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4 16:17:26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VA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1992)
배트맨 비욘드
(1999)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
(2004)
웹 애니메이션
로보
(2000)
극장용 애니메이션
비디오용 애니메이션
배트맨 & 미스터 프리즈: 서브제로
(1998)
배트맨: 배트우먼의 수수께끼
(Chase Me)
(2003)
출판물
배트맨 어드벤처
(1992)
배트맨과 로빈 어드벤처
(1995)
배트맨 어드벤처: 로스트 이어
(1998)
배트맨: 고담 어드벤처
(1998)
배트맨 어드벤처 Vol.2
(2003)
DC 클래식: 배트맨 어드벤처
(2020)
배트맨 어드벤처스 컨티뉴
(2020)
}}}}}}}}}

DC 애니메이티드 유니버스 애니메이션
시작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배트맨: 마스크 오브 판타즘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Batman: The Animated Series
파일:batman-the-animated-series.jpg
장르 슈퍼히어로, 액션, 미스터리
포맷 애니메이션
제작진 <colbgcolor=#000><colcolor=#000> 총 제작자 진 매커디[1]
제작 톰 루거
연출 앨런 버넷
브루스 팀
폴 디니
에릭 러돔스키[2]
캐릭터 원안 브루스 팀
케빈 놀런
마이크 미뇰라[3]
음악 쉘리 워커
하비 코헨
롤리타 리트매니스
마이클 맥퀴션
리차드 브론스킬
칼 존슨
크리스토퍼 카터
카를로스 로드리게스
방영 기간 파일:미국 국기.svg 1992년 9월 5일 ~ 1995년 9월 15일
방영 시간 22분
제작사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
방송사 FOX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텔레비전 디스트리뷰션

1. 개요2. 특징3. 오프닝4. 출연진5. 장편 애니메이션6. 에피소드 목록7. 국내 방영8. 영향
8.1. 받은 영향8.2. 준 영향
9. 평가10. 기타11. 둘러보기 틀

1. 개요

"I am vengeance, I am the night, I AM BATMAN!"
"나는 복수다, 나는 밤이다, 나는 배트맨이다!"[4]

DC 애니메이티드 유니버스의 시작을 알리는 기념비적인 첫 작품.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는 DC 코믹스 캐릭터인 배트맨을 기초로 한 미국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총 85화 + 극장판 애니메이션 2편으로 구성되어있으며 65화부터는 시즌 2로 넘어가고 '배트맨과 로빈의 모험'으로 제목도 바뀌었다. 방영은 FOX의 어린이 대상 블록인 FOX Kids에서 하였다.

1989년작 팀 버튼 감독의 《배트맨》 이 대성공을 거둔 이후 《타이니 툰》의 제작진들이 모여 만든 이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팀 버튼 영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작품으로[5] 제작에 참여한 브루스 팀과 에릭 러돔스키는 영화의 필름누아르적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기존의 하얀 종이 대신 검은 종이를 사용했다. 제작진들이 밝히는 배트맨 TAS의 제작 비화

OST는 셜리 워커가 작곡했다. 시리즈만의 고유 테마가 있다. 하지만 그 유명한 오프닝은 배트맨 영화의 음악을 맡았던 대니 엘프먼의 테마를 그대로 사용했고, 시리즈 초반 몇몇 에피소드에서는 에피소드 내에서 그 테마가 직접 등장하기도 했다.

시리즈의 종영 이후 후속작이 계획되었고, 뉴 배트맨 어드벤처스라는 이름의 후속작이 만들어졌다.

2. 특징

기존 아이들을 겨냥했던 슈퍼히어로물과의 차이를 두고 좀 더 시청연령을 높게 잡았던 이 작품은 슈퍼히어로물 애니메이션 역사상 처음으로 화약 총기류가 나온다. 적들에게 직접적으로 발차기와 주먹을 날렸고 유혈묘사도 처음으로 나오게 된 애니메이션이다. 어른이 보기에도 전혀 유치하지 않은 내용이다.

