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4 01:08:23

로버트 프로스트


United States Congressional Gold Medal
미합중국 의회 명예 황금 훈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776년 1777년 1779년 1781년
조지 워싱턴 소장 호레이쇼 게이츠 소장 앤서니 웨인 사령관 헨리 리 3세 준장 대니얼 모건
1781년 1787년 1800년 1805년 1813년
소장 너새니얼 그린 존 폴 존스 대령 토머스 트럭스턴 준장 에드워드 프레블 대령 아이작 헐
대령 스티븐 디케이터
대령 제이콥 존스
1813년 1814년
대령 윌리엄 베인브리지 대령 올리버 해저드 페리
대령 제시 엘리엇
대위 윌리엄 워드 버로스 2세
대위 에드워드 매콜
대령 제임스 로렌스 대령 토머스 맥도너
대령 로버트 헨리
대위 스티븐 카신
1814년 1814년, 1848년 1814년
대령 루이스 워링턴 대령 존스턴 블레이클리 소장 제이콥 브라운 소장 윈필드 스콧 소장 피터 부엘 포터
준장 엘리저 윌락 리플리
대령 제임스 밀러
1814년 1815년 1816년
소장 에드먼드 P. 게인스 소장 알렉산더 마콤 소장 앤드루 잭슨 대령 찰스 스튜어트 대령 제임스 비들
1818년 1835년 1846년, 1847년, 1848년 1847년 1854년
소장 윌리엄 해리슨
주지사 아이작 셸비
대령 조지 크로간 소장 재커리 테일러 소머스 호
장교 및 승무원 구출
중령 덩컨 잉그함
1858년 1863년 1864년 1866년 1867년
프레더릭 로즈 소장 율리시스 S. 그랜트 코닐리어스 밴더빌트 로버트 크레이튼
에드윈 J. 로
조지 C. 스투퍼
사이러스 웨스트 필드
1867년 1871년 1873년 1874년, 1904년 1883년
조지 피바디 조지 F. 로빈슨 대령 재러드 크랜달 그 외 존 혼 주니어 존 폭스 슬레이터
1888년 1890년 1900년 1902년 1909년
조셉 프랜시스 수석 엔지니어 조지 W. 멜빌 그 외 중위 프랭크 H. 뉴컴 중위 데이비드 H. 자비스
소위 엘스워스 P. 버트홀프
새뮤얼 J. 콜 박사
라이트 형제
1912년 1914년 1915년 1928년
선장 아서 로스트론 폴 H. 크라이봄 그 외 로물로 세바스티안 나온
에두아르도 수아레스 무히카
찰스 린드버그 로알 아문센
움베르토 노빌레
1928년 1929년 1930년 1936년
토머스 에디슨 최초로 성공한 대서양 횡단 비행사 소령 월터 리드 준장 리처드 에벌린 버드 링컨 엘즈워스
1936년 1938년 1939년 1940년
조지 M. 코핸 리처드 올드 리치 부인
안나 불리니
하워드 휴즈 목사 프랜시스 퀸 윌리엄 시넛
1942년 1945년 1946년
롤런드 바우처 1939~1941년 미국 남극 탐험대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해군 원수 어니스트 킹
육군 원수 존 조지프 퍼싱 준장 빌리 미첼
1949년 1954년 1955년 1956년 1958년
앨번 W. 바클리 어빙 벌린 조너스 소크 박사 남북전쟁의 참전 용사 준장 하이먼 리코버
1959년 1960년 1961년 1962년
로버트 고다드 로버트 프로스트 토머스 앤서니 둘리 3세 밥 호프 샘 레이번
1962년 1968년 1969년 1973년 1977년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 월트 디즈니 윈스턴 처칠 로베르토 클레멘테 매리언 앤더슨
