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국 제28대 우정대신 | |
| 일본국 34·36대 통상산업대신 | |
| <colcolor=#fff><colbgcolor=#3CA324> 일본국 제24-40대 중의원 의원 고모토 토시오 河本敏夫 | Komoto Toshio | |
| <nopad> | |
| 출생 | 1911년 6월 22일 |
| 효고현 아코군 아이오이촌 (현 효고현 아이오이시) | |
| 사망 | 2001년 5월 24일 (향년 89세) |
| 도쿄도 신주쿠구 게이오기주쿠대학 병원 | |
| 학력 | 구제 류노 중학교 (졸업) 히메지 고등학교 (졸업) 니혼대학 법학부 (법문학 / 학사) |
| 최종 당적 | |
| 파벌 | 번촌정책연구소 |
| 의원 선수 | 17 (중) |
| 의원 대수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 지역구 | 舊 효고 4구 |
| 악력 | 산코기선 대표이사 17선 중의원 의원 (제25-40대 / 舊 효고현 제4구) 오키나와 개발청 장관 경제기획 정무차관 우정대신 통상산업대신 경제기획청 장관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 |
1. 개요
일본의 기업인, 정치인. 세계 굴지의 해운사였던 산코기선(三光汽船)을 창업하고[1] 이를 배경으로 정계에 진출하여 한때 총리의 물망에 까지 올랐으나 회사가 부도나며[2] 정치적 영향력을 크게 잃었다.2. 생애
1911년 6월 22일 효고현 아코군 아이오이촌에서 태어났다. 구제 타츠노 중학교를 거쳐 히메지 고등학교 문학부에 입학했으나 당시 일본군의 전쟁 반대 운동에 참가하여, 1930년 고등학교에서 퇴학처분 당했다. 이후 탄광 노동자와 직공 노동자로 일하다 독학으로 니혼대학 법학부에 합격하였다. 재학 중 그의 형제들과 산코기선을 설립하여 이사가 되었고 1937년부터 대표이사직에 올랐다.1947년 일본민주당 소속으로 구 효고 4구에 출마해 당선되면서 정계에 발을 들여놓았다. 이후 국민민주당과 개진당을 거쳐 1954년 일본민주당에 합류했고, 1955년 자민당 창당시 참여했다.
1958년 기시 노부스케 내각에서 경제기획정무차관을 지냈고 1968년 기시의 동생인 사토 에이사쿠 내각에서 우정대신에 임명되면서 첫 입각에 성공한다. 정계에서는 미키 다케오의 측근으로 번촌정책연구소(미키파)의 자금 조달역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본격적인 스포라이트를 받은 것은 미키 내각에서 통상산업대신에 취임하고 난 후였다.[3]
1976년 미키 다케오를 총리에서 끌어내리는 "미키 내림(三木降ろし)"이 발생하자, 고모토는 미키파의 중진으로서 미키파의 이당이나 야당 제휴,[4] 신당 결성 등의 이야기가 나오는 판국에서 선거 자금을 모으는 한편, 각료를 파면해도 강행으로 중의원을 해산하도록 미키에게 진언했다.[5]
미키 내각의 뒤를 이은 후쿠다 다케오 내각에서도 통상산업대신으로 임명, 이후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을 두 차례 맡으면서 자민당 굴지의 정책통·경제통으로 알려져 미키에게 비판적이었던 오히라 마사요시와 고토다 마사하루에게 인정 받는 등 자신의 실력을 입증시켰다. 그리고 스즈키 내각과 나카소네 내각 에서는 경제기획청 장관을 역임했다.