미국 TV 애니메이션 중 가장 많은 스핀오프를 가지고 있는 애니메이션이고 총 13개의 스핀오프가 있으며 지금도 잊을 만하면 한 번씩 나오고 있다.

이 작품에서 레드 클로, 쿄다이 켄, 타이그러스, 수어 킹 등이 등장했으나 큰 어필을 하지못한 반면에, 할리 퀸, 르네 몬토야, 락 업 등은 이 작품의 인기를 등에 업고 코믹스에도 진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코믹스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버티고 백작이나 미러맨, 클락 킹 등도 이 시리즈를 통해 탈바꿈하고 인기도 얻었다. 또한, 미스터 프리즈, 클레이페이스, 포이즌 아이비는 기존에도 인지도가 있던 악당들이었으나 이 시리즈를 통해 기원이 정해지고 모습이 새롭게 정리 되면서 더 큰 메인 악당에 가깝게 되었다.

후속작들 만큼은 아니지만 일부 다른 DC 코믹스 히어로들이 등장하였다. "Zatanna" 에피소드에서 자타나가 등장하며, "Showdown" 에피소드에서는 조나 헥스가 등장한다. 이후 두 캐릭터 모두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에서도 등장한다.

IGN은 이 작품을 코믹스를 벗어난 배트맨 작품들 중 최고라 칭했고 역대[6] TV 애니메이션 탑 100 순위에서 2위로 뽑았다.[7] 또한 방영기간 내내 매년 에미상을 수상했으며 그 후 계속 지속되었던 후속작들도 에미상을 수상했다. 같은 시기의 엑스맨 TAS, 스파이더맨 TAS와 1990년대의 TV를 꽉 잡았던 슈퍼히어로 애니메이션이라 하겠다. 특히 90년대 초중반 미국 만화는 막장이기로 유명했는데[8], 오히려 코믹스 쪽보다 진정한 배트맨 스토리가 나오기도 했다.[9]

