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19:30:57

크리스토퍼 럭슨

파일:뉴질랜드 국장.svg
뉴질랜드 총리
{{{#!wiki style="word-break: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1
제3대1
제2대2
제4대
헨리 슈얼 윌리엄 폭스 에드워드 스태퍼드 윌리엄 폭스 앨프리드 도미트
제5대1
제6대
제3대2
제2대3
제3대3
프레더릭 휘태커 프레더릭 웰드 에드워드 스태퍼드 윌리엄 폭스 에드워드 스태퍼드
제7대
제2대4
제8대1
제9대
제8대2
조지
워터하우스
윌리엄 폭스 줄리어스 보글 대니얼 폴른 줄리어스 보글
제10대1
제11대
제12대
제5대2
제10대2
해리 앳킨슨 조지 그레이 존 홀 프레더릭 휘태커 해리 앳킨슨
제13대1
제10대3
제13대2
제10대4
제14대
로버트 스타우트 해리 앳킨슨 로버트 스타우트 해리 앳킨슨 존 밸런스
제15대
제16대
제17대1
제18대
제19대
리처드 세든 윌리엄 홀존스 조셉 워드 토머스 매켄지 윌리엄 매시
제20대
제21대
제17대2
제22대
제23대
프랜시스 벨 고든 코츠 조셉 워드 조지 포브스 마이클 새비지
제24대
제25대
제26대1
제27대
제26대2
피터 프레이저 시드니 홀랜드 키스 홀리오크 월터 내시 키스 홀리오크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잭 마셜 노먼 커크 빌 롤링 로버트 멀둔 데이비드 롱이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프리 파머 마이크 무어 짐 볼저 제니 시플리 헬렌 클라크
제38대
제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존 키 빌 잉글리시 저신다 아던 크리스 힙킨스 크리스토퍼 럭슨
<rowcolor=#fff>
자유당
개혁당
통일당
<rowcolor=#fff> ※ 뉴질랜드의 경우 임기가 중간에 단절되었다가 다시 집권해도 처음 집권했을 당시의 대수를 유지한다.
역대 국왕
}}}}}}}}}

뉴질랜드 제42대 총리
The Right Honourable[1]
크리스토퍼 럭슨
Christopher Mark Luxon
파일:Christopher_Luxon_(52535372229)_(cropped).jpg
<colcolor=#ffc224> 출생 1970년 7월 19일 ([age(1970-07-19)]세)
뉴질랜드 캔터베리 크라이스트처치
국적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재임기간 제42대 총리
2023년 11월 27일 ~ 현직
종교 가톨릭[2]
학력 캔터베리 대학교 (상학 / 학사)
선거구 보타니(Botany)
정당 [[뉴질랜드 국민당|
뉴질랜드 국민당
]]
경력 에어 뉴질랜드 CEO (2012~2019)
뉴질랜드 대의원 (2020~현직)
국민당 대표 (2021~현직)
서명
파일:크리스토퍼 럭슨 서명.svg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
2.1. 총리 재임기
3. 성향4. 선거 이력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70년에 출생한 뉴질랜드의 정치인. 현재 국민당의 대표를 지내고 있으며, 제42대 뉴질랜드 총리이다.

2. 생애

크리스토퍼 마크 럭슨은 1970년 7월 19일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잉글랜드계 로마 가톨릭 가정에서 태어났다. 이후 럭슨은 크라이스트처치 소년 고등학교에서 3년을 보냈고, 이후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캔터베리 대학에서 공부하여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럭슨은 1993년부터 2011년까지 유니레버에서 일하며 웰링턴에서 경영 연수생으로 시작했다. 유니레버에서 일하며 시드니, 런던, 시카고에서 일했다. 2008년 유니레버가 구조조정을 했을 때, 그는 토론토에 본사를 둔 캐나다 사업부의 사장이 되었다.

