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4:41:12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별 전적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1. 개요2. 대한민국과 관계
2.1. 대한민국과 전적2.2. 대한민국과 역대 경기결과
3. 국가별 관계 및 전적
3.1. 유럽(UEFA 소속)3.2. 아시아(AFC 소속)3.3. 아프리카(CAF 소속)3.4. 북중미카리브(CONCACAF 소속)3.5. 남미(CONMEBOL 소속)3.6. 오세아니아(OFC 소속)

1. 개요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국가별 전적 및 관계를 다룬 문서.

A매치 전적이 있는 국가 중 잉글랜드 상대로 우세한 국가는 이탈리아, 브라질, 우루과이 단 3팀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2. 대한민국과 관계

한국의 여러 스타 플레이어[1]들이 프리미어리그에 진출했었던만큼 매우 익숙하고 한국에서 인기도 많은 잉글랜드 국가대표지만 의외로 신기하게도 A 대표팀끼리 맞붙은 적은 2002년이 유일하다.[2]

또한 대한민국은 역대 월드컵 우승팀과 월드컵에서 최소 한 번이라도 만나봤는데 잉글랜드는 단 한 번도 만나보지 못했다.[3] 대한민국과는 1전 1무로 백중세.[4]

2002 한일 월드컵 개막을 10일 앞둔 5월 21일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A매치 평가전을 치러 대한민국이 피파랭킹 12위 잉글랜드를 상대로 1:1로 무승부 승점 1점을 이룬 것이 유일한 맞대결. 전반에 마이클 오언의 선제골이 터졌고 후반에 한국의 동점골이 터졌는데, 이 때 코너킥 상황에서 이천수가 찬 볼이 최진철의 헤딩을 거쳐 박지성의 헤딩골로 연결했다.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이 때까지만 해도 캐스터가 잘못 콜을 할 정도로 박지성의 위치가 듣보잡이었지만 이 날 경기를 기점으로 서서히 활약하다가 3년 뒤 잉글랜드 최고 명문팀으로 이적했다는 것이다. 현재까지도 잉글랜드 대표팀을 상대로 유일하게 골을 넣어본 선수임을 감안하면 매우 묘하다.[5]

카타르 월드컵에서 대한민국이 브라질과 16강전을 치르게 되면서 역대 월드컵 우승 팀 중 대한민국이 유일하게 본선에서 만난 적이 없는 팀으로 남게 됐다.

U20매치에서는 대한민국이 잉글랜드전 2승 1무 1패를 기록하고 있고, 2016년 6월 3일 이천에서 김진야이승우의 골로 2:0 첫승을 기록했다.

U23매치에서는 2무를 기록중이며 1무는 2012런던올림픽 8강 영국전에서 승부차기 승리로 영국을 탈락(5등)시킨 것이다.

그 외 기타 관련사항으로 2012년 수원 피스컵에서 신태용 감독의 성남일화가 잉글랜드의 선덜랜드AFC를 1:0으로 격파하였다.

2.1. 대한민국과 전적

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ENG A매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nopad> 1 [🏟️]
<colbgcolor=#000><colcolor=#fff> 0 <nopad> 1 <colbgcolor=#000><colcolor=#fff> 0
1 득점 (0) <nopad>
백중세
1 득점 (0)
마이클 오언(1) 최다득점자 박지성(1)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7]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선수 기록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8]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nopad> 최근경기: 무승부 (2002)

2.2. 대한민국과 역대 경기결과

<nopad> 2002-05-21
<nopad> 1:1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친선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친선경기
일시: 2002년 5월 21일 19:00[UTC+9] 장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주도 서귀포시
주심: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아마트 그알리드 수피안 경기장: 제주월드컵경기장
<colbgcolor=#fff><colcolor=#666> - 1:1
(0:1)
<colbgcolor=#fff><colcolor=#666> 마이클 오언 파일:득점 아이콘.svg 26’[P.스콜스]
박지성 파일:득점 아이콘.svg 51’[최진철] -
감독: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거스 히딩크 감독: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벤예란 에릭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MBC]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SBS]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
}}}}}}}}} ||

3. 국가별 관계 및 전적

2025.03.25. 기준 (최근경기: vs 라트비아 3:0 승)

