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League of Legends the Champions | |||
2012 스프링 | 서머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 ||||
2013 윈터 | 스프링 | 서머 | 2014 윈터 | 스프링 | 서머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 ||||
2015 스프링 | 서머 | 2016 스프링 | 서머 | 2017 스프링 | 서머 | 2018 스프링 | 서머 | |
2019 스프링 | 서머 | 2020 스프링 | 서머 | 2021 스프링 | 서머 | 2022 스프링 | 서머 | |
2023 스프링 | 서머 | 2024 스프링 | 서머 | 2025 | 2026 | |
← LCK Cup 역대 대회 |
| ||||
SK telecom T1 | → | Longzhu Gaming | → | KING-ZONE DragonX |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 2018 LoL Champions Korea Spring |
|
|
| |||||
<colbgcolor=#9060e0><colcolor=#fff> 2017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Summer | |||||
대회 기간 | 2017년 5월 30일 ~ 8월 26일 | ||||
주최 | 라이엇 게임즈 | 한국e스포츠협회 | |||
주관 | |||||
제작 | OGN | SPOTV GAMES | |||
경기장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서울 OGN e스타디움 / NEXON ARENA | ||||
스폰서 | 제닉스 | ||||
삼성 갤럭시 북 | 광동제약 | ||||
중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060e0><colcolor=white> 중계 플랫폼 | TV | |||
OGN, SPOTV GAMES | |||||
온라인 | |||||
| |||||
중계진 | 캐스터 | ||||
OGN | 김의중, 전용준 | ||||
SPOTV GAMES | 성승헌, 이기민 | ||||
해설자 | |||||
OGN | 김동준, 이현우 | ||||
SPOTV GAMES | 하광석, 신동진, 고인규, 강승현 |
일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규시즌 | 1라운드 | |||
5월 30일 ~ 6월 29일 | |||||
2라운드 | |||||
6월 29일 ~ 8월 6일 | |||||
포스트시즌 | 와일드카드전 | ||||
8월 12일 | |||||
플레이오프 1라운드 | |||||
8월 15일 | |||||
플레이오프 2라운드 | |||||
8월 19일 | |||||
결승전 | |||||
8월 26일 | |||||
결승전 | 대진 | ||||
LZ vs SKT | |||||
경기장 | |||||
잠실 학생체육관 |
결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060e0><colcolor=white> 우승 | Longzhu Gaming | |||
준우승 | SK telecom T1 | ||||
MVP | 정규시즌 | ||||
이서행 (AFs Kuro), 곽보성 (LZ Bdd) | |||||
포스트시즌 | |||||
김동하 (LZ Khan) | |||||
KDA 챔피언 | TOP | ||||
송경호 (kt Smeb) | |||||
JGL | |||||
고동빈 (kt Score) | |||||
MID | |||||
곽보성 (LZ Bdd) | |||||
ADC | |||||
김혁규 (kt Deft) | |||||
SPT | |||||
조세형 (kt Mata) |
[clearfix]
1. 개요
2017년 5월 30일에 개막한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의 서머 시즌에 대한 문서이다.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9060e0><tablebgcolor=#9060e0> |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참가팀 |
3. 대회 진행
3.1. 정규시즌
정규시즌 순위표 | ||||||||
순위 |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득실차 | 연속 | 비고 | |
1 | | LZ | 14 | 4 | 31-13 | +18 | 1승 | 우승 |
2 | | KT | 14 | 4 | 31-16 | +15 | 1패 | |
3 | | SSG | 13 | 5 | 29-15 | +14 | 1패 | |
4 | | SKT | 13 | 5 | 26-15 | +11 | 4승 | 준우승 |
5 | | AFs | 10 | 8 | 27-21 | +6 | 1승 | |
6 | | JAG | 8 | 10 | 21-21 | 0 | 1패 | |
7 | | ROX | 6 | 12 | 17-27 | -10 | 1승 | |
8 | | MVP | 6 | 12 | 13-29 | -16 | 1패 | |
9 | | bbq | 3 | 15 | 13-32 | -19 | 6패 | 잔류 vs. EEW 우세 |
10 | | EEW | 3 | 15 | 11-30 | -19 | 1승 | 강등 vs. bbq 열세 |
보라색: 결승전 직행 | 파란색: PO R2 진출 | 초록색: PO R1 진출 연두색: W.C 진출 | 노란색: LCK 잔류 | 빨간색: 승강전 | 볼드체: 순위 확정 |
정규시즌 경기 일람 | ||||||
R1 | 1주 | 2주 | 3주 | 4주 | 5주 | 결산 |
R2 | 5주 | 6주 | 7주 | 8주 | 9주 | 결산 |
포스트시즌 경기 일람 |
3.2. 포스트시즌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9060e0> |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포스트시즌 대진표 |
팀 | WC | PO R1 | PO R2 | 결승 | |
| LZ 1위 | → | 결승전 8/26 17:00 | ||
| KT 2위 | → | PO R2 8/19 17:00 | ||
| SSG 3위 | → | PO R1 8/15 17:00 | ||
| SKT 4위 | WC 8/12 17:00 | |||
| AFs 5위 |
포스트시즌 경기 일람 | |
포스트시즌 | 결승전 |
정규시즌 경기 일람 |
3.3. 결승전
3.4. 승강전
4. 여담
- 화, 수, 목, 토, 일 주 5일 경기가 편성되며[1] 수, 목, 토는 OGN에서, 화, 일은 SPOTV GAMES에서 생중계한다. 매 2경기씩 오후 5시와 8시에 진행된다. 중계진 배정은 아래 표와 같다.
