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colcolor=#fff> 셜리 잭슨 Shirley Jackson | |
본명 | 셜리 하디 잭슨 Shirley Hardie Jackson |
출생 | 1916년 12월 14일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
사망 | 1965년 8월 8일 (향년 48세) |
미국 버몬트주 노스 베닝턴 | |
직업 | 소설가 |
장르 | 호러, 미스터리, 고딕 |
활동 | 1943년 ~ 1965년 |
모교 | 시라큐스 대학교 |
배우자 | 스탠리 에드거 하이먼 (1940년 결혼) |
자녀 | 4명 |
종교 | 무종교(무신론)[1] |
서명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소설가.현대 고딕 호러의 선구자격 작가로 꼽힌다. 다만 작정하고 호러로 쓴건 힐 하우스의 유령 정도다. 전반적인 작풍은 호러보다는 고딕이나 스릴러에 기울어 있었던 편이며, 힐 하우스의 유령 역시 유령보다는 이상 심리 묘사에 집중되어 있다.
귀신들린 집 장르의 고전이라 불리는 힐 하우스의 유령의 경우 더 헌팅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 되었으며 스티븐 킹이 샤이닝을 쓸 때 큰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또 다른 대표작으로는 1948년에 발표한 제비뽑기가 있다. 영문학 교과서 다수에 실린 영미단편 최고급 명작. 다만 발표된 당시에는 충격적인 내용 탓에 혹평한 독자들이 절대 다수라, 잡지사에 항의 전화가 빗발쳐 업무가 마비될 정도였다고 한다. 시간이 흘러 작품의 충격이 진정된 후에야 진가를 인정받은 케이스.
2007년 그의 이름을 따 셜리 잭슨상이 제정되었는데, 편혜영 작가가 2017년 한국인 최초로 수상하기도 했다.
2. 생애
외가가 미국 독립전쟁 당시 유명한 장군인 너새니얼 그린(1742~1786)의 후손으로, 출생이 원하지 않는 임신에 가까웠기 때문에 어려서부터 어머니와 불화가 심했다고 한다. 잭슨의 어머니는 잭슨한테 '실패한 피임의 산물'이라는 폭언을 아무렇지 않게 했다고. 잭슨의 어머니는 잭슨이 요조숙녀로 자라길 바랐으나, 잭슨은 그 기대에 부합하지 않는 딸이었기 때문에 모녀 간 갈등은 갈수록 심해졌다.잭슨은 성인이 되고 나서도 우울증과 자존감 부족에 시달렸다. 가족과 멀어지기 위해 일부러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대학에 진학했고, 재학 시절 유태인 평론가 스탠리 에드거 하이먼(1919~1970)이 그녀의 작품을 보고 호기심을 느껴서 그녀가 어떤 사람인지 한번 보기 위해 대학교에 찾아왔다는 이유로 그와 사랑에 빠져 이른 결혼을 했으며 하이먼 사이에서 2남 2녀를 낳았다. 하지만 말이 결혼이지 비평가였던 남편의 잦은 외도로 사실상 오픈 릴레이션십에 가까웠다고 한다. 하이먼이 이랬던 것도 잭슨처럼 가정적 환경이 큰 원인이었다.
셜리 잭슨은 베닝턴 대학의 교수로 부임한 남편을 따라 베닝턴에 정착했지만 남편은 가정에 불성실했고 베닝턴 토박이었던 이웃들은 외지인에게 배타적인 사람들이라 그들과 어울릴 수 없었다고 한다. 이 시절 이웃들에게 배척당하면서 홀로 아이들을 돌보고 살림을 하며 그녀가 느낀 소외감은 작품 활동의 원천이 되었다.
생전에도 작품의 영화화가 두 번이나 이뤄졌을 정도로 소설가로서 나름 이름을 떨쳤기 때문에 돈은 셜리가 훨씬 잘 벌었지만 재정은 남편인 하이먼이 관리했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잭슨은 조현병 환자처럼 성격을 종잡을 수 없었으며, 돈을 마구 쓰고 폭식하는 등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측면이 컸기 때문이다. 돈을 많이 벌기는 했지만 흥청망청 썼고, 거리에서 쓰러져 누워 자다가 경찰에 신고당하면 하이먼이 연락을 듣고 찾아와 데려가는 일도 있었다.