3.1. 유럽(UEFA 소속)

지역 라이벌팀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116 49 26 41 206 175 +31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104 69 21 14 253 91 +162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17] 98 75 16 7 323 81 +242
<rowcolor=#ffffff>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북아일랜드][단독] 41 29 8 4 93 32 +61
<rowcolor=#666666> 파일:성 패트릭.svg 아일랜드(IFA)[북아일랜드] 57 46 8 3 230 49 +181

라이벌팀
[ 잉글랜드 · 프랑스 라이벌 관계 ]
두 팀이 맞붙을 때 항상 붙는 수식어는 백년전쟁이다. 그만큼 유구한 전통을 자랑하는 라이벌 국가로 백년전쟁 뿐만 아니라, 그 이전 정복왕 윌리엄, 그리고 나폴레옹과의 전쟁, 제국주의 시절 식민지 경쟁 등 역사적, 정치적 앙숙으로 라이벌 의식을 가지고 있다.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32 17 5 10 72 41 +31
[ 잉글랜드 · 독일 라이벌 관계 ]
두 나라는 제1 · 2차 세계대전을 치르면서 오랜 정치적, 역사적 라이벌 의식을 갖는다. 특히 독일 통일 이후에는 유럽 내 주도권 경쟁도 이어지며 감정의 골은 아직도 여전하다.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21] 35 14 8 13 57 46 +11
<rowcolor=#ffffff>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독일][단독] 19 8 4 7 36 27 +9
<rowcolor=#666666> 파일:독일 국기.svg 서독[독일] 16 7 3 6 24 19 +5
<rowcolor=#666666>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해체] 4 3 1 0 7 3 +4
[ 잉글랜드 · 이탈리아 라이벌 관계 ]
두 나라는 유럽을 대표하는 전통강호로 라이벌 의식을 가지고 있다. 특히 국가대표 못지 않게 EPL세리에A는 라이벌 의식을 가진 경쟁 리그이며, 상당 기간 대표팀이나 리그나 이탈리아가 앞서 있던 것이 사실이다. 상대전적은 팽팽하지만 메이저 대회에서 잉글랜드는 이탈리아를 단 한번도 이겨보지 못했다.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32 10 11 11 39 35 +4

월드컵 우승팀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8 13 4 11 46 34 +12

그 외 유럽팀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7 7 0 0 21 1 +19
<rowcolor=#fff>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6 6 0 0 25 0 +25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19 11 4 4 59 27 +32
<rowcolor=#fff>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2 2 0 0 3 0 +3
<rowcolor=#fff>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2 2 0 0 6 1 +5
<rowcolor=#fff>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26 16 6 4 74 33 +41
<rowcolor=#fff>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 1 0 0 3 0 +3
<rowcolor=#fff>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12 8 4 0 26 2 +24
<rowcolor=#fff>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11 6 2 3 23 13 +10
<rowcolor=#fff>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2 2 0 0 6 0 +6
<rowcolor=#fff>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26] 18 11 4 3 40 19 +21
<rowcolor=#fff>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체코][단독] 5 3 1 1 11 4 +7
<rowcolor=#666>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체코] 12 7 3 2 25 15 +10
<rowcolor=#666> 파일:폴란드 국기.svg 보헤미아[체코] 1 1 0 0 11 4 +7
<rowcolor=#fff>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23 13 6 4 39 22 +17
<rowcolor=#fff>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4 4 0 0 9 0 +9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13 11 2 0 41 8 +33
<rowcolor=#fff>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2 2 0 0 4 0 +4
<rowcolor=#fff> 파일:지브롤터 기.svg 지브롤터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11 8 2 1 27 5 +22
<rowcolor=#fff>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26 16 3 7 61 36 +25
<rowcolor=#fff>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6 3 1 2 13 5 +8
<rowcolor=#fff>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4 2 2 0 5 1 +4
<rowcolor=#fff>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2 2 0 0 9 1 +8
<rowcolor=#fff>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2 2 0 0 9 3 +6
<rowcolor=#fff>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1 1 0 0 3 0 +3
<rowcolor=#fff>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2 2 0 0 4 0 +4
<rowcolor=#fff>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4 4 0 0 10 0 +10
<rowcolor=#fff>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9 9 0 0 47 3 +44
<rowcolor=#fff>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7 7 0 0 20 1 +19
<rowcolor=#fff>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4 4 0 0 16 0 +16
<rowcolor=#fff>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6 3 3 0 19 5 +14
<rowcolor=#ff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23 7 9 7 33 30 +3
<rowcolor=#fff>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6 3 3 0 13 4 +1
<rowcolor=#fff>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12 7 3 2 28 7 +11
<rowcolor=#fff>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21 12 8 1 33 13 +20
<rowcolor=#fff>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23 10 10 3 46 25 +21
<rowcolor=#fff>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19 8 8 2 30 14 +16
<rowcolor=#fff>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12 3 6 3 11 10 +1
<rowcolor=#fff>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31] 15 6 5 4 26 18 +8
<rowcolor=#fff>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러시아][단독] 3 1 1 1 5 3 +2
<rowcolor=#666> 파일:독립국가연합 기.png 독립국가연합[러시아] 1 0 1 0 2 2 0
<rowcolor=#666>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러시아] 11 5 3 3 19 13 +6
<rowcolor=#fff>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8 8 0 0 52 1 +51
<rowcolor=#ff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36] 16 7 5 4 26 21 +5
<rowcolor=#ff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세르비아][단독] 1 1 0 0 1 0 +1
<rowcolor=#666>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세르비아] 1 1 0 0 2 1 +1
<rowcolor=#666>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 14 5 5 4 23 20 +3
<rowcolor=#fff>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7 6 1 0 13 4 +9
<rowcolor=#fff>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7 5 2 0 10 4 +6
<rowcolor=#fff>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25 9 9 7 40 32 +8
<rowcolor=#fff>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28 18 7 3 60 21 +39
<rowcolor=#ff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11 9 2 0 33 1 +32
<rowcolor=#fff>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10 6 3 1 16 4 +12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3.2. 아시아(AFC 소속)

