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color: #C3C96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메이지 시대| 메이지 시대 ]] | |||
<rowcolor=#C3C965>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이토 히로부미 | 구로다 기요타카 | 야마가타 아리토모 | 마쓰카타 마사요시 | |
<rowcolor=#c3c965>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이토 히로부미 | 마쓰카타 마사요시 | 이토 히로부미 | 오쿠마 시게노부 | |
<rowcolor=#C3C965>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야마가타 아리토모 | 이토 히로부미 | 가쓰라 다로 | 사이온지 긴모치 | |
<rowcolor=#C3C965> 제13대 | 제14대 | |||
가쓰라 다로 | 사이온지 긴모치 |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 ]] | ||||
<rowcolor=#C3C965>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
가쓰라 다로 | 야마모토 곤노효에 | 오쿠마 시게노부 | 데라우치 마사타케 | |
<rowcolor=#C3C965>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
하라 다카시 | 다카하시 고레키요 | 가토 도모사부로 | 야마모토 곤노효에 | |
<rowcolor=#C3C965>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기요우라 게이고 | 가토 다카아키 | 와카쓰키 레이지로 | ||
[[쇼와 시대| 쇼와 시대 ]] | ||||
<rowcolor=#C3C965>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다나카 기이치 | 하마구치 오사치 | 와카쓰키 레이지로 | 이누카이 쓰요시 | |
<rowcolor=#C3C965>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사이토 마코토 | 오카다 게이스케 | 히로타 고키 | 하야시 센주로 | |
<rowcolor=#C3C965>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제37대 | |
고노에 후미마로 | 히라누마 기이치로 | 아베 노부유키 | 요나이 미쓰마사 | |
<rowcolor=#C3C965> 제38·39대 |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
고노에 후미마로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 |
[[쇼와 시대| 쇼와 시대 ]] | ||||
<rowcolor=#C3C965>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제46대 | |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 | 시데하라 기주로 | 요시다 시게루 | 가타야마 데쓰 | |
<rowcolor=#C3C965> 제47대 | 제48-51대 | 제52-54대 | 제55대 | |
아시다 히토시 | 요시다 시게루 | 하토야마 이치로 | 이시바시 단잔 | |
<rowcolor=#C3C965> 제56·57대 | 제58-60대 | 제61-63대 | 제64·65대 | |
기시 노부스케 | 이케다 하야토 | 사토 에이사쿠 | 다나카 가쿠에이 | |
<rowcolor=#C3C965> 제66대 | 제67대 | 제68·69대 | 제70대 | |
미키 다케오 | 후쿠다 다케오 | 오히라 마사요시 | 스즈키 젠코 | |
<rowcolor=#C3C965> 제71-73대 | 제74대 |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다케시타 노보루 | |||
[[헤이세이 시대| 헤이세이 시대 ]] | ||||
<rowcolor=#C3C965> 제75대 | 제76·77대 | 제78대 | 제79대 | |
우노 소스케 | 가이후 도시키 | 미야자와 기이치 | 호소카와 모리히로 | |
<rowcolor=#C3C965> 제80대 | 제81대 | 제82·83대 | 제84대 | |
하타 쓰토무 | 무라야마 도미이치 | 하시모토 류타로 | 오부치 게이조 | |
<rowcolor=#C3C965> 제85·86대 | 제87-89대 | 제90대 | 제91대 | |
모리 요시로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아베 신조 | 후쿠다 야스오 | |
<rowcolor=#C3C965> 제92대 | 제93대 | 제94대 | 제95대 | |
아소 다로 | 하토야마 유키오 | 간 나오토 | 노다 요시히코 | |
<rowcolor=#C3C965> 제96-98대 | ||||
아베 신조 | ||||
[[레이와 시대| 레이와 시대 ]] | ||||
<rowcolor=#C3C965> 제99대 | 제100·101대 | 제102·103대 | ||
스가 요시히데 | 기시다 후미오 | 이시바 시게루 | ||
← 태정대신 섭관 · 원정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오다 · 도요토미 · 에도 · 내무경 · 총리 | }}}}}}}}} |
하시모토 류타로 관련 틀 | |||||||||||||||||||||||||||||||||||||||||||||||||||||||||||||||||||||||||||||||||||||||||||||||||||||||||||||||||||||||||||||||||||||||||||||||||||||||||||||||||||||||||||||||||||||||||||||||||||||||||||||||||||||||||||||||||||||||||||||||||||||||||||||||||||||||||||||||||||||||||||||||||||||||||||||||||||||||||||||||||||||||||||||||||||||||||||||||||||||||||||||||||||||||||||||||||||||||||||||||||||||||||||||||||||||||||||||||||||||||||||||||||||||||||||||||||||||||||||||||||||||||||||||||||||||||||||||||||||||||||||||||||||||||||||||||||||||||||||||||||||||||||||||||||||||||||||||||||||||||||||||||||||||||||||||||||||||||||||||||||||||||||||||||||||||||||||||||||||||||||||||||||||||||||||||||||||||||||||||||||||||||||||||||||||||||||||||||||||||||||||||||||||||||||||||||||||||||||||||||||||||||||||||||||||||||||||||||||||||||||||||||||||||||||||||||||||||||||||||||||||||||||||||||||||||||||||||||||||||||||||||||||||||||||||||||||||||||||||||||||||||||||||||||||||||||||||||||||||||||
