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e2012d><colcolor=#fff>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 |
| |
T1 Esports Academy 강사 Piglet[1] | |
채광진 (Chae Gwang-jin) | |
출생 | 1994년 2월 4일 ([age(1994-02-04)]세) |
국적 |
|
가족 | 부모님, 형, 쌍둥이 누나 |
아이디 | Creative Self # 아이언에서젤잘함 # 원딜 왕자 채광진 # |
포지션 | 바텀 |
소속 팀 | SK telecom T1 K (2013.02.28 ~ 2014.09.30) Team Liquid (2014.10.23 ~ 2017.11.21) Clutch Gaming (2018.01.02 ~ 2019.06.15) T1 Esports Academy 강사 (2021.12.14 ~ 2023.02. 09)[2] Dplus Esports Academy 코치 (2023.03.20 ~ 2023.04.14.)[3] T1 Esports Academy 강사 (2024. 12. 10 ~) |
|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선수 시절 포지션은 바텀.본래 'Dream'이란 아이디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를 준비하던 준프로였으나 데뷔가 무산되었다.[4] 이후 리그 오브 레전드로 전향, 아마추어 시절 시즌 2 한국 서버에서 '광진이야'라는 아이디로 한국 서버 랭크 상위권을 기록하며 캬하하, 코어장전과 함께 아마추어 3대 원딜러라는 말을 듣을 정도로 포텐셜이 보였던 유망주였으며, 이후 2013년 초 SK텔레콤 T1 K에 영입되어 2013 LCK 스프링을 통해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였다.
2. 플레이 스타일
제가 12년에 프레이 형이랑 13년에 광진이 형을 상대하면서 내가 죽었다 깨어나도 이 사람들은 못 이기겠다라는 생각을 했었어요. 진짜 그 벽을 많이 느꼈어요.
시즌3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삼위일체의 상향과 함께 솔로랭크에서 유명했던 이즈리얼의 봉인을 해제하여 맹활약했고, 당시 최고의 OP 원딜이었던 코르키 또한 능숙하게 다루었다.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에서는 기존의 챔피언들과 함께 상향된 시비르로도 전승을 기록했다. 다만 팀 컬러와 맞지 않았기 때문인지 루시안은 단 한 번밖에 픽하지 않았다. 시비르의 강한 라인전 능력과 한타에서의 유틸성을 잘 활용하지만, 시비르와 달리 한타에서 상대적으로 힘을 잃으므로 초반에 공격적으로 플레이해야 하는 부담이 있는 루시안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라인전보다 한타에 비중을 두는 본인의 성향이 한 몫 한 것으로 보인다.
소환사 주문으로 보호막보단 정화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5] 이것은 리즈 시절의 캡틴잭의 플레이에 감명을 받았기 때문이라는데, 정작 캡틴잭은 2013년을 기점으로 보호막을 선호하게 되면서 씁쓸하다는 심정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회복을 선호하는 메타로 넘어온 이후에는 회복을 자주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항상 새로운 원딜 메타를 만들고 싶어하며 윈터 시즌에 살짝 평가가 낮아진 베인을 엄청나게 픽하기도 했으며 스프링 시즌에는 코르키에 대한 호평을 냈고, 코그모가 대세였던 2014 서머에서도 트위치를 더 선호하는 등 본인만의 챔피언 보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3.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채광진/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채광진/선수 경력#|]][[채광진/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 대회 경력
-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3위
- 제2회 LOL AMD 챔피언십 프로팀 최강전 4강
- HOT6 Champions Summer 2013 우승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우승
-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우승
- 2013 대한민국 e-Sports 대상 리그 오브 레전드 원거리 딜러 부문 최우수 선수 수상
-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4/인비테이셔널 우승
- HOT6 Champions Spring 2014 8강
- 빅파일 NLB Spring 2014 3위
- 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 준우승
- HOT6 Champions Summer 2014 8강
- IT ENJOY NLB Summer 2014 우승
-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pring 2015 3위
-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ummer 2015 3위
-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pring 2016 4위
- 2016 CS NA Summer 준우승
-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ummer 2016 5위
- IEM Season 11 Gyeonggi 4강
-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pring 2017 9위
