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6 13:11:57

올덤 애슬레틱 AFC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투 로고 가로형2.svg
2025-26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555555,#aaaaaa
파일:그림즈비 타운 FC 로고.svg
파일:노츠 카운티 FC 로고.svg
파일:뉴포트 카운티 AFC 로고.svg
파일:밀턴킨스 던스 FC 로고.svg
파일:바닛 FC 로고.svg
파일:배로 AFC 로고.svg
파일:브롬리 FC 로고.svg
파일:브리스톨 로버스 FC 로고.svg
파일:솔퍼드 시티 FC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파일:슈루즈베리 타운 FC 로고.svg
파일:스윈던 타운 FC 로고.svg
파일:애크링턴 스탠리 FC 로고.svg
파일:올덤 애슬레틱 AFC 로고.svg
파일:월솔 FC 로고.svg
파일:질링엄 FC 로고.svg
파일:체스터필드 FC 로고.svg
파일:첼트넘 타운 FC 로고.svg
파일:케임브리지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콜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크롤리 타운 FC 로고.svg
파일:크루 알렉산드라 FC 로고.svg
파일:트란메어 로버스 FC 로고.svg
파일:플릿우드 타운 FC 로고.svg
파일:해러것 타운 AFC 로고.svg
파일:스카이 벳 EFL 리그 원 로고(가로형).svg 파일:엔터프라이즈 내셔널 리그 로고 가로형.svg
}}}}}}}}}}}}}}} ||
파일:올덤 애슬레틱 AFC 로고.svg
올덤 애슬레틱 AFC
Oldham Athletic AFC
<colbgcolor=#0054A5><colcolor=#fff> 정식 명칭 Oldham Athletic Association Football Club
별칭 Latics
Oldham
창단 1895년
1899년 7월 4일 ([age(1899-07-04)]주년)
소속 리그 EFL 리그 투 (EFL League Two)
연고지 잉글랜드 그레이트 맨체스터올덤 (Oldham)
홈구장 바운더리 파크(Boundary Park)[1]
(13,309명 수용)
구단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잉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잉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프랭크 로스웰 (Frank Rothwell)
감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코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코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키 멜론 (Micky Mellon)
주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잉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잉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톰 콘론 (Tom Conlon)
공식 웹사이트 파일:올덤 애슬레틱 AFC 로고.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전 시즌 성적 내셔널 리그 5위 (플레이오프 우승) (2024-25)
우승 기록
EFL 챔피언십 (2부)
(1회)
1990-91
EFL 리그 원 (3부)
(2회)
1952-53, 1973-74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이안 올니 (Ian Olney)
(1992년, From 아스톤 빌라 FC, 75만 £)
최고 이적료 방출 얼 배럿 (Earl Barrett)
(1992년, To 아스톤 빌라 FC, 170만 £)
최다 출장 이안 우드 (Ian Wood) - 582경기 (1966-1980)
최다 득점 로저 팔머 (Roger Palmer) - 156골 (1980-1994)
1. 개요2. 역사
2.1. 리그 소속 기간
3. 스쿼드4. 여담

1. 개요

잉글랜드 그레이트 맨체스터 주 올덤에 위치한 축구팀. 최대의 라이벌은 허더즈필드 타운이며, 이를 A62 더비라고 한다.[2]

2. 역사

1895년에 파인 빌라 FC로 창단하였으며, 1899년에 올덤 애슬레틱 AFC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07년에 풋볼 리그에 참가한 이후 3시즌 동안 2부 리그 소속이었다가 1910년에 1부 리그로 승격하였고, 1914/15 시즌에 준우승을 하였다.

1922/23 시즌에는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이후 1935년에는 3부 리그, 1958년에는 4부 리그까지 강등되다 1982년에 에버튼의 레전드 선수였던 조 로일이 감독으로 취임하여 팀을 리빌딩시켜 1991년에 1부 리그로 승격한 뒤 이듬해에 프리미어 리그의 원년 멤버로 참가하여 닐 아담스를 필두로 2시즌간 선전하였으나[3], 1993/94 시즌에 21위가 되어 2부리그로 강등되었다.

이후 풋볼 리그 디비전 1[4]에서도 부진을 거듭하다가 1997-98 시즌 부터 풋볼 리그 디비전 2[5]으로 강등되었다.

