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gressional Gold Medal 의회 명예 황금 훈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7px;margin-bottom:-7px; margin-left:-11px; margin-right:-11px;" | 1776년 | 1777년 | 1779년 | 1781년 | |||||
조지 워싱턴 | 소장 호레이쇼 게이츠 | 소장 앤서니 웨인 | 사령관 헨리 리 3세 | 준장 대니얼 모건 | |||||
1781년 | 1787년 | 1800년 | 1805년 | 1813년 | |||||
소장 너새니얼 그린 | 존 폴 존스 | 대령 토머스 트럭스턴 | 준장 에드워드 프레블 | 대령 아이작 헐 대령 스티븐 디케이터 대령 제이컵 존스 | |||||
1813년 | 1814년 | ||||||||
대령 윌리엄 베인브리지 | 대령 올리버 해저드 페리 대령 제시 엘리엇 | 대위 윌리엄 워드 버로스 2세 대위 에드워드 매콜 | 대령 제임스 로렌스 | 대령 토머스 맥도너 대령 로버트 헨리 대위 스티븐 카신 | |||||
1814년 | 1814년, 1848년 | 1814년 | |||||||
대령 루이스 워링턴 | 대령 존스턴 블레이클리 | 소장 제이컵 브라운 | 소장 윈필드 스콧 | 소장 피터 부엘 포터 준장 엘리저 윌락 리플리 대령 제임스 밀러 | |||||
1814년 | 1815년 | 1816년 | |||||||
소장 에드먼드 P. 게인스 | 소장 알렉산더 마콤 | 소장 앤드루 잭슨 | 대령 찰스 스튜어트 | 대령 제임스 비들 | |||||
1818년 | 1835년 | 1846, 1847년, 1848년 | 1847년 | 1854년 | |||||
소장 윌리엄 해리슨 주지사 아이작 셸비 | 대령 조지 크로간 | 소장 재커리 테일러 | 소머스 호의 장교 및 승무원 구출 | 중령 덩컨 잉그함 | |||||
1858년 | 1863년 | 1864년 | 1866년 | 1867년 | |||||
프레더릭 로즈 | 소장 율리시스 S. 그랜트 | 코닐리어스 밴더빌트 | 로버트 크레이튼 에드윈 J. 로 조지 C. 스투퍼 | 사이러스 웨스트 필드 | |||||
1867년 | 1871년 | 1873년 | 1874년, 1904년 | 1883년 | |||||
조지 피보디 | 조지 F. 로빈슨 | 대령 재러드 크랜달 그 외 | 존 혼 주니어 | 존 폭스 슬레이터 | |||||
1888년 | 1890년 | 1900년 | 1902년 | 1909년 | |||||
조지프 프랜시스 | 수석 엔지니어 조지 W. 멜빌 그 외 | 중위 프랭크 H. 뉴컴 | 중위 데이비드 H. 자비스 소위 엘스워스 P. 버트홀프 새뮤얼 J. 콜 박사 | 라이트 형제 | |||||
1912년 | 1914년 | 1915년 | 1928년 | ||||||
선장 아서 로스트론 | 폴 H. 크라이봄 그 외 | 로물로 세바스티안 나온 에두아르도 수아레스 무히카 | 찰스 린드버그 | 로알 아문센 움베르토 노빌 | |||||
1928년 | 1929년 | 1930년 | 1936년 | ||||||
토머스 에디슨 | 최초로 성공한 대서양 횡단 비행사들 | 소령 월터 리드 | 준장 리처드 에벌린 버드 | 링컨 엘즈워스 | |||||
1936년 | 1938년 | 1939년 | 1940년 | ||||||
조지 코한 | 리처드 올드 리치 부인 안나 불리니 | 하워드 휴즈 | 목사 프랜시스 퀸 | 윌리엄 시넛 | |||||
1942년 | 1945년 | 1946년 | |||||||
롤런드 바우처 | 1939-1941년 미국 남극 탐험대 멤버들 | 미합중국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미합중국 해군 원수 어니스트 킹 | 미합중국 육군 원수 존 조지프 퍼싱 | 준장 빌리 미첼 | |||||
1949년 | 1954년 | 1955년 | 1956년 | 1958년 | |||||
앨번 W. 바클리 | 어빙 벌린 | 조너스 소크 박사 | 남북 전쟁의 참전 용사들 | 준장 하이먼 리코버 | |||||
1959년 | 1960년 | 1961년 | 1962년 | ||||||
