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1949년 | 1950년 | 1951년 | 1952년 |
1953년 | 1954년 | 1955년 | 1956년 | |
1957년 | 1958년 | 1959년 | 1960년 → | }}}}}}}}} |
서기 | 1954년 MCMLIV 千九百五十四年 | 一九五四年 | |||
← 1953년 | 1955년 → | |||
태세 | 갑오년 乙午年 | |||
← 1894년 | 2014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기년법에 따른 표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한민국 | 36년 | ||
단기 | 4287년 | |||
불기 | 2498년 | |||
주체 | 43년 | |||
대만 | 민국 43년 | |||
일본 | 쇼와 29년 (황기 2614년) | |||
이슬람력 | 1373년 ~ 1374년 | |||
히브리력 | 5714년 ~ 5715년 | |||
페르시아력 | 1332년 ~ 1333년 | |||
에티오피아력 | 1946년 ~ 1947년 | |||
인류세력 | 11954년 | }}}}}}}}} | ||
<colbgcolor=#0b6db7><colcolor=#fff> 밀레니엄 | 제2천년기 | |||
세기 | 20세기 | |||
연대 | 1950년대 | |||
양력 1954년 | 음력 1953년 11월 27일 ~ 1954년 12월 7일 | |||
음력 1954년 | 양력 1954년 2월 4일 ~ 1955년 1월 23일 | |||
일수 | 365일(평년) |
[clearfix]
1. 개요
195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그동안 미국을 휩쓸던 매카시즘은 한국전 휴전 이후 세가 꺾였으나, 한국 전쟁이 휴전한지 얼마 안 된 때에 베트남은 내전으로 피바다만 남기고 남북으로 허리가 잘리었다.
한편 동쪽으로 바다 건너 대한민국에서는 이승만 대통령이 사사오입 개헌을 감행하였고, 이로서 초대 대통령은 3회 이상 연임이 가능하게 되어 독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2. 사건
2.1. 실제
- 1월 1일
- <기독교생활> 후신 잡지로 <새가정>이 복간되었다.
- 미국 NBC가 세계 최초로 컬러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 1월 10일: 영국해외항공 781편 공중분해 사고가 발생하였다.
- 1월 18일: 독도에 '한국령'이라 쓰인 영토 표지가 설치되었다.
- 1월 20일: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의 오차노미즈 ↔ 이케부쿠로 구간이 개통했다.
- 1월 21일: 미국에서 신형 잠수함 USS 노틸러스가 취역했다. 인류 최초의 원자력 잠수함이며 원자력 추진으로 움직이는 최초의 함선으로 기록된다.
- 1월 30일: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설치되었다.
- 1월 31일: 오산 건널목에서 군용트럭 사고로 56명의 사망자와 1백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 2월 17일: 3군 합동 참모회의가 설치되었다.
- 3월 1일
- 휴전협정에 따라 실향민 교환이 성사되어 유엔측은 북한 주민 37명을 보냈고 납북자 송환은 전무하였다.
- 황산덕 서울대 법대 교수가 <대학신문>에 당시 유행하던 소설 자유부인의 작가 정비석을 "중공군보다 더 무서운 적"이라 비난하였다. 이에 정비석이 11일에 이를 반박하는 글을 서울신문에 내면서 논쟁이 불거지기 시작하였다.
- 미국이 비키니 환초에서 수소폭탄 실험을 실시한다. 이후 주변에서 어업 중이던 민간인들이 방사능 낙진으로 죽거나 중병에 걸리는 일이 발생하면서 방사능의 위험성이 부각된다.
- 3월 13일: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운명을 가를 디엔비엔푸 전투가 시작되었다.
- 3월 21일: 제2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 실시, 장제스와 천청이 총통과 부총통으로 당선.
- 3월 30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었다. 캐나다 최초의 지하철이었다.
- 3월 21일
- 국군 제1군 사령부가 발족되었다.
- 대한민국의 표준시간대가 동경 127도 30분 기준으로 변경되었다(0시 30분 → 0시로 환원).
- 3월 25일: 제1회 학/예술원 회원 선거가 열렸다.
