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18:18:39

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일본 내각총리대신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color: #C3C96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메이지 시대|
메이지 시대
]]
<rowcolor=#C3C965>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이토 히로부미 구로다 기요타카 야마가타 아리토모 마쓰카타 마사요시
<rowcolor=#c3c965>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이토 히로부미 마쓰카타 마사요시 이토 히로부미 오쿠마 시게노부
<rowcolor=#C3C965>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이토 히로부미 가쓰라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
<rowcolor=#C3C965> 제13대 제14대
가쓰라 다로 사이온지 긴모치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
]]
<rowcolor=#C3C965>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사이온지 긴모치 가쓰라 다로 야마모토 곤노효에 오쿠마 시게노부
<rowcolor=#C3C965>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하라 다카시 다카하시 고레키요 가토 도모사부로
<rowcolor=#C3C965>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야마모토 곤노효에 기요우라 게이고 가토 다카아키 와카쓰키 레이지로
[[쇼와 시대|
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전
]]
<rowcolor=#C3C965>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와카쓰키 레이지로 다나카 기이치 하마구치 오사치 와카쓰키 레이지로
<rowcolor=#C3C965>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이누카이 쓰요시 사이토 마코토 오카다 게이스케 히로타 고키
<rowcolor=#C3C965> 제33대 제34대
하야시 센주로 고노에 후미마로
[[쇼와 시대|
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시
]]
<rowcolor=#C3C965>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고노에 후미마로 히라누마 기이치로 아베 노부유키 요나이 미쓰마사
<rowcolor=#C3C965> 제38·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고노에 후미마로 도조 히데키 고이소 구니아키 스즈키 간타로
[[쇼와 시대|
쇼와 시대파일:1px 투명.svg전후
]]
<rowcolor=#C3C965>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스즈키 간타로 시데하라 기주로 요시다 시게루
<rowcolor=#C3C965> 제46대 제47대 제48-51대 제52-54대
가타야마 데쓰 아시다 히토시 요시다 시게루 하토야마 이치로
<rowcolor=#C3C965> 제55대 제56·57대 제58-60대 제61-63대
이시바시 단잔 기시 노부스케 이케다 하야토 사토 에이사쿠
<rowcolor=#C3C965> 제64·65대 제66대 제67대 제68·69대
다나카 가쿠에이 미키 다케오 후쿠다 다케오 오히라 마사요시
<rowcolor=#C3C965> 제70대 제71-73대 제74대
스즈키 젠코 나카소네 야스히로 다케시타 노보루
[[헤이세이 시대|
헤이세이 시대
]]
<rowcolor=#C3C965> 제74대 제75대 제76·77대 제78대
다케시타 노보루 우노 소스케 가이후 도시키 미야자와 기이치
<rowcolor=#C3C965> 제79대 제80대 제81대 제82·83대
호소카와 모리히로 하타 쓰토무 무라야마 도미이치 하시모토 류타로
<rowcolor=#C3C965> 제84대 제85·86대 제87-89대 제90대
오부치 게이조 모리 요시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아베 신조
<rowcolor=#C3C965> 제91대 제92대 제93대 제94대
후쿠다 야스오 아소 다로 하토야마 유키오 간 나오토
<rowcolor=#C3C965> 제95대 제96-98대
노다 요시히코 아베 신조
[[레이와 시대|
레이와 시대
]]
<rowcolor=#C3C965> 제98대 제99대 제100·101대 제102대
아베 신조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이시바 시게루
← 태정대신
섭관 · 원정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오다 · 도요토미 · 에도 · 내무경 · 총리
}}}}}}}}}
일본국 내각총리대신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일본/정치|
파일:일본 황실 금색.svg
일본국
국가기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행정 파일:고시치노키리.svg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내각총리대신 직속기관 · 중앙성청 · 회계검사원
내각총리대신 · 국무대신
입법 파일:일본국회 다크.svg파일:일본 국회의사당 흰색 아이콘.svg 중의원 · 중의원 의장 · 중의원 부의장 · 중의원 의원
참의원 · 참의원 의장 · 참의원 부의장 · 참의원 의원
사법 파일:일본 재판소 휘장 미니.svg파일:일본 재판소 휘장 미니_다크.svg 최고재판소 · 최고재판소장관 · 최고재판소재판관
고등재판소 · 지방재판소 · 가정재판소 · 간이재판소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후미히토 하나코 비 누카가 후쿠시로 가이에다 반리 오쓰지 히데히사
[[일본국 내각총리대신|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C3C96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display: inline; padding: 0 1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3C965; color: #112FA7"]]
나가하마 히로유키 이시바 시게루 니시무라 야스히코 이마사키 유키히코 미우라 마모루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keep-all; 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상징 천황 · 일본 황실(황실 관련 문서) · 일장기(니시키노미하타) · 국장 · 기미가요
국호 국호 · 니혼/닛폰 · 야마토 · 야시마 · 히노모토 · 재팬 · 지팡구 · 미즈호 · 시키시마 · ( · · ) · 부상국 · 동영 · (왜국)
정치 수상관저 · 일본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 · 내각총리대신 · 정부 · 정당(사라진 정당) · 국회(참의원 · 중의원 (중의원 해산)) · 행정조직 · 55년 체제 · 우경화 · 정부홍보 온라인
선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통일지방선거 · 도쿄도지사 선거 ·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간접선거)
이념 · 사상 틀:일본의 이념 · 일본 좌파 · 일본의 자유주의 · 일본의 보수주의 · 일본 내셔널리즘 · 야마토 민족주의 · 천황제 파시즘
외교 외교 전반 · 친일 · 반일 · 지일 · 일뽕 · 친일파 · 탈아입구 · G7 · 6자회담 · G20 · G4 · Quad · IPEF · JUSCANZ · 한중일 · 한일관계 · 중일관계(중일평화우호조약) · 한미일관계 · 미일관계 · 미일 반도체 협정 ·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관계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여권 · 비자 · 영토 분쟁(독도 · 쿠릴 열도 · 센카쿠 열도)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일본 제국-나치 독일 관계 · 삼국 동맹 조약(추축국) · 왜관
군사 군사 전반(군사사) · 자위대(편성 · 역사 (일본군) · 계급) · 문제점(무기 관련) · 사건 사고 · 군복 · 교육훈련 · 전투식량 ·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통합막료감부 · 방위대학교 · 방위의과대학교 · 재무장 문제 · 주일미군(미일안전보장조약) · 97식 중전차 치하 · 95식 경전차 하고/케고/규고 · 욱일기
사법 · 치안 사법 전반 · 재판소 · 최고재판소 · 일본 형법 · 일본 경찰(계급 · 일본 제국 경찰) · 일본 경찰청 · 경시청 · 나라현 경찰본부 · 공안조사청 · 엔자이 · 저작권법 · 사형제도 · 후추 형무소 · 도쿄 구치소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시대 역사 전반 · 조몬 시대 · 야요이 시대 · 고훈 시대 · 아스카 시대 · 나라 시대 · 헤이안 시대 · 가마쿠라 시대 · 남북조시대 · 무로마치 시대 · 센고쿠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전국 3영걸 · 에도 시대 · 겐로쿠 · 막말 · 메이지 유신 · 메이지 시대 · 다이쇼 시대 · 쇼와 시대 · 헤이세이 시대 · 레이와 시대
정권 야마타이국 · 야마토 왕권 · 소가 · 인세이 · 겐페이토키츠 · 후지와라 · 헤이케 · 막부 · 쇼군 · 가마쿠라 막부 · 싯켄 · 무로마치 막부 · 간레이 · 에도 막부 · · 조슈 번 · 사쓰마 번 · 일본 제국 · 에조 공화국 · 연합군 점령하 일본 · 류큐 왕국
기타 일본서기 · 육국사 · 신찬성씨록 · 관위 · 후궁제도 · 봉행 · 공가 · 사쓰마 번 · 사무라이 · 다이묘 · 닌자 · 공가 · 화족 · 데지마 · 카쿠레키리시탄 · 쿠로후네 사건 · 에조 · 에도 · 왜구 · 다이쇼 데모크라시 · 다이쇼 로망 · 대일본제국 헌법 · 중일전쟁 · 태평양 전쟁 · 일제강점기 · 과거사 청산 문제 · 역코스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일본의 역사왜곡(일본의 전쟁범죄 · 해군선옥론 · 육군악옥론 · 일본 극우사관 · 일본의 피해자 행세 · 야스쿠니 신사 · 전범기업) · 오키나와/역사 · 전공투(적군파)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사회 · 경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경제 경제 전반 · 경제사 · 일본 엔 · 일본은행 · 무역 · 도쿄증권거래소 · 오사카증권거래소 · 닛케이 225 · 재벌 · 대기업 · 취업 · 일본제(목록 · 내수용) · 아베노믹스 ·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 플라자 합의 · 잃어버린 10년 · 일본국채 · 잽머니 · 갈라파고스화 · 블랙기업 · 자동판매기
지리 일본 열도 · 혼슈 · 규슈 · 시코쿠 · 홋카이도 · 난세이 제도 · 류큐 제도 · 오키나와섬 · 오가사와라 제도 · 쓰시마섬 · 지명 · 지역구분 · 간토 · 간사이 · 주부 · 주코쿠 · 도호쿠 · 오키나와 · 행정구역 · 도도부현 · 시정촌 · 도시 · 수도권 · 케이한신 · 주쿄권 · 내지 · 지진(대지진) · 후지산
사회 사회 전반(문제점 · 야쿠자 · 폭주족 · 한구레 · 옴진리교(알레프)) · 국수주의(인종차별 · 혐한 · 극우 미디어물 · 넷 우익 · 일본 대단해 · 애국 비즈니스) · 일본인 · 야마토 민족 · 조몬인 · 야요이인 · 류큐인 · 아이누 · 니브흐 · 윌타 · 오로치 · 재일 외국인(재일 한국-조선인 · 재일 중국인) · 성씨(목록) · 주거 · 주소 · 연호 · 공휴일 · 출산율 · 차량 번호판 · 메이와쿠 · 다테마에 · 오모테나시 · 이지메 · 니트족 · 히키코모리 · 중2병 · 잇쇼켄메이 · 초식남 · 건어물녀 · 여자력 · 야마토 나데시코 · 멘헤라 · 토요코 키즈
언어 일본어족 · 일본어(문법 · 발음) · 도호쿠벤 · 하치조 방언 · 에도벤 · 나고야벤 · 간사이벤 · 도사벤 · 하카타벤 · 우치나 야마토구치 · 일어일문학과 · JLPT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반복 부호 · 스테가나 · 오쿠리가나 · 후리가나 · 만요가나 · 역사적 가나 표기법 · 한자(신자체 · 목록) · 상용한자 · 일본식 한자어 · 류큐어 · 아이누어 · 니브흐어 · 훈독 ·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 세로쓰기 · 일본어 위키백과 · 재플리시(목록) · 한자 문화권
과학 · 기술 해체신서 · 이화학연구소 · 물질·재료 연구기구 · 니호늄 · 아시모 · JAXA · QZSS · H-II · H-III · LE-7 · LE-9 · 엡실론 로켓 ·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 가구야(탐사선) · 하야부사(탐사선) · 아카츠키(탐사선) · 카미오칸데 · KAGRA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대학 목록 · 대학 서열화 · 지잡대 · 제국대학 · 관립대학 · 슈퍼글로벌대학 · 학술연구간담회 · 대학 펀드 · 대학입학공통테스트 · 대학입시센터시험(폐지) · EJU · 편차치 · 관리교육 · 유토리 교육 ·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금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G30 · 실용영어기능검정
교통 교통 전반 · 도로(고속도로 · 국도 · 도도부현도 · 시정촌도) · 교통 패스(홋카이도 · 동일본 · 도카이 · 서일본 · 시코쿠 · 큐슈 · 도서 지역 · 복수 지역) · 철도(철도 환경 · JR그룹 · 대형 사철 · 신칸센) · 공항 목록 · 전일본공수 · 일본항공 · 비짓 재팬 웹 · 좌측통행 · 차량 번호판
교포 일본계 · 일본계 한국인 · 일본계 브라질인 · 일본계 미국인 · 일본계 중국인 · 일본계 팔라우인 · 일본계 러시아인 · 일본계 대만인 · 일본계 멕시코인 · 일본계 인도네시아인 · 일본계 아르헨티나인 · 일본계 영국인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문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예술 일본 음악 · 우타이테 · J-POP · 엔카 · 일본 아이돌 · 전통악기 · NHK 교향악단 · 일본 미술 · 일본 영화(역대 흥행 순위 · 도쿄 국제 영화제) · 일본 드라마 · 찬바라 · 일본 방송(NHK · 일본의 민영방송) · 일본 만화(만화잡지 · 걸작 만화) · 일본 애니메이션(심야 애니메이션) · 가부키 · 라쿠고 · 우키요에 · 하이쿠 · 센류 · 와카(만요슈 · 백인일수) · 모노가타리(겐지모노가타리 · 타케토리모노가타리) · 렌가 · 오리가미 · 노가쿠 · 조루리 · 가가쿠 · 만자이 · 오와라이 · 가레산스이 · 자포네스크 ·오키나와 음악
음식 음식 전반(지리적 표시제 · 급식) · 스시 · 사시미 · 가이세키 · 돈부리(가츠동 · 규동) · 우동 · 소바 · 덴푸라(새우튀김) · 돈가스 · 멘치 · 고로케 · 유부 · 낫토 · 우메보시 · 니쿠자가 · 타쿠앙즈케 · 일본의 술 · 라멘 · 나가사키 짬뽕 · 와규 · 카레라이스 · 오므라이스 · 오니기리 · 오코노미야키 · 몬쟈야키 · 나폴리탄 · 오뎅 · 샤브샤브 · 에키벤 · 카스텔라 · 화과자(모찌 · 만쥬 · 양갱 · 모나카 · 센베이 · 타코야키) · 이자카야 · 오토시 · 오키나와 요리
전통문화 일본학 · 국학 · 기모노 · 유카타 · 촌마게 · 게다 · 오하구로 · 훈도시 · 쥬니히토에 · 료칸 · 다다미 · 코타츠 · 마츠리 · 아마 · 화지 · 가라쿠리 · 부시도 · 일본 갑옷 · 일본도 · 천수각 · 다도 · 쇼기 · 화투 · 카루타 · 게이샤 · 마이코 · 오이란
종교 · 신화 일본/종교 · 신토 · 신사 · 신사본청 · 무녀 · 신궁 · 이세 신궁 · 덴만구 · 이치노미야 · 일본 신화 · 고사기 · 풍토기 · 요괴(오니 · 일본삼대악귀 · 텐구 · 유키온나 · 캇파 · 츠쿠모가미 · 오바케) · 정토교 · 일련종 · 부동명왕 · 창가학회 · 류큐 신토
스포츠 스포츠 전반(도쿄 올림픽) · 프로야구 · 고교야구 전국대회 · 야구 국가대표팀 · 여자 야구 국가대표팀 · J리그 · 축구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그랑프리 · 검도 · 주짓수 · 유도 · 가라테 · 스모 · 아이키도 · 킥복싱 · 슛복싱 · 일본 고류 무술 · 발도술 · 궁도