| ||
요일 | OGN | SPOTV GAMES |
화 | 김의중, 김동준, 이현우 | 성승헌, 강승현, 하광석 |
수 | 전용준, 김동준, 이현우 | 이기민, 강승현, 신동진 |
목 | ||
토 | ||
일 | 김의중, 김동준, 이현우 | 성승헌, 강승현, 하광석 |
• 하늘색: 생중계, 분홍색: 온라인 동시 중계 |
- OGN에서 오프닝 BGM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에 쓰이던 전통의 BGM이 바뀌었다.
- KBS 스포츠 9에서 LCK 개막을 보도했다. 자료
- 한 시즌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퍼펙트 게임이 4번이나 나온 시즌이다.[2] 이 중 2번은 중위권 팀이 상위권 팀을 퍼펙트로 잡아낸 것이다. 협곡의 전령 패치로 초반 기세가 바로 큰 스노우볼로 이어지기 쉽게 된 것이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 최초로 1위와 2위가, 그리고 9위와 10위가 승수가 같은 시즌이고 세트 10연패 이상을 한 팀이 잔류하게 된 시즌이다.[3]
- 최초로 정규시즌 MVP가 두 명이 나왔다.[4]
- 정규시즌 최종 순위가 상대 전적으로 결정된 최초의 시즌이다.[5]
- 롱주 창단 후 첫 포스트 시즌 진출 및 LCK 우승
- SKT 창단 후 첫 LCK 준우승
- LCK 사상 첫 승승패승 우승팀 배출[6]
- 서머 결승전 최초로 3:1 스코어 배출[7]
5. 영상 및 삽입곡
5.1. OGN
- 오프닝: Louise Dowd & Toni Halliday - Call The Shots
- 밴픽 화면: Network Music Ensemble - Defending Champions
- 경기 시작 : JC Lemay - Ultimate Push
- 1라운드
- 2라운드
- 세트 간 하이라이트: Sean Hurley & Jonathan Gray - Taking Chances
- 세트 종료: Billy Lincoln, Greenblatt, Henry Gorman - Hardcore Orchestra
- 방송 종료 시 하이라이트: Samantha Powell & Emanuel Frank Williams & Marius De Le Mer - You Will Remember
- 결승전 오프닝: Jay Price - Rogue Nation
5월 30일, 오프닝 타이틀 티저가 공개되었다. 당시 SKT의 MSI 일정과 서머 개막일이 얼마 차이가 나지 않았었기 때문에, 시간이 없었던 것 치고는 매우 고퀄리티의 오프닝을 뽑아냈다는 평이 많다. # 다만 같은 해 스프링 오프닝이 워낙 대호평을 받았다보니 조금 비교당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듯.
- 유튜브 오프닝 영상
[kakaotv(373712703)]
- 카카오TV 오프닝 영상
네이버TV 6월 14일, OGN 오프닝 영상이 공개되었다.
- 유튜브 결승전 오프닝 영상
[kakaotv(376490676)]
- 카카오TV 결승전 오프닝 영상
네이버TV 8월 26일, 결승전에서 공개된 영상. 비디디 vs 페이커, 프레이 vs 뱅의 대립 구도와 SKT는 "도시", 롱주를 "산"으로 비유하는 등 적절한 요소를 자연스럽게 배치하며 역대급 오프닝을 뽑아냈다. 촬영 장소는 안양예술공원이다.
