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23:08:09

패티김

패티김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자
파일:문화은관.jpg
<colbgcolor=#980000><colcolor=#EDE4D3> 연도 <colbgcolor=#EDE4D3><colcolor=#980000> 2013년
이름 패티김
분야 가수
은관문화훈장(2등급)
파일:문화화관.jpg
연도 1996년
이름 패티김
분야 가수
화관문화훈장(5등급)
}}} ||
<colbgcolor=#4B0082><colcolor=#fff> 패티 김
Patti Kim
파일:pattikim.png
본명 김혜자 (金惠子)
출생 1938년 2월 28일 ([age(1938-02-28)]세)
경기도 경성부 인사정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본관 전주 김씨
최종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1]
배우자 길옥윤(1966 ~ 1973)
아르만도 게디니(1976 ~ )
자녀 장녀 정아 게디니 윌리엄스(1968년 11월 13일생)[2]
차녀 카밀라 게디니(1978년 12월 30일생)[3]
학력 중앙여자고등학교 (졸업)
종교 개신교 (침례회)[4]
신체 168cm[5], B형
데뷔 1958년 미 8군 무대
활동 시기 1958년 ~ 2013년
소속사 PK 프로덕션

1. 개요2. 평가 및 위상3. 활동
3.1. 이미자와의 라이벌 관계
4. 가족5. 대표곡6. NHK 홍백가합전 출전 경력7.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1403386_STD.jpg
한국형 여성 팝 보컬의 시작
Mnet 레전드 아티스트 100에서의 소개문구
대한민국의 前 가수.

2. 평가 및 위상

한국 대중음악사에 있어 영원한 라이벌인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와 함께 여성 가수로는 가장 높은 위치에 올라선 대가수이자 자타공인 전설적인 디바이다. 한국형 팝보컬의 선구자로 한국 대중음악사의 숱한 '최초'의 타이틀을 기록한 인물이다. 뛰어난 무대매너와 트렌디한 스타일링, 팝을 기반한 보이스 색깔과 넓은 음역대를 구사하는 드라마틱한 가창력으로 가장 격조 높은 보컬리스트로 꼽힌다.

3. 활동

1956년에 국무총리배 판소리 경연대회에서 입상하여 데뷔하였고, 2년 후 1958년 미 제8군 무대에서 가수 이해연과 듀엣으로 가수 데뷔하였다. 데뷔 당시 예명은 '린다 김' 이었는데 1959년 1월 초에 미국의 여가수 패티 페이지와 같은 명가수가 되고 싶다는 뜻에서 현재의 예명으로 바꾸었다.[6] 패티김의 등장 이후 대한민국 대중음악계는 새로운 스타의 탄생을 지켜보았을 뿐만 아니라, 그 스타가 자신의 타고난 재능과 철저한 자기관리로 어떻게 새로운 시작을 이끌어 가는가를 볼 수 있게 되었다.

해방 후 1960년, 일본시장에 처음 진출한 것을 비롯해[7] 한국가수 2번째 미국시장 진출[8], 한국 여가수 최초 미국 카네기 홀 공연[9][10], 한국 가수 최초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공연 등 사실상 현재 한국 가수들이 이뤄 낸 해외 커리어를 모두 시도한 가수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물론 시도에 의의가 있고, 본인도 자서전에서 밝혔듯 크게 고무적인 성과를 거둔 것은 아니었다. 동양여성으로서 홀로 미국시장에 진출하려 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

2013년, 긴 가수 생활을 끝내고 은퇴를 선언하였다. 그녀는 여러 곡의 히트곡을 냈고 누가 뭐래도 한 시대를 지배했던 대형 여성 가수였다.〈초우〉, 〈이별〉, 〈가을을 남기고 간 사랑〉, 〈사랑은 생명의 꽃〉[11], 〈서울의 찬가〉,〈그대 없이는 못 살아〉[12] 같은 수많은 히트곡을 남겼다.

2022년 11월 26일, 12월 3일, 12월 10일 3부에 걸친 불후의 명곡 패티김 편을 통해 거의 만 10년 만에 방송에 출연했다. 영상1 영상2 영상3 영상4
패티김 가요무대 스페셜

그리고 2023년 11월 18일에 불후의 명곡 in 뉴욕 방송에 재출연했다.

2024년 2월, IU의 미니 6집 'The Winning'의 수록곡 'Shh..'에 스페셜 내레이션으로 참여했다.