서브컬처 오타쿠 · 특촬물(일본 3대 특촬물) · 괴수물 · 동인샵 · 아키하바라 · 오토메 로드 · 덴덴타운 · 코믹마켓 · 아키바계 · 코스프레 · 다키마쿠라 · 네코미미(고양이귀) · 이타샤 · 니코니코 동화 · 매드무비 · 5ch · 아스키 아트 · 후타바 채널 · 라이트 노벨 · 미연시 · 비주얼 노벨 · 오토메 게임 · JRPG · 탄막 게임 · 쯔꾸르 · 오락실/일본 · 모에 · 모에화 · 모에 그림 · 츤데레 · 데레 · 존댓말 캐릭터 · 갸루 · 로리타 패션 · 왕자계 · 고스로리 · 양산형 · 지뢰계 · 페어리계 · 데코라계 · 반쵸 · 스케반 · 버츄얼 유튜버(hololive 프로덕션 · 니지산지) · 보컬로이드 · MMD · 음성 합성 엔진 · 프라모델 · 소설가가 되자 · 이세계물 · 거대로봇물 · 슈퍼로봇 · 리얼로봇물 · 마법소녀 · 케모노 · 몬무스 · 메카무스메 · 여간부 · 세카이계 · 가상 아이돌 · 지하 아이돌 · 메이드 카페 · 집사 카페 · 동인녀 · 부녀자 · 상업지 · 에로 동인지 · 에로게 · 야애니 · 에로 라이트 노벨
기타 문화 전반 · 호칭 · 벚꽃 · 가쿠란 · 하쿠란 · 세라복 · 란도셀 · 관광 · 세계유산 · 국립 박물관(도쿄 · 교토 · 나라 · 규슈) · 도쿄 타워 · 도쿄 스카이트리 · 도쿄 디즈니랜드 · 오사카성 ·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 통천각 · 구마모토성 · 레고랜드 재팬 리조트 · 삿포로 눈 축제 · 온천 · 파친코 · 스도쿠 · 가라오케 · 이모지 · 스카잔 · 특공복 · 유루캬라 · 동영 · 왜색 · 와패니즈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대통령 권한대행
*** 사실상 군부 소속
공산국가의 수상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네팔 공산당 (마오주의 센터)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무소속|
무소속
]]
푸슈파 카말 다할 (3차) 줘룽타이 한덕수 (2차)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라오 인민혁명당|
라오 인민혁명당
]]
[[무소속|
무소속
]]
샤나나 구스망 (2차) 쏜싸이 씨판돈 나지브 미카티 (3차)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인민정의당|
인민정의당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무소속|
무소속
]]
안와르 이브라힘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민 아웅 흘라잉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 무함마드 유누스 (임시) 팜민찐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무소속|
무소속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
[[무소속|
무소속
]]
체링 토브가이 (2차) 김덕훈 하사날 볼키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무소속|
무소속
]]
[[스리랑카 인민전선|
스리랑카 인민전선
]]
[[바트당|
바트당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 디네쉬 구나와데나 후세인 아르누스 (2차)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인민행동당|
인민행동당
]]
[[무소속|
무소속
]]
[[탈레반|
탈레반
]]
로렌스 웡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압둘 가니 바라다르
(정치 및 외교)
무하마드 야쿠브
(군사 작전)
시라주딘 하카니
(재정 및 군수 물자)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국민전체회의|
국민전체회의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아마드 아와드 빈 무바라크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 비셰르 알카사우네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이슬람 다와당|
이슬람 다와당
]]
[[리쿠드|
리쿠드
]]
압둘라 아리포프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베냐민 네타냐후 (6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자유민주당(일본)|
자유민주당
]]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
나렌드라 모디 (3차) 이시바 시게루 리창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아마나트|
아마나트
]]
[[무소속|
무소속
]]
[[캄보디아 인민당|
캄보디아 인민당
]]
올자스 벡테노프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 훈 마넷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무소속|
무소속
]]
[[아르 나므스|
아르 나므스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아마드 알압둘라 알사바 (국왕의 조카) 아킬베크 자파로프 코히르 라술조다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태국인당|
태국인당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
[[파타|
파타
]]
패통탄 친나왓 셰바즈 샤리프 (2차) 무함마드 무스타파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신민주주의당|
신민주주의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차) 주소이트 콘스탄틴 딕 스호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노동당(노르웨이)|
노동당
]]
[[사회민주당(덴마크)|
사회민주당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요나스 가르 스퇴레 메테 프레데릭센 (2차) 올라프 숄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신단결|
신단결
]]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루마니아)|
사회민주당
]]
에비카 실리냐 미하일 미슈스틴 (2차) 마르첼 치올라쿠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기독사회인민당|
기독사회인민당
]]
[[무소속|
무소속
]]
[[애국연합|
애국연합
]]
뤼크 프리당 잉그리다 시모니테 다니엘 리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무소속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무소속|
무소속
]]
피에르 다르투 밀로이코 스파이치 도린 레체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노동당(몰타)|
노동당
]]
[[무소속|
무소속
]]
[[Open VLD|
Open VLD
]]
로버트 아벨라 (2차) 피에트로 파롤린 알렉산더르 더크로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무소속|
무소속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VMRO-DPMNE
]]
라만 할로우찬카 (2차) 보랴나 크리슈토 흐리스티얀 미츠코스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국민통일당|
국민통일당
]]
[[무소속|
무소속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위날 위스텔 디미터르 글라브체프 밀로시 부체비치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온건당|
온건당
]]
[[스위스 녹색자유당|
스위스 녹색자유당
]]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
울프 크리스테르손 빅토르 로시 페드로 산체스 (3차)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사회민주당(슬로바키아)|
방향-사회민주주의
]]
[[자유운동(슬로베니아)|
자유운동
]]
[[시민계약(정당)|
시민계약
]]
로베르트 피초 (4차) 로베르트 골로프 니콜 파시냔 (3차)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독립당(아이슬란드)|
독립당
]]
[[피너 게일|
피너 게일
]]
[[무소속|
무소속
]]
뱌르드니 베네딕트손 (2차) 사이먼 해리스 알리 아사도프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안도라 민주당|
안도라 민주당
]]
[[알바니아 사회당|
알바니아 사회당
]]
[[아이타이라|
아이타이라
]]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차) 에디 라마 (3차) 알렉산드르 안콰브 (2차)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개혁당|
에스토니아 개혁당
]]
[[노동당(영국)|
노동당
]]
[[오스트리아 인민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
크리스텐 미할 (1차) 키어 스타머 카를 네하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무소속|
무소속
]]
[[이탈리아의 형제들|
이탈리아의 형제들
]]
[[조지아의 꿈|
조지아의 꿈
]]
데니스 시미할 조르자 멜로니 이라클리 코바키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시민민주당|
시민민주당
]]
[[자결당|
자결당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페트르 피알라 알빈 쿠르티 (2차)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3차)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시민 연단|
시민 연단
]]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 루이스 몬테네그루 도날트 투스크 (3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정당)|
르네상스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미셸 바르니에 페테리 오르포 오르반 빅토르 (5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대통령 권한대행
공산국가의 수상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국민민주회의(그레나다)|
국민민주회의
]]
[[도미니카 노동당|
도미니카 노동당
]]
마크 필립스 디콘 미첼 루스벨트 스케릿 (5차)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바베이도스 노동당|
바베이도스 노동당
]]
[[진보자유당|
진보자유당
]]
[[인민연합당|
인민연합당
]]
미아 모틀리 (2차) 필립 데이비스 조니 브리세뇨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
[[통일노동당|
통일노동당
]]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
필립 조셉 피에르 랄프 곤살베스 (5차) 테런스 드루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자메이카 노동당|
자메이카 노동당
]]
게리 코닐 (권한대행) 개스턴 브라운 (3차) 앤드루 홀네스 (3차)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캐나다 자유당|
캐나다 자유당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
]]
[[인민민족운동|
인민민족운동
]]
쥐스탱 트뤼도 (3차) 마누엘 마레로 크루스 (2차) 키스 롤리 (2차)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무소속
]]
구스타보 아드리안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레몽 은동 시마 (임시) 바 우리 후이 두아르테 드 바호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무소속|
무소속
]]
[[번영을 위한 혁명|
번영을 위한 혁명
]]
사라 쿠공겔롸 (2차) 알리 라민 제인 샘 마테카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사회민주당(르완다)|
사회민주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에두아르 응기렌테 (2차) 압둘 하미드 드베이베 크리스티앙 은차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무소속|
무소속
]]
[[독립국민연합|
독립국민연합
]]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 아지즈 아칸누시 프래빈드 주그노트 (2차)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공정당|
공정당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
모하메드 울드 빌랄 아드리아누 말레이안 제르베 은디라코부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무소속|
무소속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 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 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차)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무소속|
무소속
]]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무소속|
무소속
]]
우스만 송코 함자 압디 바레 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 나디르 라르바우이 러셀 들라미니 (왕족)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번영당|
번영당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무소속|
무소속
]]
아비 아머드 로비나 나반자 무스타파 아드불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적도 기니 민주당|
적도 기니 민주당
]]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 펠릭스 몰루아 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차)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개혁당(차드)|
개혁당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민주운동(카보베르데)|
민주운동
]]
알라마예 할리나 조셉 응구테 (2차) 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차)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공화연합|
공화연합
]]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콩고의 미래|
콩고의 미래
]]
로베르 뵈그레 맘베 아나톨 콜리넷 마코소 (2차) 주디스 툴루카 수민와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무소속|
무소속
]]
카심 마잘리와 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 아메드 하차니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뉴질랜드 국민당|
국민당
]]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
[[사모아 연합 내 믿음|
사모아 연합 내 믿음
]]
크리스토퍼 럭슨 샬롯 살와이 (2차)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제러마이아 머넬레 시아오시 소발레니 펠레티 테오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팡구당|
팡구당
]]
[[인민동맹|
인민동맹
]]
[[호주 노동당|
호주 노동당
]]
제임스 마라페 시티베니 람부카 (2차) 앤서니 앨버니지 }}}}}}}}}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일본국 내각총리대신
日本国内閣総理大臣
Prime Minister of Japan
<bgcolor=#fff>파일:Ishiba Shigeru 20241001.jpg
현직 <colbgcolor=#ffffff,#1c1d1f>이시바 시게루 / 제102대
취임일 2024년 10월 1일
정당

