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S. 히메네스 · 8 로프터스치크 · 9 요비치 · 10 레앙 · 11 풀리식 · 14 라인더르스 16 메냥 C · 19 테오 · 20 히메네스 · 21 추쿠에제 · 22 E. 로얄 · 23 토모리 · 24 플로렌치 28 치아우 · 29 포파나 · 31 파블로비치 · 32 워커 · 38 본도 · 42 테라치아노 · 46 가비아 57 스포르티엘로 · 79 펠릭스 · 80 무사 · 90 에이브러햄 · 96 토리아니 · 99 소틸 |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AC 밀란 No. 7 | |||||
산티아고 히메네스 Santiago Giménez | |||||
<colbgcolor=#c90c0f><colcolor=#ffffff> 본명 | 산티아고 토마스 히메네스 Santiago Tomás Giménez | ||||
출생 | 2001년 4월 18일 ([age(2001-04-18)]세) |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주 부에노스 아이레스 | |||||
국적 | [[멕시코| ]][[틀:국기| ]][[틀:국기| ]] | [[아르헨티나| ]][[틀:국기| ]][[틀:국기| ]][1]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키 183cm / 체중 78kg | ||||
포지션 | 스트라이커 | ||||
주발 | 왼발 | ||||
소속 | <colbgcolor=#c90c0f><colcolor=#ffffff> 유스 | 크루스 아술 (2014~2019) | |||
선수 | 크루스 아술 (2017~2022)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22~2025) AC 밀란 (2025~ ) | ||||
국가대표 | 32경기 4골[2] (멕시코 / 2021~ ) | ||||
SNS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90c0f><colcolor=#ffffff> 가족 | 아버지 크리스티안 히메네스 어머니 마리아 베르나르다 히메네스 |
[clearfix]
1. 개요
멕시코 국적의 AC 밀란 소속 축구 선수. 현재 멕시코에서 주목하고 있는 유망주 중 한 명이다.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멕시코인이지만 출생지가 아르헨티나라 자동적으로 아르헨티나 이중국적자가 되었다. 때문에 멕시코 리그에서 재능으로 돋보이게 되자 아르헨티나 측에서도 그의 대표팀 발탁을 고려했고, 실제로 2020년 9월 멕시코 대표팀 감독 헤라르도 마르티노가 훈련캠프로 그를 소집해 점검하기도 했다.결국 최종적으로 본인이 자란 멕시코 대표팀을 선택, 2021년 10월 에콰도르와의 평가전에서 A매치 데뷔전을 가졌다. 또한 2021년 12월 열린 칠레와의 친선전에서 A매치 데뷔골을 넣는 등 대표팀에서도 신성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런데 정작 헤라르도 마르티노 감독은 월드컵 명단에 그를 포함시키지 않았고 멕시코는 조 3위에 그치며 16강 공무원 타이틀이 무색하게 멕시코는 빈공 끝에 탈락하고 말았다.
4. 플레이 스타일
박스 안 득점력이 좋은 포쳐 유형의 공격수. 민첩한 움직임과 강력한 왼발 슈팅, 헤더 스킬과 버텨주는 힘, 동물적인 움직임까지 중앙 공격수에게 필요한 기본기를 두루 갖추고 있다.히메네스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박스 안에서의 득점력으로, 감각적인 오프 더 볼 상황에서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박스 안으로 빠르게 침투해 득점을 기록한다. 득점을 위한 슈팅의 파워와 스킬도 좋고 타점 높은 헤더를 통해 득점을 기록하기도 한다.
득점을 위한 침투 움직임뿐만 아니라, 전방에서 버텨주면서 공간을 창출하는 데에도 능하다. 키가 큰 편이 아니지만, 밸런스가 잘 잡혀있어 버티는 힘이 상당히 좋다. 버티는 힘이 좋다 보니, 등을 지고 공을 받은 후에 공을 지켜내고 동료에게 건네준다. 순간적으로 상대를 돌파해낼 수 있을 만한 순간 속도와 기본기, 밀고 들어가는 힘까지 갖추고 있다 보니, 다른 포쳐들과 다르게 고립되지 않고 본인이 직접 공격을 풀어낼 수 있다.
다만, 현대 축구에서 공격수에게 요구되는 뛰어나면서도 성실한 움직임이 뛰어난 공격수들에 비해서는 부족하다. 전방 압박을 시도하거나 수비에 가담하는 것보다는 전방에 머물면서 공격을 마무리짓는 것을 즐긴다. 이 때문에, 오프 더 볼 상황에서의 움직임이 상당히 제한적이고 측면으로 빠지는 등의 스위칭이나 윙어와의 연계 플레이를 기대하긴 힘들다. 중앙에서 너무종적으로만 움직이기에, 스위칭을 많이 시도하는 강팀에서의 적응도가 우려된다.
또한, 헤더 스킬을 잘 갖추고 있지만 공중볼 경합 상황에서는 무기력하고, 공을 가지고 있을 때 극단적으로 왼발만 사용한다는 단점이 있다.
