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12:30:37

VfB 슈투트가르트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2025-26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파일:RB 라이프치히 로고.svg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파일:1. FSV 마인츠 05 로고.svg
파일: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
파일:VfL 볼프스부르크 로고.svg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파일:FC 아우크스부르크 로고.svg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파일:1. FC 쾰른 로고.svg
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파일:TSG 1899 호펜하임 로고.svg
파일:2. 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독일 국기.svg 분데스리가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분데스리가파일:체코 국기.svg 포트발로바 리가
파일:스위스 국기.svg 슈퍼 리그파일:헝가리 국기.svg 넴제티 버이녹샤그 I파일:폴란드 국기.svg 엑스트라클라사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수페르리가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프르바리가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컵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Verein für Bewegungsspiele Stuttgart 1893 e. V.
VfB 슈투트가르트 VfB 슈투트가르트 II

<colbgcolor=#fff,#fff><colcolor=#d30029,#d30029>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VfB 슈투트가르트
VfB Stuttgart
정식 명칭 Verein für Bewegungsspiele Stuttgart 1893 e. V.
별칭 Die Roten, Die Schwaben
창단 1893년 9월 9일 ([age(1893-09-09)]주년)[1]
소속 리그 분데스리가 (Bundesliga)
연고지 바덴뷔르템베르크 슈투트가르트 현 슈투트가르트
(Baden-Württemberg, Stuttgat,Stuttgart)
홈구장 MHP아레나 (60,058명 수용)
라이벌 - 슈투트가르트 더비
- 바덴뷔르템베르크 더비
- 남독일 더비
회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디트마어 알가이어 (Dietmar Allgaier)
의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알렉산더 벨레 (Alexander Wehrle)
단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비안 볼게무트 (Fabian Wohlgemuth)
앰버서더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카카우 (Cacau)
감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제바스티안 회네스 (Sebastian Hoeneß)
수석코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다비드 크레치들로 (David Krecidlo)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말릭 파티 (Malik Fathi)
주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튀르키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튀르키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아타칸 카라조르 (Atakan Karazor)
부주장 공석
UEFA 랭킹 99위 출처
역대 한국인 선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정우영 (2023~2025)
공식 웹사이트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팬 커뮤니티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지난 시즌 성적
(2024-25 시즌)
분데스리가 9위
약칭 VFB
우승 기록

분데스리가
(1부)

(3회)
1983-84, 1991-92, 2006-07
2. 분데스리가
(2부)

(2회)
1976-77, 2016-17
DFB-포칼
(4회)
1953-54, 1957-58, 1996-97, 2024-25
DFL-슈퍼컵
(1회)
1992
UEFA 인터토토컵
(2회 / 최다 우승)
2000, 2002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

(2회)
1950, 1952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데니스 운다브 (Deniz Undav)
(2024년, From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2670만 €)
최고 이적료 방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닉 볼테마데 (Nick Woltemade)
(2025년, To 뉴캐슬 유나이티드, 8500만 €)
최다 출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헤어만 올리허 (Hermann Ohlicher) - 460경기 (1973-1985)
최다 득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카를 알괴버 (Karl Allgöwer) - 167골 (1980-1991)
분데스리가
득점왕

(3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위르겐 클린스만 (Jürgen Klinsmann) - 19골 (1987-88)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프리츠 발터 (Fritz Walter) - 22골 (1991-9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프레디 보비치 (Fredi Bobič) - 17골 (1995-96)
파일:DFB-포칼 로고.svg
DEUTSCHER POKALSIEGER
2024-25 DFB-포칼 챔피언
2022–23 시즌 골송
1. 개요2. 역사3. 스쿼드
3.1. 1군
4. 여담
4.1. 라이벌4.2. 홈구장4.3. 구단 버스4.4. 엠블럼
5. 둘러보기

1. 개요

독일 분데스리가축구 클럽. 종합 스포츠 클럽으로 피스트볼, 탁구, 하키 등을 운영하는데 그 중 유명한 것이 바로 축구 클럽이다. 독일 남부 주요 도시 중 하나인 슈투트가르트를 연고로 4만5천명의 회원을 자랑하는 독일에서 다섯번째로 큰 클럽이다.

국내팬들은 주로 슈투기, 슈바벤이라는 명칭으로 부른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VfB 슈투트가르트/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VfB 슈투트가르트/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VfB 슈투트가르트/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스쿼드

3.1. 1군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VfB 슈투트가르트 1군 스쿼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Fabian Bredlow(24-25).png
파일:Ameen Al-Dakhil(24-25).png
파일:Ramon Hendriks(24-25).png
파일:Josha Vagnoman(24-25).png
파일:Yannik Keitel(24-25).png
<rowcolor=#d0021b> 1 2 3 4 5
파비안 브레틀로
Fabian Bredlow