로버트 고다드 | 로버트 프로스트 | 토머스 앤서니 둘리 3세 | 밥 호프 | 샘 레이번 | |||||
1962년 | 1968년 | 1969년 | 1973년 | 1977년 | |||||
미합중국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 | 월트 디즈니 | 윈스턴 처칠 | 로베르토 클레멘테 | 매리언 앤더슨 | |||||
1978년 | 1979년 | ||||||||
중장 아이라 C. 이커 | 로버트 F. 케네디 | 존 웨인 | 벤 아브러조 맥시 앤더슨 래리 뉴먼 | 휴버트 험프리 | |||||
1979년 | 1980년 | 1982년 | |||||||
미국 적십자사 | 케네스 테일러 | 1980 미국 하계 올림픽 팀 | 베아트릭스 여왕 | 대장 하이먼 리코버 | |||||
1982년 | 1983년 | ||||||||
프레드 워링 | 조 루이스 | 루이스 라머 | 리오 라이언 | 대니 토머스 | |||||
1984년 | 1985년 | ||||||||
해리 S. 트루먼 | 레이디 버드 존슨 | 엘리 비젤 | 로이 윌킨스 | 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 |||||
1986년 | 1987년 | 1988년 | |||||||
네이선 샤란스키 에비탈 샤란스키 | 해리 차핀 | 에런 코플런드 | 메리 래스커 | 제시 오언스 | |||||
1988년 | 1990년 | 1991년 | |||||||
앤드루 와이어스 | 로런스 록펠러 | 대장 매튜 B. 리지웨이 | 대장 노먼 슈워츠코프 | 대장 콜린 파월 | |||||
1994년 | 1996년 | 1997년 | |||||||
랍비 메나헴 멘델 쉬니어슨 | 루스 그레이엄 빌리 그레이엄 | 프랭크 시나트라 | 마더 테레사 | 바르톨로메오스 1세 | |||||
1998년 | 1999년 | ||||||||
넬슨 만델라 | 리틀록 9인 | 제럴드 포드 베티 포드 | 로자 파크스 | 테오도르 헤스버그 | |||||
2000년 | |||||||||
존 오코너 | 찰스 M. 슐츠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로널드 레이건 낸시 레이건 | 나바호족 코드 토커 | |||||
2002년 | 2003년 | ||||||||
대장 휴 셸턴 | 토니 블레어 | 재키 로빈슨 | 도러시 하이트 박사 | 조지프 디레인 해리 & 일라이자 브릭스 레비 피어슨 | |||||
2004년 | 2006년 | ||||||||
마틴 루터 킹 코레타 스콧 킹 | 터스키기 에어맨 | 달라이 라마 14세 | 바이런 넬슨 | 노먼 볼로그 박사 | |||||
2007년 | 2008년 | ||||||||
마이클 데바키 박사 | 아웅산수지 | 콘스탄티노 브루미디 | 에드워드 브룩 | 아메리카 원주민 코드 토커 | |||||
2009년 | 2010년 | ||||||||
여성 공군 서비스 조종사 | 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존 글렌 | 아널드 파머 | 무함마드 유누스 | 100연대 보병 대대 442 연대 전투단 군사 정보국 | |||||
2011년 | 2012년 | 2013년 | |||||||
몬트포드 포인트 해병대 | 2001년 9월 11일 미국에 대한 테러 공격으로 사망한 남녀들 | 라울 발렌베리 | 애디 메이 콜린스 데니스 맥네어 캐럴 로버트슨 신시아 웨슬리 | 제1 특수임무단 | |||||
2014년 | |||||||||
둘리틀 특공대 멤버들 | 미국의 공군 에이스들 | 제2차 세계 대전 민간 항공 초계 부대 멤버들 | 시몬 페레스 | 모뉴먼츠 맨 |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제65 보병연대 | 잭 니클라우스 | 셀마 몽고메리 행진 | 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인 참전 용사들 | OSS | |||||
2017년 | 2018년 | ||||||||
밥 돌 | 래리 도비 | 제2차 세계 대전 중국계 미국인 참전 용사들 | USS 인디애나폴리스의 승무원 | 스티브 글리슨 | |||||