3. 오프닝


4. 출연진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77b7e> 파일:Batman symbol(DCAU).png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in-width:40%;min-height:2em;"
{{{#!folding [ 주요 캐릭터 ]
{{{#!wiki style="margin:-6px -1px -4px;text-align:left;"
배트맨 패밀리 파일:Batman icon(DCAU).png 파일:Nightwing icon(DCAU).png 파일:Batgirl icon(DCAU).png 파일:Robin icon(DCAU).png
배트맨 나이트윙 배트걸 팀 드레이크
파일:Alfred icon(DCAU).png
알프레드 페니워스
조연
캐릭터
파일:James Gordon icon(DCAU).png 파일:Harvey Bullock icon(DCAU).png 파일:Renee Montoya icon(DCAU).png 파일:Lucius Fox icon(DCAU).png
제임스 고든 하비 불록 르네 몬토야 루시우스 폭스
파일:Leslie Thompkins icon(DCAU).png 파일:Hamilton Hill icon.png 파일:Summer Gleeson icon.png
레슬리 톰킨스 해밀턴 힐 서머 글리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min-width:40%;min-height:2em;"
{{{#!folding [ 악역 캐릭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text-align:left;"
주요 인물 파일:Joker icon(DCAU).png 파일:Two face icon(DCAU).png 파일:Penguin icon(DCAU).png 파일:Catwoman icon(DCAU).png
조커 투페이스 펭귄 캣우먼
파일:Harley Quinn icon(DCAU).png 파일:Poison Ivy icon(DCAU).png 파일:Scarecrow icon(DCAU).png 파일:Mad Hatter icon(DCAU).png
할리 퀸 포이즌 아이비 스케어크로우 매드 해터
파일:Ra's al Ghul icon(DCAU).png 파일:Killer Croc icon(DCAU).png 파일:Talia al Ghul icon(DCAU).png 파일:Mr. Freeze icon(DCAU).png
라스 알 굴 킬러 크록 탈리아 알 굴 미스터 프리즈
파일:Riddler icon(DCAU).png 파일:Ventriloquist icon(DCAU).png 파일:Clayface icon(DCAU).png 파일:Bane icon(DCAU).png
리들러 벤트릴로퀴스트 클레이페이스 베인
파일:Baby Doll icon(DCAU).png
베이비 돌 }}}}}}}}}}}}
성우 캐릭터
<colbgcolor=#fff,#000>케빈 콘로이 <colbgcolor=#fff,#000>배트맨
에프렘 짐벌리스트 주니어 알프레드 페니워스
로런 레스터 로빈
밥 헤이스팅스 제임스 고든
로버트 코스탠조 하비 불록
라이앤 셔머 르네 몬토야
브록 피터스 루시우스 폭스
멜리사 길버트 배트걸
마리 데번 서머 글리슨
다이애나 멀도어 레슬리 톰킨스
로이드 보크너 해밀턴 힐
마릴루 헤너 베로니카 브릴랜드
윌리엄 매키니 조나 헥스
줄리 브라운 자타나
애덤 웨스트 그레이 고스트
팻 프레일리 배트마이트
마크 해밀 조커
폴 윌리엄스 펭귄
알린 소킨 할리 퀸
에이드리엔 바보 캣우먼
리처드 몰 투페이스
존 글러버 리들러
마이클 안사라 미스터 프리즈
다이앤 퍼싱 포이즌 아이비
조지 준드저 스카페이스 & 벤트릴로퀴스트
헨리 폴릭 2세 스케어 크로
에런 킨케이드 킬러 크록
로디 맥도웰 매드 해터
론 펄먼 클레이페이스
데이비드 워너 라스 알 굴
마크 싱어 맨-배트
레이 벅테니카 휴고 스트레인지
앨리슨 라플라카 베이비 돌
앨런 퍼타키 클락 킹
브루스 와이즈 락 업
헨리 실바 베인
헬렌 슬레이터[10] 탈리아 알 굴
존 버넌 루퍼트 쏘온
에드워드 애스너 롤랜드 다겟
제프 베넷 HARDAC
마이클 그로스 모조
케이트 멀그루[11] 레드 클로
스티브 서스킨드 맥시 제우스
트리트 윌리엄스 밀로 교수
마이클 요크 버티고 백작
조지프 마허 에밀 도리안 박사
조지 머독 보스 비기스
마이클 파타키 수어 킹

5. 장편 애니메이션

5.1. 극장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배트맨: 마스크 오브 판타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배트맨: 마스크 오브 판타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배트맨: 마스크 오브 판타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배트맨 & 미스터 프리즈: 서브제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배트맨 & 미스터 프리즈: 서브제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배트맨 & 미스터 프리즈: 서브제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배트맨 & 미스터 프리즈: 서브제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취소된 후속작

"배트맨 & 미스터 프리즈: 서브제로"의 성공 이후, 해당 작품의 감독이었던 보이드 커클랜드는 직접 각본과 감독을 맡아 "배트맨: 아캄(Batman : Arkham)"을 제작하려고 했다. 아캄 수용소의 악당들이 탈출하고 배트맨과 로빈이 쫓는 내용이다. 이 와중에 배트맨은 새로운 사랑에 빠지게 되고 이 역할로는 리졸리 앤 아일스 미드에서 리졸리 역을 맡은 앤지하몬이 배정되어있었다. 이외에도 엑스맨 에볼루션의 캐릭터 디자이너 스티븐 고든 역시 참여예정이었다. 그러나 배트맨 비욘드: 조커의 귀환에 집중하기 위해 캔슬되었다.[12]

6. 에피소드 목록

시즌1 32~33화였던 "Robin's Reckoning"은 프라임타임 에미상의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부문을 수상했고, 14화 였던 "Heart of Ice" 역시 1993년 같은해 데이타임 에미상의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각본[13]" 부문을 수상했다.