2011년 5월에는 그룹 총괄 책임자로 에어 뉴질랜드에 입사하였고, 이후 2012년 6월 19일에는 최고 경영자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최고 경영자로 재임하는 동안 에어 뉴질랜드의 수익은 기록적인 수준으로 성장하였고, 뉴질랜드에서 가장 신뢰받는 브랜드로 여러 번 선정되는 등 놀라운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그러다가 제이미 리 로스가 당에 대한 사기 혐의로 국민당 의원직에서 사임한 후, 럭슨은 2019년 11월, 국민당의 텃밭이였던 보타니 지역구의 국민당 대의원 후보로 선출되었고 이후 당선되면서 2020년 10월에 의원직에 취임했다.

2021년 11월 25일, 주디스 콜린스가 국민당의 대표직에서 해임된 후 럭슨은 잠재적인 후임자로 지목됐다. 그리고 2021년 11월 30일, 상대 후보인 사이먼 브리지스가 당대표 후보에서 사퇴하면서 국민당 대표에 선출되었다.

2023년 총선에서 럭슨은 집권여당이였던 노동당을 상대로 48석을 차지하면서 대승을 거두었고 이후 40일 동안의 협상 이후 국민당, 행동당, 제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하는데 합의하면서 11월 27일 뉴질랜드의 총리로 취임했다.[3]

2.1. 총리 재임기

취임식 후 첫 기자회견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경제를 바로잡는 것"이라며 "생활비를 줄이고 물가를 안정적으로 통제하며 금리를 낮추고 식료품 가격을 더 싸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12월 11일. 온라인 수학 및 읽기 쓰기 시험을 2026년 NCEA( National Certificate of Educational Achievement) 자격의 전제 조건으로 만들려는 이전 노동당 정부의 계획을 연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

12월 14일. 긴급하게 이전 노동당 정부의 공정 임금 협약법을 폐지했다.# 또, UTE와 같은 고배출 차량에 세금을 부과하여 소비자가 전기 및 하이브리드 차량을 구매하도록 장려했던 이전 노동당 정부의 청정 자동차 할인을 폐지했다. #

12월 20일. 자원관리법 체계 개편 계획의 일환으로 자연 및 건축환경법과 공간계획법을 폐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

12월 21일. National and Act의 주요 법안 내에 모든 고용주를 위한 90일 시험을 재개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

마오리어 정책 수정 관련해서 마오리어 지원 정책을 비판하면서 자신은 정부 세금으로 마오리어 개인 교습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 논란되고 있다. # 마오리어 탄압으로 큰 반감을 받고 있다. YTN 크랩

2024년 1월 26일. 투표 연령을 만 16세로 낮추는 노동당 정권의 법안을 폐기했다. #

2월 14일, 정부는 긴급하게 이전 노동당 정부의 물 개혁 프로그램을 폐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 대안으로 2025년에 자체 "지방 수자원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두 가지 새로운 법률을 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

2월 28일, 정부는 마오리 보건 당국(Te Aka Whai Ora)을 폐지와 함께 금연 환경 및 규제 제품(훈제 담배) 개정법 2022를 폐지하는 긴급 법안을 통과시켰다. # ##

3월 7일, 정부는 중요한 프로젝트에 대한 자원 동의 절차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해외 투자자가 임대 주택 개발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을 도입했다. #

3월 19일. 정부는 아무런 경고 없이 장애 아동이 있는 가족의 임시 간호 지원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

4월 2일. 경제와 생활비, 법과 질서, 공공 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향후 3개월 동안 36개 항목의 2분기 전체 실행 계획을 발표했다. #

4월 14일. 임대 부동산 늘리는데 임차인 보호법 개정 발표했다.