2018년 | 2019년 | ||||||||
안와르 사다트 | 캐서린 존슨 | 크리스틴 다든 | 도로시 본 | 매리 잭슨 | |||||
2020년 | |||||||||
}}}}}} |
|
메이저리그 전 구단 영구결번 |
No.42[1] |
1947년 메이저리그 신인왕 | ||||
재키 로빈슨 (브루클린 다저스) | → | 알 다크 (보스턴 브레이브스) |
1949년 메이저리그 내셔널리그 MVP | ||||
스탠 뮤지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재키 로빈슨 (브루클린 다저스) | → | 짐 콘스탄티 (필라델피아 필리스) |
월드시리즈 우승 반지 |
1955 |
| |
Major League Baseball No.42 | |
잭 루스벨트 "재키" 로빈슨 (Jack Roosevelt "Jackie" Robinson) | |
생몰일자 | 1919년 1월 31일 ~ 1972년 10월 24일 |
국적 | |
출신지 | 조지아 주 카이로 |
출신학교 | UCLA |
포지션 | 1루수[2], 2루수 |
투타 | 우투우타 |
소속 구단 | 니그로리그 - 캔자스시티 모나크스(1945) 인터내셔널리그 - 몬트리올 로열스(1946)[3] 메이저리그 - 브루클린 다저스(1947~1956) |
1. 개요
베이브 루스가 야구를 바꿨다면, 재키 로빈슨은 미국을 바꿨다.
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야구선수. 인종차별을 극복하고 미국을 바꾼 사나이로 평가받는 선수다. 1947년 그의 데뷔는 미국이 민권법을 제정하기 16년 전이고, 선거 관련 법안을 제정하기 18년 전이며, 미군에서 흑인을 전면 받아들이기로 결의한 것보다 1년 빠른 일이었다. 또한 말이 결의지 미군에서 흑인을 받아준 건 해리 S. 트루먼의 명령에 의해서였다. 이러한 업적으로 메이저리그 역사상 전무후무한 전구단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
UCLA 출신으로 미식축구, 농구, 수영, 테니스, 육상 등 모든 종류의 운동에 뛰어났다. 재키 로빈슨의 형 매튜 매킨지 '맥' 로빈슨도 1936 베를린 올림픽 육상 200m 은메달리스트 출신이지만, 두 형제 모두 피부색 때문에 차별을 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에는 장교로 복무해 참전했지만 역시 인종차별과 맞서다가 면직 당하기도. 그리고 야구계로 뛰어들게 되었다.
2. 메이저리그 활약
흑인 선수를 데뷔시키고자 했던 당시 브루클린 다저스 단장 브랜치 리키[4]에 의해 발탁되어 1947년 드디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데뷔하게 되었다[5]. 초기에는 4월 한달에만 두자리수에 가까운 몸에 맞는 공[6]에 타석에서 1루에 갈때마다 상대팀 1루수의 발길질에 시달려야했고, 수비할때도 1루로 달려오는 타자가 로빈슨의 발목을 공격하는 일도 수차례 있었으며[7], 심판도 은근슬쩍 로빈슨에게 불리한 판정을 내리고, 언론들도 로빈슨에게 호의적이지 않아 "검은 파괴자", "검은 타이 콥"이라는 식으로[8] 기사를 내보내고, 동료들로부터도 따돌림 당했지만, 피 위 리즈의 어깨동무 사건 이후[9][10] 선수들은 물론 팬들도 그를 진심으로 포용하게 됐고, 결국 로빈슨은 자신의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마침내 메이저리그에 유색 인종들이 활약하는 역사적인 계기를 열었다는 것이 보통 알려져 있는 이야기이다.단, 이후 공개된 인터뷰 등에서 피 위 리즈와의 어깨동무 일화가 사실이 아닐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관련 근거들도 꽤 신빙성이 있어 이 미담들에는 어느 정도의 각색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11]. 또한 단순히 흑인이라고 비난만 받았던 것이 아니라 타석에 들어설 때마다 박수갈채를 받았다는 기록도 있다고 하니, 어느 정도 감안해서 볼 여지가 있다.