- 3월 29일: <약업신문>이 창간되었다.
- 4월 3일
- 한국식산은행의 후신으로 한국산업은행이 새로 발족되었다.
- 부산진 대화재 참사가 발생하여 37명이 죽고 140명이 다쳤으며, 가옥 640채가 전소되고 이재민 3,711명이 발생하였다.
- 4월 11일
- 4월 20일: 사업가 김흥배가 한국외국어대학을 설립했다.
- 4월 22일: 미국에서 상원의원 조지프 매카시가 새로이 군부에 빨갱이가 있다고 폭로했다. 정치적 중립이 철저한 군부를 적으로 돌림으로서 매카시는 몰락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 4월 25일: 전 조선일보 사장 백상 장기영이 태양신문을 인수하였다.
- 4월 26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한국과 베트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담이 개최되었다.
- 5월 1일
- 5월 4일: 파라과이의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로가 쿠데타를 일으켜 3일에 걸쳐서(~5월 7일) 페데리코 차베스 정부를 전복시켰다. 8월 15일 정식으로 대통령에 취임.
- 5월 7일: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결국 프랑스군이 참패했다. 베트남의 독립이 다가오는 듯 하였으나….
- 5월 13일: 이승만 전 대통령의 불교정화 유시로 비구-대처승 간의 암투가 표면화되었다.
- 5월 16일: 미국이 <한국전쟁 백서>를 발표하였다.
- 5월 17일: 미국 연방대법원에서 '세기의 판결'로 불리는 브라운 판결이 내려졌다. 이로서 미국인들은 인종에 상관없이 아무 학교에나 등교가 가능해졌다.
- 5월 18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전 미국 대통령이 브라운 판결에 불복해서 백인들로부터 등교하는 흑인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아칸소 주에 전격적으로 연방군을 투입, 학교 일대를 호위·경계했다.
- 5월 20일: 제3대 국회의원 선거가 개시되었다.
- 5월 22일: 제네바 회담에서 변영태 한국대표가 14개 항목의 통일 방안을 제시하였다.
- 5월 27일: 전국미군종업원노조가 120% 임금 인상과 노동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쟁의를 벌였다.
- 6월 5일: 제네바 회담에서 남일 북한대표가 6개 항목의 통일 방안을 제시하였다.
- 6월 9일: 태양신문의 후신으로 한국일보가 창간되었다.
- 6월 15일
- 제네바 회담에서 한국전쟁 참전 16개 국가들이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 경남 진해에서 제1회 아시아 민족 반공대회가 개최되었다. 이를 계기로 한국자유총연맹의 전신인 '아시아반공연맹'이 세워졌다.
- 6월 16일: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가 개최되었다. 이때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처음으로 출전하였으나 헝가리 인민공화국과 튀르키예에 한 골도 넣지 못하고 16골을 실점하며 2전 2패로 탈락했다.
- 6월 25일: 제네바 정치회담이 결렬되었다.
- 6월 26일: 이선근 전 문교부장관이 한글 간소화안을 추진하기로 담화하였으나, 각계에서 반대가 잇따랐다.
- 6월 27일: 새 국무총리직에 변영태 전 외무부장관이 임명되었다.
- 7월 4일: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결승전에서 서독이 세계 최강 헝가리 인민공화국에 3:2로 승리했다. 이를 베른의 기적이라고 부른다.
- 같은 날 영국에서 배급제가 폐지된다.
- 7월 10일: 대한석탄광노동조합연합회가 결성되었다.
- 7월 17일: 대한민국 학술원과 예술원이 개원되었다.
- 7월 20일:
- 자유노련 산하 부두노조가 하주인 대한금융조합연합회(이하 금련)을 상대로 임금인상을 위해 쟁의 신고를 하였다.
- 제네바 합의에서 북위 17도를 경계로 베트남을 남북으로 분단하기로 하였다. 그와 동시에 베트남국이 프랑스의 영향 하에서 벗어나 진정한 독립을 이루었다.
- 7월 25일: 이승만 전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였다.
- 7월 29일: J. R. R. 톨킨의 전설적인 판타지 소설 반지 원정대가 처음으로 출간되었다.