5.2. SPOTV GAMES
- 오프닝: Lion - Roar
- 본 경기 인트로: Faulty Animation - Gamez We Play
- 밴픽 화면: TRÏBE - Ready For War
- 세트 종료 시: TRÏBE - Come On
- 클로징 멘트: The Chainsmokers - Closer (feat. Halsey)
- 엔딩: HONNE - Top To Toe
6월 20일, SPOTV GAMES 오프닝 영상이 공개되었다.
6월 22일, 엔딩 영상이 공개되었다.
6. 주요 기록
6.1. MVP 포인트
6.1.1. 정규시즌
정규시즌 MVP 포인트 | |||||||||||
순위 | 이름 | 아이디 | 팀 명 | 포지션 | 누적 점수 | ||||||
1 | 이서행 | Kuro | Afreeca Freecs | MID | 1300 | ||||||
1 | 곽보성 | Bdd | Longzhu Gaming | MID | 1300 | ||||||
3 | 송경호 | Smeb | kt Rolster | TOP | 1100 | ||||||
4 | 이성진 | CuVee | Samsung Galaxy | TOP | 900 | ||||||
4 | 이민호 | Crown | Samsung Galaxy | MID | 900 | ||||||
{{{#!folding [ 5위권 미만 선수 보기 ] | 순위 | 이름 | 아이디 | 소속팀 | 포지션 | 누적 점수 | |||||
6 | 이상혁 | Faker | SK telecom T1 | MID | 800 | ||||||
6 | 허원석 | PawN | kt Rolster | MID | 800 | ||||||
8 | 강범현 | GorillA | Longzhu Gaming | SPT | 700 | ||||||
9 | 고동빈 | Score | kt Rolster | JGL | 600 | ||||||
9 | 정종빈 | Max | MVP | SPT | 600 | ||||||
9 | 엄성현 | UmTi | Jin Air Greenwings | JGL | 600 | ||||||
12 | 배준식 | Bang | SK telecom T1 | AD | 500 | ||||||
12 | 박종익 | TusiN | Afreeca Freecs | SPT | 500 | ||||||
12 | 권상윤 | Sangyoon | ROX Tigers | AD | 500 | ||||||
12 | 김한기 | Key | ROX Tigers | SPT | 500 | ||||||
12 | 김동하 | Khan | Longzhu Gaming | TOP | 500 | ||||||
12 | 문우찬 | Cuzz | Longzhu Gaming | JGL | 500 | ||||||
18 | 강선구 | Blank | SK telecom T1 | JGL | 400 | ||||||
18 | 박재혁 | Ruler | Samsung Galaxy | AD | 400 | ||||||
18 | 조용인 | CoreJJ | Samsung Galaxy | SPT | 400 | ||||||
18 | 강명구 | Tempt | bbq OLIVERS | MID | 400 | ||||||
18 | 장용준 | Ghost | bbq OLIVERS | AD | 400 | ||||||
18 | 이성혁 | Kuzan | Jin Air Greenwings | MID | 400 | ||||||
18 | 노회종 | SnowFlower | Jin Air Greenwings | SPT | 400 | ||||||
18 | 박위림 | Cepted | Ever8 Winners | MID | 400 | ||||||
26 | 박의진 | Untara | SK telecom T1 | TOP | 300 | ||||||
26 | 이재완 | Wolf | SK telecom T1 | SPT | 300 | ||||||
26 | 김혁규 | Deft | kt Rolster | AD | 300 | ||||||
26 | 조세형 | Mata | kt Rolster | SPT | 300 | ||||||
26 | 강찬용 | Ambition | Samsung Galaxy | JGL | 300 | ||||||
26 | 장경환 | MaRin | Afreeca Freecs | TOP | 300 | ||||||
26 | 하종훈 | Kramer | Afreeca Freecs | AD | 300 | ||||||
26 | 김재희 | Crazy | bbq OLIVERS | TOP | 300 | ||||||
26 | 전익수 | ikssu | Jin Air Greenwings | TOP | 300 | ||||||
26 | 김기인 | Kiin | Ever8 Winners | TOP | 300 | ||||||
26 | 김근성 | Malrang | Ever8 Winners | JGL | 300 | ||||||
37 | 허승훈 | Huni | SK telecom T1 | TOP | 200 | ||||||
37 | 강건모 | ADD | MVP | TOP | 200 | ||||||
37 | 안준형 | Ian | MVP | MID | 200 | ||||||
37 | 오현식 | MaHa | MVP | AD | 200 | ||||||