아시아 강호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8 5 2 1 9 6 +3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1 1 0 0 6 2 +4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 2 1 0 5 3 +2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2 0 2 0 1 1 0

그 외 아시아팀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 1 0 0 3 0 +3
<rowcolor=#ffffff>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괌 기.svg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1 1 0 0 1 0 +1
<rowcolor=#ffffff>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1 1 0 0 4 2 +2
<rowcolor=#ffffff>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북마리아나 제도[nFIFA]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50]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베트남][단독]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666666>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베트남][nFIFA][55]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666666>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베트남][해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58]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예멘][단독]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666666> 파일:북예멘 국기.svg 북예멘[예멘]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666666> 파일:남예멘 국기.svg 남예멘[해체] A매치 전적없음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3.3. 아프리카(CAF 소속)

아프리카 강호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4 3 1 0 9 4 +5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1 0 1 0 1 1 0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2 1 1 0 1 0 +1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3 2 1 0 3 1 +2

그 외 아프리카팀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1 0 1 0 0 0 0
<rowcolor=#ffffff>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공화국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3 3 0 0 8 1 +7
<rowcolor=#ffffff>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티와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1 1 0 0 3 0 +3
<rowcolor=#ffffff>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레위니옹 기(기학 협회 제안).svg 레위니옹[nFIFA]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1 1 0 0 3 0 +3
<rowcolor=#ffffff>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2 2 0 0 4 2 +2
<rowcolor=#ffffff>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3 2 1 0 5 2 +3
<rowcolor=#ffffff>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잔지바르 국기.svg 잔지바르[nFIFA]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A매치 전적없음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3.4. 북중미카리브(CONCACAF 소속)

북중미카리브 강호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9 6 1 2 23 4 +19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2 6 5 2 21 15 +6