관저 수상관저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일본국 정부의 인장[1]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문장.svg
내각총리대신의 문장
1. 개요2. 호칭3. 역사4. 선출5. 권한
5.1. 입법권(국회)5.2. 행정권(내각)5.3. 통수권(군권)5.4. 정보부
6. 기타 사항
6.1. 수상관저6.2. 급여6.3. 전용기와 전용차
7. 역대 내각총리대신
7.1. 메이지 시대7.2. 다이쇼 시대7.3. 쇼와 시대
7.3.1. 전전7.3.2. 전시7.3.3. 전후
7.4. 헤이세이 시대7.5. 레이와 시대
8. 통계
8.1. 생존 중인 전직 내각총리대신8.2. 자연사 이외 사유로 사망8.3. 불명예 퇴진(내각불신임결의)8.4. 재임일 순위
9. 여담

[clearfix]

1. 개요


일본국 내각총리대신([ruby(内閣総理大臣, ruby=ないかくそうりだいじん)])은 일본국정부수반이자, 내각의 대표자이다.

내각총리대신은 국회의원들 중에서 국회의 의결에 의해 지명된다. 자격은 '국회의원' 뿐이지만[2], 관례상 중의원과 참의원 의원의 투표로 중의원 의원 중에서 다수당 당대표가 지명된다. 일본의 사실상 국군인 자위대의 최고지휘감독권(통수권) 또한 총리의 권한이며, 타국의 계엄령에 준하는 치안출동 및 경호출동명령 역시 도도부현의 장의 요청에 따라 총리가 선포한다.

2. 호칭

일본천황군주로 있는 입헌군주국이기 때문에 대신(大臣)이라고 부른다. 일본국 헌법에 따르면 '행정권이 속하는 내각(内閣)의 수장'으로 정의되어 있다. 공식 명칭은 내각총리대신이지만 내각의 상(相, 장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장이라는 뜻으로 수상([ruby(首相, ruby=しゅしょう)])이라고도 칭하며, 이는 각료(장관)의 경우도 똑같아서 법무성의 수장인 법무대신(法務大臣)은 법상([ruby(法相, ruby=ほうしょう)])[3], 재무성의 수장인 재무대신(財務大臣)은 재상([ruby(財相, ruby=ざいしょう)]), 외무성의 수장인 외무대신(外務大臣)은 외상([ruby(外相, ruby=がいしょう)]), 경제산업성의 수장 경제산업대신(経済産業大臣)은 경산상([ruby(経産相, ruby=けいさんしょう)]) 등으로 줄여 부른다. 舊 내무성, 대장성의 수장인 내무대신(内務大臣), 대장대신(大蔵大臣)은 각각 내상([ruby(内相, ruby=ないしょう)]), 장상([ruby(蔵相, ruby=ぞうしょう)])으로 줄여서 불렀다.