37 | 이다윤 | Spirit | Afreeca Freecs | JGL | 200 | ||||||
37 | 허만흥 | Lindarang | ROX Tigers | TOP | 200 | ||||||
37 | 손영민 | Mickey | ROX Tigers | MID | 200 | ||||||
37 | 최현웅 | Bless | bbq OLIVERS | JGL | 200 | ||||||
37 | 김준영 | SoHwan | Jin Air Greenwings | TOP | 200 | ||||||
37 | 박진성 | Teddy | Jin Air Greenwings | AD | 200 | ||||||
47 | 한왕호 | Peanut | SK telecom T1 | JGL | 100 | ||||||
47 | 김규석 | Beyond | MVP | JGL | 100 | ||||||
47 | 이재하 | Mowgli | Afreeca Freecs | JGL | 100 | ||||||
47 | 박상면 | Shy | ROX Tigers | TOP | 100 | ||||||
47 | 윤성환 | SeongHwan | ROX Tigers | JGL | 100 | ||||||
47 | 김태훈 | Lava | ROX Tigers | MID | 100 | ||||||
47 | 김종인 | PraY | Longzhu Gaming | AD | 100 | ||||||
47 | 김들 | Deul | Ever8 Winners | AD | 100 |
- 포지션별 MVP 선정 횟수: TOP 49회 / JGL 35회 / MID 68회 / ADC 30회 / SPT 37회
6.1.2. 포스트시즌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포스트시즌 MVP 포인트 | |||||
순위 | 이름 | 아이디 | 팀 명 | 포지션 | 누적 점수 |
1 | 김동하 | Khan | Longzhu Gaming | TOP | 600 |
2 | 강범현 | GorillA | Longzhu Gaming | SPT | 300 |
2 | 허승훈 | Huni | SK telecom T1 | TOP | 300 |
2 | 이상혁 | Faker | SK telecom T1 | MID | 300 |
5 | 배준식 | Bang | SK telecom T1 | AD | 200 |
6 | 허원석 | Pawn | kt Rolster | MID | 100 |
6 | 조세형 | Mata | kt Rolster | SPT | 100 |
6 | 강선구 | Blank | SK telecom T1 | JGL | 100 |
6 | 한왕호 | Peanut | SK telecom T1 | JGL | 100 |
6 | 이재완 | Wolf | SK telecom T1 | SPT | 100 |
6.2. 펜타킬
| |||||||
이름 | 아이디 | 소속 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 팀 | 일자 | 경기 |
전익수 | ikssu | Jin Air Greenwings | TOP | 아칼리 | Samsung Galaxy | 2017.06.25 | 39경기 2세트 |
이민호 | Crown | Samsung Galaxy | MID | 카시오페아 | Afreeca Freecs | 2017.07.27 | 75경기 2세트 |
6.3. 퍼펙트 게임
| |||||||||
달성 팀 | 스코어 | 상대 팀 | 일자 | 경기 | |||||
경기 시간 | 킬 | 타워 | 드래곤 | 전령 | 바론 | ||||
Afreeca Freecs | 40:13 | 13 - 0 | 11 - 0 | 4 - 0 | 1 - 0 | 1 - 0 | kt Rolster | 2017.06.03 | 7경기 1세트 |
Afreeca Freecs | 26:34 | 8 - 0 | 9 - 0 | 2 - 0 | 0 - 0 | 1 - 0 | bbq OLIVERS | 2017.06.08 | 16경기 1세트 |
Jin Air Greenwings | 30:08 | 10 - 0 | 9 - 0 | 4 - 0 | 1 - 0 | 1 - 0 | Samsung Galaxy | 2017.07.01 | 48경기 1세트 |
Longzhu Gaming | 27:03 | 8 - 0 | 11 - 0 | 2 - 0 | 1 - 0 | 1 - 0 | Ever8 Winners | 2017.07.22 | 68경기 2세트 |
7. 관련 문서
[1] 8주차 4일째 경기의 경우 오버워치 APEX 시즌 3 결승전으로 인해 하루 앞당긴 7월 28일 금요일에 펼쳐진다.[2] 2017년 7월 22일 기준.[3] MVP가 1라운드 14세트 연패 뒤 최종 순위 8위로 잔류.[4] 아프리카 쿠로, 롱주 비디디.[5] bbq가 EEW에게 승자승 우위.[6] 3:1 스코어였던 2014 스프링과 2016 스프링 결승에선 승패승승 우승이었다.[7] 2012 ~ 2014, 2016 서머 결승전은 모두 3:2 스코어였고, 2015 서머 결승전은 3:0 스코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