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2:26:50

기니비사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E1126 25%, transparent 25%), linear-gradient(to bottom, #FCD116 50%, #009E49 50%, #009E49 10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0><colbgcolor=#ce1126>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포르투갈령 기니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외교 전반 · 프랑코포니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경제 경제 전반 · CFA 프랑/서아프리카 · 기니비사우 페수(폐지)
국방 기니비사우군
문화 요리 · 기니비사우 축구 국가대표팀 · 포르투갈어 · 기니비사우 크레올어
지리 비사우
민족 만딩카족 · 발란타족 · 만자크족 }}}}}}}}}
기니비사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아프리카 지도.png 서아프리카의 국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모리타니[1]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세네갈 코트디부아르 베냉 토고
파일:기니 국기.svg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기니 기니비사우 카보베르데 라이베리아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가나 감비아 시에라리온 나이지리아 }}}
[1] 간혹 북아프리카로 분류되기도 한다.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426a><#fff>[[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파일: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깃발.svg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Comunidade dos Países de Língua Portuguesa
]]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ff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포르투갈 국기.svg파일:브라질 국기.svg파일:앙골라 국기.svg파일:모잠비크 국기.svg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포르투갈브라질앙골라모잠비크적도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파일:동티모르 국기.svg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기니비사우상투메 프린시페카보베르데동티모르마카오파일:중국 원형 국기.sv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참관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일본 국기.svg파일:조지아 국기.svg파일:모리셔스 국기.svg파일:나미비아 국기.svg파일:세네갈 국기.svg
일본조지아모리셔스나미비아세네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파일:체코 국기.svg파일:헝가리 국기.svg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튀르키예체코헝가리슬로바키아우루과이
파일:안도라 국기.svg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파일:칠레 국기.svg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안도라아르헨티나칠레프랑스이탈리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파일:영국 국기.svg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룩셈부르크영국세르비아}}}}}}}}}}}}

파일:프랑코포니 심볼.svg
[[프랑코포니(국제기구)|
프랑스어권 국제기관
{{{-2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
{{{#!wiki style="margin: 0 -10px 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2em"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가나 국기.svg파일:가봉 국기.svg파일:그리스 국기.svg파일:기니 국기.svg
가나가봉그리스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파일:니제르 국기.svg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파일:라오스 국기.svg
기니비사우니제르*도미니카 연방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파일:루마니아 국기.svg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파일:르완다 국기.svg
레바논루마니아룩셈부르크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파일:말리 국기.svg파일:모나코 국기.svg파일:모로코 국기.svg
마다가스카르말리*모나코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파일:모리타니 국기.svg파일:몰도바 국기.svg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모리셔스모리타니몰도바바누아투
파일:베냉 국기.svg파일:베트남 국기.svg파일:벨기에 국기.svg파일:왈롱-브뤼셀 연방 로고.svg
베냉베트남벨기에왈롱-브뤼셀 연방파일:벨기에 원형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부룬디부르키나파소*북마케도니아불가리아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파일:세네갈 국기.svg파일:세르비아 국기.svg파일:세이셸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세네갈세르비아세이셸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파일:스위스 국기.svg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스위스아랍에미리트아르메니아
파일:아이티 국기.svg파일:안도라 국기.svg파일:알바니아 국기.svg파일:이집트 국기.svg
아이티안도라알바니아이집트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지부티 국기.svg파일:차드 국기.svg
적도 기니중앙아프리카공화국지부티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파일:카타르 국기.svg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카메룬카보베르데카타르캄보디아
파일:캐나다 국기.svg파일:퀘벡 주기.svg파일:뉴브런즈윅 주기.svg파일:코모로 국기.svg
캐나다퀘벡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뉴브런즈윅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코모로
파일:코소보 국기.svg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코소보코트디부아르콩고 공화국콩고민주공화국
파일:키프로스 국기.svg파일:토고 국기.svg파일:튀니지 국기.svg
키프로스토고튀니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참관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감비아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파일:라트비아 국기.svg
감비아대한민국도미니카 공화국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파일:멕시코 국기.svg파일:모잠비크 국기.svg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리투아니아멕시코모잠비크몬테네그로
파일:몰타 국기.svg파일:루이지애나 주기.svg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몰타루이지애나파일:미국 원형 국기.svg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파일:아일랜드 국기.svg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아르헨티나아일랜드에스토니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파일:우루과이 국기.svg파일:온타리오 주기.svg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오스트리아우루과이온타리오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파일:체코 국기.svg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조지아체코코스타리카크로아티아
파일:태국 국기.svg파일:폴란드 국기.svg파일:헝가리 국기.svg
태국폴란드헝가리}}}}}}}}}}}}