2024학년도 2학기부터 전국 모든 초·중·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의 휴대전화 사용 금지 정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

5월 1일. 프로그램 검토가 완료될 때까지 정부가 몇 년 동안 무료 학교 급식 프로그램에 계속 자금을 지원할 것이라고 확인했다. #

5월 26일. 정부가 향후 4년 동안 새로운 교사를 위한 학교 내 훈련과 1,500명의 새로운 교사 모집, 유지 및 훈련을 포함하여 교육에 5,300만 뉴질랜드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

6월 11일. 농축산업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에 비용을 부과하겠다던 뉴질랜드가 시행을 앞두고 농민들의 반대로 결국 정책을 폐기하기로 했다. #

6월 27일, 저숙련 공인 고용주 취업 비자(AEWV) 소지자가 더 이상 파트너와 부양 자녀의 취업, 방문 또는 학생 비자 신청을 후원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 #

7월 3일. 2026년부터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시험을 도입할 것이라고 확인했다. # 4일. 환자의 80%가 3주 이내에 진료를 받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 새로운 정신 건강 목표를 발표했다. #

7월 10일. 기후변화 전략을 발표했다. #

7월 27일. 정부의 비용 절감 조치의 일환으로 교육부는 NZ$20억을 절약하기 위해 100개의 학교 건물 프로젝트를 중단했다. #

8월 2일. 2025년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수학 커리큘럼, 연 2회 수학 평가, 교사 전문성 개발 자금 지원, 신규 교사의 수학 진입 요건 강화 등을 포함한 "수학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 #

8월 8일. 지방 정부 자금 기관을 통해 물 인프라를 위한 자금을 빌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

8월 9일. 세금을 줄이기 위해 비자 처리 시스템을 "사용자 지불 시스템"으로 전환한다는 국가 정부 정책에 따라 10월 1일부터 다양한 비자 수수료를 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

8월 12일, 사회 개발부 장관 루이스 업스턴은 구직자 지원 수당을 위한 신호등 시스템 도입을 발표했다. #

일부 부처 기능을 옮겼다. #

9월 2일. 향후 3년 동안 17개의 "국가적으로 중요한 도로"를 건설하는 데 NZ$329억을 투자하는 정부의 국가 육로 교통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9월 11일. 의회가 상품권의 최소 만료일을 최초 구매일로부터 3년으로 정하기 위해 공정거래법 1986을 개정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9월 19일. 갱단들의 공공장소에서 패치 패용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9월 25일. 높은 출석률, 성취도, 재정적 성실성 기준의 헌장 학교 부활 법을 통과시켰다.#

9월 30일, 4분기 계획을 발표했다.#

10월 23일, 농업, 광업 및 기타 1차 산업의 "규제 부담"을 완화하는 자원 관리 법안을 통과시켰다.#

11월 12일. 수십 년 동안 보호 시설에서 수십만명의 아동과 노인 등이 학대받은 사실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공식으로 사과했다.#

12월 4일. 정부가 경제 성장 , 과학 및 기술 개발을 촉진할 물리학, 화학, 수학, 공학 및 생물 의학과 같은 "핵심 과학"에 집중하기 위해 인문학 및 사회 과학 연구에 대한 마스든 보조금을 종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12월 12일, 정부는 세입자를 위한 반려동물 채권을 도입하고 90일 무사유 퇴거를 재도입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3. 성향

자신에 대해 중도우파로 규정하고 있다. 경제적 자유주의자로서 낮은 세율을 지향하고 있다. 낙태를 반대하지만 낙태법을 바꾸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사회보수주의자로서 젊은 범죄자들을 위한 군사식 신병 훈련소를 설치하자는 제안을 하고 있다. #