아직은 나이가 어리고 개선해야 할 플레이도 많고 타 리그에 비해 경쟁력이 낮은 멕시코와 네덜란드 리그에서 기록한 득점이라는 점에서 빅 리그에서의 활약에 대한 우려가 있어왔지만, 2024-25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선발 출장해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2골을 기록하며 팀의 3-0 승리를 견인했으며, 김민재를 상대로 우위를 점하는 모습들을 보여주며 빅 리그 활약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켰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크루스 아술 (2017~2022)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22~ )
- 에레디비시: 2022-23
- KNVB 베이커: 2023-24
- 요한 크루이프 스할: 2024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 CONCACAF 골드컵: 2023
5.2. 개인 수상
- 리가 MX 올스타: 2021
- 리가 MX 이달의 선수: 2021년 8월ㆍ9월
- 에레디비시 이달의 팀: 2023년 4월ㆍ9월
- 에레디비시 이달의 재능: 2023년 4월
- 에레디비시 이달의 선수: 2023년 9월
6. 여담
- 그의 아버지가 바로 아르헨티나에서 멕시코로 귀화해 국가대표로도 뛰었던 크리스티안 히메네스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아들 산티아고도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나면서 선천적 이중국적자가 되었다. 부계로는 파라과이 출신이라고 한다.
- 불리는 애칭은 산티아고를 줄여 산티(Santi)가 있다. 이는 히메네스 뿐만 아니라 라틴권에서 산티아고라는 이름을 가진 이들에게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팬들 사이에서 특유의 응원가가 있다. (영상 6분 4초), (영상 10분) #
- 여자친구가 있으며 이름은 'Fernanda Serrano'다. 인스타그램을 통해 서로 알게되었다고 밝혔으며 2020년 6월 중순에 사귀기 시작했다. #
- 뛰고 싶은 경기장으로는 CA 보카 주니어스의 에스타디오 알베르토 J. 아르만도로 답했다. 이는 보카 주니어스에서 축구 생활을 시작한 아버지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7.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 AC 밀란 2024-25 시즌 스쿼드 | ||||||
<rowcolor=#000> 7 | 8 | 9 | 10 | 11 | |||
산티아고 히메네스 Santiago Giménez 2001.04.18 ([age(2001-04-18)]) 2025~2029 | 루벤 로프터스치크 Ruben Loftus-Cheek 1996.01.23 ([age(1996-01-23)]) 2023~2027 | 루카 요비치 Luka Jović 1997.12.23 ([age(1997-12-23)]) 2023~2025 | 하파엘 레앙 Rafael Leão 1999.06.10 ([age(1999-06-10)]) 2019~2028 | 크리스천 풀리식 Christian Pulisic 1998.09.18 ([age(1998-09-18)]) 2023~2027 | |||
<rowcolor=#000> 14 | 16 (C) | 19 (VC) | 20 | 21 | |||
티자니 라인더르스 Tijjani Reijnders 1998.07.29 ([age(1998-07-29)]) 2023~2028 | 마이크 메냥 Mike Maignan 1995.07.03 ([age(1995-07-03)]) 2021~2026 | 테오 에르난데스 Theo Hernández 1997.10.06 ([age(1997-10-06)]) 2019~2026 | 알렉스 히메네스 Álex Jiménez 2005.05.08 ([age(2005-05-08)]) 2024~2028 | 사무엘 추쿠에제 Samuel Chukwueze 1999.05.22 ([age(1999-05-22)]) 2023~2028 | |||
<rowcolor=#000> 22 | 23 | 24 | 28 | 29 | |||
에메르송 로얄 Emerson Royal 1999.01.14 ([age(1999-01-14)]) 2024~2028 | 피카요 토모리 Fikayo Tomori 1997.12.19 ([age(1997-12-19)]) 2021~2027 | 알레산드로 플로렌치 Alessandro Florenzi 1991.03.11 ([age(1991-03-11)]) 2022~2025 | 말리크 치아우 Malick Thiaw 2001.08.08 ([age(2001-08-08)]) 2022~2027 | 유수프 포파나 Youssouf Fofana 1999.01.10 ([age(1999-01-10)]) 2024~2028 | |||
| |||||||
<rowcolor=#000> 31 | 32 | 38 | 42 | 46 | |||
스트라히냐 파블로비치 Strahinja Pavlović 2001.05.24 ([age(2001-05-24)]) 2024~2028 | 카일 워커 Kyle Walker 1990.05.28 ([age(1990-05-28)]) 2025~2025[1] | 워렌 본도 Warren Bondo 2003.09.15 ([age(2003-09-15)]) 2025~2029 | 필리포 테라치아노 Filippo Terraciano 2003.02.08 ([age(2003-02-08)]) 2024~2028 | 마테오 가비아 Matteo Gabbia 1999.10.21 ([age(1999-10-21)]) 2017~2029 | |||
57 | <rowcolor=#000> 79 | 80 | 90 | 96 | |||