-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ummer 2017 9위
- 2018 NA Academy League Spring Season 7위
- 2018 NA Academy League Summer Season 5-6위
-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Summer 2018 9위
-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Spring 2019 9위
-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히어로즈
413전 223승 190패 54% KDA 4.27(2019.06.15 기준)
LCK 50전 이상 바텀 원거리 딜러 중 LCK 승률 1위 74전 53승 21패 승률 71.6%[6]
3.2. 수상 경력
우승 기록 | ||||
HOT6 Champions Summer 2013 우승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우승 | ||||
MVP 오존 | → | SK telecom T1 SK telecom T1 K | → | 삼성 갤럭시 블루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우승 | ||||
Taipei Assassins | → | SK telecom T1 | → | 삼성 갤럭시 화이트 |
2014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인비테이셔널 우승 | ||||
인비테이셔널 출범 | → | SK telecom T1 K | → | Edward Gaming[7] |
IT ENJOY NLB Summer 2014 우승 | ||||
CJ Entus Frost | → | SK telecom T1 K | → | Anarchy[8] |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 ||||
Team Ice SK telecom T1 K | → | Team Fire | → | Team Ice |
준우승 기록 | ||||
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 준우승 | ||||
Xenics United[9] | → | SK telecom T1 | → | 폐지[10] |
2016 CS NA Summer 준우승 | ||||
Team Dragon Knights | → | Team Liquid Academy | → | eUnited |
수상 기록 | ||||
2013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원거리 딜러 부문 최우수 선수상 | ||||
강형우 (CJ Entus Blaze) | → | 채광진 (SK telecom T1 K) | → | 배준식 (SK telecom T1)[11] |
e-스포츠 명예의 전당 | ||||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히어로즈 |
LCS All-Pro Team 선정 |
2015 NA LCS SUMMER 1ST TEAM |
2016 NA LCS SPRING 3RD TEAM |
4. 여담
- 얼굴이 묘하게 버블링을 닮았다.
- 청소년기에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를 꿈꿨다고 한다. 커리지 매치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준프로 자격을 확보하고 (지명되지는 못했지만) 드래프트에도 나갈 정도였으나, 이후에 참가한 준프로 선발전에서는 성적이 뚜렷하지 못했고 브루드 워 리그가 종료되어 버렸다. 그래도 추억과 기본기가 어느 정도 있어서 은퇴 후 개인방송을 하다 LG 울트라기어 멸망전 스타크래프트 2020 시즌 2 출전을 선언했는데, 조커티어(스타 외 타 게임 전문 BJ)냐 잭티어(최근 ASL 최고 성적이 24강이거나 예선 탈락인 스타 71)냐로 왈가왈부가 있었고 최종적으로 잭티어로 배정됐다. 덕분에 아프리카TV는 신나게 까였고[12], 본인도 잭티어 중 하급이라 평가되며 팀을 못 구할 정도. 그나마 여자 게임 BJ인 오리3의 시청자들이 치오리더 팀을 구성할 때 강추하면서 합류하게 된다.
- 파트너인 푸만두가 정석적인 서포터를 하도록 만든 장본인이다. 그리고 많이 친해져서 그런지 푸만두에게 많이 까분다고 한다. 예를 들면 "어시 많이 챙겨줄 테니까 나미 해요."라든가, "아, 근데 만두 형이 피딩해서 게임이 힘들어질 거 같아요." 하지만 이분들은 원래 이러고 논다.
- 2013년 SKT T1 K 같은 팀 멤버 임팩트에 의하면 주로 페이커와 푸만두가 오더로 의견충돌이 많았다고 한다. 그래서 피글렛은 의외로 묵묵히 오더에 잘 따랐다고 한다.
- 본인이 밝히는 실력 상승의 비결은 '까이는 것'이라고 한다. 특히 김정균에게 때려치우고 팀을 나가고 싶을 정도로 까였다는 모양. 하지만 그 까임을 견딘 대가는 정말 달콤했다.
-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4강전에서 류 선수의 궁극기를 가볍게 피하면서 썩소를 날려주었다. 훗
- 오프 더 레코드 25화에서 나온 CJ 블레이즈와의 경기에서는 팀원들이 이득을 보고 좋아할 때 "얘들아 집중해 아직 이긴 거 아니야"라고 팀원을 자제시키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김동준 해설도 그 장면에서 가장 놀랐다고 언급했다. 방송 인터뷰에서는 패기 넘치고 당당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게임에서는 침착하고 차분한듯.
- 14 시즌 윈터 롤 챔스 결승전 오프 더 레코드 신 관문 오프닝 포즈에서 케이틀린 흉내만 왕창 내려 준비하려 했던 걸로 봐선 잘하는 원딜들 중에선 케이틀린을 선호하지 않나 싶다. 모스트 3 픽인 베인, 케이틀린, 이즈리얼 중에서 승률이 가장 높은 챔프가 바로 케이틀린이기도 하다.
- 모스트 3픽(2014년 초 기준)이 베인, 케이틀린, 이즈리얼이라는 점에서 초기 롤판에서 맹활약했던 어떤 원딜러와 비슷한 면이 있다.