다만 한국과 달리 공식 석상에서 그냥 총리라고 하는 경우는 많이 없고, 반대로 정식 명칭인 내각총리대신([ruby(内閣総理大臣, ruby=ないかくそうりだいじん)]; 나이카쿠소리다이진)라고 하는 경우도 드물다. 일반적으로 총리대신([ruby(総理大臣, ruby=そうりだいじん)]; 소리다이진)이라고 부른다. 상술하였듯 일본은 내각 각료가 입헌군주국가의 '대신' 지위이고 한국은 대통령제 정부조직하에서 그냥 임명직 공무원이며 '국무총리'가 정식 명칭이다. 또한 총리에 대해서는 각하([ruby(閣下, ruby=かっか)])라는 경칭이 사용되기도 한다. 다만, 폐하전하와 같은 황실 구성원에 대한 경칭과는 달리 법적인 근거는 없고 '각하'라고 하면 굉장히 딱딱하고 포멀한 칭호가 되기 때문에 일상 업무 등에서는 총리대신이나 총리라고 많이 하는 편이다.

3. 역사

근대에 이르러 메이지 유신을 거친 직후 일본은 나라 시대에 제정된, 태정대신(太政大臣), 좌대신(左大臣), 우대신(右大臣) 등으로 이루어진 '태정관 제도'를 살려 정부조직을 구성했다.[4] 그렇지만 나라 시대에 만들어진 제도를 근대 국가에 적용하려니 문제가 많았다. 그리고 태정대신은 일본 율령제에만 존재하는 비상설 명예직이라서 권한이 적었고 내무성의 '내무경'이 실질적인 정치적 실권을 가졌는데 오쿠보 도시미치가 초대 내무경이었다. 이후 1885년이토 히로부미의 주도로 근대적인 내각 제도가 도입되면서 내각 제도와 내각총리대신이 나타나고 1889년대일본제국 헌법을 제정하면서 확립하게 된다.

임명은 천황이 하며 선출은 법률로 규정되어 있지 않았다. 메이지 초기에서 쇼와 초기까지는 원로(元老)[5]의 추천에 따라서 임명되었으며,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에는 중의원에서 제1정당의 대표가 추천을 받아 임명되기도 했다. 쇼와 초기에서 일제 패망까지는 '중신회의'(重臣会議)[6]에서 추천되었다.

이 무렵 총리의 실권은 약간 미묘했는데, 제국 헌법에는 내각이나 내각총리대신에 대한 직접적인 규정이 없으며, 내각총리대신은 "다른 국무대신들과 동등한 지위의 수석대신으로서 천황을 보필하는 존재"이며, 내각은 각 대신의 협의와 의사통일을 위한 조직체 정도로 정의되었다.

하지만 의사통일을 한다고 한들, 총리는 각 대신에 대해서 임명권이 없으며 대신을 파면할 수 없고, 설득이나 사임을 촉구하는 정도의 행동밖에 할 수 없었다. 실패하면 내각총사퇴를 할 수밖에 없으며 게다가 육군대신, 해군대신 등은 '현역 무관'을 임명하도록 육군성 관제와 해군성 관제(官制)[7]에 규정되어 있었으므로 내각의 구성이 의 뜻에 따라서 제한을 받았다. 예를 들어 육군에서 내각이 마음에 안 들면 육군대신이 사임하고 아무도 내각에 안 들어가면 되고, 그럼 내각이 붕괴해서 다시 군의 말을 들을 수밖에 없다.[8] 그래도 고집부리면 "암살"이었으며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절 등에는 총리가 정부수반 혹은 국가지도자처럼 기능했지만, 사실 아닌 경우가 더 많았다. 이 시기에는 총리보다 훨씬 더 실권이 컸던 직책도 많았다.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일본국 헌법을 제정함에 따라 일반적인 의원내각제총리와 역할이 유사해졌다.

4. 선출

전후 일본에서 총리대신의 자격은 국회의원 중에서 국회의 과반수 의결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 헌법에 정해져 있다. 이 밖에 관습적으로는 집권정당의 대표며, 당원에게 총리의 자격이 부여되었다고 인정된 자여야 한다. 국회 양원의 투표로 총리후보를 지명[9]한 뒤 천황이 총리에게 임명장[10]을 수여한다. 물론 현대 입헌군주제 국가가 다 그렇듯 천황의 임명은 형식적인 절차에 불과하다.

일반적으로 내각총리대신은 중의원(하원)에서 최대세력을 차지하는 정당의 당수, 혹은 연립 여당 가운데 하나의 당수가 지명된다. 지명 시 요건을 국회의원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참의원(상원) 의원이 총리에 취임할 수도 있으며 중의원의 수반 지명 선거에서 참의원 의원이 득표를 받은 사례도 다수 존재하지만, 참의원 의원이 총리가 된 사례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총리와 국무대신(각료)은 '문민(文民: Civilian)'이어야 한다고 헌법에 명시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문민이란, 1973년 정부 견해에 따르면, 옛 제국군직업군인 경력을 지닌 자로서 군국주의 사상에 깊이 물들었다고 생각되는 자 및 자위관을 제외한 자를 가리킨다.

5. 권한

5.1. 입법권(국회)

5.2. 행정권(내각)

5.3. 통수권(군권)

파일:일본 자위대 내각총리대신기.svg
자위대 내각총리대신 깃발
내각총리대신은 막강한 권한인 자위대(自衛隊)의 통수권을 지닌다. 일본에서는 이를 최고지휘감독권(最高指揮監督權)이라고 한다. 사실상 군 최고통수권자이기에 총리의 깃발은 벚꽃 5개로 군부 계급인 별로 치면 최고사령관원수의 계급이 된다.

대일본제국 헌법 시기 일본군의 통수권은 천황이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패전 후 일본은 맥아더 연합군최고사령관이 이끄는 연합군사령부 군정의 통제를 엄격하게 받아 군대의 보유 자체를 금지당하고 자위권 차원의 군대가 아닌 자위대의 보유만이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천황의 자위대에 대한 통수권도 부정되었다.
파일:일본 통합막료장기.svg 파일:일본 육상자위대 참모총장기.svg
통합막료장 육상막료장
파일:일본 해상자위대 참모총장기.svg 파일:일본 항공자위대 참모총장기.svg
해상막료장 항공막료장

위의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막료장들 깃발과 비교하면 내각총리대신벚꽃 개수는 하나 더 많다.[16]

5.4. 정보부

내각총리대신이 이끄는 일본국가정보회의는 구성이 이러하다. 아래 조직들은 정보력이 매우 뛰어난 편이며. 자위대와의 정보공유 관계가 매우 조밀하게 운영되고 있다.

6. 기타 사항

6.1. 수상관저

6.2. 급여

아베 신조 전 총리는 2015년에 연 4,065만 엔 정도를 수령했다. 총리 + 국회의원으로서 2,902만 8,000엔을 수령하며, 여기에 1년에 두 번 보너스 581만 엔이 주어졌다. 출처 환율을 1엔당 9~10원으로 계산할 경우 대한민국 대통령 연봉과 거의 비슷(4억 원)하다.

6.3. 전용기와 전용차

총리의 전용기는 존재하지 않지만 일본정부전용기를 통해 천황과 전용기를 공유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총 2기가 운용되는데, 정규기 1기를 예비기인 2기와 반드시 함께 이동한다. 천황과 총리의 해외 방문 일정이 동시에 겹칠 경우에는 천황이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총리는 전일본공수 등 민항사에서 임차한 특별기로 이동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한다. 참고로 황태자/황사[17] 역시도 외국 공무에 한해서 전용기를 사용할 권리를 가지고 있는데, 만일 황태자와 총리가 서로 일정이 겹칠 경우에는 총리 우선이기에 총리의 공무 일정을 확인하고 최대한 이를 피해서 공무를 하는 편이라고 한다. 이 전용기들은 다른 국가들이 공군에서 관리하듯이 항공자위대가 관리하나 수리 및 미사용 시 보관은 JAL이 담당하고 있다. 명목상 천황이 총리보다 우선권을 갖지만 천황의 해외 순방은 극히 적어서 정부수반총리가 전용기를 더 많이 사용한다.
일본 총리의 전용 차량은 토요타가 생산하는 센추리렉서스 LS600hL을 같이 이용하고 있다. 센추리는 1967년부터 이용된 전통적인 총리의 관용차종이였으며 렉서스는 2008년 6월 홋카이도 도야코 정상회담을 앞두고 친 환경적인 차량으로 새로 도입된 차종이다. 총리 전용차는 당연하게 방탄기능이 들어간 특수제작 차량으로 일본 정부의 각료 중에서는 유일하게 총리 전용차만 특수제작된 차량이 이용된다.


유튜브 일본어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이 영상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경호원들이 자전거 탑승자를 경계한다.