아무튼 이런 일화들과는 상관없이, 그는 흑인 인권 운동가로도 유명했으며, 여러모로 미국의 흑인 역사에서 하나의 이정표를 세운 인물임에는 분명하다.
인종차별의 벽을 깨부순 심볼의 의미가 너무 강해서 조금 언급이 덜 되는 편이기도 하지만, 그런거 다 떠나서 퍼포먼스와 기록측면에서도 야구 역사에 남을 타자였다. 통산 1382경기 5804타석에 나와 1518안타 137홈런 734타점 197도루를 기록했으며 ,311/.409/.474 OPS .883,OPS+132의 슬래시라인을 기록했다. 타석에서 로빈슨의 강점은 10시즌 통산 740볼넷/291삼진이라는 어마무시한 BB:K,삼진율이었다. 커리어 초기에는 2번타자로 뛰었으며 후반에는 4번타자로도 뛰면서 도루왕 2회,1949년 수위타자를 차지했다. 2루수로 맹활약하면서 신인상(1947)과 시즌 MVP(1949)도 수상했고, 팀의 내셔널리그 우승 및 월드시리즈 우승(1955)에도 기여하며 다저스의 뉴욕 전성기를 이끌었다. 통산 출루율이 4할이 넘고 wOBA가 4할을 넘으며 커리어 10년만에 WAR 57,BWAR 61.4로 통산 170위에 올라간, 10년만을 활약했지만 짧고 굵게 활약하며 그가 기록한 스탯은 역대 최고의 2루수 퍼포먼스를 논하기에도 부족함이 없으며 누구에도 밀리지 않는 수준이다. 관련 내용은 링크를 참고.
실제로 역사상 가장 위대한 2루수를 꼽을 때 로빈슨은 5위 안에 무난히 들어간다. 훨씬 좋은 누적 성적을 기록한 명예의 전당 2루수들인 비지오, 알로마, 샌버그보다도 높은 평가를 받고, 로드 커류와 동급 혹은 그 이상으로 평가받는다. ESPN은 그를 조 모건보다도 위인 2위로 평가했다.
유명한 밴 채프먼과의 화해 장면.[12][13] |
메이저리그에 28세에 데뷔해 통산 10시즌을 뛰면서 1382경기에 출전해 1518안타 137홈런에 타/출/장 .311/.409/.474을 기록했다. 특히 통산 BB-K가 740:291로 시즌 평균 29개의 삼진 밖에 당하지 않는 뛰어난 넘사벽급의 선구안과 컨택트를 과시했고, 2루수 수비도 뛰어난 선수였다. 메이저리그에 늦게 데뷔했지만 그것이 무색할만큼 대단한 실력의 선수였다. 훌륭한 성적임에는 틀림없지만 늦은 나이에 데뷔한지라 누적성적은 다른 명전 멤버들에 비해서는 확연하게 손해를 본 건 사실. 그러나, MLB의 모든 유색인종 선수의 시작점이라는 상징성과 그 무게를 이겨냈고, 결국 명예의 전당 헌액 후보 첫 해에 77.5%의 득표로 입성했다.
월드시리즈에는 6번 진출했으며 우승은 1955년 1회. 6번의 상대팀이 모두 뉴욕 양키스였다.