|
<nopad> |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출생 | 1937년 7월 29일 | ||
도쿄부 도쿄시 시부야구 (現 도쿄도) | |||
사망 | 2006년 7월 1일 (향년 68세) | ||
도쿄도 신주쿠구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 | |||
재임기간 | 제82대 내각총리대신 | ||
1996년 1월 11일 - 1996년 11월 7일 | |||
제83대 내각총리대신 | |||
1996년 11월 7일 - 1998년 7월 30일 | |||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부모 | 부친 하시모토 료고 친모 하시모토 하루코 계모 하시모토 마사 | |
형제 | 이복동생 하시모토 다이지로[1] | ||
배우자 | 하시모토 쿠미코 | ||
자녀 | 차남 하시모토 가쿠 총 2남 3녀 | ||
친인척 | 사촌형 하시모토 아키라 며느리 지미 하나코 사돈 지미 쇼자부로 | ||
학력 | 오타구립덴엔초후소학교 (졸업) 아자부중학교 (졸업) 아자부고등학교 (졸업) 게이오기주쿠대학 법학부 (정치학 / 학사) | ||
정당 | |||
지역구 | 오카야마 4구 | ||
의원 선수 | 14 (중) | ||
의원 대수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
약력 | 구레하방적주식회사 직원 니시무라 에이이치 비서관 중의원 의원 제57대 후생대신 제58대 운수대신 제29대 자유민주당 간사장 제93-94대 대장대신 제39대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 제59대 통상산업대신[2] 제17대 자유민주당 총재 제82·83대 내각총리대신 제42대 오키나와 개발청 장관 초대 규제개혁담당대신 초대 오키나와·북방대책담당대신 | }}}}}}}}} |
1. 개요
일본의 정치인. 제82, 83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했다.2. 생애
3. 대외 관계
1996년 김영삼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으며[3][4], 후임인 김대중 대통령과도 1998년 ASEM에서 회담한 바 있다.
임기 초반부터 독도 영유권 문제, 한일어업협정 체결 등으로 마찰이 있었으며 반일 감정이 전 내각 때보다 세졌으나, 한일월드컵 공동개최 발표 당시 김영삼 대통령과 하시모토 류타로 총리 두 정상은 서로의 공동개최를 축하하며 한일 양국 두나라가 2002년 월드컵 결승전까지 올라가 멋진 맞대결을 펼치자는 덕담이 오가긴 했다.[5] [6]
그 외에 1998년 아키히토 천황의 영국 방문이 성사 될 수 있었던데에는 당시 하시모토 총리가 영국군 포로 학대 문제에 대해 사죄했기 때문에 가능했다라는 영국측의 공식 외교문서가 2021년 12월에 공개되기도 했다. #[7]
4.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 선거 종류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63 |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구 오카야마현 2구 | | 74,564 (18.9%) | 당선 (2위) | 초선 |
1967 |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3,838 (16.0%) | 당선 (4위) | 재선 | ||
1969 |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77,489 (17.7%) | 당선 (1위) | 3선 | ||
1972 |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5,489 (14.2%) | 당선 (3위) | 4선 | ||
1976 |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1,157 (12.4%) | 당선 (5위) | 5선 | ||
1979 |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4,395 (20.1%) | 당선 (1위) | 6선 | ||
1980 |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9,964 (20.9%) | 당선 (1위) | 7선 | ||
1983 |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5,647 (16.5%) | 당선 (2위) | 8선 | ||
1986 |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32,067 (26.2%) | 당선 (2위) | 9선 | ||
1990 |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77,693 (32.0%) | 당선 (1위) | 10선 | ||
1993 |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50,714 (28.4%) | 당선 (1위) | 11선[8] | ||
1996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오카야마 4구 | 152,595 (68.0%) | 당선 (1위) | 12선 | |
2000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28,888 (65.6%) | 당선 (1위) | 13선 | ||
2003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4,653 (56.5%) | 당선 (1위) | 14선 |
5. 기타
검도를 좋아했다고 한다. 그래서 하시모토 시절의 자민당 선거 광고 중에 검도 대련하는 컨셉의 광고가 있다.