[[이슬람 협력기구|
파일:이슬람 협력기구 기.svg
이슬람 협력기구
منظمة التعاون الاسلامي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정회원국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파일:알제리 국기.svg파일:차드 국기.svg파일:이집트 국기.svg파일:기니 국기.svg
아프가니스탄알제리차드이집트기니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파일:이란 국기.svg파일:요르단 국기.svg파일:쿠웨이트 국기.svg파일:레바논 국기.svg
인도네시아이란요르단쿠웨이트레바논
파일:리비아 국기.svg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파일:말리 국기.svg파일:모리타니 국기.svg파일:모로코 국기.svg
리비아말레이시아말리모리타니모로코
파일:니제르 국기.svg파일:파키스탄 국기.svg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파일:세네갈 국기.svg
니제르파키스탄팔레스타인사우디아라비아세네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파일:튀니지 국기.svg파일:튀르키예 국기.svg파일:예멘 국기.svg
소말리아수단튀니지튀르키예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파일:오만 국기.svg파일:카타르 국기.svg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바레인오만카타르아랍에미리트시에라리온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파일:가봉 국기.svg파일:감비아 국기.svg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파일:우간다 국기.svg
방글라데시가봉감비아기니비사우우간다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파일:카메룬 국기.svg파일:코모로 국기.svg파일:이라크 국기.svg파일:몰디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카메룬코모로이라크몰디브
파일:지부티 국기.svg파일:베냉 국기.svg파일:브루나이 국기.svg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지부티베냉브루나이나이지리아아제르바이잔
파일:알바니아 국기.svg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파일:모잠비크 국기.svg
알바니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모잠비크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파일:수리남 국기.svg파일:토고 국기.svg파일:가이아나 국기.svg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수리남토고가이아나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회원자격 정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참관국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파일:태국 국기.svg파일:러시아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중앙아프리카 공화국북키프로스태국러시아
탈퇴국
파일:잔지바르 기.svg
잔지바르
회원 가입 시도 국가
파일:벨라루스 국기.svg파일:브라질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중국 국기.svg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벨라루스브라질중앙아프리카공화국중국콩고민주공화국
파일:인도 국기.svg파일:케냐 국기.svg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파일:모리셔스 국기.svg파일:네팔 국기.svg
인도케냐라이베리아모리셔스네팔
파일:필리핀 국기.svg파일:세르비아 국기.svg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필리핀세르비아남아프리카 공화국스리랑카}}}}}}}}}
기니비사우 공화국
República da Guiné-Bissau
Republic of Guinea-Bissau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기니비사우 국장.svg
국기 국장
Unidade, Luta, Progresso
단합, 투쟁, 진보
역사
포르투갈로부터 독립 1974년 9월 14일
기니비사우 내전 1998년 6월 7일 ~ 1999년 5월 10일
주앙 베르나르두 비에이라 암살 2009년 3월 2일
국가(國歌) Esta É a Nossa Pátria Bem Amada
(우리의 사랑스러운 조국)
수도·최대도시 비사우
면적 36,120km²
인구 2,015,490명(2021년) | 세계 149위
인구밀도 38명/km²
공용어 포르투갈어
종교 이슬람 : 45%, 기독교 : 22%, 토착신앙 : 15%
군대 기니비사우군
하위 행정구역 8주 1자치구
정치 체제 단일국가, 이원집정부제, 공화국
민주주의 지수 2.45점, 권위주의 (2023년)
(167개국 중 140위)
대통령 우마로 시소코 엠발로
총리 후이 두아르테 드 바호스
GDP 전체: 825백만 달러(2020년)
1인당: 778 달러
통화 CFA 프랑/서아프리카
시간대 UTC+0
국제 전화 코드 +245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 1983년 12월 22일
북한 : 1974년 3월 16일
유엔(UN) 가입 1974년 9월 17일
여행경보 여행자제 : 전 지역
위치
파일:기니비사우 위치.svg

1. 개요2. 언어 및 종교3. 역사4. 인구 및 민족5. 문화6. 행정구역7. 경제8. 국내 상황9. 정치10. 외교11. 국가12. 스포츠13. 기타14. 언어별 명칭

[clearfix]

1. 개요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국가. 수도는 비사우(Bissau)로 국명도 수도에서 따왔다. 비슷한 이름의 기니적도 기니와는[1] 기니 만에 위치한 국가라는 공통점이 있다.[2]

국토 면적은 36,125km²로 대만 면적과 거의 비슷하나, 아프리카에서는 가장 많은 90개에 달하는 섬을 가진 국가이기도 한다.[3] 거주 인구는 2,015,490명(2021)이다.