3.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블랙잉크 | 그레이잉크 | HOF 모니터 | HOF 스탠다드 | |
재키 로빈슨 | 8 | 121 | 98 | 38 |
HOF 입성자 평균 | 27 | 144 | 100 | 50 |
- JAWS - Second Base (12th)
career WAR | 7yr-peak WAR | JAWS | |
재키 로빈슨 | 61.5 | 52.1 | 56.8 |
2루수 HOF 입성자 평균 | 69.4 | 44.5 | 56.9 |
4. 은퇴
브루클린 다저스 마지막 시즌에 로빈슨은 1형 당뇨병 증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경기력도 현저하게 떨어져 선수생활에 더이상 흥미를 느끼지 않게 되었다. 다저스는 경기력이 떨어진 로빈슨을 라이벌인 뉴욕 자이언츠로 트레이드 했지만 본인이 고사하고 은퇴를 선언했다. 이미 은퇴 2년 전에 커피 체인인 Chock full o'Nuts의 사장과 1957년 시즌 후에 은퇴를 하고 체인의 이사 자리에 취임하기로 약속이 돼 있었다고 후일 공개된 은퇴 사정에서는 밝히고 있다.다만 이 시기에 후배 선수의 잠재력을 발굴했는데, 바로 샌디 코팩스 옹 되시겠다.
은퇴 이후에는 사업을 하면서 흑인직원 고용, 직업훈련교육 지원등 흑인 일자리창출에 적극적으로 나섰고, 특히 그의 뛰어난 능력에도 불구하고 젊은 날 당했던 차별 때문에 흑인인권 향상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한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와도 교분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결국 지병이 되어버린 당뇨병 때문에 비교적 이른 나이인 53세에 세상을 떠났다.[14][15]
5. 영구결번
후술된 재키 로빈슨 데이를 상징하는 앰블럼
그가 선수 시절 뛰었던 등번호 42번은 그가 메이저리그에 데뷔한 지 정확히 50년이 지난 1997년 4월 15일에 셰이 스타디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뉴욕 메츠 전에서 메이저리그 전 구단 영구결번으로 지정됐다. 20세기 최초의 흑인 메이저리거[16]로서 그의 불꽃 같았던 야구인생을 기리고 있다.
단, 1997년 시즌 당시에 이미 42번을 달고 있던 선수는 예외적으로 42번을 계속해서 달 수 있도록 허용되었기 때문에 실제로는 그 선수들 중 마지막까지 현역이었던 마리아노 리베라가 은퇴한 2013년 시즌 종료 후에야 전구단 영구결번이 완성되었다.
1997 시즌 MLB 전체 구단은 유니폼 소매에 재키 로빈슨 데뷔 50주년 기념 패치를 붙이고 시즌에 임했다. 상술됐듯, 로빈슨은 다저스의 연고지 이전을 강력히 반대했던지라 결국은 로스앤젤레스가 아닌 뉴욕 메츠의 셰이 스타디움에서 행사를 가졌다. 또한 미망인 레이첼 여사는 LA로 가버린 다저스보다는 '브루클린 다저스'의 역사를 잇고 있는 뉴욕 메츠에 더 마음이 간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실제로도 뉴욕 메츠는 '재키 로빈슨 재단'을 후원하고 있다고 한다.
모든 구단에서 영구결번된 선수로는 재키 로빈슨 외에 NHL의 웨인 그레츠키의 99번이 있다.
이외에도 로베르토 클레멘테를 전 구단 영구결번으로 올리자는 이야기가 논의되었으나, 재키 로빈슨의 딸이 반대해 무산되었다.
비슷하게, 어메리칸리그의 최초 흑인 선수였던 래리 도비[17]의 14번도 전구단 영구결번으로 올리자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이것도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고 흐지부지되었다. 대신 인디언스는 래리 도비의날 행사를 매년 한다.