마르코 스포르티엘로 Marco Sportiello 1992.05.10 ([age(1992-05-10)]) 2023~2027 | 주앙 펠릭스 João Félix 1999.11.10 ([age(1999-11-10)]) 2025~2025[2] | 유누스 무사 Yunus Musah 2002.11.29 ([age(2002-11-29)]) 2023~2028 | 태미 에이브러햄 Tammy Abraham 1997.10.02 ([age(1997-10-02)]) 2024~2025[3] | 로렌초 토리아니 Lorenzo Torriani 2005.01.31 ([age(2005-01-31)]) 2024~2027 | |||
| | | | ||||
<rowcolor=#000> 99 | - | - | - | - | |||
리카르도 소틸 Riccardo Sottil 1999.06.03 ([age(1999-06-03)]) 2025~2025[4] | |||||||
구단 정보 | |||||||
<colbgcolor=#000000> 단장: | |||||||
출처: AC 밀란 공식 웹사이트, 트랜스퍼마크트,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02월 06일 |
}}}}}}}}} ||
{{{#!wiki style="color:#fff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 <rowcolor=#ffffff>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GK | 1 | 루이스 말라곤 Luis Malagón | 1997년 3월 2일 ([age(1997-03-02)]세) | 6 | 0 | | |
12 | 라울 랑헬 Raúl Rangel | 2000년 2월 25일 ([age(2000-02-25)]세) | 2 | 0 | | ||
13 | 기예르모 오초아 Guillermo Ochoa | 1985년 7월 13일 ([age(1985-07-13)]세) | 150 | 0 | | ||
DF | 2 | 호르헤 산체스 Jorge Sánchez | 1997년 12월 10일 ([age(1997-12-10)]세) | 45 | 1 | | |
3 | 세사르 몬테스 César Montes | 1997년 2월 24일 ([age(1997-02-24)]세) | 49 | 1 | | ||
5 | 요한 바스케스 Johan Vásquez | 1998년 10월 22일 ([age(1998-10-22)]세) | 29 | 1 | | ||
6 | 헤수스 오로스코 Jesús Orozco | 2002년 2월 19일 ([age(2002-02-19)]세) | 3 | 0 | | ||
23 | 브라얀 곤살레스 Bryan González | 1997년 10월 31일 ([age(1997-10-31)]세) | 1 | 0 | | ||
26 | 로드리고 우에스카스 Rodrigo Huescas | 2003년 9월 18일 ([age(2003-09-18)]세) | 1 | 0 | | ||
27 | 헤수스 앙굴로 Jesús Angulo | 1998년 1월 30일 ([age(1998-01-30)]세) | 17 | 0 | | ||
MF | 4 | 에드손 알바레스 Edson Álvarez | 1997년 10월 24일 ([age(1997-10-24)]세) | 80 | 5 | | |
7 | 루이스 로모 Luis Romo | 1995년 6월 5일 ([age(1995-06-05)]세) | 52 | 4 | | ||
8 | 카를로스 로드리게스 Carlos Rodríguez | 1997년 1월 3일 ([age(1997-01-03)]세) | 54 | 0 | | ||
14 | 마르셀 루이스 Marcel Ruiz | 2000년 10월 26일 ([age(2000-10-26)]세) | 1 | 0 | | ||
15 | 세바스티안 코르도바 Sebastián Córdova | 1997년 6월 12일 ([age(1997-06-12)]세) | 18 | 3 | | ||
16 | 디에고 라이네스 Diego Lainez | 2000년 6월 9일 ([age(2000-06-09)]세) | 29 | 3 | | ||
17 | 오르벨린 피네다 Orbelín Pineda | 1996년 3월 24일 ([age(1996-03-24)]세) | 76 | 11 | | ||
18 | 안드레스 과르다도 Andrés Guardado | 1986년 9월 28일 ([age(1986-09-28)]세) | 180 | 28 | | ||
19 | 오시엘 에레라 Ozziel Herrera | 2001년 5월 25일 ([age(2001-05-25)]세) | 7 | 0 | | ||
20 | 에릭 리라 Érik Lira | 2000년 5월 8일 ([age(2000-05-08)]세) | 5 | 0 | | ||
24 | 오베드 바르가스 Obed Vargas | 2005년 8월 5일 ([age(2005-08-05)]세) | 1 | 0 | | ||
25 | 로베르토 알바라도 Roberto Alvarado | 1998년 9월 7일 ([age(1998-09-07)]세) | 43 | 5 | | ||
FW | 9 | 라울 히메네스 Raúl Jiménez | 1991년 5월 5일 ([age(1991-05-05)]세) | 105 | 34 | | |
10 | 알렉시스 베가 Alexis Vega | 1997년 11월 25일 ([age(1997-11-25)]세) | 32 | 6 | | ||
11 | 헤르만 베르테라메 Germán Berterame | 1997년 3월 24일 ([age(1997-03-24)]세) | 1 | 0 | | ||
21 | 세사르 우에르타 César Huerta | 2000년 12월 3일 ([age(2000-12-03)]세) | 13 | 3 | | ||
22 | 기예르모 마르티네스 Guillermo Martínez | 1995년 3월 15일 ([age(1995-03-15)]세) | 7 | 2 |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0월 15일 |
[1] 아르헨티나는 헌법에 따라 외국인이라도 자국에서 태어나면 국적을 부여한다.[2] 2024년 9월 11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