2. 언어 및 종교

공용어는 포르투갈어이지만 프랑스어 역시 주요 외국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의 회원국이자 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다. 그리고 기니비사우 크레올어라는 포르투갈어 크레올도 쓰이고 있다. 그외에도 만딩카어, 수수어를 포함한 소수민족의 언어들도 쓰이고 있다.

종교는 이슬람 50%, 토착 신앙 40% 기독교 10% (2012)이다.

3. 역사

포르투갈 최초의 해외 식민지였으며 독립도 가장 먼저 얻어냈다. 포르투갈인들은 이곳을 기점으로 노예 무역을 했다.

그러다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범아프리카 민족주의의 영향으로 아프리카 각국이 독립하면서 식민지 독립운동의 분위기가 고조되기 시작했고 1956년에 독립운동 단체 기니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PAIGC)가 결성되어 1963년부터 PAIGC의 지도자였던 아밀카르 카브랄과 바다 건너 포르투갈의 식민지 해외령이였던 카보베르데의 독립운동가였던 아리스티데스 페레이라(Aristides Maria Pereira)[4] 등의 지휘아래 대포르투갈 무장 투쟁을 전개하면서 장기간에 걸친 독립전쟁이 일어나 같은 시기였던 1960, 1970년대 당시 식민지 독립전쟁이 전개되었던 포르투갈의 아프리카 식민지였던 앙골라, 모잠비크와 함께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의 3대 전선이 되었다.

그러나 지리적으로 인접해있었던 남아프리카 공화국로디지아 등 소수 백인계 정부가 지배하던 남부 아프리카의 고립국가들이 포르투갈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하며 역내 외세 국가의 지원 하에 파죽지세로 식민지 독립군 단체들을 압살하던 포르투갈군과 불리하게 싸웠던 모잠비크, 앙골라의 독립전쟁과는 달리[5] 이 나라의 독립 전쟁은 모잠비크와 앙골라에서 포르투갈의 식민지 유지를 지원했던 남아공조차도 자국과도 거리가 먼 서아프리카에 위치해 있었는데다 거리가 가까운 모잠비크, 앙골라와 달리 굳이 이 곳까지 포르투갈의 식민지 체제 유지를 도와줘야 할 명분이 없었기에 남아공은 기니비사우에서는 포르투갈을 지원해주지 않고 오히려 외면을 해버리면서[6] 당시 포르투갈은 기니비사우에서는 매우 불리하게 식민지 독립군과 싸웠다. 더욱이 기니비사우와 국경을 맞대고 있었던 기니세네갈 등 이웃한 서아프리카 국가들과 중국, 쿠바, 체코슬로바키아, 소련공산주의권 국가들이 PAIGC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준 덕에 PAIGC 독립군 세력들은 전쟁에서 주도권을 장악하고, 포르투갈군들을 대거 밀어내어 전세에서 승기를 굳히면서 1974년 카네이션 혁명으로 식민지 유지를 고집하던 포르투갈 제2공화국 정부를 무너뜨리고 수립한 포르투갈 신정부로부터 독립을 인정 받았다. 포르투갈의 카네이션 혁명과 60, 70년대 독립전쟁 당시 독립을 지원했던 세네갈기니 등 아프리카 이웃나라들의 도움도 얻은 편이지만, 그들 스스로의 독립 투쟁 의지 역시 크게 좌우했다. 불행히도 정작 지도자인 아밀카르 카브랄[7]은 기니비사우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독립전쟁이 한창이던 1973년암살당한다. 그 뒤 같이 투쟁을 한 같은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대서양 섬나라인 카보베르데와 통합하려 했으나, 여러가지 문제들로 무산되었다. [8]