한편, 몬트리올 엑스포스는 재키 로빈슨의 등번호 42번이 전구단 영구결번 되기 전부터 영구결번으로 지정했는데, 로빈슨이 메이저리그에 데뷔하기 전 마이너리그 팀인 몬트리얼 로열스에서 활약했기 때문이다.[18]. 이 때문에 스타드 올랭피크 드 몽레알에 그의 동상이 있기도 하고, 몬트리올 엑스포스의 옛 구장이 있던 파르크 자리(Parc Jarry) 근처에 그의 얼굴을 그린 그래피티가 있을 정도로 몬트리올 야구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6. 재키 로빈슨 데이
원래 모든 선수들이 42번 저지를 입고 나오는 재키 로빈슨 데이의 아이디어가 나올 당시, 분위기는 굉장히 살벌했었다. 당시 한참 인종차별 협박에 시달리면서 경기에 나오던 재키 로빈슨이 "다음 경기에도 나오면 42번, 너 총으로 쏴버린다."는 정체불명의 살해협박을 받고 고통받을 때, 동료였던 외야수 진 허만스키(Gene Hermanski)가 "우리가 모두 42번을 입으면 누군지 모르겠지?"라는 말로 농담을 하며 로빈슨을 격려해준 일화가 시작이었다.[19]이후 수십년이 지난 2007년 켄 그리피 주니어가 4월 15일에 재키 로빈슨을 기리기 위해 42번 저지를 입는 것을 메이저리그 사무국에 건의하여 실행했던 데서부터 시작, 이후 각 팀의 흑인 선수 한 명에게 4월 15일 경기에 42번을 입고 뛰게 하도록 하다가 현재는 '재키 로빈슨 데이'로 지정, 이 날만은 모든 선수와 코칭 스탭, 그리고 심판까지 등번호 42번 저지를 입고 경기에 임한다.[20] 이 부분은 2015년 6월 28일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다루었다..
7. 여담
-"내가 재키를 처음 만났을 때 그는 상대팀 1루수였어. 그날 내가 안타를 치고 달리면서 일부러 그의 발목을 피가 나도록 밟아버렸지. 당시 그가 아무런 보복행위를 할 수 없는 걸 알았기 때문에 그걸 악용한 셈이야.[21] 쓰러져 있는 그를 거만한 표정으로 내려다 보며 실실 웃었어. 2년 뒤 에베츠 필드에서[22] 2루까지 달렸는데, 거기에 있던 로빈슨이 공을 잡아 내 입에 냅다 내려 꽂더군. 그때 이빨이 4개나 부러져서 사방천지에 피를 토하고 있는데 ㄷㄷㄷㄷ... 놈이 내 눈을 쳐다보며, "난 절대로 잊지 않아"라고 하더군. 난 그때부터 평생 그 대단한 개X끼를 존경했고.[23]
-에노스 슬로터, 前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우익수, 명예의 전당 헌액자
-에노스 슬로터, 前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우익수, 명예의 전당 헌액자
8. 영화 「42」
42(영화) 문서 참조. 재키 로빈슨을 맡은 배우는 현재 블랙 팬서로 유명한 채드윅 보즈먼이 맡았다. 그래서 유튜브에서는 로빈슨의 손자가 블랙 팬서라는 농담이 나돌기도 한다.9. 연도별 성적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War |
1947 | Dodgers | 151 | 701 | 12 | 125 | 48 | 29 | .297 | .383 | .427 | 3.5 |
1948 | Dodgers | 147 | 646 | 12 | 108 | 85 | 22 | .296 | .367 | .453 | 4.8 |
1949 | Dodgers | 156 | 704 | 16 | 122 | 124 | 37 | .342 | .432 | .528 | 9.6 |
1950 | Dodgers | 144 | 613 | 14 | 99 | 81 | 12 | .328 | .423 | .500 | 6.8 |
1951 | Dodgers | 153 | 642 | 19 | 106 | 88 | 25 | .338 | .429 | .527 | 9.0 |