뚱뚱하고 못 생겼다는 이유로 어머니의 사랑을 받지 못했고 남편의 외도가 잦았기 때문에 셜리 잭슨은 죽기 직전까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열등감에 시달렸고 그것을 마구 폭식을 하거나 술을 진탕 마셔서 꽐라가 되거나 줄담배를 피는 것으로 풀었다. 덕분에 고도비만이 되었고 건강 상태가 좋지 못했으나 작품 집필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계속해서 알콜과 코카인을 달고 살다가, 한창 활동할 시기인 만 48세에 병으로 요절했다. 시신은 화장되었고, 3년 뒤 미발표된 단편들과 미완성 장편이 하이먼에 의해 발견되어 출판되었다. 하이먼은 불륜 관계였던 포비 페팅겔과 재혼했으나, 잭슨 사후 5년 뒤에 본인도 죽었다. 이후 세월이 훨씬 흘러 1996년, 생가의 헛간 지하에 있던 상자에서 미발표되었던 또 다른 단편들이 발견되어 31년만에 출판되기도 했다.
남편 하이먼은 아내의 작품 활동에 긍정적이었다. 응원한답시고 술과 코카인을 아내에게 권하고 자신도 똑같이 즐겼다. 대학 시절부터 잭슨의 글을 호평해 왔고, 살아 생전 잭슨의 글이 그저 3류 호러소설 취급당하는 것에 분개하여 평론으로 이를 반박하기도 했다. 건실한 남편은 아니었으나 적어도 아내의 작품만큼은 생전 널리 알리고자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인들이 증언하길 적어도 친구같이 지내던 면도 컸기에 곁에서 보면 모범적 남편이 아니지만 좋은 친구같은 모습도 많았다고 한다.
상술하던 대로 하이먼도 바람을 피운 것 또한 가정적 환경이 원인이었는데 그도 잭슨처럼 불우한 가정환경에서 자라났다. 골통 유대교 신자인 부모와 종교적 충돌을 빚었는데, 어릴 적 부모에게 굶기거나 다락방에 가둬지는 아동 학대를 당했다. 그 트라우마로 하이먼은 종교 자체를 혐오하게 되어 지독한 무신론자가 되어버렸다. 게다가 이는 신약성경에서 강조하는 일부일처제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졌다. 사정이 된다면 실컷 다부다처제로 즐기라고 가정적 토대에 대해서도 대놓고 씹고 비아냥거릴 정도였다고 한다.
하이먼의 무신론은 잭슨에게도 영향을 끼쳐서 그녀도 종교를 비판하고 무신론자가 되었다. 이런 어린 시절에 대한 동질감 때문인지 비록 사랑과 거리가 먼 가정 생활을 살아왔지만, 이혼은 서로 마다했다고 한다. 그리고, 둘 모두 아이들에겐 좋은 부모였다고 한다. 적어도, 부모에게 박대받은 둘 다 아이들에겐 그런 아픔을 물려주고 싶지 않았던 걸 알 수 있다. 또한 하이먼도 여러 병에 시달려 약물에 의존했고, 이로 인해 그 역시 잭슨과 사별하고 5년밖에 안 되어 51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종종 페미니즘계에서 잭슨이 여자라서 억울하게 불우했고 남자인 하이먼을 인간말종처럼 서술하는 경우가 있는데 잘못된 말이다. 하이먼 역시 가정적 환경으로 불우했고 남편으로 불합격이라도, 잭슨 본인이 남긴 글을 봐도 그런 그를 사랑했었고 자신의 작품을 높게 평가하고 악평하던 평론가들에게 죽어라 반론하던 점, 그리고 그와 무척 여러 마음이 맞아서 같이 술과 담배, 코카인을 즐겼던 걸 보면 남편보다 좋은 친구이자 이해자로 지낸 셈인데 이걸 가정적으로 뭐라고 제3자가 뭐라고 비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