- LoL 다큐인 Road to Worlds 의 SKTK 팀의 대표격으로 출연하였다. 어린 시절 마마보이(?) 라는 것 부터 해서 프로게이머를 꿈꾸며 연습했다고 한다. 그의 어머니는 피글렛의 형이 약간 안좋은 길로 빠져 걱정을 했고 게임만 해서 컴퓨터를 몇대나 버렸다고 한다. 하지만 PC방에서도 계속 했기 때문에 마침내는 그냥 하게 뒀다고 한다. 그리고 프로게이머가 되기 위해선 다른 많은 걸 포기해야 한다고 이야기 하면서 얼마나 되기 힘든지 이야기를 해 주었다.
- 시즌 3때 월즈 우승의 주역이고 2013-2014 윈터의 우승을 이끌었던 선수중 한명이여서 외국에서 오퍼가 많이 들어온다고 한다. 그 중 직접적으로 기사가 나온곳은 최근 원딜러가 나간 Team Curse Crs Piglet이 현실화?.[14]
- 시즌4 종료후부터 프리시즌부터 본격적으로 랭크를 돌린 걸로 추측된다. LOLKING.net 기준으로 LOLKING Score 에서 최초 시작점이 11/19 로 나온다(LOLKING Score 그래프는 최대 두달치가 나온다.) 현재 2014. 12월 기준으로 300판을 진행했으며 승률 67% 에 육박했으며 북미에서 챌린저 진입했다. 이쯤되면 신동진 선수가 말했던 3주만에 300게임 돌렸다가 농담이 아닌셈.
- 커스에서 향수병을 심하게 느끼는 듯. 그래서 팀 차원으로 크리스마스 기념으로 이벤트를 열어줬다. 링크.
- 2015년 3월, 임팩트와 피글렛의 인터뷰 동영상이 공개되었다. 인터뷰 장소는 2013 월즈 결승전 장소였던 스테이플스 센터. 둘 다 skt라는 팀에서 벗어난 입장으로 skt T1의 우승 장소를 방문하는 것이라서 감회가 새로운 듯. 동영상 마지막 피글렛의 "T1...이젠 꿈이야" (T1, That is all a dream now)라는 말이 인상 깊다.
- T1이 롤챔스 스프링 2015 결승에 올라가자 前 멤버였던 푸만두와 임팩트는 응원을 왔으나, 피글렛은 보이지 않아 궁금증을 자아냈는데, 후일담에 의하면 경기장에 오면 팀이 패할까봐 경기장에 오지 못했다고 한다.
- 2016년 8월 18일 자 만년다이아 시즌6 마지막화에 출연했다.
- 2021년 12월 14일 T1 Esports Academy 코치로 활동하게 되었다.#
5. 인터넷 방송
인터넷 방송인 김민교 방송에 나와서 스승님 컨셉으로 김민교에게 롤에 관한 전반적인 것들은 피드백을 해주는 중이다. 4월 1일 젠지 vs T1전에서 김민교 방송에 나와서 같이 롤챔스 중계를 하였다. 시청자는 5만 7천명 가량이 나왔다. 거기서 페이커에 대해서 언급하기도 하였다.김민교 리라와 같이 2020 나락전에 참가하게 되었다. 이후 집을 이사하고 아프리카 방송 중이다. 김민교 덕분인지 시청자가 5500명까지 나오기도 하였다. 컨텐츠는 주로 롤과 배그.
2020 AMD 자낳대 시즌 1 에서 BCT의 코치로 뒤늦게 참가하며 피드백을 해주었다.
이전의 준프로 경험도 있어서 스타1 멸망전 시즌2에 참가하기로 했다. 그런데 주최 측의 이해할 수 없는 태도로 주목받기도 했는데 본인은 전 LoL 프로게이머로 LoL이 나오기 이전에 몇년동안 준프로를 따고 스타1 프로게임단에 입단하려고 했으나 못한 경험으로 잭 티어로 취급받은 반면, 서지수는 프로게이머였는데도 아프리카 TV에서 퀸 티어로 배정해서 형평성에서 문제가 되었다. 스타 준프로게이머였다지만 10년도 더 되었고 LoL 프로게이머 출신이니 조커티어가 되어야 하지 않느냐는 비판. 덕분에 주최측은 엄청 까였고 스갤, 와고, 펨코를 중심으로 어느 팀에 갈지 주목받는 상황.[15]
김윤환과 접촉, 하얀눈길, 제동빠 등과 조커 티어 테스트를 봤지만 잭티어로 이성은, 김지성을 영입한터라 합류가 무산되었고, 다행히 직접 팀을 꾸리던 오리3가 시청자 추천을 받아 무려 롤 멸망전 3,4위전으로 인해 몇시간을 존버하는 정성까지 보인 후 영입 의사를 제안, 이를 수락하면서 그녀의 팀에 들어갔다. 킹티어에 이재호, 유영진을, 잭티어에 변형태와 본인, 퀸티어에 오리, 조커티어에 로자르로 출발하게 되었다.