세가CD로 발매된 게임 배트맨과 로빈의 모험에서 16분 분량의 '잃어버린 에피소드'가 있다.


6.1. 시즌 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에피소드 목록/시즌 1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에피소드 목록/시즌 1#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에피소드 목록/시즌 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시즌 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에피소드 목록/시즌 2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에피소드 목록/시즌 2#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에피소드 목록/시즌 2#|]]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국내 방영

한국에서는 SBS에서 처음 방영되었다. 1993년부터 방영된 걸로 추정되며 그 이후 2000년때도 봤다고 하는 사람들로 있는 걸로 보아 꾸준히 재방을 해준 것으로 보인다. 당시의 더빙 캐스팅은 다음과 같다.

이정구는 이 작품을 계기로 한국에서는 배트맨의 목소리를 연기한 성우로 널리 알려졌다. 조커를 연기한 장광의 광기가 느껴지면서도 어딘가 익살스러운 연기도 좋은 평을 받았는데, 이를 인연으로 하여 장광은 각종 배트맨 애니메이션 더빙판에서 조커 역할을 전담하게 되었다.

SBS 방영 후에는 2000년대에 투니버스에서 방영했는데 당시 투니버스는 카툰네트워크의 몇몇 프로그램을 송출해주는 시절이었다. 우리말 연출은 신동식이며 워너 브라더스가 자사의 방침에 따라 모든 애니메이션과 캐스팅을 하나하나 오디션을 봤는데 이정구만큼은 워너 브라더스가 굉장히 마음에 들어해서 오디션없이 바로 캐스팅 배역에 이정구-배트맨이라고 했다고 한다. 연출을 담당했던 신동식 피디도 "아 이건 당연하지."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이러한 국내 방영 덕분에 국내 많은 사람들은 팀 버튼의 배트맨 영화들과 함께 배트맨 TAS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이 '어디선가 나타났다♬ 어디론가 사라지는♬ 배트맨~배트맨~배트맨~' 이라는 주제가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 주제가는 60년대에 방영한 애덤 웨스트판 배트맨 오프닝을 당시 SBS가 개작한 걸로 보인다.

오프닝 영상[14]은 극중 영상을 짜깁기한 것인데, 살짝 웃기는 게 조금 있다. 초반에 나오는 '데일리 플래닛' 영상은 슈퍼맨 TAS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는데 왜 배트맨 오프닝에 끼워져 있는지 의문. 배트맨이 경찰에 쫓기는 듯한 장면 역시 극중에서 나오는 것인데 '배트걸이 사망하고 경찰이 배트맨을 본격적으로 추적하는' 환상 속의 장면이다. 하고 많은 장면 가운데 왜 하필 이 장면을 넣은 것인지도 불명이다. 2003년 11월 6일에 두번째 극장판 서브제로가 배트맨과 프리즈 박사 이름으로 방영되었다.

8. 영향

8.1. 받은 영향

많은 작품들의 영향을 받았고 다시 많은 작품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팀 버튼 감독의 배트맨(1989년 영화)에서 출발한 만큼 여기에 영향을 크게 받았다. 배트모빌, 배트윙 등의 디자인을 영화판에서 가져왔으며, 배트맨 리턴즈처럼 돌연변이 외형을 지닌 펭귄에서 그 흔적을 볼 수있다. 또한 다크 나이트 리턴즈와 같이 80년대 코믹스에 큰 영향을 준 많은 작품들에도 영향을 받았다. 플라이셔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1940년작 슈퍼맨 카툰의 영향력도 보인다.