유럽의 식민지배에서 독립한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이 그렇듯이, 독립 이후에 무수한 쿠데타에 시달렸다. 1980년에 사회주의자 주앙 베르나르두 비에이라(João Bernardo Vieira)의 군사 쿠데타로 초대 대통령이었던 루이스 카브랄(Luís Cabral)이 축출되었다. 1998년 6월 7일에는 비에이라 정권에 불만을 품은 군 참모총장 안수마느 마네(Ansumane Mané)의 반란으로 아예 내전이 발발하였다. 내전은 1999년 5월 10일에 끝났으나 이에 책임을 지고 비에이라가 하야하면서 사회주의 세력이 주도하던 시대가 끝나게 된다. 내전 사망자는 655명으로 비교적 적은 편이었으나, 인구가 120만 명 정도이던 나라에서 무려 350,000명에 달하는 난민이 발생했다.

이후 2003년에 군 참모총장이었던 베리시무 코헤이아 세아브라(Veríssimo Correia Seabra)의 쿠데타가 일어나 당시 대통령이었던 쿰바 얄라(Kumba Yalá)는 축출됐다. 2009년에는 축출되었다가 2005년에 재당선한 비에이라가 군부 세력에게 피살되기도 했다.

2008년 5월에 기니비사우에서 콜레라가 발생해 12,220여명이 감염됐고, 그 가운데 201명이 숨졌다고 유니세프가 밝혔다.#

2009년 6월 5일에 대선 후보가 피살되는 일이 발생되었다.# 2010년 4월 1일에 쿠데타 시도가 발생되었다.#

2012년 4월에 또다시 쿠데타가 일어나 정부 요인들이 구금되기도 했다. 정치적인 혼란 때문인지 이 나라는 현재 코카인 밀수의 근거지로 여겨진다.

2012년 1월 9일에 기니비사우의 말람 바카이 사나 대통령이 파리의 한 병원에서 사망했다.#

2012년에 쿠데타가 일어나자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 자격이 정지되었다.# 쿠데타가 일어나자 서아프리카평화유지군이 파견되었다.#

쿠데타가 일어난지 2년만에 기니비사우의 새 대통령에 호세 마리오 바즈 전 재무장관이 당선됐다.#

2015년 3월 8일에 기니비사우에서 어린이를 납치해 세네갈로 보낼려고 했던 인신매매조직이 체포되었다.#

2015년 8월 3일(현지시각) 기니비사우 북부의 카충고에서 건물이 붕괴돼 11명이 사망했다.#

2020년 1월 1일에 기니비사우 선거관리위원회는 대통령 선거에서 야당 지도자인 우마로 시소코 엠발로가 당선되었다고 발표했다.#

2022년 2월 또 쿠데타 시도가 있었다.# 우마로 시로코 대통령은 쿠데타 시도가 실패로 끝났다고 밝혔다.#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는 기니비사우에 병력을 파견한다고 밝혔다.#

5월 16일에 우마로 시소코 엠발로 대통령이 의회 해산을 선언했다.#

2023년 11월 30일에도 또 쿠데타 시도가 있었다.(...) #

4. 인구 및 민족

민족구성은 만딩카족을 포함한 아프리카 흑인이 대부분이며 그 외 포르투갈 식민시절 후손격의 포르투갈계 백인과 물라토 등의 인종이 거주한다. 인구는 1,628,603명 정도로 추산되었다. 그 외 발란타족, 만자크족이 거주한다.

포르투갈의 식민지 지배를 겪었던 앙골라, 모잠비크와 마찬가지로 포르투갈 식민지배 시절까지는 포르투갈인들 일부가 이 곳으로 이주하였으나 독립 이후 대부분 모국으로 돌아가게 되어서 현재 백인은 극소수에 불과한 편이다. 그나마 앙골라모잠비크는 석유와 천연가스를 기반으로 경제 성장을 하여 과거 식민지 독립 이후 포르투갈로 떠났던 포르투갈계 백인들이 옛 식민지배국이었던 포르투갈이 경제위기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면서 다시 이들 국가들로 일자리를 찾으러 취업 이민을 오기라도 하고 있지. 여전히 경제적으로 가난한 최빈국인 기니비사우에는 이민을 오지 않고 있다.

5. 문화

서아프리카문화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가나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나이지리아 니제르 라이베리아 말리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모리타니 베냉 부르키나파소 세네갈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시에라리온 카보베르데 코트디부아르 토고

5.1. 식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기니비사우 요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행정구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uinea-Bissau-CIA_WFB_Map.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uinea_Bissau_regions_named.png

기니비사우는 8개 주와 1개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다.