2012-13 시즌 FA컵 32강에서 프리미어리그의 리버풀 FC를 3-2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

리그 원에서 잔류한지 22년차가 된 2018-19 시즌, 21위가 되어 EFL 리그 투로 강등되었다.[6]

2.1. 리그 소속 기간

3. 스쿼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올덤 애슬레틱 AFC 로고.svg올덤 애슬레틱 AFC
2025-26 시즌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2px"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매튜 허드슨 Mathew Hudson
2 DF 파일:호주 국기.svg 리건 오글 Reagan Ogle
3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이크 리크 Jake Leake
4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톰 페트 Tom Pett
5 DF 파일:몬트세랫 기.svg 도너번 대니얼스 Donervon Daniels
6 DF 파일:카메룬 국기.svg 매니 몽테 Manny Monthé
7 MF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해리 차슬리 Harry Charsley
8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라이언 우즈 Ryan Woods
9 FW 파일:카메룬 국기.svg 마이크 폰돕 Mike Fondop
10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톰 콘론 Tom Conlon 주장
11 FW 파일:웨일스 국기.svg 잭 스티븐스 Jack Stevens
14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 가너 Joe Garner
15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케인 드러먼드 Kane Drummond
16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윌 서튼 Will Sutton
17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 퀴글리 Joe Quigley
18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키어런 모리스 Kieron Morris
19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루크 해넌트 Luke Hannant
20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이크 카프리스 Jake Caprice
21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시 호크스 Josh Hawkes
22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찰리 올슨 Charlie Olson [1]
23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키안 해럿 Kian Harratt
24 DF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제이미 롭슨 Jamie Robson
25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할리 오그레이디매켄 Harley O'Grady-Macken [2]
26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카이 페인 Kai Payne [3]
27 MF 파일:웨일스 국기.svg 올리 해먼드 Oli Hammond
28 FW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마이클 멜론 Michael Mellon [4]
29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시 케이 Josh Kay
30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빌리 워터스 Billy Waters
31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톰 도너기 Tom Donaghy
35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콧 몰로니 Scott Moloney
<colbgcolor=#0054A5> 구단 정보
구단주: 프랭크 로스웰 / 감독: 미키 멜론 / 홈 구장: 바운더리 파크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1] 블랙번 로버스 FC에서 임대[2] 블랙번 로버스 FC에서 임대[3] 위건 애슬레틱 FC에서 임대[4] 번리 FC에서 임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올덤 애슬레틱 AFC 로고.svg'''
올덤 애슬레틱 AFC
2025-26 시즌 스쿼드
'''
}}} ||
1 허드슨 · 2 오글 · 3 리크 · 4 페트 · 5 대니얼스 · 6 몽테 · 7 차슬리 · 8 우즈 · 9 폰돕
10 콘론
C
· 11 스티븐스 · 14 가너 · 15 드러먼드 · 16 서튼 · 17 퀴글리 · 18 모리스
19 해넌트 · 20 카프리스 · 21 호크스 · 22 올슨 · 23 해럿 · 24 롭슨 · 25 오그레이디매켄
26 페인 · 27 해먼드 · 28 멜론 · 29 케이 · 30 워터스 · 31 도너기 · 35 몰로니
파일:UEFA SCO.png 미키 멜론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4. 여담


[1] 스포츠 다이렉트 닷컴 파크 (SportsDirect.com Park)이라고도 한다.[2] 과거에는 로치데일 AFC, 볼턴 원더러스 FC, 허더즈필드 타운 AFC,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맨체스터 시티 FC, 솔퍼드 시티 FC 같은 팀과 최대의 라이벌이였으나 오랫동안 경기를 치르지 않아 현재는 대다수의 팬들이 같은 리그에 속해있는 로치데일 AFC를 최대의 라이벌로 보고 있다.[3] 92/93 시즌 마지막 라운드에서 사우스햄튼을 4-3으로 이기고 크리스탈 팰리스가 아스날에 0-3으로 패하면서 크리스탈 팰리스에 득실로 앞선 덕분에 잔류에 성공했다.[4] 2016년 EFL 챔피언십으로 개칭. 현재는 2부리그이다.[5]EFL 리그 원이자 3부 리그[6] EFL 리그 투(4부 리그)로 강등된것은 48년만이다.[7] 참고로 이 경기 관중수는 52,115명으로, 내셔널 리그 승격 플레이오프 최다 관중수 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같은 시즌 치러진 EFL 리그 2 승격 플레이오프 보다도 많은 관중 수(50,947명)이다.[8] 비슷한 사례로는 루턴 타운 FC노츠 카운티 FC가 있다. 이 두 팀은 프리미어 리그 출범 바로 전 시즌에 2부 리그로 강등당한 뒤 내셔널 리그로까지 떨어지는 아픔을 겪은 팀들인데, 이 중 루턴 타운은 반등하여 22-23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우승하며 다시 1부 리그로 승격했고, 노츠는 공교롭게도 올덤의 내셔널 리그 첫 시즌에 플레이오프를 우승해 승격에 성공하며 프로리그인 4부 리그에 복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