1978년 1979년
중장 아이라 이커 로버트 F. 케네디 존 웨인 벤 아브러조
맥시 앤더슨
래리 뉴먼
휴버트 험프리
1979년 1980년 1982년
미국 적십자 케네스 테일러 1980 미국 하계 올림픽 팀 베아트릭스 여왕 대장 하이먼 리코버
1982년 1983년
프레드 워링 조 루이스 루이스 라무르 레오 라이언 대니 토머스
1984년 1985년
해리 S. 트루먼 레이디 버드 존슨 엘리 비젤 로이 윌킨스 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6년 1987년 1988년
네이선 샤란스키
에비탈 샤란스키
해리 차핀 에런 코플런드 메리 래스커 제시 오언스
1988년 1990년 1991년
앤드루 와이어스 로렌스 록펠러 대장 매튜 B. 리지웨이 대장 노먼 슈워츠코프 대장 콜린 파월
1994년 1996년 1997년
랍비 메나헴 멘델 쉬니어슨 루스 그레이엄
빌리 그레이엄
프랭크 시나트라 마더 테레사 바르톨로메오스 1세
1998년 1999년
넬슨 만델라 리틀록 9인 제럴드 포드
베티 포드
로자 파크스 시어도어 헤스버그
2000년
존 오코너 찰스 M. 슐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로널드 레이건
낸시 레이건
나바호족 코드 토커
2002년 2003년
대장 휴 셸턴 토니 블레어 재키 로빈슨 도로시 하이트 박사 조셉 디레인
해리 & 일라이자 브릭스
레비 피어슨
2004년 2006년
마틴 루터 킹
코레타 스콧 킹
터스키기 에어맨 달라이 라마 14세 바이런 넬슨 노먼 볼로그 박사
2007년 2008년
마이클 데바키 박사 아웅 산 수 치 콘스탄티노 브루미디 에드워드 윌리엄 브룩 3세 아메리카 원주민 코드 토커
2009년 2010년
여성 공군 군무원 조종사 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존 글렌
아놀드 파머 무함마드 유누스 제100 보병대대
제442 보병연대 전투단
군사정보국
2011년 2012년 2013년
몬트포드 포인트 해병전우회 9.11 테러 참사 사망자 라울 발렌베리 애디 메이 콜린스
데니스 맥네어
캐럴 로버트슨
신시아 웨슬리
제1 특수임무단
2014년
둘리틀 특공대 멤버 미국의 공군 에이스 제2차 세계 대전
민간 항공 초계 부대 멤버
시몬 페레스 모뉴먼츠 맨
2014년 2015년 2016년
제65 보병연대 잭 니클라우스 셀마 몽고메리 행진 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인 참전 용사 미국 전략사무국
2017년 2018년
밥 돌 래리 도비 제2차 세계 대전
중국계 미국인 참전 용사
USS 인디애나폴리스 승무원 안와르 사다트
2019년
스티브 글리슨 캐서린 존슨 크리스틴 다든 도로시 본 메리 잭슨
2019년 2020년 2021년
무명의 수여자들 그렉 르몽드 미국 국회의사당 경찰
워싱턴 광역경찰국
제369 보병연대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전사한 13명의 장병
2022년 2023년
미 육군 제23부대 본부 특수부대
제3133 신호 복무 중대
제6888 중앙우편대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상선 선원
벤 페렌츠 에밋 틸
메이미 틸모블리
2024년
베트남 전쟁 부상자 후송 부대원 빌리 진 킹 }}}}}}}}}