7. 경제

서아프리카경제
[[카보베르데#경제|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모리타니#경제|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세네갈/경제|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감비아#경제|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기니비사우#경제|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기니#경제|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시에라리온#경제|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경제|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말리#경제|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부르키나파소#경제|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경제|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가나#경제|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토고#경제|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베냉#경제|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나이지리아/경제|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니제르#경제|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1인당 GDP가 2021년 UN 통계 기준 759달러(195개국 중 180위)에 불과한 최빈국 중의 최빈국이다. 이게 어느 정도 수준이냐면 에티오피아, 르완다, 수단보다도 못하고 감비아와 동급에[9], 에리트레아, 말라위보다 나은 걸 다행으로 여겨야 할 수준일 정도다.

경제의 대부분을 1차 산업인 농업어업에 의존하고 있다. 게다가 정세도 굉장히 혼란스러운 만큼 제대로 된 경제발전이 불가능해 1970년부터 2021년까지 1인당 GDP는 2배도 성장하지 못했는데,[10][11] 동기간 동안 기니비사우보다 1인당 GDP 증가폭이 낮은 나라는 모잠비크[12], 소말리아[13] 2 ~ 3개국이 전부다.

통화는 본래 기니비사우 페수였으나 급속한 인플레이션으로 가치가 낮아지자 1997년부터 서아프리카 프랑을 도입해서 사용하고 있다.

8. 국내 상황

기니비사우는 포르투갈식민지였고 1957년 8월 기니비사우카보베르데 아프리카 독립당이 결성되어 독립 전쟁을 전개하여 1973년에 독립하여 1974년 9월에 국제연합에 가입했다. 쿠데타와 내전의 역사가 반복되면서 마약 밀매 거점 국가로 전락한 상태이다. 세네갈 출신 난민들도 여기에 거주하고 있다. 현재 기니비사우군과 경찰을 총동원하여 마약 밀매단들과 전쟁을 선포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게다가 작년부터 목초지 파괴가 급격하게 심해져, 사하라 확장의 첫 피해국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해양 어류도 빠른 속도로 감소 중이다.

2022년 2월 1일 쿠데타가 발생 하였으나 이내 실패로 돌아갔으나, 그 과정에서 6명이 사망하였다. 실패로 돌아갔지만 만약 성공했다면 2022년 부르키나파소 쿠데타에 이어 2022년 두 번째 쿠데타가 될 뻔 했다.

2003년 이후 정세가 아주 막장이다. 2003년부터 2023년까지 겨우 20년 동안 쿠데타 시도가 무려 12번이나 있었다. 문자 그대로 2년에 한 번 꼴로 쿠데타 시도가 일어나는 셈이다. 그나마 성공한 쿠데타는 2003년과 2012년에 있던 쿠데타 2번밖에 없던것이 불행 중 다행이긴 하다.

9. 정치

서아프리카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치
파일:가나 국기.svg
정치
파일:감비아 국기.svg
정치
파일:기니 국기.svg
정치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가나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정치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정치
파일:니제르 국기.svg
정치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정치
파일:말리 국기.svg
나이지리아 니제르 라이베리아 말리
정치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정치
파일:베냉 국기.svg
정치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정치
파일:세네갈 국기.svg
모리타니 베냉 부르키나파소 세네갈
정치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정치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정치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정치
파일:토고 국기.svg
시에라리온 카보베르데 코트디부아르 토고
}}}}}}}}}

기니비사우의 정치 정보
부패인식지수 22점 2023년, 세계 158위
언론자유지수 55.95점 2024년, 세계 92위
민주주의지수 2.45점 2023년, 세계 140위

2022년 2월 1일에 쿠데타 미수 사건이 있었다.

10.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기니비사우/외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국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sta É a Nossa Pátria Bem Amad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스포츠

포르투갈의 영향으로 축구가 그나마 인기 있다. 기니비사우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참조.

K리그1울산 현대제주 유나이티드에서 활약한 공격수 프레데릭 멘디 또한 기니비사우 출신이다.

K리그1인천 유나이티드 FC에서 활약하는 공격수 제르소 페르난데스K리그2성남 FC 소속 공격수 토니 코레아 고메스 역시 출신지가 기니비사우다. 특히 코레아는 기니비사우 대표팀 소속으로 A매치를 소화한 경험도 있다.