총리 재임 중에는 우익 성향이라는 평을 들었던 인물이다. 1996년 독도에 선박 접안 시설을 건설하려 했을 때, 영유권 문제를 거론했기 때문. 그리고 미야자와 기이치 이후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총리였는데 사촌이 합사된 이유로 개인 자격으로 참배했다. 그렇다고 고이즈미 준이치로나 아베 신조처럼 대놓고 총리 자격으로 참배하지는 않았다. 이외에는 위안부 사죄 및 과거사 인식 부분에서는 중도 성향에 가까운 인물이다.
동아리 후배 중에 훗날 자민당 총재가 되는 다니가키 사다카즈가 있었다고 한다.
비서 중에 에다 겐지가 있었다.
가와이 가쓰유키, 가와이 안리 부부의 중매를 서줬다. 아들 가쿠가 안리의 대학 친구였기 때문.
중국인 애인을 뒀는데 중국인 스파이란 소문이 돌았다. 하시모토 측에서는 불륜은 인정했으나 해당 여성은 중국 대사관에서 만난 사이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일본 정부 역사상 가장 여성 편력이 화려했던 총리들 중 하나로 유명했기 때문에 사후 14년이 지난 지금도 평판이 영 좋지 않다. 심지어 중국인 애인을 뒀던 사건이랑 맞물려서 아예 하시모토 류타로 본인이 말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을 위해 일하는 상태였다고 믿는 사람들까지 있다. 물론 고인드립이다. 익명성이 보장되어 있는 인터넷에서 주로 도는 소리다.
여성 편력이 화려했던 것에서 알 수 있듯, 준수한 외모에다 매력도 갖춰서 한때 이시하라 신타로, 고노 요헤이와 함께 여성 지지자들에게 인기가 많은 정치인이었다.
엄청난 골초였다고 한다. 집무 중에 담배를 놓지 않았다고 한다.
6. 둘러보기
[1] 전 고치현지사[2] 1995년 총재직 선출 후 부총리 겸직[3] 청와대 전직 사진사에 따르면 둘이 만찬을 가진후 김영삼을 형님으로 부르기로 했었단다.[4] 김영삼 대통령은 일본어가 유창한 편으로 이런 언어적 이점을 바탕으로 친교 관계를 맺었을 개연성이 있다.[5] 김대통령.하시모토 일본 총리, 월드컵 공동 개최 입장 표명[6] 김대통령 하시모토 월드컵 결승전서 만나 멋진 맞대결 펼치자[7] 사실 결정적이라고 보긴 어려운 것이 히로히토 천황와 나가코 황후는 이전에 엘리자베스 2세의 초청을 받아 영국 국빈방문을 한 적이 있다. 타이밍을 앞당겼다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8] 일본 중의원 총선거의 마지막 중선거구제
분류
- 일본의 남성 정치인
- 일본국 내각총리대신
- 일본의 부총리
- 일본 경제산업대신
- 일본 재무대신
- 일본 운수대신
- 일본 후생대신
- 일본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자유민주당(일본) 국회의원
- 제30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1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2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3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4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5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6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7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8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9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0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1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2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3대 일본 중의원 의원
- 1937년 출생
- 2006년 사망
- 시부야구 출신 인물
- 자유민주당(일본) 총재
- 일본의 정치인 자녀
- 소화기질환으로 죽은 인물
- 아자부 고등학교 출신
- 게이오기주쿠대학 출신
- 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
- 정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