- 7월 31일: 이탈리아 산악인이 최초로 K2(산)에 등정하였다.
14좌 중 높이도 2위, 등정순서도 2번째, 훌륭한 콩라인. - 8월 2일: 금련은 부두노조 측의 임금인상 요구를 수용하며 3주간의 냉각기간을 설정하였다.
- 8월 31일: 부두노조 측은 금련의 임금인상 불이행에 대해 가두시위를 전개하려 했으나, 중앙노동위원회 측이 직권조정으로 금련에 임금인상을 요구하도록 하면서 쟁의는 일단락되었다.
- 9월 8일
- 이승만 전 대통령의 중임 제한 철폐 및 경제조항 개헌안이 국회에서 제안되었다.
- 공산세력의 남하에 대처하기 위해 동남아시아 조약기구가 설립했다. 정작 가입국 중에 동남아시아 국가는 태국뿐이었고, 나머지 회원국은 미국, 영국, 프랑스 제4공화국, 파키스탄 자치령, 호주, 뉴질랜드였다.
- 9월 15일: 제일모직이 설립되었다.
- 9월 20일 :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이 제정되어 비준되었다.
- 9월 26일: 일본에서 토야마루호 침몰 사고가 발생했다. 일본판 타이타닉.
- 9월 30일: 금련의 협정 불이행에 분노한 항만 노동자 17,000여 명이 부두노조의 주도로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군산시, 목포시 등 각 항구에서 48시간 시한부 파업을 전개하였다.
- 10월 9일: 미국은 한국에 대한 석유 공급을 중지하였다.
- 10월 22일: 대구 내외방직 파업이 발생하였다.
- 10월 24일: 국제 펜클럽 한국본부가 발족되었다.
- 10월 26일
- 민주국민당 선전부장 함상훈이 신익희-조소앙 간의 뉴델리 밀회설을 발설하였다.
- 석탄 광부들이 임금 100% 인상과 미지불 노임 청산 및 근로기준법 적용에 따른 8월 8일부터 소급 지급 등을 요구하며 쟁의 발생을 신고한 뒤 파업에 돌입하였다.
- 10월 31일: 국군 제2군 사령부가 발족되었다.
- 11월 중: 미도파백화점이 개업하였다.
- 11월 1일: 알제리 전쟁이 발발했다.
- 11월 3일: 고지라(1954)가 제작되며 가장 유명한 괴수물 중 하나인 고지라 시리즈가 시작되었다.
- 11월 14일
- 11월 20일: 미8군 사령부가 일본으로 이동하였다.
- 11월 21일: 독도에서 독도의용수비대와 일본 해상보안청간의 독도 대첩이라는 전투가 발생했다.
- 11월 27일: 제5차 개헌안이 135 대 60으로 부결되었다.
- 11월 29일: 국회가 개헌안 부결을 번복함으로써 사상 초유의 사사오입 개헌이 강행되었다.
- 11월 30일: 사사오입 개헌에 반발한 야당 의원들에 의해 호헌동지회가 결성되었다.
- 12월 2일
- 대한석탄공사 측에서 두어 달이 다 되가도록 광부들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자 영월, 도계 등 4개 광업소 7천여 명의 광부들이 48시간 시한부 동맹파업에 돌입하였다.
- 미국 상원에서 조지프 매카시에 대한 견책안이 통과되면서 그의 정치적 생명은 끝나고 말았다. 그리고 미국과 대만이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했다.
- 12월 10일: 부산 동광동에서 제1차 부산 용두산 대화재로 건물 448동과 판잣집 435동이 전소되어 4명의 사망자와 6,000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다.
- 12월 15일: 기독교방송이 개국하였다.
- 12월 26일: 부산 광복동에서 제2차 부산 용두산 대화재로 판자촌 298동이 전소되어 사망자 1명과 이재민 1,420여 명이 발생하였다. 이때 창고에 보관되어 있던 조선 임금 어진 등 많은 문화재들이 소실되었다.