3.1. 이미자와의 라이벌 관계

파일:패티김 이미자.jpg
패티김과 이미자
가수 이미자하고는 라이벌 관계로서 함께 묶여 언급된다. 데뷔시기도 같은데다가 나이대도 비슷하고, 음악스타일 역시 이미자가 트로트의 여왕으로 한국적인 정서가 강한 노래를 주로 불러왔다면 패티김은 스탠다드 팝 위주의 세련되고 서구적인 정서가 다분한 노래를 주로 불러왔다는 점에서 비교되었다. 또한 대중성 측면에서도 이미자가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여성상의 가수였다면 패티김은 세련되고 도시적인 분위기로 완전히 상반되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언론이나 대중이나 둘을 항상 라이벌 관계로 묶어 자주 비교했다.

실제로도 서로 신경전이 치열했던 걸로 유명했다. 작곡가 임석호가 방송에서 밝히기를 패티김을 영입하고 싶어했던 이미자의 소속 음반사 회장이 "우리와 계약하면 이미자와 같은 급으로 대우 해주겠다"고 직접 스카웃 제의를 했다고 한다. 그러나 패티김 측에서 "최고의 대우도 아니고 이미자와 동급 대우가 말이 되냐" 라며 단칼에 거절하는 바람에 계약이 불발되었다. 그 외 업계에서 유명한 일화로 방송국 측에서 패티김과 이미자를 동시에 섭외하려고 했었는데, 어느 한 쪽의 출연 순서가 뒤로 밀리면 캐스팅을 거부할 것이 뻔했기 때문에 일부러 1순위로 써진 큐시트를 두 가수에게 보냄으로서 겨우 캐스팅을 성사시킬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먼저 도착한 가수가 리허설을 빨리 끝내고 무대에 먼저 올라가자 '나 일 있어서 무대 안 올라간다' 며 그냥 노래를 안 부르고 가버렸다고 한다.

그래도 나이가 든 뒤엔 함께 토크쇼에도 나오고 덕담도 해주는 등 디바기질이 많이 가라 앉기는 했다. 2010년에는 고인이 된 박춘석 작곡가의 추모 특집으로 방영된 방송에 같이 나온 적이 있는데 "나는 대중가수지만 이미자는 국민가수다. 나랑 비교하기 힘들다." 라고 세간의 불화를 일축시킨 바 있다. 또 패티김 본인의 은퇴 당시 인터뷰에서는 "우리는 같은 가요계를 걸어온 동반자일 뿐, 라이벌로 보지는 않았으면 좋겠다" 라며 일축한 바 있다.

4. 가족

원래 길옥윤과 1966년에 결혼했으나 1973년에 이혼했고, 1976년 이탈리아 사람인 아르만도 게디니(Armando Ghedini, 1938년 9월 10일~)와 재혼했다. 아르만도 게디니와는 백년해로 중이다.

길옥윤과는 진짜로 성격 차이로 이혼했는데, 술이나 담배는 아예 입에 대지도 않고 매일 똑같은 시간에 일어나고 똑같은 시간에 자고 똑같은 시간에 밥을 먹을 정도로 칼같은 패티김의 성격과는 달리 길옥윤은 술을 마음대로 마시고 그래서 자주 만취된 상태를 보여줬던 데다가 도박을 즐기고 아무렇게나 막 사는 사람이었던지라 금슬이 좋기 힘들었다.

슬하에 2녀가 있지만 큰딸 최정아(1968년 11월 13일~)[13]는 전남편 길옥윤의 딸이고 둘째딸 카밀라 게디니(Camila Ghedini, 1978년 12월 30일~)는 패티김이 이탈리아인인 현재의 남편인 아르만도 게디니와의 사이에서 낳은 딸이다. '패티김 이탈리아'라는 자동 검색어까지 있다.

그런데 장녀 최정아도 영국 백인 사위 윌리엄스와 결혼하는 바람에, 패티김의 후손은 장녀 최정아를 제외하고 전원 백인 혼혈이 되었다. 다만 장녀 최정아에게서 태어난 자녀는 모두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이 부모양계주의 국적법으로 전환되어서 1998년 6월 14일생부터 부모 중 한명이 한국인이면 출생국가와 상관없이 한국 국적이 부여된다.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8060502531530003600-001.jpg
패티김 부부[14]
파일:external/www.geojetimes.co.kr/3071-2-2434_150.jpg
차녀 카밀라 게디니