영문학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중세 (7~15세기) · 서사시 <colbgcolor=#FFF,#1C1D1F>파일:영국 국기.svg 초기 영문학: 캐드먼 · 키네울프 · 윌리엄 랭글런드 · 라야먼 · 베오울프의 저자
·소설 파일:영국 국기.svg 이야기 문학: 제프리 초서(캔터베리 이야기) · 토머스 맬로리(아서왕 이야기)
산문 파일:영국 국기.svg 기독교 신비주의 철학: 리처드 롤 · 노리치의 줄리안
초기 근대 (16~18세기) · 서사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르네상스: 윌리엄 셰익스피어 · 에드먼드 스펜서 · 토머스 와이엇 · 리처드 러브레이스 · 필립 시드니 · 월터 롤리 · 크리스토퍼 말로 / 파일:영국 국기.svg 형이상학파: 앤드류 마블 · 존 던 · 조지 허버트 / 파일:영국 국기.svg 고전주의: 벤 존슨 · 존 밀턴(실낙원) / 파일:미국 국기.svg 청교도 문학: 앤 브래드스트리트 / 파일:영국 국기.svg 신고전주의: 존 드라이든 · 알렉산더 포프 / 파일:영국 국기.svg 계몽주의: 새뮤얼 존슨 / 파일:미국 국기.svg 계몽주의: 필리스 휘틀리 / 파일:영국 국기.svg 전 낭만주의: 로버트 번스
·소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르네상스: 윌리엄 셰익스피어(4대 비극과 5대 희극) · 토머스 모어(유토피아) · 니콜라스 유돌 · 크리스토퍼 말로 / 파일:영국 국기.svg 고전주의: 벤 존슨 / 파일:영국 국기.svg 청교도 문학: 존 버니언(천로역정) / 파일:영국 국기.svg 신고전주의: 조너선 스위프트(걸리버 여행기) / 파일:영국 국기.svg 신고전주의적 계몽주의: 새뮤얼 리처드슨(파멜라) / 파일:영국 국기.svg 계몽주의: 대니얼 디포(로빈슨 크루소) · 헨리 필딩 · 올리버 골드스미스 / 파일:영국 국기.svg 전 낭만주의: 로렌스 스턴
산문 파일:미국 국기.svg 설교문: 존 윈스롭(기독교 자선의 모범) / 파일:영국 국기.svg 문학 비평: 존 드라이든(연극에 대하여, 짧은 수필) / 파일:영국 국기.svg 종교 비판: 대니얼 디포(반대자들과 함께 하는 가장 빠른 길) / 파일:영국 국기.svg 정치 비판: 조너선 스위프트(겸손한 제안) / 파일:미국 국기.svg 정치 비판: 토머스 페인(상식) / 파일:미국 국기.svg 자서전: 벤저민 프랭클린(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
후기 근대 (19~20세기 초) · 서사시 파일:영국 국기.svg 낭만주의: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윌리엄 워즈워스 · 윌리엄 블레이크 · 퍼시 비시 셸리 · 조지 고든 바이런 · 존 키츠 / 파일:미국 국기.svg 초월주의: 랠프 월도 에머슨 · 헨리 데이비드 소로 · 월트 휘트먼 / 파일:영국 국기.svg 심리 리얼리즘: 로버트 브라우닝 / 파일:영국 국기.svg 종교 리얼리즘: 크리스티나 로세티 / 파일:영국 국기.svg 리얼리즘적 자연주의: 토머스 하디 / 파일:미국 국기.svg 전 모더니즘: 에밀리 디킨슨 / 파일:영국 국기.svg 상징주의: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 · 앨저넌 찰스 스윈번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소설 파일:영국 국기.svg 낭만주의적 리얼리즘: 제인 오스틴(오만과 편견) / 파일:영국 국기.svg 낭만주의: 조지 고든 바이런(맨프레드) / 파일:영국 국기.svg 초기 리얼리즘 찰스 디킨스(올리버 트위스트) · 조지 엘리엇(미들마치) / 파일:영국 국기.svg 고딕 낭만주의: 샬럿 브론테(제인 에어) / 파일:미국 국기.svg 낭만주의: 워싱턴 어빙(립 반 윙클) · 제임스 페니모어 쿠퍼 · 허먼 멜빌(모비 딕) · 너새니얼 호손(주홍 글자) / 파일:미국 국기.svg 고딕 낭만주의: 에드가 앨런 포(검은 고양이) / 파일:영국 국기.svg 고딕 문학: 메리 셸리(프랑켄슈타인)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지킬 박사와 하이드) · 브램 스토커(드라큘라) / 파일:미국 국기.svg 중기 리얼리즘: 마크 트웨인(톰 소여의 모험) · 헨리 제임스(나사의 회전) / 파일:영국 국기.svg 리얼리즘적 자연주의:토머스 하디(테스)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탐미주의: 오스카 와일드(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 파일:영국 국기.svg 제국주의 문학: 러디어드 키플링(정글북) / 파일:영국 국기.svg 중기 리얼리즘: 조지 버나드 쇼(피그말리온) · 존 골즈워디 / 파일:영국 국기.svg 장르 문학: 아서 코난 도일(셜록 홈즈)