스페인의 명문 축구클럽 FC 바르셀로나의 유망주 안수 파티[14]가 기니비사우 출신이다.

13. 기타

대한민국 여권 소지자는 도착 비자를 받을 수 있다고 하나 문제는 비자 정책을 설명해 주는 기니비사우 대사관이나 외교부 사이트가 존재하지 않아 정확한 요건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대한민국 내에 기니비사우 외교공관이 없기 때문에 이 나라 비자를 발급받으려면 베이징, 파리, 리스본, 다카르 등지에 있는 외교공관을 찾아가야 한다.

14. 언어별 명칭

언어별 명칭
한국어 기니비사우 공화국
기네비사우 공화국
영어 Guinea-Bissau
Republic of Guinea-Bissau
일본어 ギニアビサウ
ギニアビサウ共和国
포르투갈어 Guiné-Bissau
República da Guiné-Bissau
중국어 幾內亞比索
幾內亞比索共和國
힌디어 गिनी-बिसाऊ
गिनी-बिसाऊ के गणराज्य
아랍어 غينيا بيساو
جمهورية غينيا بيساو
러시아어 Гвинея-Бисау
Респу́блика Гвине́я-Биса́у

[1] 식민지배의 흔적 때문에, 세 국가의 공용어는 모두 다르다. 서쪽부터 기니비사우(포르투갈령 기니)는 포르투갈어, 기니(프랑스령 서아프리카)는 프랑스어, 적도 기니(스페인령 기니)는 스페인어를 사용한다.[2] 역시 비슷한 이름의 국가인 오세아니아파푸아뉴기니는 단지 그 곳에 진출한 유럽인들이 기후와 사람이 기니 지역과 비슷해보인다고 뉴기니로 부른 것이 시초다.[3] 참고로 대한민국은 무려 3,348개의 섬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4위 섬 보유 국가다.[4] 후일 카보베르데가 포르투갈의 식민지 지배에서 독립하자 카보베르데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5] 심지어 앙골라는 당시 내부적으로 앙골라인민해방운동(MPLA), 앙골라민족해방전선(FNLA), 앙골라전면독립연맹(UNITA) 등 독립운동을 주도하던 독립운동 저항군 단체들마져도 분열되어 있었다. 결국 앙골라가 1974년 카네이션 혁명 이후 포르투갈로부터 독립을 하게 되자 이들은 신생국가의 정치적 주도권을 잡기 위해 3개 파벌들로 나뉘어 피 흘리는 내전을 벌였다.[6] 모잠비크와 앙골라는 남아공과도 거리가 가깝고 포르투갈 식민지에서 독립할 경우 흑인들이 주도하는 흑인계 정부가 들어서 남아공내 다수 흑인들이 더더욱 격렬하게 저항하여 소수 백인들이 지배하는 아파르트헤이트 체제에 악영향이 미치게 될 가능성이 높아 백인계 국가인 포르투갈의 식민지 지배를 도와주는 것이 이득이었지만(결국 1970년대 말과 80년대 초에 모잠비크와 앙골라가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하고, 로디지아의 백인 정권마져 권력을 잃고 흑인국가인 짐바브웨로 독립되자 아파르트헤이트 흑백 차별 정책을 통한 남아공의 백인 정권 체제는 1980년대에 가면서 빠르게 약화되었다.) 기니비사우는 거리가 먼 서부 아프리카에 위치해 있었기에 남아공으로서는 미치는 악영향이 거의 없었다.[7] 기니비사우 초대 대통령인 루이스 카브랄이복 형제[8] 공식적으로 무산된 것은 1980년 기니비사우의 쿠데타 이후지만, 애초에 국가통합 자체가 PAIGC 지도부가 카보베르데를 독립시키려고 세운 명목적 목표라는 설도 있다.[9] 이조차 고작 13$ 차이로 감비아에 밀렸다[10] 395달러(1970) -> 759달러(2021)[11] 이는 아프가니스탄,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콩고민주공화국처럼 장기간의 내전과 정세 혼란으로 국토가 박살나며 세계적으로 악명을 얻은 나라들보다도 훨씬 못한 수준이다.[12] 이쪽은 1975 ~ 1992년 이렇게 무려 17년100만 명이 사망하는 내전을 겪었다.[13] 2021년 1인당 GDP가 4배(118달러 -> 447달러)나 폭등했다.[14] 스페인 국가대표팀을 선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