특기할 만한 부분은 30~50년대의 고전기 할리우드 영화들의 흔적들도 매우 짙게 남아있다는 것이다. 등장 차량, 복장, 총기 등의 요소들이 주로 30~50년대의 물건들로 보이는데[15], 대부분의 에피소드들이 필름누아르적 비주얼뿐만이 아니라 이 시절의 범죄 영화들과 매우 비슷한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30년대 유니버설 픽처스의 괴물 영화들이나 40~50년대의 신경증 강한 심리 스릴러들의 직접적인 오마주로 비칠 수 있는 에피소드들이 상당수 있다. 특히 Beware the Grey Ghost는 TV 드라마가 처음 시작한 시절에 대한 직접적인 오마주로서, 브루스 웨인이 어린 시절 이런 드라마들을 보고 복면 히어로를 동경하게 돼서 나중에 배트맨이 되는 데 영감을 주었다는 설정까지 잡는다.[16]

8.2. 준 영향

하지만 BTAS에 영향을 받은 작품들은 더 많다.

이 작품 이후에 나온 거의 모든 배트맨 작품들이 영향을 받았다. BTAS는 다양한 새 캐릭터 또는 기존 캐릭터의 새로운 바이오를 추가했으며, 이중 상당수가 절대 다수의 작품에 영향을 미치며 공식 설정으로 편입되었다. 특히 로빈에 맞대응하기 위한 조커의 사이드킥으로 고안된 할리 퀸은 이 시리즈에서 처음 데뷔하여 엄연한 공식 캐릭터로 편입되었다.

이 작품의 영향력은 미국 애니메이션 전반으로까지 퍼지는데, 미국 TV 방송사들이 성인을 대상으로 한, 또는 성인과 아이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TV 애니메이션의 가능성을 보게 만든 계기가 BTAS이다. 워너 브라더스는 2010년 초반까지도 BTAS의 제작진들에게 계속해서 다양한 슈퍼히어로 애니메이션의 제작을 맡겼다. 또한 일본 시장에도 영향을 끼쳤는데, The Big-O의 경우 배트맨 TAS와 캐릭터, 내용과 설정 등이 비슷했고, 카우보이 비밥의 20화 피에로 르푸 역시 배트맨 TAS에 대한 오마주를 바친 작품이다.

2009년 발매한 게임 배트맨: 아캄 어사일럼에서 배트맨, 조커, 할리 퀸 성우를 배트맨 TAS 성우 그대로 캐스팅했고, 배트맨 TAS의 핵심 각본가 중 한 사람이였던 폴 디니를 메인 스토리 작가로 기용했다. 후속작인 배트맨: 아캄 시티 역시 배트맨과 조커 성우를 그대로 캐스팅했고, 폴 디니가 스토리 작가로 참여했다.