4. 선거 이력

<rowcolor=#ffc224> 연도 선거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20 제52회 뉴질랜드 총선 보타니 [[뉴질랜드 국민당|
뉴질랜드 국민당
]]
19,017 (52.46%) 당선 초선
2023 제53회 뉴질랜드 총선 24,769 (66.57%) 재선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대통령 권한대행
*** 사실상 군부 소속
공산국가의 수상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네팔 공산당 (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무소속|
무소속
]]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 (3차) 줘룽타이 최상목 (직무대행)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라오 인민혁명당|
라오 인민혁명당
]]
[[무소속|
무소속
]]
샤나나 구스망 (2차) 쏜싸이 씨판돈 나지브 미카티 (3차)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인민정의당|
인민정의당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무소속|
무소속
]]
안와르 이브라힘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민 아웅 흘라잉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 무함마드 유누스 (임시) 팜민찐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무소속|
무소속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
[[무소속|
무소속
]]
체링 토브가이 (2차) 박태성 하사날 볼키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무소속|
무소속
]]
[[국가 인민의 힘|
국가 인민의 힘
]]
[[무소속|
무소속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 하리니 아마라수리야 무함마드 알바시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인민행동당|
인민행동당
]]
[[무소속|
무소속
]]
[[탈레반|
탈레반
]]
로렌스 웡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압둘 가니 바라다르
(정치 및 외교)
무하마드 야쿠브
(군사 작전)
시라주딘 하카니
(재정 및 군수 물자)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국민전체회의|
국민전체회의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아마드 아와드 빈 무바라크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 비셰르 알카사우네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이슬람 다와당|
이슬람 다와당
]]
[[리쿠드|
리쿠드
]]
압둘라 아리포프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베냐민 네타냐후 (6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자유민주당(일본)|
자유민주당
]]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
나렌드라 모디 (3차) 이시바 시게루 (2차) 리창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아마나트|
아마나트
]]
[[무소속|
무소속
]]
[[캄보디아 인민당|
캄보디아 인민당
]]
올자스 벡테노프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 훈 마넷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무소속|
무소속
]]
[[아르 나므스|
아르 나므스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아마드 알압둘라 알사바 (국왕의 조카) 아킬베크 자파로프 코히르 라술조다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태국인당|
태국인당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
[[파타|
파타
]]
패통탄 친나왓 셰바즈 샤리프 (2차) 무함마드 무스타파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신민주주의당|
신민주주의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차) 주소이트 콘스탄틴 딕 스호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노동당(노르웨이)|
노동당
]]
[[사회민주당(덴마크)|
사회민주당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요나스 가르 스퇴레 메테 프레데릭센 (2차) 올라프 숄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신단결|
신단결
]]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루마니아)|
사회민주당
]]
에비카 실리냐 미하일 미슈스틴 (2차) 마르첼 치올라쿠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기독사회인민당|
기독사회인민당
]]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
[[애국연합|
애국연합
]]
뤼크 프리당 긴타우타스 팔루츠카스 다니엘 리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무소속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무소속|
무소속
]]
피에르 다르투 밀로이코 스파이치 도린 레체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노동당(몰타)|
노동당
]]
[[무소속|
무소속
]]
[[Open VLD|
Open VLD
]]
로버트 아벨라 (2차) 피에트로 파롤린 알렉산더르 더크로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무소속|
무소속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VMRO-DPMNE
]]
라만 할로우찬카 (2차) 보랴나 크리슈토 흐리스티얀 미츠코스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국민통일당|
국민통일당
]]
[[무소속|
무소속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위날 위스텔 디미터르 글라브체프 밀로시 부체비치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온건당|
온건당
]]
[[스위스 녹색자유당|
스위스 녹색자유당
]]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
울프 크리스테르손 빅토르 로시 페드로 산체스 (3차)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사회민주당(슬로바키아)|
방향-사회민주주의
]]
[[자유운동(슬로베니아)|
자유운동
]]
[[시민계약(정당)|
시민계약
]]
로베르트 피초 (4차) 로베르트 골로프 니콜 파시냔 (3차)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사회민주동맹|
사회민주동맹
]]
[[피너 게일|
피너 게일
]]
[[무소속|
무소속
]]
크리스트륀 프로스타도티르 (2차) 사이먼 해리스 알리 아사도프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안도라 민주당|
안도라 민주당
]]
[[알바니아 사회당|
알바니아 사회당
]]
[[아이타이라|
아이타이라