도로를 전면 통제하는 대신에 경호원들이 직접 몸을 내밀고 합류 신호를 보낸다. 일본 수도권고속도로이다. 아베 신조 총리 시절에 찍힌 영상인데, 사실 이때 아베가 수상관저에 살지 않고 집에서 출퇴근했기 때문에 이런 것.


7. 역대 내각총리대신

7.1. 메이지 시대

<rowcolor=#c3c965> 대수 이름 소속 정당 차수 임기 재임일수 중의원
선거
비고
<rowcolor=#c3c965> 시작일 종료일
초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01.jpg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841 ~ 1909)
조슈 번 1차 1885년 12월 22일 1888년 4월 30일 2년 130일 [18]
제2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02.jpg 구로다 기요타카
黒田清隆
(1840 ~ 1900)
사쓰마 번 1888년 4월 30일 1889년 10월 25일 1년 178일 [19]
제3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03.jpg 야마가타 아리토모
山縣有朋
(1838 ~ 1922)
군벌 1차 1889년 12월 24일 1891년 5월 6일 1년 133일 1회 [20]
제4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04.jpg 마쓰카타 마사요시
松方正義
(1835 ~ 1924)
사쓰마 번 1차 1891년 5월 6일 1892년 8월 8일 1년 95일 2회
제5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01.jpg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841 ~ 1909)
조슈 번 2차 1892년 8월 8일 1896년 8월 31일 4년 23일 3회 [21]
4회
제6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04.jpg 마쓰카타 마사요시
松方正義
(1835 ~ 1924)
사쓰마 번 2차 1896년 9월 18일 1898년 1월 12일 1년 116일
제7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01.jpg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841 ~ 1909)
조슈 번 3차 1898년 1월 12일 1898년 6월 30일 169일 5회
제8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08.jpg 오쿠마 시게노부
大隈重信
(1838 ~ 1922)
헌정본당 1차 1898년 6월 30일 1898년 11월 8일 131일 6회
제9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03.jpg 야마가타 아리토모
山縣有朋
(1838 ~ 1922)
군벌 2차 1898년 11월 8일 1900년 10월 19일 1년 345일
제10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01.jpg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841 ~ 1909)
입헌정우회 4차 1900년 10월 19일 1901년 5월 10일 203일 [22]
제11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11.jpg 가쓰라 다로
桂太郎
(1848 ~ 1913)
군벌 1차 1901년 6월 2일 1906년 1월 7일 4년 220일 7회 [23]
8회
9회
제12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12.jpg 사이온지 긴모치
西園寺公望
(1849 ~ 1940)
입헌정우회
(공가)
1차 1906년 1월 7일 1908년 7월 14일 2년 189일
제13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11.jpg 가쓰라 다로
桂太郎
(1848 ~ 1913)
군벌 2차 1908년 7월 14일 1911년 8월 30일 3년 47일 10회
제14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12.jpg 사이온지 긴모치
西園寺公望
(1849 ~ 1940)
입헌정우회
(공가)
2차 1911년 8월 30일 1912년 12월 21일 1년 114일 11회

7.2. 다이쇼 시대

<rowcolor=#c3c965> 대수 이름 소속 정당 차수 임기 재임일수 중의원
선거
비고
<rowcolor=#c3c965> 시작일 종료일
제14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12.jpg 사이온지 긴모치
西園寺公望
(1849 ~ 1940)
입헌정우회
(공가)
2차 1911년 8월 30일 1912년 12월 21일 1년 114일 11회
제15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11.jpg 가쓰라 다로
桂太郎
(1848 ~ 1913)
입헌동지회 3차 1912년 12월 21일 1913년 2월 20일 61일 [24]
제16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16.jpg 야마모토 곤노효에
山本権兵衛
(1852 ~ 1933)
해군 1차 1913년 2월 20일 1914년 4월 16일 1년 55일
제17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08.jpg 오쿠마 시게노부
大隈重信
(1838 ~ 1922)
입헌동지회 2차 1914년 4월 16일 1916년 10월 9일 2년 177일 12회 [25]
제18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18.jpg 데라우치 마사타케
寺内正毅
(1852 ~ 1919)
육군 1916년 10월 9일 1918년 9월 29일 1년 355일 13회 [26]
제19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19.jpg 하라 다카시
原敬
(1856 ~ 1921)
입헌정우회 1918년 9월 29일 1921년 11월 4일 3년 37일 14회 [27]
제20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20.jpg 다카하시 고레키요
高橋是清
(1854 ~ 1936)
입헌정우회 1921년 11월 13일 1922년 6월 12일 211일 [28]
제21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21.jpg 가토 도모사부로
加藤友三郎
(1861 ~ 1923)
해군 1922년 6월 12일 1923년 8월 24일 1년 73일 [29]
제22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16.jpg 야마모토 곤노효에
山本権兵衛
(1852 ~ 1933)
해군 2차 1923년 9월 2일 1924년 1월 7일 127일
제23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23.jpg 기요우라 게이고
清浦奎吾
(1850 ~ 1942)
연구회[30] 1924년 1월 7일 1924년 6월 11일 156일
제24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24.jpg 가토 다카아키
加藤高明
(1860 ~ 1926)
헌정회 1924년 6월 11일 1926년 1월 28일 1년 231일 15회 [31]
제25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25.jpg 와카쓰키 레이지로
若槻禮次郎
(1866 ~ 1949)
헌정회 1차 1926년 1월 30일 1927년 4월 20일 1년 80일 [32]

7.3. 쇼와 시대

7.3.1. 전전

<rowcolor=#c3c965> 대수 이름 소속 정당 차수 임기 재임일수 중의원
선거
비고
<rowcolor=#c3c965> 시작일 종료일
제25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25.jpg 와카쓰키 레이지로
若槻禮次郎
(1866 ~ 1949)
헌정회 1차 1926년 1월 30일 1927년 4월 20일 1년 80일 15회 [33]
제26대 파일:external/www.westatic.com/souri26.jpg 다나카 기이치
田中義一
(1864 ~ 1929)
입헌정우회
(육군)
1927년 4월 20일 1929년 7월 2일 2년 74일 16회 [34]
제27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27.jpg 하마구치 오사치
濱口雄幸
(1870 ~ 1931)
입헌민정당 1929년 7월 2일 1931년 4월 14일 1년 286일 17회 [35]
제28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25.jpg 와카쓰키 레이지로
若槻禮次郎
(1866 ~ 1949)
입헌민정당 2차 1931년 4월 14일 1931년 12월 13일 243일 [36]
제29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29.jpg 이누카이 쓰요시
犬養毅
(1855 ~ 1932)
입헌정우회 1931년 12월 13일 1932년 5월 15일 155일 18회 [37]
제30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30.jpg 사이토 마코토
齋藤実
(1858 ~ 1936)
해군 1932년 5월 26일 1934년 7월 8일 2년 43일 [38]
제31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31.jpg 오카다 게이스케
岡田啓介
(1868 ~ 1952)
해군 1934년 7월 8일 1936년 3월 9일 1년 245일 19회 [39]
제32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32.jpg 히로타 고키
廣田弘毅
(1878 ~ 1948)
무소속 1936년 3월 9일 1937년 2월 2일 330일 [40]
제33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33.jpg 하야시 센주로
林銑十郎
(1876 ~ 1943)
육군 1937년 2월 2일 1937년 6월 4일 122일 20회
제34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34.jpg 고노에 후미마로
近衛文麿
(1891 ~ 1945)
공가 1차 1937년 6월 4일 1939년 1월 5일 1년 215일 [41]

7.3.2. 전시

<rowcolor=#c3c965> 대수 이름 소속 정당 차수 임기 재임일수 중의원
선거
비고
<rowcolor=#c3c965> 시작일 종료일
제34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34.jpg 고노에 후미마로
近衛文麿
(1891 ~ 1945)
공가 1차 1937년 6월 4일 1939년 1월 5일 1년 215일 20회 [42]
제35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35.jpg 히라누마 기이치로
平沼騏一郎
(1867 ~ 1952)
무소속 1939년 1월 5일 1939년 8월 30일 237일 [43]
제36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36.jpg 아베 노부유키
阿部信行
(1875 ~ 1953)
육군 1939년 8월 30일 1940년 1월 15일 138일 [44]
제37대 파일:external/japan.kantei.go.jp/souri37.jpg 요나이 미쓰마사
米内光政
(1880 ~ 1948)
해군 1940년 1월 16일 1940년 7월 22일 188일 [45]
제38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34.jpg 고노에 후미마로
近衛文麿
(1891 ~ 1945)
대정익찬회 2차 1940년 7월 22일 1941년 7월 18일 361일
제39대 3차 1941년 7월 18일 1941년 10월 16일 92일
제40대 파일:4QmKTki.jpg 도조 히데키
東條英機
(1884 ~ 1948)
대정익찬회 1941년 10월 18일 1944년 7월 18일 2년 274일 21회 [46]
제41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41.jpg 고이소 구니아키
小磯國昭
(1880 ~ 1950)
대정익찬회 1944년 7월 22일 1945년 4월 7일 259일 [47]
제42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42.jpg 스즈키 간타로
鈴木貫太郎
(1868 ~ 1948)
대정익찬회 1945년 4월 7일 1945년 8월 17일 132일 [48]