2.2. 가상
- 남북 전쟁이 1844년 발발하여 북미 서부는 그대로 멕시코 영토이고 남북 미국은 각각 독일 제국과 멕시코 제국을 상대로 동맹을 맺은 상태인 딕시-4의 현재 연도. - 겁스 무한세계
- 셔터 아일랜드의 배경연도이다.
- Grand Theft Auto 시리즈의 브랜드 총기상점인 Ammu-Nation이 설립되었다. - GTA 3D 세계관[1]
- 고지라가 출몰하여 일본을 공격하였다. - 고지라(1954)[2]
3. 탄생
3.1. 실제
3.1.1. 1월
- 1월 1일 - 왕종근: KBS 5기 아나운서
- 1월 3일 - 김기만: 13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사장
- 1월 4일 - 제임스 카터 카스카트
- 1월 6일 - 최재천: 동물행동학자, 초대 국립생태원 원장
- 1월 10일 - 이호인: KBS 16기 성우
- 1월 14일 - 히라오카 히데오: 일본의 정치인
- 1월 15일 - 다카라 데츠미: 일본의 정치인
- 1월 17일 - 정태윤
- 1월 18일 - 이호연: DSP미디어의 창립자
- 1월 19일 - 마츠토야 유미: 일본의 가수
- 1월 21일 - 정소녀: 대한민국의 배우
- 1월 25일 - 리카르도 보치니
- 1월 28일 - 시오자와 카네토(~2000년): 일본의 성우
- 1월 29일 - 오프라 윈프리: 미국의 방송인
- 1월 30일 - 유현상: 한국의 가수
3.1.2. 2월
- 2월 4일 - 치바 시게루: 일본의 성우
- 2월 8일
- 2월 17일 - 한정국 : 대한민국의 배우
- 2월 18일
- 2월 19일 - 소크라치스(~2011년): 브라질의 축구 선수
- 2월 22일 - 김창완: 한국의 멀티 엔터테이너, 밴드 산울림, 김창완 밴드의 가수
- 2월 23일 - 빅토르 유셴코
- 2월 24일 - 시드 마이어:
마약 제조업자문명 시리즈의 개발자 - 2월 26일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의 대통령
3.1.3. 3월
- 3월 2일
- 3월 3일 - 우치야마 아키라: 일본의 정치인
- 3월 6일 - 토니 슈마허: 독일의 축구 선수
- 3월 8일 - 제롬 스톨
- 3월 9일 - 카를로스 곤
- 3월 10일 - 권성희: 한국의 가수
- 3월 12일 - 박철순: 한국의 야구 선수
- 3월 13일 - 랜디 바스: 미국의 야구 선수
- 3월 18일 - 유제상: 한국의 성우
- 3월 19일 - 조광래: 67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3월 23일 - 호리 히데유키: 일본의 성우
- 3월 26일
3.1.4. 4월
- 4월 1일 - 이창동: 한국의 영화감독, 40대 문화관광부장관
- 4월 2일 - 히라사와 스스무: 일본의 일렉트로닉 뮤지션
- 4월 3일 - 이참: 독일계 한국인이며 방송인
- 4월 4일 - 최문순
- 4월 7일
- 4월 8일 - 게리 카터: 미국의 야구 선수이자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 헌액자
- 4월 9일 - 데니스 퀘이드: 미국의 배우
- 4월 10일 - 폴 베어러: 미국의 프로레슬러
- 4월 11일 - 압둘라 아틸라: 튀르키예의 과학자[3]
- 4월 13일 - 호베르투 지나미치(~2023년): 브라질의 前 축구선수 출신 정치인
- 4월 15일 - 사카자키 코우노스케: 일본의 가수
- 4월 17일
- 로디 파이퍼: 캐나다의 프로레슬러
- 타카미자와 토시히코: 일본의 가수
- 김상택
- 4월 22일 - 나카타 죠지: 일본의 성우
- 4월 23일 - 마이클 무어: 미국의 영화감독
- 4월 27일 - 구창모: 대한민국의 가수
3.1.5. 5월
- 5월 3일
- 5월 15일 - 존 블라이스 배리모어: 미국의 배우. 드루 배리모어의 오빠.