8강 오봉따라갓따라 전에서 3, 6세트를 모조리 지고 6세트에는 대놓고 김봉준한테 마패를 당했다.
SKTX탄덕로로의 조커로 출전한다. 이번 시즌 조커 티어의 자격이 전 스타 게이머였어도 ASL 16강 미진출자에 스타 방송보다 타방송 비중이 높은 BJ들도 해당 티어로 출전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
조지명식 결과 첫 상대가 된 선수는 테란밭의 두론의 조커로 출전한 드래프트로 STX Soul에 지명되었던 크라운. 무난히 이겼다. 4강 족파키즈전에서는 1:2로 뒤진상황서 철구에 털렸지만 5세트부터 역전하며 결승전에 갔다.
결승전 팀장이 롤비전에서 2:1로 우세한 상황에 나와 김학수 상대로 히드라 드랍을 준비했으나 막히고 한방병력을 막지못하며 패배했다. 그러나 이후 팀원들이 남은 세트들을 전부 이기며 우승에 성공하였다.
멸망전 개인전 성적은 1승 2패로 썩 좋지는 않지만 만난 상대들이 스타 전프로 출신들이라 체급차이에서 애초부터 어려웠다는게 중론이며, 우승시상식에서 눈물을 찔끔 흘리는 모습이 정말로 스타 대회에 대한 간절함이 엿보여 호평을 받았다.
6. 둘러보기
| ||||
TOP | JGL | MID | BOT | SPT |
한동숙 웨이터 한동숙 | 남봉 메이드 김남봉 | 과로사 주방장 과로사 | 스나랑 숟가락 스나랑 | 박잔디 젓가락 박잔디 |
감독 | <colbgcolor=#ffffff,#1f2023> 갱맘 매니저 깽마미 | |||
코치 | 피글렛바텀 |
[1] 닉네임인 피글렛은 파트너인 푸만두하고 맞춘 커플 닉네임. 당시 코치였던 김정균 코치가 곰돌이 푸의 피글렛을 추천해서 맞췄다는데 서포터인 이정현이 계속 푸를 하고 싶다고 해서 어쩔 수 없이 피글렛이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외국에서는 둘을 '100 acre lane'이라고 부른다. (곰돌이 푸에서 작 중 배경이 되는 100에이커의 숲의 패러디.) 참고로 피글렛은 새끼 돼지를 의미한다.
[2] #[3] #[4] 당시 종족은 저그. 2010년 하반기 드래프트에 참가했으나 어느 팀에도 지명받지 못했다. 그 전에 상반기 드래프트 평가전에선 최하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새로 도입된 루키리그에 입상하여 2011 MSL 시즌 2 예선에 참가 신청했으나 최종적으로 불참하였다. (참고로 당시 상대는 정영재였다.)[5] 시즌3 월즈 4강에서 보호막을 든 프레이-카인 듀오를 상대로 거의 5세트 내내 라인전에서 이겼다.[6] 1위는 피글렛. 2위 3위는 임프, 프레이[7] Mid-Season Invitational로 이전.[8] NLB의 후신인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의 초대 우승팀이다.[9] 이 대회의 전신인 롤 클럽마스터즈 준우승팀.[10] 롤챔스가 풀리그 방식으로 개편되면서 폐지.[11] 2014년도 시상식은 하지 않았고 15년부터 인기상으로 명칭 변경[12] 당시 준프로도 아닌 진짜 프로게이머로 10년 가까이 있었던 서지수를 잭이 아닌 퀸으로 배정했기 때문에 장난하냐는 반응이 많았다. 게다가 서지수는 (모두 패했기는 했지만) 여성 선수로는 유일하게 공식전 기록도 있다.[13] 그리고 결국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다. 2013 월즈 4강전에서 프레이를 상대로 계속해서 라인전을 이기면서 상당한 힘을 실어줬다.[14] 혹시 모르는 사람을 위해 설명하자면 한국 롤챔스를 오랫동안 봐온 사람이면 일전에 12섬머때 나온적도 있고 팀원 중 우리나라 트롤러에게 소환사의 코드를 존중해달라고 한보이보이와 TSM의 前 서포터였던 엑스페셜의 소속된 팀으로 유명하다. 이번 시즌에는 월즈 진출이 걸린 3,4위전인 LMQ와의 경기에서 승승패패패로 아쉽게 패했다.[15] 그러나 후에 밝혀지길 역시 준프로는 준프로라면서 조커 티어는 아니라는 평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