]]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차) 에디 라마 (3차) 알렉산드르 안콰브 (2차)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개혁당|
에스토니아 개혁당
]]
[[노동당(영국)|
노동당
]]
[[오스트리아 인민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
크리스텐 미할 (1차) 키어 스타머 카를 네하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무소속|
무소속
]]
[[이탈리아의 형제들|
이탈리아의 형제들
]]
[[조지아의 꿈|
조지아의 꿈
]]
데니스 시미할 조르자 멜로니 이라클리 코바키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시민민주당|
시민민주당
]]
[[자결당|
자결당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페트르 피알라 알빈 쿠르티 (2차)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3차)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시민 연단|
시민 연단
]]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 루이스 몬테네그루 도날트 투스크 (3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민주운동|
민주운동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프랑수아 바이루 페테리 오르포 오르반 빅토르 (5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대통령 권한대행
공산국가의 수상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국민민주회의(그레나다)|
국민민주회의
]]
[[도미니카 노동당|
도미니카 노동당
]]
마크 필립스 디콘 미첼 루스벨트 스케릿 (5차)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바베이도스 노동당|
바베이도스 노동당
]]
[[진보자유당|
진보자유당
]]
[[인민연합당|
인민연합당
]]
미아 모틀리 (2차) 필립 데이비스 조니 브리세뇨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
[[통일노동당|
통일노동당
]]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
필립 조셉 피에르 랄프 곤살베스 (5차) 테런스 드루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자메이카 노동당|
자메이카 노동당
]]
알릭스 디디에 피스-에메 (권한대행) 개스턴 브라운 (3차) 앤드루 홀네스 (3차)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캐나다 자유당|
캐나다 자유당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
]]
[[인민민족운동|
인민민족운동
]]
쥐스탱 트뤼도 (3차) 마누엘 마레로 크루스 (2차) 키스 롤리 (2차)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무소속
]]
구스타보 아드리안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레몽 은동 시마 (임시) 바 우리 후이 두아르테 드 바호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무소속|
무소속
]]
[[번영을 위한 혁명|
번영을 위한 혁명
]]
사라 쿠공겔롸 (2차) 알리 라민 제인 샘 마테카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사회민주당(르완다)|
사회민주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에두아르 응기렌테 (2차) 압둘 하미드 드베이베 크리스티앙 은차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무소속|
무소속
]]
[[독립국민연합|
독립국민연합
]]
[[노동당(모리셔스)|
노동당
]]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 아지즈 아칸누시 나빈 람굴람 (4차)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공정당|
공정당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
모하메드 울드 빌랄 아드리아누 말레이안 제르베 은디라코부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무소속|
무소속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 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 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차)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무소속|
무소속
]]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무소속|
무소속
]]
우스만 송코 함자 압디 바레 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 나디르 라르바우이 러셀 들라미니 (왕족)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번영당|
번영당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무소속|
무소속
]]
아비 아머드 로비나 나반자 무스타파 아드불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적도 기니 민주당|
적도 기니 민주당
]]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 펠릭스 몰루아 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차)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개혁당(차드)|
개혁당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민주운동(카보베르데)|
민주운동
]]
알라마예 할리나 조셉 응구테 (2차) 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차)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공화연합|
공화연합
]]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콩고의 미래|
콩고의 미래
]]
로베르 뵈그레 맘베 아나톨 콜리넷 마코소 (2차) 주디스 툴루카 수민와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무소속|
무소속
]]
카심 마잘리와 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 아메드 하차니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뉴질랜드 국민당|
국민당
]]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
[[사모아 연합 내 믿음|
사모아 연합 내 믿음
]]
크리스토퍼 럭슨 샬롯 살와이 (2차)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제러마이아 머넬레 사미우 바이풀루 (권한대행) 펠레티 테오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팡구당|
팡구당
]]
[[인민동맹|
인민동맹
]]
[[호주 노동당|
호주 노동당
]]
제임스 마라페 시티베니 람부카 (2차) 앤서니 앨버니지 }}}}}}}}}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1] 총리 본인에 대한 경칭[2] 자신을 초교파라고 하며, 성당에 출석하지 않고 있다.[3] 내각 구성원 중 멜리사 리(한국명 이지연) 의원을 경제개발부, 소수민족부 그리고 미디어·통신부 등 3개 부서 장관으로 임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