- 5월 19일
- 5월 23일
- 5월 27일 - 유지영: 대한민국의 성우
- 5월 31일 - 오자와 사키히토: 일본의 정치인
3.1.6. 6월
- 6월 2일
- 6월 4일
- 6월 14일 - 윌 패튼: 미국의 배우
- 6월 15일 - 짐 벨루시: 미국의 배우
- 6월 17일 - 쿠스미 나오미: 일본의 성우
- 6월 19일 - 캐슬린 터너: 미국의 배우
- 6월 20일 - 일란 라몬: 이스라엘의 우주비행사, STS-107 임무의 페이로드 스페셜리스트
- 6월 22일
- 6월 29일 - 레오베지우두 주니오르: 브라질의 축구 선수
- 6월 30일 - 박근령
3.1.7. 7월
- 7월 6일 -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의 2군 감독
- 7월 10일 - 이상헌: 대한민국의 정치인
- 7월 12일
- 7월 15일
- 7월 17일 -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 7월 20일 - 지춘희: 대한민국의 패션 디자이너
- 7월 23일 - 서영택
- 7월 26일 - 황선혜: 한국의 숙명여자대학교 18대 총장
- 7월 27일 - 하야시 유조: 일본의 작곡가
- 7월 28일 -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 독재자
- 7월 29일 - 시이 가즈오: 일본의 정치인
3.1.8. 8월
- 8월 1일 - 모리타 준페이: 일본의 성우
- 8월 7일 - 빅토르 메드베드추크: 우크라이나의 올리가르히, 정치인
- 8월 9일 - 스와 타로: 일본의 배우
- 8월 10일 - 김평일: 김정일의 이복동생
- 8월 12일 -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제24대 대통령
- 8월 14일 - 미타 유코: 일본의 성우
- 8월 16일 - 제임스 카메론: 캐나다 출신 미국의 영화감독
- 8월 25일
- 8월 30일 - 데이비드 페이머: 미국의 배우
- 8월 31일
- 캐럴라인 코시: 영국의 모델이자 배우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3.1.9. 9월
- 9월 15일 - 혜은이
- 9월 16일 - 이봉준: 대한민국의 성우
- 9월 21일
- 9월 22일 - 송희영
- 9월 24일 - 마르코 타르델리: 이탈리아의 前 축구선수
- 9월 26일 - 구로이와 유지: 일본의 정치인
- 9월 27일 - 김성희: 한국의 성우
- 9월 28일 - 이웅평: 북한-한국의 군인
- 9월 30일 - 전인권: 한국의 록 가수
3.1.10. 10월
- 10월 1일 - 타나카 마사히코: 일본의 성우
- 10월 2일 - 이시카와 시즈카: 일본의 바이올리니스트
- 10월 3일 - 스티비 레이 본: 미국의 기타리스트
- 10월 5일 - 이박사: 한국의 가수, 본명 이용석
- 10월 8일 - 김성찬: 대한민국의 배우
- 10월 10일
- 10월 18일 - 미츠야 유지: 일본의 성우 겸 배우
- 10월 19일 - 샘 앨러다이스: 16대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10월 20일 - 마츠오카 요코: 일본의 성우 겸 배우
- 10월 21일 - 나한일: 대한민국의 배우
- 10월 24일 - 말콤 턴불: 29대 호주 총리
- 10월 26일 - 김성동: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전 국회의장 비서실장
- 10월 30일 - 톰 브라운(Tom Browne): 미국의 트럼펫 전문가
3.1.11. 11월
- 11월 3일 - 임청하: 대만의 배우
- 11월 5일 - 알레한드로 사베야: 40대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11월 9일 - 카메야마 스케키요: 일본의 성우
- 11월 11일 - 이병완: 28대 대통령비서실장
- 11월 14일 - 콘돌리자 라이스: 66대 미국 국무장관
- 11월 15일
- 김정숙: 19대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 성악가
- 울리 슈틸리케: 71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알렉산데르 크바시니에프스키: 8대 폴란드 대통령
- 윤기황: KBS 15기 성우
- 11월 18일 - 카터 버웰: 미국의 작곡가, 지휘자
- 11월 19일 - 이영훈: 목사, 제6회기 한국교회총연합 대표회장
- 11월 20일 - 시마다 빈: 일본의 성우 겸 배우
- 11월 25일 - 테오도로스 2세(정교회): 현직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정교회). 세계 정교회 서열상 2위.