산문 파일:영국 국기.svg 시학: 퍼시 비시 셸리(시의 옹호) / 파일:영국 국기.svg 자서전: 토머스 드 퀸시(영국인 아편 중독자) · 파일:미국 국기.svg 철학: 랠프 월도 에머슨(자기신뢰) · 헨리 데이비드 소로(시민 불복종) / 파일:영국 국기.svg 서양사학: 토머스 칼라일(영웅숭배론) / 파일:미국 국기.svg 자서전: 프레드릭 더글라스(프레드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 / 파일:미국 국기.svg 문예창작: 에드가 앨런 포(구성의 철학) / 파일:영국 국기.svg 고전주의 경제학 비판: 존 러스킨(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 / 파일:영국 국기.svg 문화학: 매튜 아널드(문화와 무정부주의) / 파일:미국 국기.svg 철학 및 사회 비판: 마크 트웨인(인간이란 무엇인가?그리고 몇몇 다른 에세이들)
현대 (20~21세기) · 서사시 파일:영국 국기.svg 모더니즘: T.S 엘리엇 / 파일:미국 국기.svg 모더니즘: 에즈라 파운드 · 월리스 스티븐스 · E. E. 커밍스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 실비아 플라스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모더니즘: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제임스 조이스 / 파일:미국 국기.svg 전통주의적 모더니즘: 로버트 프로스트 / 파일:영국 국기.svg 신낭만주의: 딜런 토마스 / 파일:영국 국기.svg 허무주의: 필립 라킨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현대시: 셰이머스 히니
·소설 파일:미국 국기.svg 후기 리얼리즘: 펄 벅(대지) · 아서 밀러(세일즈맨의 죽음) · 리처드 라이트 · 싱클레어 루이스 · 어니스트 헤밍웨이(노인과 바다) · 존 스타인벡(분노의 포도) · 테네시 윌리엄스(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 파일:미국 국기.svg 자연주의: 시어도어 드라이저 · 잭 런던(강철군화) / 파일:영국 국기.svg 풍자적 상징주의: G. K. 체스터튼(브라운 신부) · 윌리엄 골딩(파리 대왕) / 파일:영국 국기.svg 모더니즘: 버지니아 울프(올랜도) · D. H. 로렌스(채털리 부인의 연인) / 파일:미국 국기.svg 모더니즘: 윌리엄 포크너(음향과 분노) · F. 스콧 피츠제럴드(위대한 개츠비)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모더니즘: 제임스 조이스(율리시스) / 파일:미국 국기.svg 표현주의: 유진 오닐(밤으로의 긴 여로) / 파일:영국 국기.svg 디스토피아: 조지 오웰(1984) · 올더스 헉슬리(멋진 신세계) / 파일:영국 국기.svg 판타지: C. S. 루이스(나니아 연대기) · J. R. R. 톨킨(반지의 제왕) · 조지 R.R. 마틴(얼음과 불의 노래) / 파일:미국 국기.svg 고딕 호러: 셜리 잭슨(힐 하우스의 유령) / 파일:미국 국기.svg SF: 아서 C. 클라크(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 어슐러 K. 르 귄(헤인 연대기) / 파일:미국 국기.svg 장르 문학: 스티븐 킹(샤이닝) / 파일:미국 국기.svg 포스트모더니즘: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끝없는 익살)
산문 파일:미국 국기.svg 자서전: 헬렌 켈러(내 삶의 이야기) / 파일:영국 국기.svg 기독교 변증학: G. K. 체스터튼(영원한 사람) / 파일:영국 국기.svg 페미니즘: 버지니아 울프(자기만의 방) / 파일:미국 국기.svg 감정 탐구: 어니스트 헤밍웨이(오후의 죽음) / 파일:영국 국기.svg 정치 비판: 조지 오웰(코끼리를 쏘다) / 파일:미국 국기.svg 사회 비평: 존 스타인벡(아메리카와 아메리카인)
<colbgcolor=#6b6b6b> 관련 문서: 영문학 | 고전주의 |신고전주의 | 계몽주의 |낭만주의|초월주의|리얼리즘|고딕 소설|자연주의|탐미주의|장르문학|모더니즘|허무주의|상징주의|표현주의|디스토피아|판타지|SF문학 }}}}}}}}}
<colbgcolor=#000><colcolor=#fff> 로버트 프로스트
Robert Frost
파일:로버트 프로스트.jpg
본명 로버트 리 프로스트
Robert Lee Frost
출생 1874년 3월 26일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사망 1963년 1월 29일 (향년 88세)
미국 매사추세츠 보스턴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시인, 극작가
서명
파일:Robert_Frost_Signature.svg
1. 개요2. 상세3. 작품