1952 | Dodgers | 149 | 636 | 19 | 104 | 75 | 24 | .308 | .440 | .465 | 7.8 |
1953 | Dodgers | 136 | 574 | 12 | 109 | 95 | 17 | .329 | .425 | .502 | 6.0 |
1954 | Dodgers | 124 | 465 | 15 | 62 | 59 | 7 | .311 | .413 | .505 | 3.6 |
1955 | Dodgers | 105 | 390 | 8 | 51 | 36 | 12 | .256 | .378 | .363 | 1.8 |
1956 | Dodgers | 117 | 431 | 10 | 61 | 43 | 12 | .275 | .382 | .412 | 4.2 |
Total | - - - | 1382 | 5802 | 137 | 947 | 734 | 197 | .311 | .409 | .474 | 57.2 |
[1] 단,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는 양해를 구한 후 2006년 명예의 전당에 13수(...)만에 입성한 브루스 수터의 등번호 42번을 재키 로빈슨과 함께 공동 영구결번 처리를 하였다. 이후 뉴욕 양키스 역시 2013년 은퇴를 선언한 마리아노 리베라의 등번호 42번을 공동 영구결번 처리를 하였다. 이로서 메이저리그 역사상 42번 영구결번의 주인공은 단 세 명뿐이다.[2] 루키 시절[3] 메이저리그로 본격 데뷔하기 전 브랜치 리키 다저스 단장이 인종차별이 덜한 몬트리올 로열스로 보냈다. 이런 인연으로 몬트리올 엑스포스는 1997년 이전에 이미 42번을 구단 영구결번으로 지정하기도 했다.[4] 미국 프로야구의 역사에서는 거의 신화적인 인물이다. 팜 시스템부터 시작해서 최초의 흑인 재키 로빈슨 외에, 최초의 중남미 선수 등을 메이저리그에 데뷔시켰다. 그야말로 트인 사고를 가진 만능의 천재로 야구 외에도 능해서 수많은 자격증의 보유자였다. 자세한 내용은 브랜치 리키 항목 참조.[5] 재키 로빈슨보다 더 실력은 뛰어난 선수가 많았다고 브랜치 리키도 공인했지만, 재키 로빈슨의 최대 장점은 붙임성과 스스럼 없는 성격이었다. 위대한 타자이자 스즈키 이치로 이전 단일시즌 안타 신기록을 갖고 있었고 은퇴 후 스카우터로 활동하던 조지 시슬러에게 브랜치 리키는 무엇보다 정신력이 강한 선수를 찾아달라고 부탁했고 시슬러가 데려온게 재키 로빈슨이었다. 아메리칸 리그 최초의 흑인 선수 래리 도비가 속으로 냉가슴만 앓는 성격이라 더더욱 고생했다는 것을 고려하면 무엇보다 중요한 장점이었을 것이다.[6] 상당수가 헤드샷이었다. 그리고 이때는 헬멧도 없던 시절.[7] 영화 42에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에노스 슬로터가 로빈슨의 발목 뒷부분을 스파이크로 찢어내는 장면으로 재현되었다. 참고로 이 에노스 슬러터는 메이저리그에서도 악질적인 인종차별주의자였고 카디널스 선수들을 선동해서 다저스와 경기를 보이콧하기도 했다.[8] 시간이 한세기 가까이 흘러 조금씩 재평가가 내려지고 있는 현대에 비해 이 시기 타이 콥에 대한 엄청난 악평을 고려해보면.....[9] 자세한 내용은 피 위 리즈 항목 참조바람.[10] 또한 브루클린 다저스의 명감독이자 '사람 좋으면 꼴찌'라는 명언을 남긴 레오 듀로셔 감독이 로빈슨을 거부한 팀원들을 향해 "난 저 친구가 검둥이든 외계인이든 상관 안해. 중요한 건 저 녀석이 잘해야 니들 연봉도 오른다는 거야, 바보들아."라며 일갈한 것도 큰 힘이 됐다. 사실 여러 일화를 통해 추리해 보자면 듀로셔 감독은 흑인에 대해 뭔가 다른 생각을 가진 게 아니라 진짜로 재키 로빈슨이 흑인이든 뭐든 경기만 이기면 장땡이었을 사람이라. 어차피 레오듀로서는 이후 역대 최고의 흑인 야구선수라는 윌리 메이스의 선수시절 감독이기도 하며 윌리 메이스를 가장 아끼는 걸로 유명했다. 