파일:독일 국기.svg|GK
1995.03.02 ([age(1995-03-02)])
2019~2026
아민 알다킬
Ameen Al-Dakhil

파일:벨기에 국기.svg|DF
2002.03.06 ([age(2022-03-06)])
2024~2028
라몬 헨드릭스
Ramon Hendriks

파일:네덜란드 국기.svg|DF
2001.07.18 ([age(2001-07-18)])
2014~2028
요샤 파그노만
Josha Vagnoman

파일:독일 국기.svg|DF
2000.12.11 ([age(2000-12-11)])
2012~2026
야니크 카이텔
Yannik Keitel

파일:독일 국기.svg|MF
2000.02.15 ([age(2000-02-15)])
2014~2028
파일:Angelo Stiller(24-25).png
파일:Maximilian Mittelstädt(24-25).png
파일:Enzo Millot(24-25).png
파일:Ermedin Demirović(24-25).png
파일:El Bilal Touré(24-25).png
<rowcolor=#d0021b> 6 7 8 9 10
안젤로 슈틸러
Angelo Stiller

파일:독일 국기.svg|MF
2001.04.04 ([age(2001-04-04)])
2023~2027
막시밀리안 미텔슈테트
Maximilian Mittelstädt

파일:독일 국기.svg|DF
1997.03.18 ([age(1997-03-18)])
2023~2028
엔조 미요
Enzo Millot

파일:프랑스 국기.svg|MF
2002.07.17 ([age(2002-07-17)])
2021~2028
에르메딘 데미로비치
Ermedin Demirović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FW
1998.03.25 ([age(1998-03-25)])
2024~2028
엘 빌랄 투레
El Bilal Touré

파일:말리 국기.svg|FW
2001.10.03 ([age(2001-10-03)])
2024~2025
파일:Nick Woltemade(24-25).png
파일:Pascal Stenzel(24-25).png
파일:Atakan Karazor(24-25).png
파일:Justin Diehl(24-25).png
<rowcolor=#d0021b> 11 14 15 16 (C) 17
닉 볼테마데
Nick Woltemade

파일:독일 국기.svg|FW
2002.02.14 ([age(2002-02-14)])
2024~2028
루카 하케즈
Luca Jaquez

파일:스위스 국기.svg|DF
2003.06.02 ([age(2003-06-02)])
2025~2029
파스칼 슈텐첼
Pascal Stenzel

파일:독일 국기.svg|DF
1996.03.20 ([age(1996-03-20)])
2020~2026
아타칸 카라조르
Atakan Karazo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MF
1996.10.13 ([age(1996-10-13)])
2019~2028
유스틴 딜
Justin Diehl

파일:독일 국기.svg|FW
2004.11.27 ([age(2004-11-27)])
2024~2029
파일:Jamie Leweling(24-25).png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파일:Leonidas Stergiou(24-25).png
파일:Stefan Drljača(24-25).png
파일:Thomas Kastanaras(24-25).png
<rowcolor=#d0021b> 18 19 20 21 22
제이미 레벨링
Jamie Leweling

파일:독일 국기.svg|FW
2001.02.26 ([age(2001-02-26)])
2024~2028
노아 다르위시
Noah Darvich

파일:독일 국기.svg | MF
2006.09.25 ([age(2006-09-25)])
2025~2029
레오니다스 스테르기우
Leonidas Stergiou

파일:스위스 국기.svg|DF
2002.03.03 ([age(2002-03-03)])
2024~2028
슈테판 드를랴차
Stefan Drljača

파일:독일 국기.svg|GK
1999.04.20 ([age(1999-04-20)])
2024~2027
토마스 카스타나라스
Thomas Kastanaras

파일:독일 국기.svg|FW
2003.01.09 ([age(2003-01-09)])
2022~2026
파일:Dan-Axel Zagadou(24-25).png
파일:Jeff Chabot(24-25).png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파일:Deniz Undav(24-25).png
파일:Chris Führich(24-25).png
<rowcolor=#d0021b> 23 24 25 26 27
단악셀 자가두
Dan-Axel Zagadou

파일:프랑스 국기.svg|DF
1999.06.03 ([age(1999-06-03)])
2022~2026
제프 샤보
Jeff Chabot

파일:독일 국기.svg|DF
1998.02.12 ([age(1998-02-12)])
2024~2028
야콥 브룬 라르센
Jacob Brunn Larsen

파일:덴마크 국기.svg|MF
1998.09.19 ([age(1998-09-19)])
2025~2027
데니스 운다브
Deniz Undav

파일:독일 국기.svg|FW
1996.07.19 ([age(1996-07-19)])
2024~2027
크리스 퓌리히
Chris Führich

파일:독일 국기.svg|FW
1998.01.09 ([age(1998-01-09)])
2021~2028
파일:Nikolas Nartey(24-25).png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파일:Fabian Rieder(24-25).png
파일:Alexander Nübel(24-25).png
파일:Luca Raimund(24-25).png
<rowcolor=#d0021b> 28 29 32 33 40
니콜라스 나르티
Nikolas Nartey