9. 평가

파일:ign_logo.png파일:IGN 레드 화이트 로고.png
IGN 선정 [[틀:IGN 선정 100대 애니메이션 시리즈|{{{#000000,#ffffff 100대 애니메이션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IGN 'Top 100 Animated Series'
<colcolor=#fff><colbgcolor=#000000> 1위 심슨 가족
2위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3위 루니 툰
4위 사우스 파크
5위 비비스와 버트헤드
6위 더 틱
7위 패밀리 가이
8위 퓨쳐라마
9위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10위 신세기 에반게리온
11위 《록키와 불윙클 쇼》
12위 렌과 스팀피
13위 엑스맨
14위 카우보이 비밥
15위 네모바지 스폰지밥
16위 《The Maxx》
17위 애니매니악스
18위 욕심쟁이 오리아저씨
19위 지 아이 조
20위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
21위 스타워즈: 클론 전쟁(2003)
22위 리얼 고스트버스터즈
23위 트랜스포머
24위 반가워 스쿠비 두
25위 로봇 치킨
26위 더 크리틱
27위 킹 오브 더 힐
28위 홈 무비즈
29위 스피드 레이서
30위 스펙타큘러 스파이더맨
31위 머펫 베이비즈
32위 《리퀴드 텔레비전》
33위 스쿨하우스 락
34위 로보텍
35위 아바타 아앙의 전설
36위 슈퍼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37위 《스페이스 고스트 코스트 투 코스트》
38위 나루토
39위 아쿠아 틴 헝거 포스
40위 배트맨 비욘드
41위 타이니 툰
42위 파워퍼프걸
43위 사무라이 잭
44위 독수리 오형제
45위 가고일즈
46위 우주가족 젯슨
47위 핑키와 브레인
48위 《덕맨》
49위 썬더캣츠
50위 슈퍼 프렌즈
51위 데스노트
52위 《갤럭시 하이스쿨》
53위 프리커조이드
54위 형사 가제트
55위 거북이 특공대
56위 벤처 브라더스
57위 인베이더 짐
58위 우주의 왕자 히맨
59위 스파이더맨과 그의 놀라운 친구들
60위 다람쥐 구조대
61위 《물지 않는 다큘라 백작》
62위 《데인저 마우스》
63위 《허클베리 하운드》
64위 던전 앤 드래곤
65위 스폰
66위 톰과 제리
67위 핑크 팬더
68위 뽀빠이
69위 마이티 마우스
70위 포켓몬스터
71위 죠니 브라보
72위 덱스터의 실험실
73위 신기동전기 건담 W
74위 언더독
75위 《닥터 캐츠》
76위 볼트론
77위 쟈니 퀘스트
78위 드래곤볼 Z
79위 《씨랩 2021》
80위 앨빈과 슈퍼밴드
81위 빙글뱅글
82위 《Fat Albert and the Cosby Kids》
83위 틴 타이탄
84위 스파이더맨 TAS
85위 상상 속 친구들의 모험
86위 철완 아톰
87위 《프리스키 딩고》
88위 우디 우드페커
89위 스타워즈: 클론 전쟁
90위 아프로 사무라이
91위 하비 버드맨
92위 러그래츠
93위 다크윙 덕
94위 분덕스
95위 강철의 연금술사
96위 스타트렉: 애니메이션
97위 《Clerks : The Animated Series》
98위 《Clerks : The Animated Series》
99위 M.A.S.K.
100위 《Josie and the Pussycats》 }}}}}}}}}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스코어 - / 100 점수 9.8 / 10 상세 내용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신선도 95% 관객 점수 98%

<nopad> 파일:IMDb 로고.svg
(IMDb Top 250 TV 26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뛰어난 스토리와 단순하지만 매력적인 작화로 배트맨의 원형을 집대성한 명작으로 평가받는다.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의 1992년 마지막 호에서 이 시리즈를 올해의 TV 시리즈 중 한 작품으로 선정했다. 2009년 IGN 선정 최고의 애니메이션 시리즈 2위를 했다. 위자드 매거진 역시 배트맨 TAS를 역대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2위를 줬고 크레이브온라인 역시 역대 슈퍼히어로 애니메이션 중 2위를 줬다.

배트맨의 캐릭터를 다양한 관점에서 다루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단순히 범죄자를 잡는 것뿐 아니라 브루스 웨인으로서 봉사활동을 하기도 하며 범죄자라도 갱생의 여지가 있다면 돕는 등[17][18] 다각도적인 영웅으로서의 배트맨을 그려내었다.

10. 기타

11. 둘러보기 틀

배트맨 TAS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
파일:emmylogo.png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부문
제44회
(1992년)
제45회
(1993년)
제46회
(1994년)
A Claymation Easter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Robin's Reckoning, Part 1"
The Roman City

역대 데이타임 에미상 시상식
파일:emmylogo.png
애니메이션 각본 부문 수상작
제19회
(1992년)
제20회
(1993년)
제21회
(1994년)
타이니 툰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Heart of Ice"
The Halloween Tree