7.3.3. 전후

<rowcolor=#c3c965> 대수 이름 소속 정당 차수 임기 재임일수 중의원
선거
비고
<rowcolor=#c3c965> 시작일 종료일
제42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42.jpg 스즈키 간타로
鈴木貫太郎
(1868 ~ 1948)
대정익찬회 1945년 4월 7일 1945년 8월 17일 132일 21회 [49]
제43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43.jpg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50]
東久邇宮稔彦王
(1887 ~ 1990)
무소속 1945년 8월 17일 1945년 10월 9일 54일 [51]
제44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44.jpg 시데하라 기주로
幣原喜重郎
(1872 ~ 1951)
동화회[52] 1945년 10월 9일 1946년 5월 22일 225일 [53]
제45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45.jpg 요시다 시게루
吉田茂
(1878 ~ 1967)
일본자유당 1차 1946년 5월 22일 1947년 5월 24일 1년 2일 22회 [54]
제46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46.jpg 가타야마 데츠
片山哲
(1887 ~ 1978)
일본사회당 1947년 5월 24일 1948년 3월 10일 291일 23회
제47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47.jpg 아시다 히토시
芦田均
(1887 ~ 1959)
민주당 1948년 3월 10일 1948년 10월 15일 219일
제48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45.jpg 요시다 시게루
吉田茂
(1878 ~ 1967)}
민주자유당 2차 1948년 10월 15일 1949년 2월 16일 6년 57일
제49대 3차 1949년 2월 16일 1952년 10월 30일 24회
제50대 자유당 4차 1952년 10월 30일 1953년 5월 21일 25회
제51대 5차 1953년 5월 21일 1954년 12월 10일 26회
제52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52.jpg 하토야마 이치로
鳩山一郎
(1883 ~ 1959)
일본민주당 1차 1954년 12월 10일 1955년 3월 19일 2년 14일 [55]
제53대 2차 1955년 3월 19일 1955년 12월 22일 27회
제54대 자유민주당 3차 1955년 12월 22일 1956년 12월 23일
제55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55.jpg 이시바시 단잔
石橋湛山
(1884 ~ 1973)
자유민주당 1956년 12월 23일 1957년 2월 25일 65일
제56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56.jpg 기시 노부스케
岸信介
(1896 ~ 1987)
자유민주당 1차 1957년 2월 25일 1958년 6월 12일 3년 146일
제57대 2차 1958년 6월 12일 1960년 7월 19일 28회
제58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58.jpg 이케다 하야토
池田勇人
(1899 ~ 1965)
자유민주당 1차 1960년 7월 19일 1960년 12월 8일 4년 114일
제59대 2차 1960년 12월 8일 1963년 12월 9일 29회
제60대 3차 1963년 12월 9일 1964년 11월 9일 30회
제61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61.jpg 사토 에이사쿠
佐藤栄作
(1901 ~ 1975)
자유민주당 1차 1964년 11월 9일 1967년 2월 17일 7년 242일 [56]
제62대 2차 1967년 2월 17일 1970년 1월 4일 31회
제63대 3차 1970년 1월 4일 1972년 7월 7일 32회
제64대 파일:souri64.jpg 다나카 가쿠에이
田中角栄
(1918 ~ 1993)
자유민주당 1차 1972년 7월 7일 1972년 12월 22일 2년 156일
제65대 2차 1972년 12월 22일 1974년 12월 9일 33회
제66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66.jpg 미키 다케오
三木武夫
(1907 ~ 1988)
자유민주당 1974년 12월 9일 1976년 12월 24일 2년 16일
제67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67.jpg 후쿠다 다케오
福田赳夫
(1905 ~ 1995)
자유민주당 1976년 12월 24일 1978년 12월 7일 1년 348일 34회
제68대 파일:souri68.jpg 오히라 마사요시
大平正芳
(1910 ~ 1980)
자유민주당 1차 1978년 12월 7일 1979년 11월 9일 1년 189일
제69대 2차 1979년 11월 9일 1980년 6월 12일 35회 [57]
제70대 파일:attachment/스즈키 젠코/70.jpg 스즈키 젠코
鈴木善幸
(1911 ~ 2004)
자유민주당 1980년 7월 17일 1982년 11월 27일 2년 133일 36회
제71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71.jpg 나카소네 야스히로
中曽根康弘
(1918 ~ 2019)
자유민주당 1차 1982년 11월 27일 1983년 12월 27일 4년 345일 [58]
제72대 2차 1983년 12월 27일 1986년 7월 22일 37회
제73대 3차 1986년 7월 22일 1987년 11월 6일 38회
제74대 파일:souri74.jpg 다케시타 노보루
竹下登
(1924 ~ 2000)
자유민주당 1987년 11월 6일 1989년 6월 3일 1년 210일

7.4. 헤이세이 시대

<rowcolor=#c3c965> 대수 이름 소속 정당 차수 임기 재임일수 중의원
선거
비고
<rowcolor=#c3c965> 시작일 종료일
제74대 파일:souri74.jpg 다케시타 노보루
竹下登
(1924 ~ 2000)
자유민주당 1987년 11월 6일 1989년 6월 3일 1년 210일 38회
제75대 파일:external/www.westatic.com/souri75.jpg 우노 소스케
宇野宗佑
(1922 ~ 1998)
자유민주당 1989년 6월 3일 1989년 8월 10일 69일 [59]
제76대 파일:souri76.jpg 가이후 도시키
海部俊樹
(1931 ~ 2022)
자유민주당 1차 1989년 8월 10일 1990년 2월 28일 2년 88일
제77대 2차 1990년 2월 28일 1991년 11월 5일 39회
제78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78.jpg 미야자와 기이치
宮澤喜一
(1919 ~ 2007)
자유민주당 1991년 11월 5일 1993년 8월 9일 1년 279일 [60]
제79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79.jpg 호소카와 모리히로
細川護熙
(1938 ~ )
일본신당 1993년 8월 9일 1994년 4월 28일 263일 40회 [61]
제80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80.jpg 하타 쓰토무
羽田孜
(1935 ~ 2017)
신생당 1994년 4월 28일 1994년 6월 30일 64일 [62]
제81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81.jpg 무라야마 도미이치
村山富市
(1924 ~ )
일본사회당 1994년 6월 30일 1996년 1월 11일 1년 196일 [63]
제82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82.jpg 하시모토 류타로
橋本龍太郎
(1937 ~ 2006)
자유민주당 1차 1996년 1월 11일 1996년 11월 7일 2년 201일 [64]
제83대 2차 1996년 11월 7일 1998년 7월 30일 41회
제84대 파일:souri84.jpg 오부치 게이조
小渕恵三
(1937 ~ 2000)
자유민주당 1998년 7월 30일 2000년 4월 5일 1년 251일 [65]
제85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85-86.jpg 모리 요시로
森喜朗
(1937 ~ )
자유민주당 1차 2000년 4월 5일 2000년 7월 4일 1년 22일
제86대 2차 2000년 7월 4일 2001년 4월 26일 42회
제87대 파일:souri87-89.jpg 고이즈미 준이치로
小泉純一郎
(1942 ~ )
자유민주당 1차 2001년 4월 26일 2003년 11월 19일 5년 154일 [66]
제88대 2차 2003년 11월 19일 2005년 9월 21일 43회
제89대 3차 2005년 9월 21일 2006년 9월 26일 44회
제90대 파일:souri90.jpg 아베 신조
安倍晋三
(1954 ~ 2022)
자유민주당 1차 2006년 9월 26일 2007년 9월 26일 1년 1일 [67]
제91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91.jpg 후쿠다 야스오
福田康夫
(1936 ~ )
자유민주당 2007년 9월 26일 2008년 9월 24일 365일 [68]
제92대 파일:external/www.weblio.jp/souri92.jpg 아소 다로
麻生太郎
(1940 ~ )
자유민주당 2008년 9월 24일 2009년 9월 16일 358일 [69]
제93대 파일:souri93.jpg 하토야마 유키오
鳩山由紀夫
(1947 ~ )
민주당 2009년 9월 16일 2010년 6월 8일 266일 45회 [70]
제94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94.jpg 간 나오토
菅直人
(1946 ~ )
민주당 2010년 6월 8일 2011년 9월 2일 1년 86일
제95대 파일:external/www.kantei.go.jp/souri95.jpg 노다 요시히코
野田佳彦
(1957 ~ )
민주당 2011년 9월 2일 2012년 12월 26일 1년 116일
제96대 파일:souri96.jpg 아베 신조
安倍晋三
(1954 ~ 2022)
자유민주당 2차 2012년 12월 26일 2014년 12월 24일 7년 266일 46회 [71]
제97대 3차 2014년 12월 24일 2017년 11월 1일 47회
제98대 4차 2017년 11월 1일 2020년 9월 16일 48회 [72]

7.5. 레이와 시대

<rowcolor=#c3c965> 대수 이름 소속 정당 차수 임기 재임일수 중의원
선거
비고
<rowcolor=#c3c965> 시작일 종료일
제98대
파일:souri96.jpg
아베 신조
安倍晋三
(1954 ~ 2022)
자유민주당 4차 2017년 11월 1일 2020년 9월 16일 2년 318일[73] 48회 [74]
제99대
파일:스가 요시히데.png
스가 요시히데
菅義偉
(1948 ~ )
자유민주당 2020년 9월 16일 2021년 10월 4일 1년 19일
제100대
파일:Fumio_Kishida_202110041.jpg
기시다 후미오
岸田文雄
(1957 ~ )
자유민주당 1차 2021년 10월 4일 2021년 11월 10일 2년 365일
제101대 2차 2021년 11월 10일 2024년 10월 1일 49회
제102대
파일:Ishiba Shigeru 20241001.jpg
이시바 시게루
石破茂
(1957 ~ )
자유민주당 2024년 10월 1일
제103대 50회