그 외 북중미카리브팀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앵귈라 기.svg 앵귈라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아루바 기.svg 아루바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버뮤다 기.svg 버뮤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보네르 기.svg 보네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영국령 버진아일랜드 기.svg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 1 0 0 1 0 +1
<rowcolor=#ffffff> 파일:케이맨 제도 기.svg 케이맨 제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2 1 1 0 2 0 +2
<rowcolor=#ffffff>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퀴라소 기.svg 퀴라소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프랑스령 기아나 기.svg 프랑스령 기아나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과들루프 기.svg 과들루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1 0 1 0 0 0 0
<rowcolor=#ffffff>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1 1 0 0 6 0 +6
<rowcolor=#ffffff> 파일:마르티니크 국기.svg 마르티니크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몬트세랫 기.svg 몬트세랫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1 1 0 0 6 1 +5
<rowcolor=#ffffff>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생마르탱 비공식 기.svg 생마르탱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신트마르턴 기.svg 신트마르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2 2 0 0 5 0 +5
<rowcolor=#ffffff> 파일: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기.svg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미국령 버진아일랜드 기.svg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A매치 전적없음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3.5. 남미(CONMEBOL 소속)

라이벌팀
[ 잉글랜드 · 아르헨티나 라이벌 관계 ]
일명 포클랜드 더비라 불린다. 지리적으로 머나먼 두 팀이 라이벌이 된 계기가 바로 포클랜드 전쟁이기 때문이다. 당시 1982 스페인 월드컵이 개최되고 바로 다음날 아르헨티나군이 항복했고 그때까지 군부 통제로 소식을 제대로 접하지 못해 조국이 전쟁을 잘하고 있다 믿고 있던 아르헨티나 대표팀은 스페인 현지에서 소식을 듣고 큰 충격에 빠졌다. 이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일화로도 유명하다. 이후 전쟁의 여파가 채 가시기 전에 다음 월드컵인 1986 멕시코 월드컵에서 8강전 외나무 다리에서 만나게 된다. 여기서 그 전설적인 마라도나의 신의 손 득점과 월드컵 세기의 골이 나오며 2-1로 아르헨티나가 승리했고 이어 그 대회 월드컵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1990년이 되어서야 전쟁 이후 단교했던 두 나라는 재수교했지만 축구에서 만큼은 여전히 두 팀의 라이벌 의식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13 6 5 2 21 15 +6 [77]

월드컵 우승팀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27 4 11 12 23 35 -12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11 3 3 5 11 15 -4

그 외 남미팀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6 2 2 2 4 5 -1
<rowcolor=#ffffff>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6 3 3 0 11 4 +7
<rowcolor=#ffffff>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3 2 1 0 5 2 +3
<rowcolor=#ffffff>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3 3 0 0 8 0 +8
<rowcolor=#ffffff>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3 2 0 1 8 4 +4
<rowcolor=#ffffff>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A매치 전적없음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3.6. 오세아니아(OFC 소속)