}}} ||


[1] 당시 워너 애니메이션 그룹의 사장이었다.[2] 본문에도 언급되어있는 다크데코 스타일을 창시한 사람이다. 배트맨 극장판 '환영의 가면'을 마치고 떠나서 팬덤사이에서는 언급되지 않지만 브루스팀과 함께 배트맨TAS를 파일럿부터 함께하며 탄생시킨 주역이다. 마블 애니메이션쪽에서 부사장직을 맡고 있고 현재도 현역으로 마블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하고있다.[3] 브루스 팀이 대다수의 캐릭터 원안을 그렸으나 미스터 프리즈, 매드 해터는 헬보이로 유명한 마이크 미뇰라가 담당했고 맨배트, 킬러 크록은 케빈 놀런이 그렸다.[4] 이 대사는 배트맨: 아캄 나이트의 마지막 부분에서도 등장했다[5] 배트모빌의 디자인, 펭귄과 캣우먼의 디자인, 조커의 과거로 설정된 '잭 네이피어' 같은 것이 비슷하다.[6] 미국에서 방영된 애니메이션 리스트인 듯하다. 일본 애니메이션도 섞여 있다.[7] 1위는 바로 심슨가족이다.[8] 슈퍼맨의 죽음, 할 조던의 흑화 등 판매량을 위해서 별의 별 막장 스토리가 나온 시기이라서 한국 팬덤에서는 "광기의 90대"라고 불리기도 한다.[9] 배트맨 코믹스 시리즈는 이때 나이트폴(완패하여 활동불능이 된 배트맨, 살인도 서슴지 않고 폭주하는 2대 배트맨), 컨테이전~레거시(고담시를 뒤덮은 전염병), 카타클리즘~노맨스 랜드(대지진으로 인한 고담시 고립 및 무정부 혼란) 같은 시리즈 소속 만화 전체 크로스오버 이벤트들을 반복하고 있었다. 판매량 촉진을 위해 자극적인 전개도 전개지만, 대다수 관련 타이틀이 전부 하나의 이야기를 하는 초대형 스토리들뿐이니 독자들도 작가들도 피로하지 않을 수 없었던 시기였다.[10] 영화판 슈퍼걸에서 슈퍼걸 역을 맡았던 배우.[11] 후일 드라마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에서 레드 역으로 출연한다.[12] http://www.worldsfinestonline.com/WF/sections/backstage/abandoned/[13] Outstanding Writing in an Animated Program[14] 1993년 국내 첫 방영시 오프닝은 위 영상이 아니라 본 항목 첫번째에 있는 배트맨 TAS 시즌1 영상을 다소 짧게 편집해 위 영상의 노래를 삽입한 것이었다. 위 영상은 이후 재방 때 편집된 영상으로 보인다.[15] 가끔가다 시대를 건너뛴 오버 테크놀로지스러운 물건들도 튀어나와 사실상 시대를 종잡을 수 없긴하다.[16] 이 에피소드에서 그레이 고스트 역할을 맡은 배우는 60년대 배트맨 TV시리즈의 배트맨인 애덤 웨스트다![17] 물론 이 범죄자들은 자의로 또는 본의아니게 다시 악의 길에 빠져버리고 만다. 배트맨 시리즈에 등장하는 빌런들은 서로 깊게 연관되어 있고 한 명 한 명이 배트맨 만큼이나 인기도 많아서 돌려먹기에 최적이기 때문이다. 위에 잠깐 언급한 미스터 프리즈의 경우도 서브제로 편에서 더할 나위 없이 완벽하고 깔끔하게 끝났지만 결국 어른의 사정 때문에 악의 길로 복귀하고 말았다.[18] 원더우먼이 슈퍼맨이나 배트맨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기가 떨어지고 시리즈가 적게 나오는 이유는 히어로에 맞서는 매력적인 빌런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말이 많다. 슈퍼맨과 배트맨의 맞수를 말해보라고 묻는다면 십중팔구는 렉스 루터와 조커를 고르겠지만 원더우먼의 맞수를 말해보라고 하면 뭐라고 답할 것인가?[19] 클래식 스타워즈의 그 꽃미남 주인공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