차녀 카밀라 게디니는 이탈리아 혼혈로 빼어난 미인에 키까지 커서(171cm) 모델을 연상하게 하는 외모를 지녔다. 2003년에 가수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당시 가수 패티김의 딸이라는 점이 화제가 되었으며, 데뷔하기 전에 팬클럽이 형성되는 등 반응이 좋았다. 데뷔앨범 역시 당시 유명했던 유정연[15], 업타운의 정연준, 러브홀릭의 강현민 등 유명 프로듀서진들이 대거 참여해 화제가 되었다. 그러나 미국 정서와 맞지 않는 한국 연예계의 시스템과 문화를 많이 어려워 했고, 자신의 음악 지향점과 맞지 않는 장르를 강요받는 등 한국에서의 음악 활동을 많이 힘들어했다. 결국 1집을 이후로 가수활동을 접어 버린다. 이후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웨딩플래너로 전직한 후 정착해서 살고 있다.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8061002523030003600-001.jpg
왼쪽부터 장녀 최정아, 남편 아르만도 게디니, 차녀 카밀라 게디니.

최정아와 카밀라는 아버지가 다른 이부자매임에도 불구하고 어지간한 친자매 이상으로 좋은 우애를 과시하고 있으며, 최정아는 새아버지 아르만도에게 새아버지임에도 불구하고 진심어린 효도를 다하고 있다.

5. 대표곡

6. NHK 홍백가합전 출전 경력

파일:NHK 홍백가합전 로고.png
연도 출장 횟수 곡명 출연 순서 상대
1989년 / 제40회 이별 16 / 20 이츠키 히로시

7. 기타

파일:패티김화보.jpg}}} ||
20대 시절의 패티김
지금봐도 굉장히 이국적인 외모로 당시에도 화제였다고 한다. 어딜 지나다니면 혼혈이냐고 물어보는 이도 있었다. 키는 168cm로, 지금의 20대 여성의 기준으로도 장신인데 그 시절에는 어딜 가나 손꼽히는 장신이었을 것이다. 이런 탈동양인적 외형이 당시 미8군 클럽에서 활동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체구가 작은 동양인 여성들 사이에서 눈에 띄는 외형 덕분에 주목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본인도 자신의 자서전에서 이런 부분을 뿌듯하게 생각했다.
}}} ||

* 노래하는 패티김의 발음을 들어보면 서울 출신인데도 요즘 서울 말씨와 억양과 발음이 좀 달라서 북한 사람들 말투와 거의 비슷한데, 이것이 당시의 서울 사투리이다.