1. 개요

미국의 시인.

미국 내부에서는 매우 유명한 시인으로, 대중성, 교육 노출, 인용 빈도까지 고르게 갖춘 면은 그가 독보적이라고 평가받는다.

2. 상세

로버트 프로스트는 1874년 3월 26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윌리엄 프로스트는 남북전쟁 당시 남군을 지지했던 민주당계 신문 편집자였고, 어머니는 스코틀랜드계 이민자의 딸이었다. 아버지는 로버트가 열한 살이 되던 해에 폐결핵으로 사망했고, 가족은 동부 매사추세츠로 이주하여 어렵게 생계를 이어갔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프로스트는 다트머스 대학교하버드 대학교에 잠시 재학했지만, 학위를 받지 못하고 중퇴했다. 그는 교사, 신문 배달부, 농장 일꾼, 인쇄공 등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면서 생계를 유지했다. 1895년에는 고등학교 동급생이었던 엘리노어 화이트와 결혼했고, 두 사람은 여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러나 이들 중 네 명이 질병, 사고, 정신질환 등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고, 이는 평생 그에게 깊은 상실감을 남겼다.

문학적으로 성공하기까지 그는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1912년, 38세가 되던 해 가족을 데리고 영국으로 건너간 그는, 그곳에서 첫 시집 A Boy’s Will (1913)과 North of Boston (1914)을 출간하며 문단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특히 후자의 시집에 실린 Mending Wall, After Apple-Picking, The Death of the Hired Man 같은 시는 미국 시골 풍경 속에서 인간 존재의 고독과 도덕적 긴장을 묘사해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이 시기 에즈라 파운드, 에드워드 토머스 등 영국 시인들과의 교류도 큰 영향을 미쳤다.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1915년 미국으로 돌아온 프로스트는 그제야 본격적으로 미국 문단에서도 인정받기 시작했고, 이후 미국 시단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1924년에는 시집 New Hampshire로 퓰리처상을 받았고, 이후에도 세 차례(1931, 1937, 1943) 같은 상을 수상하며 미국 시인 중 퓰리처 최다 수상자가 되었다. 이 무렵 그는 하버드, 애머스트, 미시간 대학교 등에서 강의하며 교육자로도 활동했다.

그의 시는 자연, 노동, 인간관계, 선택과 운명, 내면의 갈등 등을 주제로 하며, 뉴잉글랜드의 시골 풍경을 배경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간결한 언어와 전통적인 운율 속에 복잡한 철학적 의미를 담아내는 점이 특징이며, The Road Not Taken(가지 않은 길), Stopping by Woods on a Snowy Evening, Fire and Ice, Birches 등은 미국 문학의 고전으로 자리 잡았다.

1938년 아내 엘리노어가 병으로 사망하면서 그는 큰 충격을 받았고, 이후에도 아들 캐럴의 자살, 여동생과 딸의 정신질환 등 가정의 비극이 이어졌다. 그러나 문단에서 그의 위상은 계속 높아졌으며, 1961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취임식에서 시를 낭독하며 미국의 ‘국민시인’이라는 상징적 위치에 올라섰다.

로버트 프로스트는 1963년 1월 29일, 88세의 나이로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의 묘비에는 “I had a lover’s quarrel with the world.”(나는 세상과 연인 같은 다툼을 했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The Road Not Taken, Stopping by Woods on a Snowy Evening, Mending Wall 등은 미국 학생이라면 거의 모두가 수업 시간에 배우는 대표 작품이다. 일반 대중에게는 이해하기 쉬운 시인, 학계에서는 형식과 주제의 이중성으로 꾸준히 연구되는 시인이다. "I took the one less traveled by, And that has made all the difference."(나는 사람들이 덜 걸은 길을 택했고, 그것이 모든 차이를 만들어냈다.)라는 'The Road Not Taken'이라는 시의 구절이 특히 잘 알려진 편이다.

3. 작품

〈A Boy's Will〉- 1913년
《North of Boston》 - 1914년
〈The Road Not Taken〉- 1915년
{Nothing Gold Can Stay} - 1923년
S.E 힌튼의 소설 아웃사이더에서 나오는 시로 작중 인물인 조니가 포니보이에게 Stay Gold, Ponyboy Stay Gold라고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Fire And Ice〉 - 1920년
〈Build soil〉 - 193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