8. 통계

8.1. 생존 중인 전직 내각총리대신

파일:Morihiro_Hosokawa_19930809.jpg
파일:Tomiichi_Murayama_19940630.jpg
파일:Yoshiro_Mori_20000405.jpg
파일:Junichiro_Koizumi_20010426.jpg
파일:Yasuo_Fukuda_200709.jpg
파일:Tarō_Asō_20170920_(cropped).jpg
파일:Yukio_Hatoyama_20070824.jpg
파일:Naoto_Kan_20071221.jpg
파일:Yoshihiko_Noda_20110902.jpg
파일:Yoshihide_Suga_20200924_(cropped).jpg
파일:Fumio_Kishida_202110041.jpg
△ 2024년 기준 생존하고 있는 일본의 전직 내각총리대신
왼쪽 상단부터 호소카와 모리히로, 무라야마 도미이치, 모리 요시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후쿠다 야스오, 아소 다로, 하토야마 유키오, 간 나오토, 노다 요시히코,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rowcolor=#c3c965> 대수 이름 생년일 정당 재임 비고
79 호소카와 모리히로
(細川護熙)
1938년 1월 14일 ([age(1938-01-14)]세) 무소속[75] 1993~1994 [76]
81 무라야마 도미이치
(村山富市)
1924년 3월 3일 ([age(1924-03-03)]세) 사회민주당 1994~1996 [77]
85·86 모리 요시로
(森喜朗)
1937년 7월 14일 ([age(1937-07-14)]세) 자유민주당 2000~2001
87·88·89 고이즈미 준이치로
(小泉純一郎)
1942년 1월 8일 ([age(1942-01-08)]세) 자유민주당 2001~2006
91 후쿠다 야스오
(福田康夫)
1936년 7월 16일 ([age(1936-07-16)]세) 자유민주당 2007~2008
92 아소 다로
(麻生太郎)
1940년 9월 20일 ([age(1940-09-20)]세) 자유민주당 2008~2009 [78]
93 하토야마 유키오
(鳩山由紀夫)
1947년 2월 11일 ([age(1947-02-11)]세) 무소속 2009~2010 [79]
94 간 나오토
(菅直人)
1946년 10월 10일 ([age(1946-10-10)]세) 입헌민주당 2010~2011 [80]
95 노다 요시히코
(野田佳彦)
1957년 5월 20일 ([age(1957-05-20)]세) 입헌민주당 2011~2012 [81]
99 스가 요시히데
(菅義偉)
1948년 12월 6일 ([age(1948-12-06)]세) 자유민주당 2020~2021 [82]
100·101 기시다 후미오
(岸田文雄)
1957년 7월 29일 ([age(1957-07-29)]세) 자유민주당 2021~2024 [83]

8.2. 자연사 이외 사유로 사망

8.3. 불명예 퇴진(내각불신임결의)


일본은 역대 4번의 내각불신임결의안이 가결되었고, 내각불신임으로 탄핵된 건 하타 쓰토무 1명 뿐이다.[84] 55년 체제 성립 이후 자유민주당 독주 체제가 강해졌다보니 야당이 불신임안을 발의해도 웬만하면 가결되는 일이 거의 없어졌다.

8.4. 재임일 순위

<rowcolor=#c3c965> 역대 재임일 수 기록 순위
<rowcolor=#c3c965> 순위 이름 재임일 수
1위 아베 신조 3,188일
2위 가쓰라 다로 2,886일
3위 사토 에이사쿠 2,798일
4위 이토 히로부미 2,720일
5위 요시다 시게루[85] 2,616일
6위 고이즈미 준이치로 1,980일
7위 나카소네 야스히로 1,806일
8위 이케다 하야토 1,575일
9위 사이온지 긴모치 1,400일
10위 기시 노부스케 1,241일