[1] 무릎팍도사 패티김 편에 출연하여 '외국에 살면서 용돈 떨어지면 국내 공연을 하러 온다'는 얘기가 돌았다는 얘기를 꺼내며 본인은 단 한 번도 외국 국적을 가져본 적이 없으며 계속 한국의 이태원에 살고 있었다고 오해를 풀고 싶다고 밝혔다. 사실 정확히 말하면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에 태어난 인물이므로 어릴 때 일본 제국(일제강점기 조선)과 조선 국적(미군정)을 가진 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2] Joung-ah Ghedini-Williams. 한국명 최정아. 유엔난민기구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책임자. 길옥윤 사이에서 낳은 딸이다. 링크드인 프로필[3] 아르만도 게디니 사이에서 낳은 딸로, 2003년 가수활동을 했었다.[4] 패티김 본인이 발매한 가스펠 앨범 수록곡 중 '살아계신주' 가사에서 '주 하나님'을 한국 가톨릭 식으로 '주 하느님'으로 불러서 천주교가 아닐까 할 수 있는데 개신교가 맞다.[5] 현재 기준으로도 장신이지만, 그 당시 여성의 평균키는 151cm였고, 그래서 별명이 대형 가수였다. 당시엔 남성 평균키도 170cm를 밑돌던 때였다. 여성 평균키가 161cm인 요즘으로 치면 179cm쯤 되는 연예계에서 손 꼽히는 수준의 장신이다.[6] 하지만 1970년대 중반에 정부가 주도하는 외래어 순화바람 (당시 명칭 국어순화운동)이 불면서 연예인 예명 짓는 거까지 태클이 걸려오는 바람에 잠깐 동안 본명인 김혜자로 활동하기도 했다. 패티김 본인은 언짢아했지만 방송 심의가 심했던 시절인지라 거부하면 출연에 제재를 먹을 수 있었기 때문에 별 수 없이 받아들였다는 후문이 있다.[7] 일본 정부에 의해 직접 초청받았다고 한다.[8] 첫째는 김시스터즈다.[9] 최초는 조용필이 81년도에 공연한 것이 최초이고, 패티김은 여가수 중에서는 최초로 공연한 케이스.[10] 다만 이는 대단한 커리어라고 보기는 힘든 게 실제 카네기 홀에서 공연을 했다는 아티스트들의 대관장소는 대부분 본 공연장이 아닌 300~600석 규모의 카네기 홀 내 다른 공연장에서 했던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공연장은 일반인에게도 그냥 사비만 내면 개관을 허락해 줄 정도로 허들이 높은 공연장은 아니다. 애초에 카네기 홀 자체가 클래식 음악 공연장으로서 명성이 높은 것이지 대중음악적으로 의의가 깊은 장소가 아니다. 당장 1999년도에 이런 기사가 뜰 정도로 카네기 홀을 이용한 네임밸류 부풀리기를 지적하는 기사가 뜬 적도 있다.# 실제로 과거 인순이예술의 전당 대관을 거부당한 일을 두고 '카네기 홀은 대중가수에게도 공연장을 잘 빌려주는데 왜 한국은 이렇게 차별이 심한가' 라는 논조로 반박하다가 이러한 전말이 드러난 뒤 비판을 받은 적이 있다.[11] 김보연 원곡[12] K리그 대구 FC, KBO 리그 LG 트윈스KIA 타이거즈가 응원곡으로 사용중이다.[13] 길옥윤의 본명은 최치정이라 성이 최씨다. 이탈리아식 이름은 폴라 게디니(Pola Ghedini). 이로 미루어 보면 패티김은 이혼 후 딸을 자기가 데려가서 키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유엔난민기구에서 일하고 있다.[14] 패티김과 아르만도 게디니다.[15] 90년대와 2000년대에 활동했던 작곡가로 당시 유명한 발라드 히트곡드을 여럿 만들었다. 현재는 바이올리니스트로만 활동하고 있다.#[16] KIA 타이거즈LG 트윈스에서 응원가로 쓰이는 노래다.[A] LG 트윈스에서 응원가로 쓰이는 노래다.[A] [19] 실상 수영복 사진이 일본 주간지에 실린 것 뿐이었는데, 이게 와전이 되어 누드집 루머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20] 본인은 이와 관련하여 "연예인의 루머가 퍼지는 데는 10분이면 되는데, 해명에는 10년이 걸린다" 며 답답함을 토로한 바 있다.[21] 한국인에게는 드문 아이홀이 있는 눈이다. 이런 눈은 어릴 때 홑꺼풀이라도 나이가 들면 저절로 쌍꺼풀이 생긴다. 수술하면 오하려 부자연스러워지는데, 패티 김은 젊은 날 기술도 좋지 않던 시절 수술해서 그런지 눈매가 부자연스럽게 됐다. 그래서 70년대 활동 당시엔 눈화장을 지나치게 세게 하고 다녔고, 아이덴티티(?)로도 여겨졌다. 90년대 이후엔 괜찮은데, 나이 들며 눈매가 저절로 자리가 잡혔거나 교정 수술을 한 것 같다. 이런 아이홀 때문에 조금만 화장을 잘못해도 부자연스럽게 보이는 눈은 여자친구 은하도 가지고 있다.[22] 패티김 曰 "마이 히어로, 마이클 잭슨! 그가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는 눈물을 흘리지 않을 수 없었다. 지금도 그의 노래를 들으면 가슴이 찡하다. 그는 전무후무한 아티스트다. 절대로, 마이클 잭슨 같은 사람이 다시 나올 수 없다."[23] 일반적인 수영장 레일 길이가 25m이다. 1500m면 약 30번을 왕복하는 셈인데 대단한 체력이 아닐 수 없다.[24] 현미가 방송에서 이와 관련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한 번은 지방 공연을 앞두고 팬들과 함께 식사를 한 적이 있었는데, 현미가 설렁탕을 먹고 오는 모습을 보고 '언니는 무대가 바로 코앞인데 설렁탕을 다 먹냐' 고 기겁을 했다고. 그러면서 말하기를 "걔는 진짜 고기 이만한거 (손가락 마주모으며) 한 덩이야" 라며 놀라워했다. 어찌보면 소식좌 연예인의 시조격이다.[25] 사실 조영남이 인간성은 개차반이었어도 본업인 가수로서는 최고의 실력자였고, 친한 사람에게는 잘 했으며 글 솜씨도 좋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