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임한 직위 | |||||||||||||||||||||||||||||||||||||||||||||||||||||||||||||||||||||||||||||||||||||||||||||||||||||||||||||||||||||||||||||||||||||||||||||||||||||||||||||||||||||||||||||||||||||||||||||||||||||||||||||||||||||||||||||||||||||||||||||||||||||||||||||||||||||||||||||||||||||||||||||||||||||||||||||||||||||||||||||
|
일본국 제18-26대 참의원 의원 쓰루호 요스케 鶴保庸介 | Tsuruho Yōsuke | |
<colbgcolor=#D7003A> 출생 | 1967년 2월 5일 ([age(1967-02-05)]세) |
오사카부 오사카시 | |
현직 | 제26대 일본 참의원 의원 참의원 예산위원회 위원장 |
학력 | 오사카 텐노지 고등학교 (졸업) 도쿄대학 (문학 / 학사) 도쿄대학 법학부 (정치학 / 석사) |
소속 정당 | |
소속 파벌 | 지수회 → 무파벌 |
의원 선수 | 5 (중) |
의원 대수 | 18, 20, 22, 24, 26 |
지역구 | 와카야마현 선거구 |
약력 | 중의원 오자와 이치로 비서 참의원 결산위원장 국토교통부대신 (제2차 아베 신조 내각) 자유민주당 참의원 정책심의회장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오키나와 북방담당, 쿨재팬, IT 기술 정책 담당) |
링크 |
1. 개요
일본의 정치인.2. 생애
1967년 2월 5일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에서 태어났다. 오사카 텐노지 고등학교 졸업이후 도쿄대학 문과1류에 진학했다 도쿄대학 법학부에서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도쿄 대학을 졸업한 쓰루호는 1991년 중의원 의원인 오자와 이치로의 비서를 거쳐 1994년 신진당 결성에 참가, 1996년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신진당 소속으로 와카야마현 제2구에 출마하였으나 자민당 기시모토 미쓰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7년 신진당의 분당 이후에는 오자와의 뒤를 따라 자유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1998년 제1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와카야마현 선거구에 출마해 현직인 자유민주당 마에다 이사오 전 법무대신을 누르고 첫 당선에 성공했다. 당시 31세의 나이로 참의원 최연소 의원이었다. 1999년 자유당이 연립정권 연정 문제로 분열되자 오자와의 자유당을 떠나 보수당의 창당에 합류하였다. 이후 보수신당을 거쳐 2003년 자유민주당에 합류했다.
2002년 국토교통대신 정무관(1차 고이즈미 개조내각, 1차 고이즈미 개조내각, 2차 고이즈미 내각), 참의원 후생노동위원장, 참의원 결산위원장, 참의원원 운영위원장, 국토교통부대신(2차 아베 내각) 등을 역임했다. 이 시기 와카야마현의 정치인인 니카이 도시히로의 측근으로 활동했다.
2016년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에서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오키나와 및 북방대책 담당대신, 쿨재팬 담당, IT 기술 정책 담당)에 임명되면서 첫 입각에 성공했다. 2021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는 전 부인인 노다 세이코를 추천하였다.
2023년 4월 치러지는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자민당 공인을 받아 와카야마현 제1구에 입후보 할 뜻을 밝혔으나, 현 지부에서 반대 여론이 나왔기에, 합의 끝에 전 선거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된 카도 히로후미를 공천하는 것으로 합의했다.[1]
2024년 중의원 소선거구 감측에 따라 와카야마의 선거구가 3개에서 2개로 감축되자 자민당 와카야마현련은 차기 중원선을 앞두고 쓰루호를 와카야마 1구의 새 후보로 옹립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당시 파벌 내 정치자금 문제로 인해 와카야마현 참의원 의원인 세코 히로시게가 자민당을 탈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결국 출마를 단념하게 되었다.
2025년 1월 참의원 예산위원장에 선임되었다.
3.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 1994 - 1997 | 창당 정계입문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97 - 1998 | 정당 해산 |
| 1998 - 2000 | 창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00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2000 - 2002 | 창당 |
| 2002 - 2003 | 신설 창당 |
| 2003 - | 합당 |
4. 선거 이력
5. 여담
- 2001년 자유민주당의 노다 세이코 중의원 의원과 사실혼 관계를 맺었지만 두 사람은 혼인신고를 하지 않았다. 2005년 우정국회 때는 우정민영화 법안에 반대하는 노다의 입장을 지지하기 위해 소속된 파벌 2차그룹(뉴 웨이브)에서 탈퇴했으며, 2007년 관계가 파탄에 이르러 헤어졌다.