인종차별주의와는 무관한 수준의 야구인.[11] 피 위 리즈 본인이 훗날 인터뷰에서 "필드에서 재키에게 다가가서 말을 걸었지. 사람들이 그걸 보면 우리가 친구라는 것을 알테고, 그러면 재키한테 도움이 될 거라는 생각에서였어."라는 발언을 한 바 있으며, 로빈슨의 입단 소식을 듣고 보인 반응에서도 알 수 있듯이 원래부터 인종차별적인 가치관과는 거리가 먼 인물이었다는 점, 백인이면서 흑인을 쉴드쳐줬다는 이유로 그의 고향인 켄터키 주 루이빌에서 욕먹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는 점, 그가 평생 자신의 집 서재에 재키 로빈슨과 어깨동무한 사진을 걸어놓았다는 사실 등을 통해 추정해보면 어쨌든 1947년 5월 14일에 피 위 리즈가 어쨌든 관중들의 인종차별적인 분위기에 대항하여 뭔가 행동을 했던 것 자체는 사실이었다고 보는 것이 옳다. 아마도 당시 경기에서 피 위 리즈가 관중들의 인종차별적인 분위기에 대놓고 반발하는 모종의 제스쳐를 취했다는 사실과 재키 로빈슨과 피 위 리즈가 어깨동무를 하고 있는 실제 사진이 결합해서 현재의 어깨동무 일화라는 형태로 구전되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12] 필라델피아의 감독 겸 선수였던 밴 채프먼이 브루클린 다저스와의 경기중에 재키 로빈슨에게 온갖 모욕을 줬고, 이것에 대해 여론의 반발이 일어나자 재키 로빈슨에게 사과를 하는 모습이다...라고 할수 있지만 실제로는 사진기자 및 여론에 "이거 봐봐. 난 재키 로빈슨과 화해했음. 이제 그만 좀 X랄들 하세요."라는 뜻의 보여주기 식 행사였다. 사진을 봐도 알겠지만 채프먼은 흑인과 손을 맞대기 싫어해서 재키 로빈슨은 채프먼의 손 대신 그가 들고 있는 방망이를 붙잡고 있다. 전기영화 42에서 이 장면이 상세하게 묘사되니 참고 바람. 여담으로 전기영화 42의 후일담에 의하면 밴 채프먼은 1948년 감독직에서 짤린 이후, 다시는 감독이 되지 못했다고. 단지 영화 42 내용대로면 방망이로 악수를 대신하자고 제안한건 재키 로빈슨 본인으로 농담 겸 배려였던걸로 보인다. 그래도 채프먼은 말년 인터뷰를 통해서 자기가 심한 말을 했다고 인정하였고 자기 아들이 흑인과 어울리는 것이 자랑스럽다고 할 정도로 사람이 변했다.[13] 실제로 이 사건이 일어난 날 재키 로빈슨은 안타로 출루, 도루 후 상대 실책으로 3루까지 진루한 이후 적시타 때 홈을 밟았고, 팀은 0:1 승리를 거둔다. 이 날의 경기 박스스코어이다.[14] 정확히 말하면 당뇨로 인해 몸이 망가져 심장마비로 죽었다.[15] 말년에는 망막에도 이상이 생겨 눈이 거의 안보였다고 한다.[16] 1800년대에 빌 화이트를 비롯한 흑인 선수들이 내셔널리그 등에서 뛰었다[17]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서 재키로빈슨보다 고작 3개월 뒤에 데뷔[18] 사실 이 두팀은 같은 도시가 연고지였다는거 외에는 아무 관계가 없었다. 몬트리얼 로열스는 1961년에 뉴욕주로 이사를 해서 이름을 시라큐스 치프스 (Syracuse Chiefs)로 개명했고, 몬트리올 엑스포스는 1969년에 창단되었고 2004년에 워싱턴 D.C로 이사를 한 뒤 워싱턴 내셔날스로 개명했다. 하지만 재미있게도, 각자 연고지를 옮기고 개명을 한 후인 2016년 현재는 치프스가 내셔널스의 산하 팀이다.[19] 물론 당시 로빈슨은 혼자 흑인이었으므로 몰랐을 리는 없다...[20] 다만 게임데이나 전광판에는 투수도 42번, 타자도 42번이라 헷갈리기 좋은 날(...).[21] 영화 42에서 보여줬듯이 성질이라도 내면 "것봐라, 검둥이놈"이라는 여론이 나왔을 테니.[22] 당시 다저스의 홈구장[23] 출처: 래리 킹의 Why I Love Baseb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