9. 여담



[1] 고시치키리몬(五七桐紋, 오칠동문). 오동나무를 형상화한 것으로, 본래는 조정의 상징이었으나 유력한 다이묘 등도 차차 쓰게 되었다. 전국시대 당시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이 가문 인장으로 사용하기도 했으며, 오늘날 황실은 국화 문장만을 쓰고 있다.[2] 즉 규정상으로는 현임 당수가 아니어도 현직 중·참의원의원이면 총리 지명이 가능하다. 자서 투표제를 채택하고 있어 그 이름이 나오기만 하면 그대로 표를 얻은 것으로 간주된다. 옛날 70년대에 실제로 각복전쟁이라는 자민당 내 계파 분쟁 때문에 후쿠다 다케오의 계파가 당총재 오히라 마사요시를 배신하고 후쿠다에게 반란표를 던진 적이 있었다.[3] 법무대신의 전신인 사법대신(司法大臣)도 똑같이 법상([ruby(法相, ruby=ほうしょう)])으로 줄여서 불렀다.[4] 사실 윗 문단에서 일본 총리대신의 문장의 각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문장이었다는 언급에서 히데요시가 지낸 관백이라는 자리는 엄밀히 말하면 내각의 수장이 아니라 천황을 대리하는 격이었다. 따라서 관백은 천황의 대리이므로 중신들의 회의기구인 '태정관 회의'에 참여할 수 없었다. 물론 관백을 역임한 자가 태정대신이 되는 경우도 흔했다. 관백이라는 자리 자체가 율령제체에 속하지 않은 영외관이었기 때문이다.[5] 메이지 유신 시기의 유력자들로서, 천황의 칙령으로 '원로' 지위를 얻은 사람들이다.[6] '원로'들이 나이 먹고 죽었지만 보충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사이온지 긴모치가 노쇠하면서 그 기능을 대신하는 형태로 나타난 회의. 총리 경험자와 추밀원 의장 등으로 구성.[7] 현대 일본의 ~~성 설치법에 해당하는 법령으로, 한국의 ○○부 직제와 미슷하다[8] 심지어 종전 직전이던 1945년 4월 성립된 종전 전 마지막 내각인 스즈키 간타로 내각에서도 해군 예비역이라는 이유로 육군에서 비토하려고 했다. 결국 아나미 고레치카 육군 대장을 대신으로 참여시키면서 항복을 하지 않는다는 요구조건을 집어넣어 내각이 겨우 성립되었다. 그 정도로 군의 횡포는 엄청났다.[9] 중의원은 중의원 의사당에서, 참의원은 참의원 의사당에서 투표를 따로 치른다. 다만, 중의원이 선출한 총리후보와 참의원이 선출한 총리후보가 다를 경우, 중의원이 선출한 총리후보를 양원이 선출한 총리 후보로 간주한다.[10] 천황의 친필 서명 및 인장(어명어새)이 들어가고, 물러나는 총리가 부서한다. 예시로, 하토야마 유키오총리 임명장을 보면 당시 아키히토 천황의 친필서명과 인장, 그리고 물러나는 총리 아소 다로의 서명이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1] 일본을 포함한 모든 군주국은 군주와 왕족들이 총리보다 의전서열이 위다.[12] 기존 각료에게 겸임을 시킬 경우 천황의 인증을 받을 필요 없이, 총리 본인이 인사발령장에 도장 찍어주면 끝난다. 각료가 아닌 사람을 새로 입각시킬 경우에는 천황의 인증을 받아야 하나, 말 그대로 인증에 불과하고 천황이 총리대신이 주청하는 인사안건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없기 때문에 국무대신 인사를 총리가 좌지우지할 수 있다.[13] 전후 신헌법이 시행되고 첫 번째 내각이었던 가타야마 내각 첫 조각 당시 이 일이 실제로 발생했었다. 가타야마 데쓰 총리가 중앙집행위원장으로 있던 일본사회당요시다 내각의 일본자유당이 총선에서 패하여 제2정당으로 추락하면서 어부지리로 제1정당이 된 케이스였다. 그러나 겨우 12석 차의 신승이라 단독 여당으로 할 의석은 못 됐기 때문에 제3정당인 일본민주당아시다 히토시와 자유당 요시다 시게루가 연립하면 둘이서 계속 집권할 수가 있었고, 가타야마 역시 그렇게 될 거라고 여겼다. 그런데 예상을 깨고 둘은 연립하지 않았고, 가타야마는 얼떨결에 제1정당 대표로서 총리가 되었다. 아시다와 요시다의 관계가 껄끄러워서 생긴 일이었다. 자신이 총리가 된다는 소식을 들은 가타야마의 첫마디는 "이거 큰일났네." 안 그래도 패망 직후 몹시 어수선한 판국에 인재풀도 말라버려 신속한 조각이 불가능할 지경이었기에 결국 가타야마가 임시로 전체 각료직을 겸직하여 혼란을 수습했다. 물론 실제로 혼자서 노는 건 아니고, 임시 대리/대행을 발령하여 내각 기능을 조성하며 대개 내각이 아직 조성되지 않은 시기에 정도만 유지되나 마음먹고 작정하면 할 수 있다.[14] 전가의 보도(伝家の宝刀)라고 비유되어 불린다.[15]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가 이뤄진 계기가 되는 2005년 중의원 해산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중의원 해산을 반대하는 시마무라 요시노부 농림수산대신을 즉각 파면하고 자기가 농림수산대신을 겸해 중의원 해산에 서명했다. 심지어 고이즈미는 그로부터 몇 년 전에도 외무대신을 겸임한 적이 있었다. 그렇게 이 사건을 마지막으로 한동안 현직 총리의 국무대신 겸임 사례는 나오지 않다가 2021년에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대신이 자민당 간사장으로 이임하여 생긴 외무대신 공석을 제2차 기시다 내각 출범 직전까지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잠시 겸임하면서 16년 만에 다시 일어나게 되었다. 옛날에는 내각총리대신이 국무대신을 겸임하는 사례가 매우 많았으나 전후 혼란기를 거쳐 정국이 안정되고 나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16] 대한민국 국군의 통수권자인 대한민국 대통령문민통제의 이미지를 위해 전시상황 등으로 군복을 입어야할 경우 무궁화 휘장을 따로 부착한다.[17] 2019년 5월자로 황태자가 없기에 현 천황의 동생 후미히토가 맡고 있는 직책으로 황태자를 대신하는 직책. 본래 천황의 동생은 황태제(皇太弟)라고 하나, 전후 황실전범이 개정되어 그러한 조항이 삭제, 제위계승자를 전부 통칭하는 말인 황사라고 호칭한다.[18] 역대 최연소 총리(44세)[19] 1889년 10월 25일부터 동년 12월 24일까지 내대신 산조 사네토미가 권한대행[20] 첫 중의원 선거[21] 청일전쟁 발발, 1896년 8월 31일부터 동년 9월 18일까지 추밀원 의장 구로다 기요타카가 권한대행[22] 역대 최장 재임 4위(재직일수 2720일 = 7년 171일), 1901년 5월 10일부터 동년 6월 2일까지 추밀원 의장 사이온지 긴모치가 권한대행[23] 러일전쟁 발발[24] 역대 최장 재임 2위(2,886일 = 7년 331일)[25] 제1차 세계 대전 발발[26] 초대 조선 총독[27] 재임 중 암살, 1921년 11월 4일부터 동년 11월 13일까지 외무대신 우치다 고사이가 권한대행[28]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29] 재임 중 사망, 1923년 8월 25일부터 동년 9월 2일까지 외무대신 우치다 고사이가 권한대행[30] 귀족원의 원내회파로 7년의 임기를 가진 호선직 의원들로 구성된 보수주의, 비정당주의 파벌이다. 귀족원 내 최초이자 최대 회파였다.[31] 다이쇼 데모크라시, 재임 중 사망, 1926년 1월 28일부터 동년 1월 30일까지 내무대신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권한대행[32] 장제스의 북벌 진행[33] 장제스의 북벌 진행[34] 황고둔 사건[35] 1930년 11월 14일부터 1931년 3월 10일까지 외무대신 시데하라 기주로가 총리 권한대행[36] 만주사변 발생[37] 5.15 사건으로 암살, 1932년 5월 15일부터 동년 5월 26일까지 대장대신 다카하시 고레키요가 총리 권한대행[38] 제3ㆍ5대 조선 총독[39] 2.26 사건 발생[40] 문관 출신, 군부대신 현역무관제 부활, A급 전범으로 사형됨[41] 역대 최연소 총리 2위(46세), 중일전쟁 발발로 제2차 세계대전 시작[42] 역대 최연소 총리 2위(46세), 중일전쟁 발발로 제2차 세계대전 개전[43] 법관 출신, A형 전범으로 구속[44] 제9대 조선 총독[45] 삼국동맹 반대파[46] 육군 출신, 태평양 전쟁 개전, A형 전범으로 사형됨[47] 육군 출신, 제8대 조선 총독, A형 전범으로 구속[48] 해군 출신, 역대 최고령 취임 총리(77세), 재임 중 항복[49] 해군 출신 총리, 역대 최고령 취임 총리(77세), 재임 중 항복[50] 사퇴 이후 황적이탈하고 나서는 히가시쿠니 나루히코라고 불렸다.[51] 황족 출신 총리, 전후 수습 내각, 역대 최단 재임 총리, 최장수 총리(102년 1개월)[52] 화요회(연구회 반대파)가 결성될 때 종신직이 아니여서 배제된 칙임 의원들의 원내회파, 귀족원의 입헌민정당 지지세력[53] 전후 최고령 총리(73세)[54] 일본국 헌법 시행, 전후 최장기 재임 3위, 역대 최장 재임 5위[55] 55년 체제, 자민당 장기집권 시작[56] 역대 최장 재임 3위, 역대 연속 재임 2위, 재직일수 2798일 (1964-1972)[57] 임기 중 사망. 1980년 6월 12일부터 동년 7월 17일까지 이토 마사요시가 권한대행[58] 레이와 시대까지 생존했던 쇼와 시대 마지막 총리, 일본 경제 최전성기 시절 총리.[59] 역대 4번째 최단 재임[60] 자민당 정권 붕괴(1차)[61] 55년 체제 이후 최초 비자민당 총리[62] 일본신생당 출신, 역대 2번째 최단 재임. 총리 퇴임 이후로도 중의원의원으로 활동하며 2010년대까지도 민주당 당적을 가졌으므로 민주당의 첫 총리는 하토야마 유키오라기보다는 하타로 보아야 맞는다.[63] 일본사회당 출신, 무라야마 담화, 효고현 남부 지진[64] 자민당 정권 복귀(1차)[65] 임기 중인 4월 3일 혼수상태에 빠져 직무 수행이 불가능해져 아오키 미키오 당시 관방장관이 4월 5일까지 권한대행을 지냈다. 후임 모리 요시로 총리가 취임한 지 한 달 만에 의식을 찾지 못하고 사망했다. 수상관저 홈페이지의 역대 내각 일람을 보면 오히라 마사요시 총리는 재임 중 사망하여 임기 종료일을 사망일로 두었으나 오히라 총리와 달리 오부치 총리는 사망은 아니라는 차이점 때문인지 오부치 총리 임기 종료일은 혼수상태에 빠진 날이 아니라 모리 총리 취임일로 두고 있다.[66] 중도 사임 없이 임기 만료로 퇴임한 유일한 총리.[67] 전후 최연소 총리(51세), 전후 최장기 재임[68] 67대 총리 후쿠다 다케오의 아들.[69] 자민당 정권 붕괴(2차)[70]민주당 출신 총리. 하토야마 이치로 총리의 손자로, 할아버지가 자민당 정권 시대를 열었다면 손자는 그 시대를 닫은 격이 되었다.[71] 자민당 정권 복귀(2차)[72] 48회 중의원 선거를 전후로 공식 당색이 초록색→빨간색으로 변경되었다. 의석 현황에서도 빨간색으로 확인된다.[73] 통산 8년 268일[74] 역대 최장 집권 내각총리대신. 2006년 9월 26일~2007년 9월 26일(1차 내각), 2012년 12월 26일~2020년 9월 16일(2~4차 내각)[75] 현재 당적은 무소속이지만, 정계 은퇴 당시 당적은 민주당이었다.[76] 55년 체제를 붕괴시킨 최초의 총리.[77] 다이쇼 시대 태생 총리중 유일하게 생존중인 총리.[78]스가 내각 부총리 겸 재무대신, 자민당 부총재. 現 중의원 의원.[79] 민주당 정권 최초의 총리, 現 공화당 대표.[80]입헌민주당 최고 고문.[81]입헌민주당 당대표, 중의원 의원.[82] 레이와 시대에 선출된 최초의 총리, 現 중의원 의원.[83] 現 중의원 의원.[84] 요시다 시게루의 경우 결의안이 가결되어도 중의원을 해산하는 방식으로 총리직을 유지했고, 오히라 마사요시미야자와 기이치 또한 집권여당인 자유민주당이 중의원을 해산하여 맞대응했으나,(오히라는 선거 이전에 병으로 사망했고, 미야자와는 선거에서 자민당이 참패하여 총리직을 상실했다.) 하타가 총리였던 당시에 연립여당이었던 일본사회당이 연립정권에서 탈퇴하여 여소야대가 되었기에 중의원을 해산할 수 없었다.[85] 재임 횟수가 5회로 현재까지 가장 많다.[86] 사전의 뜻은 "매달리는 일"이며 이를 빗대어 총리·국무대신 등의 요인(要人)이 관저나 국회 복도를 걸을 때 이를 기자들이 에워싸고 같이 걷거나 말을 건네면서 취재하는 일. 지진 등의 비상사태 시 총리의 기자회견도 이런 형식이다.[87] 한국에서 세월호 사고 당시 7시간의 공백 문제가 불거졌을 때 일본인들이 한국 대통령의 일정이 비공개라는 것에 대해 매우 의아하게 여긴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미국도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언론과 홈페이지에 대통령의 모든 일정을 공개한다.[88] 이 때문에 도쿄대학 출신 총리가 없다고 알고 있는 한국인들이 꽤 있는데, 앞서 언급했듯 당연히 틀린 말이다. 우연하게도 한국의 경우도 서울대학교 출신 대통령은 단 2명(김영삼, 윤석열) 뿐이다.[89] 표에는 안 나왔지만 무려 5.7%의 어마어마한 지지율을 기록한 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