- 니카이 도시히로와 신진당 시절 부터 함께한 측근이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D7003A><tablebgcolor=#D7003A>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D7003A><tablebgcolor=#D7003A>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 ||||
하세가와 가쿠 | 후나하시 도시미쓰 | 히로세 메구미 | 사쿠라이 미쓰루 | 이시이 히로오 | |
호시 호쿠토 | 가토 아키요시 | 우에노 미치코 | 나카소네 히로후미 | 세키구치 마사카즈 | |
우스이 쇼이치 | 이노구치 구니코 | 미하라 준코 | 아사오 게이이치로 | 나가이 마나부 | |
아사히 겐타로 | 이쿠이나 아키코 | 고바야시 가즈히로 | 노가미 고타로 | 오카다 나오키 | |
야마자키 마사아키 | 와타나베 다케유키 | 와카바야시 요헤이 | 후지카와 마사히토 | 야마모토 사치코 | |
고야리 다카시 | 요시이 아키라 | 마쓰카와 루이 | 스에마쓰 신스케 | 사토 게이 | |
쓰루호 요스케 | 아오키 가즈히코 | 오노다 키미 | 미야자와 요이치 | 에지마 기요시 | |
나카니시 유스케 | 이소자키 요시히코 | 야마모토 준조 | 오이에 사토시 | 후쿠오카 다카마로 | |
야마모토 게이스케 | 마쓰무라 요시후미 | 고쇼 하루토모 | 마쓰시타 신페이 | 노무라 데쓰로 | |
다카하시 하루미 | 이와모토 쓰요시 | 다키사와 모토메 | 모리 마사코 | 코즈키 요스케 | |
다카하시 가즈노리 | 시미즈 마사토 | 후루카와 도시하루 | 이시이 슌이치 | 도요타 도시로 | |
다케미 게이조 | 시마무라 다이 | 도코 시게루 | 미야모토 슈지 | 다키나미 히로후미 | |
모리야 히로시 | 오노 야스타다 | 마키노 다카오 | 사카이 야스유키 | 요시카와 유미 | |
니시다 쇼지 | 오타 후사에 | 가다 히로유키 | 호리이 이와오 | 세코 히로시게 | |
마이타치 쇼지 | 이시이 마사히로 | 다케미 게이조 | 시마무라 다이 | 기타무라 츠네오 | |
다카노 고지로 | 미야케 신고 | 마쓰야마 마사지 | 야마시타 유헤이 | 고가 유이치로 | |
바바 세이시 | 나가미네 마코토 | 오쓰지 히데히사 | 미키 도오루 | 미우라 야스시 | |
쓰게 요시후미 | 야마다 타로 | 와다 마사무네 | 사토 마사히사 | 사토 노부아키 | |
하시모토 세이코 | 야마다 도시오 | 아리무라 하루코 | 이시다 마사히로 | 혼다 아키코 | |
에토 세이이치 | 하네다 다카시 | 미야자키 마사오 | 아카이케 마사아키 | 히가 나츠미 | |
나카다 히로시 | 후지이 가즈히로 | 가지하라 다이스케 | 아카마츠 켄 | 하세가와 히데하루 | |
아오야마 시게하루 | 가타야마 사쓰키 | 아다치 도시유키 | 지미 하나코 | 후지키 신야 | |
야마다 히로시 | 도모노우 리오 | 야마타니 에리코 | 이노우에 요시유키 | 신도 가네히코 | |
이마이 에리코 | 아다치 마사시 | 가미야 마사유키 | 오치 도시유키 | }}} }}}}}} |
긴키 지방의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가현 선거구 | 교토부 선거구 | 오사카부 선거구 | 효고현 선거구 | 나라현 선거구 | 와카야마현 선거구 | |||
2025년 개선 | |||||||||
가다 유키코 | 니시다 쇼지 | 우메무라 미즈호 | 공석 | 시미즈 다카유키 | 다카하시 미쓰오 | 호리이 이와오 | 공석 | ||
구라바야시 아키코 | 스기 히사타케 | 오타 후카에 | 가다 히로유키 | ||||||
2028년 개선 | |||||||||
고야리 다카시 | 요시이 아키라 | 다카기 가오리 | 마쓰카와 루이 | 가타야마 다이스케 | 스에마쓰 신스케 | 사토 게이 | 쓰루호 요스케 | ||
후쿠야마 데쓰로 | 아사다 히토시 | 이시카와 히로타카 | 이토 다카에 | ||||||
※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