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6 16:15:56

몰타/경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몰타
남유럽경제
이베리아 반도
[[스페인/경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포르투갈/경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안도라/경제|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이탈리아 반도
[[이탈리아/경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산마리노/경제|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바티칸/경제|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몰타/경제|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그리스 · 튀르키예 · 키프로스
[[그리스/경제|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튀르키예/경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키프로스/경제|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북키프로스#경제|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발칸 반도
[[불가리아/경제|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세르비아/경제|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알바니아/경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코소보/경제|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크로아티아/경제|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북마케도니아/경제|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슬로베니아/경제|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경제|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몬테네그로/경제|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루마니아/경제|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50%, #cf142b 5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0%,#5eb6e4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ccc><colbgcolor=#cf142b>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입법부
외교 외교 전반 · 유럽안보협력기구 · 몰타 여권 · 커피 클럽 · 유럽연합 · 영연방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경제 경제 전반 · 몰타 리라(폐지) · 유로
문화 문화 전반 · 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 몰타어 · 영어
인물 아가사 바르바라 · 조지 벨라
지리 발레타
기타 몰타인 · 구호기사단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AIDAcara_Valetta.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85px-EU-Malta.svg.png
총인구 493,559명[1] 2019년
경제규모(명목) 148억 달러 2019년
경제규모(PPP) 225억 달러 2019년
1인당 GDP 30,650달러2019년
1인당 PPP 47,405달러2019년
GDP 성장률 4.4% 2019년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63.9% 2015년
실업률 3.3% 2020년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A3, 7등급 2019년

1. 개요2. 산업 구조
2.1. 수출 구조2.2. GDP, GNP 구조2.3. 조세회피, 여권수출 및 국가적 준범죄 조장2.4. 암호화폐 산업 유치
3. 관련 문서

1. 개요

몰타 경제의 중심 산업은 관광업, 경공업, 해운업, 농업이다. 지중해상의 중계지점인 지리적 이점을 이용하여 물류기지 등을 발전시켰지만, 영국에 의해서 군사기지로 전락한 아픈 역사가 있었기에 경제발전은 생각할 수 없었다. 1964년 독립한 후 1973년에 처음으로 드라이독을 국영화, 선박 건조와 수리 산업이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잡았다. 1979년 영국군이 철수함에 따라 정부 수입의 감소로 일시적인 위기를 맞이하기도 했다. 1980년대 유럽공동체(EC)의 보호주의 무역정책으로 인한 피해를 입은 국가이다. 2002년 기준 약 47억 달러의 수출입 규모를 기록했으며, 조선업과 건축업 등의 공업이 발달한 것으로 집계된다. 몰타 국토의 44%는 경작이 가능한 토지이나, 농업은 주로 국내 소비용이며 식량자급률은 20%이다.[2] 광산업은 부존 자원의 부족으로 빈약한 수준이다. 주요 공항항구발레타에 자리잡고 있다.[3]

남유럽에서도 가장 가난한 나라였는데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90년까지 42년 동안은 1인당 GDP가 한국보다 더 높았으나 1991년에 남유럽 최초로 7,187$ : 7,523$로 역전된 후 2022년 현재까지 1998년[4]과 2008~2009년[5]을 빼면 한국이 계속해서 앞서 있다.

국내에 Farsons Brewery사의 맥주 시스크, 블루라벨 등의 제품이 수입되고 있다. 이마트나 일부 편의점, 맥주 할인매장 등에 보인다. 국내에서는 보기 힘든 몰타 수입품이다.

2. 산업 구조

2.1. 수출 구조

2.2. GDP, GNP 구조

2003년, 산업별 GDP 비중[6]
1차 산업 3%
2차 산업 23%
3차 산업 74%

농업이 국민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로 매우 미미하다. GNP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25%이다.

2.3. 조세회피, 여권수출 및 국가적 준범죄 조장

파일:PP_Malta.png
몰타 여권
2007년 솅겐조약에 가입한 이래 몰타의 주력사업으로 혜성처럼 등장한 새로운 업종이 있으니 그것은 다름 아닌 여권팔이. 일정 금액을 기부하고 몰타 국내에 일정 재산을 소지하면 영주권을 주고 약 1년의 처리기간을 거쳐 국적을 부여한다.

주요 고객과 사업방식은 유럽연합의 제제대상에 속한 국가에 본적을 둔 부호들이며 창고 등 부동산 및 국적 선박의 투자자, 소유자로 이름을 올린 부류를 상대로 몰타 주민등록을 부여하는 것이다. 여기에 이들이 수입원 상당수를 몰타로 옮기도록 저렴한 과세구간을 제공하는 것은 기본 소양이다.

실상 이는 EU를 상대로 한 동유럽,지중해의 인신매매, 마약, 조세탈루를 포괄한 수많은 국제범죄에 자국 영토와 시민권을 중간거점과 도구로 악의적 제공하고 방치하는 행위나 다름없다. 몰타 정부 그리고 정경유착재벌들이 이런 준범죄적 행위를 주도하고 있으며 EU 차원에서도 이를 익히 파악하고 있으나 현재로선 법적 조치 예고 외에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BBC, NYT와 같은 이념지향성이나 정치성향이 명확한 초거대 언론은 EU집행부에 비해 몰타의 이런 만행에 대한 인내의 기준이 다른지 몰타를 가리켜 몰타 자체를 마피아 국가(mafia state)라 비난키도 한다기사

2.4. 암호화폐 산업 유치

BTCChina의 폐업 사건 이후 세계 최대 기업이 된 홍콩의 바이낸스몰타(Malta)로 본사를 이전했다. 바이낸스 거래소, 블록체인 섬 '몰타'로 자리 옮겨 2018-03-26

OKEx몰타에 지사를 설립할 계획이다. OKEx 거래소, 바이낸스의 길 따라가며 몰타 지사 설립 계획 발표 (2018년 4월 13일)

비트코인 카지노 운영에도 몰타 정부가 발행하는 면허를 취득하는 경우가 많다.

3. 관련 문서



[1] https://en.wikipedia.org/wiki/Economy_of_Malta[2]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7m4290b003[3] 정확히 말하자면 발레타'시'에는 고성과 오래된 주택단지 말고는 없다. 다만 몰타의 특징상 발레타와 모든 도시들이 위성도시들처럼 이어져있다. 이탈리아와 오고가는 국제여객선은 발레타 바로 옆 도시인 플로리아나로 들어오고, 공항과 공업/무역항인 프리포트는 섬 남쪽에, 고조섬과 이어지는 페리항은 섬 북쪽에 있다. 엄밀히 따지면 틀린 설명이다. 다만 몰타항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섬 자체가 그냥 세계 여느 보통의 도시 크기라 같은 도시 안이라고 착각하기 쉽다.[4] IMF 외환위기의 여파[5] 대침체 + 고환율 정책의 여파[6]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75968&mobile&categoryId=200000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