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7 15:01:22

보르나 바리시치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03년생 축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바르톨 바리시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차크르 (C)3 바리시치4 튀르크멘 · 5 룬스트럼6 B. 멘디7 비슈차 · 8 바르디9 와카에메10 · 11 투판
15 사비치 · 16 17 반자18 엘말르19 보조크20 바키치23 기네슈24 덴스빌 · 25 체비칸
29 사치 · 30 오누아추32 벤코비치 · 33 귀르퓌즈35 요쿠슐루50 M. 아이딘54 타하 테페
61 차낙70 드러구슈73 보슈루크79 말헤이루94 데스탄 · 98 모라다오을루 · 99 오르시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세뇰 귀네슈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RC 스트라스부르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보르나 바리시치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PFA Scotland.jpg
}}} ||
파일:10000006630.jpg
트라브존스포르 No. 3
보르나 바리시치
Borna Barišić
<colbgcolor=#7c2c3b> 출생 1992년 11월 10일 ([age(1992-11-10)]세)
크로아티아 오시예크
국적
[[크로아티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86cm, 체중 80kg
포지션 레프트백
주발 왼발
등번호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 3번
레인저스 FC - 31번
트라브존스포르 - 3번
유소년 클럽 NK 오시예크 (2003~2011)
소속 클럽 NK 오시예크 (2011~2012)
NK BSK 비옐로 브르도 (2012~2013)
NK 오시예크 (2013~2015)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15~2016)
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2015~2016 / 임대)
NK 오시예크 (2016~2018)
레인저스 FC (2018~2024)
트라브존스포르 (2024~ )
국가대표 35경기 1골 (크로아티아 / 2017~ )

1. 개요2. 클럽 경력
2.1. 자국 리그 시절2.2. 레인저스 FC
2.2.1. 2018-19 시즌2.2.2. 2019-20 시즌2.2.3. 2020-21 시즌2.2.4. 2021-22 시즌2.2.5. 2022-23 시즌2.2.6. 2023-24 시즌
2.3. 트라브존스포르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크로아티아트라브존스포르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수비수.

2. 클럽 경력

2.1. 자국 리그 시절

2003년, 8살의 나이에 로컬팀 NK 오시예크 아카데미에 입단하여 8년간 성장한 뒤 BSK 비옐로 브로도에서 한 시즌간 뛰다가 2013년에 다시 복귀하였다. 그리고 첫 시즌부터 1군 소속으로 프르바 리가에서 23경기를 출장하였고, 팀은 리그 8위를 기록하였다. 다음 시즌에도 주전으로 뛰며 28경기를 출전하여 1골 2어시스트를 기록, 강등권 탈출을 도왔다.

두 시즌간 오시예크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선보인 그는 자국의 명문구단인 디나모 자그레브와 5년 계약을 채결하였다. 2015년 7월 19일, 친정팀 오시예크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으나 한 달 뒤 로코모티바 자그레브로 한 시즌 임대되었다. 그리고 2015-16 시즌 로코모티바에서 19경기 2어시스트의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새 시즌을 앞두고 오시예크로 다시 복귀하게 되었고, 주장으로 선임되어 32경기 출전에 1골 7어시스트로 좋은 활약을 선보이면서 오시예크는 요근래 가장 좋은 리그 성적인 4위를 기록할 수 있었다.

2017년 여름 이적시장 기간 동안 우크라이나의 디나모 자그레브와 이적설이 났으나 디나모가 요시프 피바리치를 영입하게 되면서 팀에 잔류하게 되었다.

2017–18 UEFA 유로파 리그 예선에서 PSV 에인트호번을 상대로 페널티킥을 얻은 상황에서 키커로 나서 득점을 올렸고, 이 골은 유로파 본선 진출에 큰 힘이 되었다.

당해 시즌에는 리그 22경기 1골 포함 31경기 3골을 기록하였다.

2.2. 레인저스 FC

파일:Borna_Barisic_05.jpg

2018년 8월 7일, 레인저스와 4년 계약을 채결하였다.

2.2.1. 2018-19 시즌

이적 첫 시즌에는 부상으로 많은 경기에 출장하지 못했다.

2.2.2. 2019-20 시즌

파일:Borna_Barisic_20.jpg

두번째 시즌에는 특유의 뛰어난 킥력을 바탕으로 많은 도움을 기록하였고, 셀틱 전에서 2개의 골에 모두 관여하면서 MOM으로 선정되었다. 시즌 최종 기록은 40경기 2골 14어시스트.

2.2.3. 2020-21 시즌

파일:Borna_Barisic_42.jpg

시즌 초반부터 뛰어난 폼을 보여주며 많은 공격포인트를 기록 중이다.