오세아니아 강호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2 2 0 0 3 0 +3

그 외 오세아니아팀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경기 <colcolor=#0f0> <colcolor=#ff0> <colcolor=#f00>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rowcolor=#ffffff>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미국령 사모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nFIFA]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뉴벨칼레도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퓨아뉴기니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타히티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nFIFA]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fff>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A매치 전적없음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1] 박지성, 설기현, 이영표, 김두현, 조원희, 이동국, 이청용, 기성용, 김보경, 지동원, 손흥민, 황희찬.[2] 프랑스와는 평가전에 월드컵에서도 만난 적이 있고 스페인하고는 꽤 여러번 평가전도 가졌고, 독일도 평가전 월드컵 본선 무대 등 여러번 붙은 적이 있지만 희한하게도 잉글랜드와는 접점이 없는 편. 그런데 이는 사실 잉글랜드가 한국 뿐만이 아니라 모든 아시아 팀들하고 월드컵에서 1982년 쿠웨이트와 맞붙었던 이후로 한번도 만난 적 없다가 40년 뒤인 2022년 카타르 월드컵 때 이란을 만날정도로 아시아팀을 만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잉글랜드는 아시아 팀을 만나지 못한다는 징크스가 있을 정도다. 비슷하게 이탈리아도 2002년 월드컵이 마지막 맞대결이다. 그래도 이탈리아는 월드컵 본선에서만 2번 만났으므로 잉글랜드에 비해 그나마 낫다.[3] 심지어 준우승국인 네덜란드, 헝가리, 스웨덴도 만나본 적이 있었음을 감안하면 실로 특이한 기록이다. 다만 체코와 크로아티아 역시 준우승국이지만 아직 만나본 적이 없다.[4] 모든 국제대회 매치까지 포함할 경우 2012 런던 올림픽 8강전에서 홈팀 영국을 승부차기 승리로 탈락(5등)시킨것도 있지만 어차피 영국 단일팀으로 나왔기 때문에 잉글랜드 대표팀도 아니다. 물론 이 기록 계승은 잉글랜드가 하며 당시 단일팀 선수구성 중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는 협회 차원에서 뒤로 빠지면서 스튜어트 피어스 감독이 개인적으로 만나서 차출해야 했고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 선수들은 전원 차출을 거부해서 잉글랜드와 웨일스 선수로만 구성되었다. 그 중에서도 반 이상은 잉글랜드 출신이었다.[5] 공교롭게도 마이클 오언과 박지성은 2009년부터 맨유에서 같이 뛰게 된다.[🏟️] 중립 경기: 0
ENG 홈 경기: 0
KOR 홈 경기: 1
[7]
1골, 마이클 오언
[8]
1골, 박지성
[UTC+9] [P.스콜스] 폴 스콜스 도움[최진철] 최진철 도움[H] [MBC] [H] [SBS] [F] [17] 아일랜드(1882-1950) 기록 계승[북아일랜드] [단독] [북아일랜드] [21] 서독(1945-1990) 기록 계승[독일] [단독] [독일] [해체] [26] 보헤미아(1903-1919), 체코슬로바키아(1919-1993) 기록 계승[체코] [단독] [체코] [체코] [31] 소련(1924-1991), 독립국가연합(1992) 기록 계승[러시아] [단독] [러시아] [러시아] [36] 유고슬라비아(1930-2003), 세르비아 몬테네그로(2003-2006) 기록 계승[세르비아] [단독] [세르비아] [세르비아] [41] 월드컵: 6회 진출(AFC소속 역대 3위), 최고성적 11위(16강)[42] AFC 아시안컵: 1회 우승[43] 월드컵: 6회 진출(AFC소속 역대 3위), 최고성적 14위(16강 조별리그(1978))[44] AFC 아시안컵: 3회 우승(2위)[45] 월드컵: 7회 진출(AFC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9위 3회(16강)[46] AFC 아시안컵: 4회 우승(1위)[47] 월드컵: 6회 진출(AFC소속 역대 3위), 최고성적 12위(16강(1994))[48] AFC 아시안컵: 3회 우승(2위)[nFIFA] FIFA미가입(Non-FIFA)[50] 남베트남(1949-1975) 기록 계승(특이하게 통일은 북베트남이 성공시켰지만 FIFA 미가입국이었던 북베트남 대신 FIFA 가입국이던 남베트남의 기록을 계승했다.)[베트남] [단독] [베트남] [nFIFA] FIFA미가입(Non-FIFA)[55] 기록은 계승하지 않았다.[베트남] [해체] [58] 북예멘(1966-1990) 기록 계승[예멘] [단독] [예멘] [해체] [63] 월드컵: 8회 진출(CAF소속 역대 1위), 최고성적 7위(8강, 1990)[6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5회 우승(2위)[65] 월드컵: 4회 진출(CAF소속 역대 4위), 최고성적 7위(8강, 2010)[66]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4회 우승(3위)[67] 월드컵: 6회 진출(CAF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4위(2022)[6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회 우승[69] 월드컵: 6회 진출(CAF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9위(16강, 1994)[70]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회 우승(4위)[nFIFA] FIFA미가입(Non-FIFA)[nFIFA] FIFA미가입(Non-FIFA)[73] 월드컵: 18회 진출(CONCACAF소속 역대 1위), 최고성적 6위(8강, 1970·1986)[74] CONCACAF 골드컵: 11회 우승(1위)[75] 월드컵: 12회 진출(CONCACAF소속 역대 2위), 최고성적 3위(1930)[76] CONCACAF 골드컵: 7회 우승(2위)[77] 1953년 우천 취소 1경기가 있다. 경기 수 합산에서 제외하였다.[78] 월드컵: 2회 진출(OFC소속 역대 1위),
최고성적 22위(32강 조별리그(2010)
23위(24강 조별리그(1982))
[79] OFC 네이션스컵: 6회 우승(1위)[nFIFA] FIFA미가입(Non-FIFA)[nFIFA] FIFA미가입(Non-FI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