- 11월 27일 - 표영준: KBS 6기 아나운서
3.1.12. 12월
- 12월 3일 - 양희경: 대한민국의 배우
- 12월 4일 - 박경희: KBS 4기 아나운서
- 12월 5일 - 홍준표[4]: 35대, 36대 경상남도지사, 35대 대구광역시장
- 12월 7일 - 이향숙: KBS 14기 성우
- 12월 8일 - 시마모토 스미: 일본의 성우
- 12월 12일 - 천정배: 57대 법무부장관
- 12월 13일 - 강정호
- 12월 17일 - 피치 알폰소(Pichi Alonso): 스페인의 축구 선수
- 12월 18일
- 12월 22일 - 리영화:대한민국의 교수
- 12월 28일 - 덴젤 워싱턴: 미국의 영화배우
- 12월 29일 - 노리히토 친왕: 일본의 황족
- 12월 30일 - 조상구: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번역가
- 12월 31일
3.1.13. 일자불명
3.2. 가상
- 2월 모일: 브라이언 존스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3월 모일: 은조부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3월 14일: 필리 마르크[5] - 당신들의 조국
- 4월 8일: 뭉크 - 천하무적
- 4월 28일: 지나 체임버 - 언데드 언럭[6]
- 11월[7]: 나상호 - 오자룡이 간다
- 일자불명
4. 사망
4.1. 실제
- 1월 6일 - 페드로자: 브라질의 축구선수, 정치인
- 2월 19일 - 정국은: 전 연합신문 주필, 간첩
- 3월 4일 - 김영환: 항명으로 해인사와 팔만대장경을 지켜낸 군인
- 3월 6일 - 카를 에두아르트: 영국과 독일의 왕족
- 4월 11일 - 잭 셔플보댐: 올덤 애슬레틱 AFC 소속 축구 선수[8]
- 5월 14일 - 하인츠 구데리안: 나치 독일의 장군, 기갑전의 아버지
- 6월 7일 - 앨런 튜링: 영국의 수학자
- 6월 29일 - 탕언보: 중화민국의 군인.
- 7월 23일 - 프리드리히 요한 요셉: 독일의 수학자및 음악가
- 8월 12일 - 이영민: 대한민국의 야구인. 그를 기리기 위해 '이영민 타격상'이 제정되었다.
- 9월 27일 - 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나치 독일의 군인
- 11월 3일
- 11월 13일 -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독일의 군인
- 11월 28일 - 엔리코 페르미: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 11월 30일 -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독일의 지휘자, 작곡가
4.2. 가상
5. 데뷔
5.1. 만화계
- 김종래 - <붉은 땅>
6. 출시 제품
6.1. 생활용품
- 애경유지
- 세탁비누
7. 히트작
- 베스트셀러
- 자유부인 - 정비석 저.
- 카인의 후예 - 황순원 저.
8. 달력
[1] HD 세계관은 1963년에 설립되었다.[2] 이후 시리즈의 대부분 후속 작품들은 이 시간대와 공유한다.[3] 참고로 1954년 4월 11일은 유독 유명인이 태어난 적이 없고, 특별한 사망사고가 전무한날로 선정되었는데, 그래서인지 이 사람이 태어난 게 특이사항으로 꼽혔다고 한다.[4] 다만, 이것은 출생신고를 늦게 해서 나온 생년월일로, 실제 출생연도는 1953년이다.[5] 주인공 크사비어 마르크의 아들.[6] 작중 1970년 기준 16살이었으며, 현 시점인 2020년에도 여전히 늙지 않은 외형을 지녔다.[7] 생일 20~29일 이중에 추정 된다.[8] 참고로 1954년 4월 11일은 유명인이 사망한 적이 없는 날로 꼽혔으며, 그나마 이 사람이 이 날 사망했다는 점이 특이사항으로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