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벵 듀오 관련 틀 | |||||||||||||||||||||||||||||||||||||||||||||||||||||||||||||||||||||||||||||||||||||||
|
<nopad> |
페벵 2013. 02. 28. ~ 2016. 11. 28. (D+1369) |
[clearfix]
1. 개요
2013 시즌부터 2016 시즌까지 T1의 전신인 SKT의 미드와 정글러였던 페이커, 벵기의 콤비네이션 듀오를 일컫는 통칭으로 선수 닉네임의 앞글자를 각각 따와 부른 것이다.SKT T1 K의 시작이자 무적함대 왕조 시절을 상징하는 미드-정글 듀오로, 위 두 선수가 한 팀이 된 2013년부터 4년 동안 월즈, LCK에서 다회 우승을 비롯한 팀과 롤 e스포츠를 틍틀어 수많은 전설적인 기록을 남겼다.
2. 역사
이 두 사람이 만난 시기는 2012년으로 아마추어 시절에 팀을 꾸려 러너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다가 SKT의 코치로 입단한 김정균 코치의 테스트 끝에 두 선수 모두 팀에 입단해 임팩트, 피글렛, 푸만두와도 한 팀을 이루게 되었다. 그리고 LCK 오프라인 예선을 통과한 끝에 SKT T1 #2라는 팀명으로 LCK를 데뷔하게 된다.2.1. 2013 시즌
<nopad> |
2013 SKT |
2.2. 2014 시즌
<nopad> |
2014 SKK |
2.3. 2015 시즌
<nopad> |
2015 SKT |
2.4. 2016 시즌
<nopad> |
2016 SKT |
3. 평가
Feel like it's all over. Faker and Bengi better get some special award for 3 titles.
다 끝난 것 같다. 페이커와 벵기는 3번째 우승에 대한 특별상을 받아야 한다.
닉 드 체사레 (2016 월즈 결승 2세트가 끝난 후) #
다 끝난 것 같다. 페이커와 벵기는 3번째 우승에 대한 특별상을 받아야 한다.
닉 드 체사레 (2016 월즈 결승 2세트가 끝난 후) #
첫 번째 우승은, 실력이 좋을 수도 있지만 말 그대로 그 상황이 운일 수도 있기 때문에.
두 번째 우승은, 그 첫 번째 우승이 운이 아니었다는 걸 증명하는 것 같고요.
세 번째 우승은, 진짜 자신이 실력 있는 사람이다. 이 팀이 실력 있는 팀이다를 입증하는 겁니다.
강승록 (2019년 중국 나이키 광고 CF) #
두 번째 우승은, 그 첫 번째 우승이 운이 아니었다는 걸 증명하는 것 같고요.
세 번째 우승은, 진짜 자신이 실력 있는 사람이다. 이 팀이 실력 있는 팀이다를 입증하는 겁니다.
강승록 (2019년 중국 나이키 광고 CF) #
2013 시즌에 갓 데뷔한 파괴적인 신인에서 향후 롤 역대 최고의 선수로 거듭나게 되는 페이커와 당대에 협곡을 점령하고 여러번 우승을 차지한 벵기를 필두로 진행된 콤비네이션 플레이는 이들의 남긴 족적과 여러 방면에서의 발자취들을 토대로 지금까지 롤이라는 게임 내 생태계에 수많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특히나 T1과 LCK가 각각 역대 최고 팀과 리그로 발돋움하도록 만든 주요 원동력으로써 이바지하였고, 그와 더불어 롤 e스포츠의 역사를 통틀어 자타공인 가장 강력한 미드-정글 듀오 중 하나이자 장대한 유산을 쌓은 선수들로 모두의 기억 속에 남아있다.
이 두 사람의 플레이, 특히나 잘 큰 미드 라이너의 파괴력과 탁월한 운영 능력을 가진 정글러의 강력한 시너지는 곧 전 세계에 퍼져 주요 기폭제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나 페이커와 벵기가 당시 선보였던 미드-정글 게임의 플레이와 게임 합은 이후 시대가 지날수록 더욱 세분화되어 이후부터는 강팀의 매우 필수적인 조건이 되어 버린 것도 그 증거로 남아있다. 심지어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미드와 정글이 약한 강팀은 존재하지 않는데다가, 미드와 정글이 약한 팀은 주요 성적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점으로 끊임없이 역설되고 있다.
4. 성적
-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3위
- HOT6 Champions Summer 2013 우승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우승
-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우승
- HOT6 Champions Spring 2014 8강
- 빅파일 NLB Spring 2014 4강
-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4/인비테이셔널 우승
- 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 준우승
- HOT6 LoL Champions Summer 2014 8강
- IT ENJOY NLB Summer 2014 우승
- 2015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 2015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 2015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우승
- 2016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 IEM Season X - World Championship 우승
- 2016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 2016 LoL Champions Korea Summer 3위
-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우승
- 우승 (11회) : Worlds 3회, MSI 1회, LCK 5회, All-Star 1회, IEM 1회
- 준우승 (1회) : MSI 1회
- 3위(4강) (3회) : LCK 2회, NLB 1회
5. SKT 스킨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우승팀 스킨 문서 참고하십시오.5.1. 2013 시즌
시즌 3 | ||||
Impact | Bengi | Faker | Piglet | PoohManDu |
잭스 | 리 신 | 제드 | 베인 | 자이라 |
5.2. 2015 시즌
2015 시즌 | |||||
MaRin | Bengi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
레넥톤 | 엘리스 | 라이즈 | 아지르 | 칼리스타 | 알리스타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PBE 공개 스킨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
MaRin | Bengi | Faker | Bang | Wolf | |
레넥톤 | 엘리스 | 라이즈 | 시비르 | 알리스타 | }}}}}} |
5.3. 2016 시즌
2016 시즌 | ||||||
Duke | Bengi | Blank | Faker | Bang | Wolf | kkOma |
에코 | 올라프 | 자크 | 신드라 | 진 | 나미 | 꼬마 와드 |
6. 여담
- 위 두 선수 모두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였다. 그리고 벵기가 2016년을 끝으로 팀을 떠났고, 2024년을 기준으로 페이커만 현역 선수이며, SKT T1이 컴캐스트와의 합작회사가 되어 T1으로 이름을 바꾼 이후에도 여전히 팀에 남아있다.
- 올드팬과 현재를 통틀어서도 역대 최고와 최강의 미드-정글 듀오 조합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2]
[1] 2013, 2015, 2016[2] 2019~23년 담원의 미드 정글 라인업 캐니언-쇼메이커(캐쇼) 듀오, 제오페구케의 미드 정글 라인업인 오너-페이커(오페) 듀오와 비교되는 선상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