었다. 변동없이 한국과 레바논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레바논은 패했지만 쿠웨이트가 패하며 최종예선에 진출하게 되었다.[82] 6차전 종료 후 확정(2012.02.29.)[UTC+3] [남태희] 남태희 도움[H] [86] 조 1, 2위까지 최종예선에 진출한다.[UTC+3] [PK] [김동진] 김동진 도움[박주영] 박주영 도움[이동국] 이동국 도움[92] Mohammed Ebrahim Hajeyah[F] [KBS] [95] 조 1, 2위는 월드컵 본선 직행, 조 3위는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위한 아시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5차전 결과 한국과 사우디가 모두 승리하면서 3위권과의 격차가 크게 벌어지면서 최종전과 상관없이 두 팀이 월드컵 본선 직행을 확정한다.[96] 5차전 종료 후 확정(2005.6.8.)[UTC+9] [98] 김남일의 크로스를 상대 수비가 머리로 막아내지만 공중에 뜬 것을 그대로 발리슛으로 연결했다.[박지성] 박지성의 도움[F] [KBS] [102] 조 1, 2위는 월드컵 본선 직행, 조 3위는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위한 아시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UTC+8] [차두리F] 차두리의 프리킥 유도[박진섭] 박진섭 도움[2G] [박지성] 박지성 도움[108] Musaed Al Enezi# / KFA 기록에는 Mesaed Neda로 기록되어 있는데 라인업에서 확인되지 않는다.[109] Bader Al Motawaa[박요셉] 박요셉 도움[111] Mohammed Ebrahim Hajeyah[F] [SBS] [114] 아랍에미리트는 이미 지난 2차전에서 탈락이 확정되었다.[UTC+2] [B.압둘라] 바샤르 압둘라 도움[117] Dušan Uhrin[F] [MBC] [120] 만약 3차전에서 중국과 쿠웨이트가 무승부를 거두는 경우에는 두 팀이 한국 인도네시아 경기결과에 상관없이 조 1, 2위를 확보한다. 조 3위 와일드카드를 포함하면 사실상 두 팀은 결과에 상관없이 토너먼트 진출이 확실시된다.[UTC+7] [박진섭] 박진섭 도움[F] [KBS] [125] 최종전이지만 동시에 진행된 것은 아니다. 한국 대 쿠웨이트 경기 바로 2시간 전에 치러진 경기로 쿠웨이트는 이미 아랍에미리트가 일본에 승리하자 한국에 7점차 이상 대패를 하지 않는 이상 진출이 가능한 상황이었고 다소 유리하게 경기할 수 있었다.[UTC+4] [W.알-하바시*] 와일 알 하바시의 직접 프리킥 슈팅을 김병지 골키퍼가 막지만 바로 앞에 있던 알 후와이디가 마무리했다.[B.알-할라비즈] 바데르 알 할라비즈 도움[F] [KBS] [131] 한국은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일격을 당하며 조3위로 미끄러지지만 와일드카드로 8강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UTC+9] [133] Valeriy Lobanovskyi[UTC+9] [135] Valeriy Lobanovskyi[UTC+8] [137] Mohammad Karam[1984AC] 총 10팀이 5팀씩 2조로 나뉘어 홀수로 구성되었으며, 경기 일정도 고르지 않아 실제 경기 순서에 따라 번호를 부여했다.[UTC+8] [140] Cheung Kwok Kui[141] 박경훈, 이태호, 정종수[142] 압둘라 알-부루시, 사미 알-하샤시, 나임 무바라크[143] Antônio Lopes dos Santos[144] 이 당시 승점은 2점이었다.[1984OQ] 1984년 올림픽 남자축구 아시아 2차예선 1조는 총 5팀으로 편성되었다. 각 대표팀별 4경기씩 총 10경기가 진행되며, 한국은 3경기, 6경기, 8경기, 10경기를 진행하였다. 배번은 각 경기 일정별 순서이다. 예선전은 싱가포르에서 진행된다.[UTC+8] [147] 당시 승리팀 승점은 2점이었다. 조 1위는 올림픽 본선에 진출한다. 조 2위는 2조 2위와 단판 플레이오프를 치른다.[UTC+3] [149] 조 1위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2차전 결과에 따라 말레이시아와 태국이 탈락했다. 최종전 결과 쿠웨이트가 최종예선에 진출하였다.[150] 현재까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월드컵 지역예선 마지막 탈락이다. 이후로는 다음 대회인 1986년 월드컵 예선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월드컵 예선을 통과했다.[UTC+3] [2G] [1980AC] 총 10팀이 5팀씩 2조로 나뉘어 홀수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팀당 1차례식 경기를 쉬어야 했다. 한국은 2차전을 쉬었다.[UTC+3] [2G] [156] 이 당시 승점은 2점이었다. 아랍에미리트는 이미 3차전 후 탈락이 확정되었다. 한국은 최종전 관계없이 조 2위를 확보했으며, 득실차가 매우 커 사실상 조 1위를 확보해 4강 토너먼트 진출권 한자리를 차지했다. 말레이시아는 조 2위로 올라왔으나 모든 경기를 마무리지어 타팀 결과를 지켜봐야 하는데, 반드시 쿠웨이트 대 카타르 경기가 무승부로 끝나야만 조 2위를 사수할 수 있다. 쿠웨이트와 카타르는 반드시 서로를 상대로 승리해야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있다.[UTC+7] [158]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었다.[1978Q2] 최종예선에 총 5팀이 올라왔다. 교통이 원활하지 않던 시기라 경기 일정이 팀별로 고르지 않기 때문에 경기 순서에 따라 배번되어있다. 각 팀당 8경기를 치르며 총 20경기가 진행된다. 대한민국의 경기는 2경기, 3경기, 6경기, 8경기, 10경기, 13경기, 14경기, 20경기에 진행되었다.[UTC+3] [161] 최종예선 1위만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 제12경기 종료 후 홍콩의 탈락이 확정되었다.[1978Q2] 최종예선에 총 5팀이 올라왔다. 교통이 원활하지 않던 시기라 경기 일정이 팀별로 고르지 않기 때문에 경기 순서에 따라 배번되어있다. 각 팀당 8경기를 치르며 총 20경기가 진행된다. 대한민국의 경기는 2경기, 3경기, 6경기, 8경기, 10경기, 13경기, 14경기, 20경기에 진행되었다.[UTC+9] [164] 최종예선 1위만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UTC+3.5] [None] [2G] [2G] [None] [170]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었다. 이미 태국이 2패를 기록하며 3경기 결과에 상관없이 탈락이 확정되었고 한국 대 쿠웨이트 경기는 조 1위 진출 결정전이 되었다.[None] [172] Ljubiša Broćić[173] 이 당시 승점은 2점이었다. 한국은 크메르를 대파하고 토너먼트 진출 가능성을 높였고 쿠웨이트에 패해 조 2위가 유력해 보였다. 하지만 크메르가 쿠웨이트를 대파하며 득실차에서 앞서 간발의 차로 조 1위 다음 라운드 진출을 확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