파일:덴마크 국기.svg|MF
2000.02.22 ([age(2000-02-22)])
2019~2025
핀 옐치
Finn Jeltsch

파일:독일 국기.svg|MF
2006.07.17 ([age(2006-07-17)])
2025~2030
파비안 리더
Fabian Rieder

파일:스위스 국기.svg|MF
2002.02.16 ([age(2002-02-16)])
2024~2025
알렉산더 뉘벨
Alexander Nübel

파일:독일 국기.svg|GK
1996.09.30 ([age(1996-09-30)])
2023~2026
루카 라이문트
Luca Raimund

파일:독일 국기.svg|FW
2005.04.09 ([age(2005-04-09)])
2024~2026
파일:Dennis Seimen(24-25).png
파일:Anrie Chase(24-25).png
파일:Wahid Faghir(24-25).png
41 <rowcolor=#d0021b> 45 #
데니스 자이멘
Dennis Seimen

파일:독일 국기.svg|GK
2005.12.01 ([age(2005-12-01)])
2023~2027
체이스 안리
Anrie Chase

파일:일본 국기.svg|DF
2004.03.24 ([age(2004-03-24)])
2024~
와히드 파기르
Wahid Faghir

파일:덴마크 국기.svg|FW
2003.07.29 ([age(2003-07-29)])
2021~2026
구단 정보
의장: 알렉산더 벨레 / 감독: 제바스티안 회네스 / 구장: MHP아레나
출처: VfB 슈투트가르트 공식 웹사이트 / 분데스리가 공식 웹사이트 / 트랜스퍼마크트
}}}}}}}}} ||

4. 여담

4.1. 라이벌

라이벌로는 같은 남독일에 있는 FC 바이에른 뮌헨, 뉘른베르크가 있다. 2010년대 들어서는 같은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SC 프라이부르크가 라이벌로 여겨진다.

직접적으로 지역이 겹치는 카를스루어 SC, 같은 도시에 있는 슈투트가르트 키커스와도 라이벌 관계지만, 주로 이 팀들은 2부 리그에 있는 경우가 많아서, 실질적으로는 SC 프라이부르크가 라이벌 관계다.

4.2. 홈구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HP아레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HP아레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HP아레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홈구장인 메르세데스-벤츠 슈타디온은 원래 종합 운동장으로 5만 5천석 규모의 경기장이지만, 리모델링에 들어가 2010년에는 수용인원이 약 4만명으로 줄었다. 이후 2011년 8월 리모델링을 마치고 6만석 규모의 거대한 축구전용 구장으로 탈바꿈했다. #

근처에는 메르세데스-벤츠 본사와 박물관이 있고 이전 명명권도 베르세데스-벤츠에서 소유하고 있었으나 2023년부터 포르쉐와의 계약으로 자회사인 MHP아레나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메르세데스가 발을 뺀건아니고 구단 지분 일부를 포르쉐에게 판매해서 양사가 동일한 지분을 가지게 되었다. # 팬들은 그동안 메르세데스쪽에서의 투자가 지지부진 했기에 포르쉐의 투자를 바랬고 결국 포르쉐의 투자 이후로 분데스 준우승을 차지하며 좋은 출발을 알렸다.

4.3. 구단 버스

파일:stuttgart team bus.jpg
2012년 새로운 구단 버스로 메르세데스-벤츠의 Travego Edition 1을 지원받았다. 번호판도 센스있게 '1893'이다. #

4.4. 엠블럼

파일:vfb-stuttgart-wappenhistorie.jpg
파일:뷔르템베르크 왕국 국장.svg 파일:포르쉐 로고.svg
구 뷔르템베르크 왕국 문장 포르쉐 엠블럼

엠블럼은 구 뷔르템베르크 왕국[2]의 지방문장에서 따온 것으로, 슈투트가르트에 본사를 둔 포르쉐도 같은 문양을 쓰고 있다.

5. 둘러보기

파일:독일 축구 연맹 로고(1926~1995).png
분데스리가 원년 멤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1961~1968).svg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1945~1964).svg
파일:MSV 뒤스부르크 로고(1951~1966).svg
파일:SC 프로이센 뮌스터 로고(1906~2008).svg
파일:TSV 1860 뮌헨 로고(1952~1964).svg
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1949~1965).svg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1962~1976,1977~1994).svg
파일:FC 샬케 04 로고(1963~1971).svg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1955~2010).svg
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1952~1960).svg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1955~1969).svg
파일:1. FC 쾰른 로고(1948~1967).svg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1957~1965).svg
파일:함부르크 SV 로고(1950~1978).svg
파일:헤르타 BSC 로고(1923~1984).svg
}}}}}}}}} ||
[1] #[2] 슈투트가르트는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수도였고, 현재의 바덴뷔르템베르크주는 바덴 대공국과 구 프로이센 왕국호엔촐레른주까지 합쳐 바덴뷔르템베르크 주가 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