리그에서 30경기 1골 7어시스트를 기록했고 UEFA 유로파 리그에선 10경기 출전 3골 3도움으로 맹활약했다. 결국 UEFA 공식 유로파 리그 베스트11 선정되기도 했다.

2.2.4. 2021-22 시즌

최근 보여준 좋은 활약 덕에 겨울 이적시장때 왓포드 FC아스톤 빌라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

2.2.5. 2022-23 시즌

2.2.6. 2023-24 시즌

2024년 6월 1일, 계약이 만료되어 레인저스를 떠나게 되었다.

2.3. 트라브존스포르

2024년 6월 25일, 트라브존스포르로 이적하였다. 계약 기간은 2+1년.

3. 국가대표 경력

2017년 1월 11일, 칠레와의 친선전을 통해 성인 대표팀에 데뷔하였으며, 다니옐 프라니치-이반 스트리니치-요시프 피바리치의 뒤를 이어 대표팀 레프트백 주전으로 많이 기용되고 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최종명단에 승선했다. 본선에서는 보르나 소사에게 밀려 나오지 못하다가 소사가 매 경기 상당히 부진하며 16강 일본전에서 선발로 출전해 풀타임을 소화했다. 그러나 공수 양면에서 부진해 비판받았다. 특히나 올렸다 하면 홈런이 되어버린 크로스가 매우 아쉬웠다. 결국 8강전부터 다시 보르나 소사가 출전했는데 역시나 기대했던대로 똥을 퍼질러 싸며 사실상 카타르 월드컵에서 크로아티아의 아킬레스건은 이 레프트백 자리가 되었다.[1]

4. 플레이 스타일

왼발을 잘 쓰는 클래식한 레프트백으로, 날카로우면서도 강력한 왼발 킥을 이용해 공격에서의 큰 영향력을 미친 풀백이다. 측면에서 양질의 크로스는 물론, 우측에 서 있는 윙어와 올라오는 풀백과 미드필더에게 반대로 전환하는 패스를 보내주는 등 측면에서 플레이메이킹이 가능한 풀백이다. 특히 킥력은 레인저스 내에서도 손에 꼽히는 수준으로, 같은 팀에 이아니스 하지를 비롯해 킥력이 좋은 동료들이 여럿 있음에도 1순위 키커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활동량이 많은 편이라 측면에서 성실하게 움직여주고 큰 키에 피지컬도 좋은 선수라 경합에 있어서도 자신감을 드러낸다.

다만, 풀백치고 큰 키를 보유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스피드가 느린 편이며, 이에 따라 후방 복귀 속도 역시 느린 편이다. 때문에 수비에 있어 거친 모습을 보일 때가 있고 이 때문에 카드 수집도 잦다.

5. 여담

6. 같이 보기

파일:트라브존스포르 로고.svg
트라브존스포르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트라브존스포르 2024-25 시즌 스쿼드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우우르잔 차크르 Uğurcan Çakır 주장
3 DF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보르나 바리시치 Borna Barišić
4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휘세인 튀르크멘 Hüseyin Türkmen
5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존 룬스트럼 John Lundstram
6 MF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티스타 멘디 Batista Mendy
7 FW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에딘 비슈차 Edin Višća
8 MF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에니스 바르디 Enis Bardhi
9 FW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앤서니 와카에메 Anthony Nwakaeme
10 FW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무하메드 캄 Muhammed Cham
11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오잔 투판 Ozan Tufan
14 FW 파일:그리스 국기.svg 탁시아르키스 포운타스 Taxiarchis Fountas
15 DF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스테판 사비치 Stefan Savić
16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케렘 셴 Kerem Şen
17 FW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시몽 반자 Simon Banza [1]
18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에렌 엘말르 Eren Elmalı
19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우무트 보조크 Umut Bozok
22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타하 알트카르데쉬 Taha Altıkardeş
24 M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스테파노 덴스빌 Stefano Denswil
34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도우잔 하스폴라트 Doğucan Haspolat
35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오카이 요쿠슐루 Okay Yokuşlu
37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엠레한 게디클리 Emrehan Gedikli
54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무하멧 타하 테페 Muhammet Taha Tepe
61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지한 차낙 Cihan Çanak
67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케렘 셴 Kerem Şen
70 FW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데니스 드러구슈 Denis Drăguș
77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세르칸 아산 Serkan Asan
79 FW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페드루 말헤이루 Pedro Malheiro
80 MF 파일:모로코 국기.svg 몬타세르 라흐티미 Montasser Lahtimi
94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에니스 데스탄 Enis Destan
96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하칸 아이딘 Hakan Aydin
98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카안 모라다오을루 Kağan Moradaoğlu
99 FW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미슬라브 오르시치 Mislav Orsic
구단 정보
감독 : 셰놀 귀네슈 / 구장 : 셰놀 귀네슈 스타디움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트랜스퍼마켓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7월 1일

[1] SC 브라가에서 임대
}}}}}}}}} ||

{{{#!wiki style="color:#1A2842;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555"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Dominik Livaković)
1995년 1월 9일 ([age(1995-01-09)]세) 61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SK
12 네딜리코 라브로비치
(Nediljko Labrović)
1999년 10월 10일 ([age(1999-10-10)]세) 2 0 파일:독일 국기.svg FC 아우크스부르크
23 이비차 이부시치
(Ivica Ivušić)
1995년 2월 1일 ([age(1995-02-01)]세) 6 0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포스 FC
DF 3 두예 찰레타차르
(Duje Ćaleta-Car)
1996년 9월 17일 ([age(1996-09-17)]세) 27 1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4 요슈코 그바르디올
(Joško Gvardiol)
2002년 1월 23일 ([age(2002-01-23)]세) 37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5 마르틴 에를리치
(Martin Erlić)
1998년 1월 24일 ([age(1998-01-24)]세) 1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1909
6 요시프 슈탈로
(Josip Šutalo)
2000년 2월 28일 ([age(2000-02-28)]세) 21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
19 보르나 소사
(Borna Sosa)
1998년 1월 21일 ([age(1998-01-21)]세) 25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 FC
MF 2 크리스티얀 야키치
(Lovro Majer)
1997년 7월 14일 ([age(1997-07-14)]세) 7 0 파일:독일 국기.svg FC 아우크스부르크
10 루카 모드리치 파일:주장 아이콘.svg
(Luka Modrić)
1985년 9월 9일 ([age(1985-09-09)]세) 182 27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13 페타르 수치치
(Petar Sučić)
2003년 10월 25일 ([age(2003-10-25)]세) 4 1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GNK 디나모 자그레브
15 마리오 파샬리치
(Mario Pašalić)
1995년 2월 9일 ([age(1995-02-09)]세) 70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16 마르틴 바투리나
(Martin Baturina)
2003년 2월 16일 ([age(2003-02-16)]세) 7 1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GNK 디나모 자그레브
18 루카 이바누셰츠
(Luka Ivanušec)
1998년 11월 26일 ([age(1998-11-26)]세) || 22 || 2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21 루카 수치치
(Luka Sučić)
2002년 9월 8일 ([age(2002-09-08)]세) 14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소시에다드
- 니콜라 모로
(Nikola Moro)
1998년 3월 12일 ([age(1998-03-12)]세) 1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1909
FW 7 마르코 파샬리치
(Marco Pašalić)
2000년 9월 14일 ([age(2000-09-14)]세) 5 1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HNK 리예카
8 미슬라브 오르시치
(Mislav Oršić)
1992년 12월 29일 ([age(1992-12-29)]세) 27 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트라브존스포르
9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Andrej Kramarić)
1991년 6월 19일 ([age(1991-06-19)]세) 100 49 파일:독일 국기.svg TSG 1899 호펜하임
11 안테 부디미르
(Ante Budimir)
1991년 7월 22일 ([age(1991-07-22)]세) 27 3 파일:스페인 국기.svg CA 오사수나
14 이반 페리시치
(Ivan Perišić)
1989년 2월 2일 ([age(1989-02-02)]세) 138 33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PSV 에인트호번
17 브루노 페트코비치
(Bruno Petković)
1994년 9월 16일 ([age(1994-09-16)]세) 42 11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 마르코 피아차
(Marko Pjaca)
1995년 5월 6일 ([age(1995-05-06)]세) 27 1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HNK 리예카
11 이고르 마타노비치
(Igor Matanović)
2003년 5월 31일 ([age(2003-05-31)]세) 4 1 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일정 2024-25 네이션스 리그 A 2024년 10월 12일(토)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2024년 10월 15일(화) 원정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0월 15일
}}}}}}}}}||

1 리바코비치 · 2 스타니시치 · 3 바리시치 · 4 페리시치 · 5 에를리치 · 6 로브렌 · 7 마예르 · 8 코바치치 · 9 크라마리치
10 모드리치 · 11 브로조비치 · 12 그르비치 · 13 블라시치 · 14 리바야 · 15 파샬리치 · 16 페트코비치 · 17 부디미르 · 18 오르시치
19 소사 · 20 그바르디올 · 21 비다 · 22 유라노비치 · 23 이부시치 · 24 슈탈로 · 25 수치치 · 26 야키치
파일:2022 FIFA 월드컵 크로아티아 아이콘.svg 즐라트코 달리치



[1] 정작 왼쪽 센터백으로 출전한 요슈코 그바르디올은 월드컵 베스트급에 들 만한 활약을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