1970년대 일본 정계를 좌지우지 하던 삼각대복중의 후계자 중 한명으로 점쳐지던 고모토는 총재선때마다 소규모 파벌임에도 불구하고 자금과 인맥을 동원해 상당한 표를 끌어모았다. 고모토가 처음 총재선에 출마한 것은 1978년으로, 이 당시는 미키가 파벌 회장에서 물러난 뒤 파벌을 물려받을 준비를 하던 시기여서 차기 총재를 노리는 성격이 강했다. 하지만 이때는 오히라 마사요시에게 패배했고, 오히라가 2년뒤인 1980년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급사하자 후계 총재 후보 중 한명으로 거론됐지만 결국 오히라파인 스즈키 젠코가 후임 총재로 선출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 번촌정책연구소는 한차례 해산을 거친뒤 구 미키파의 의원들을 끌어모아 신 고모토파로 개편을 단행했다. 이런 번거로운 절차를 거친 이유는 고모토가 미키의 후계자로 인식돼 고모토가 총재에 취임하는 데 방해가 될 것을 우려한 미키의 의도 때문이었다. 1982년 총재선때도 그는 강력한 후계 총재 후보로 꼽혔지만 나카소네 야스히로에게 밀려 본선에도 오르지 못하고 리타이어했다.
1984년 미국-일본 무역 갈등이 심화하자 그해 11월 대외경제문제·민간활력도입담당대신이 되었고 이때 오키나와개발청 장관을 겸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85년 자신이 오너로 있던 산코기선이 해운 업계 불황으로 인해 도산하며 정치인으로서의 고모토에 대한 평가에 악영향을 끼쳤고, 결국 책임을 지고 오키나와개발청 장관을 사임해야 했다.
1989년 리크루트 사건으로 인해 다케시타 노보루 총리가 물러나고 후임 총리인 우노 소스케도 본인의 스캔들과 참의원 선거 참패로 인해 물러나자 고모토가 총리직에 오를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찾아왔다. 그러나 당시 자민당의 거물인 다케시타 전 총리와 가네마루 신 의원은 젊고 개혁적인 인물이 당권을 맡아야 한다고 말했고, 고모토파의 2인자인 가이후 도시키가 새 대안으로 부상했다. 고모토는 신예인 가이후에게 총리대신 자리를 맡아달라는 요구를 하며 총재선에 불출마를 선언했다.[6]
1993년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 구성될 중의원에서 중의원 의장 후보로 이름을 올렸지만 자민당과 공산당을 제외한 나머지 정당들이 연립정권을 구성하는 바람에 이 구상은 무위로 돌아갔다. 1996년 건강 상의 이유로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불출마를 선언하며 정계를 은퇴했고, 자신의 고향이자 지역기반인 아이오이시가 포함된 효고현 제12구는 당시 참의원 의원이던 3남 고모토 사부로가 물려받았다.[7]
정계를 은퇴한 뒤에도 번촌정책연구소의 명예회장을 지내는 등 정치와 어느 정도 거리를 두다가 2001년 5월 24일 심부전으로 게이오기주쿠 대학병원에서 향년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고모토 토시오와 산코기선
산코기선은 1934년 오사카 니시구의 이이노해운(飯野海運) 오사카 출장소에서 고모토의 매부 요시다 이치노스케(吉田市之助)가 창업한 산코해운이 그 시초이다. 이후 1938년 고모토가 사장으로 취임하고 사명을 산코기선으로 바꾸었다. 1945년 종전 시점에 노후선박 14척을 소유한 게 전부였던 산코기선은 고모토의 경영아래 1950년대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다.60년대에 들어 해운업계가 불황에 시달리자 선사들의 합병과 그룹화 등의 재편성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이 높아져 운수성 주도로 160여개의 선사들중 미쓰비시 계열의 일본우선(日本郵船), 미쓰이 계열의 미쓰이선박(三井船舶)등 유력 선사들을 포함 95개의 선사들이 6개의 해운그룹으로 재편되는 이른바 '해운집약'이 이뤄졌지만 산코기선은 국가의 보조금도 거부하고 해운집약에 참여하지도 않았다. "국가 보조라는 혜택을 얻는 것에 대한 대가로 경영이 제약된다. 해운경영의 기본은 보조금을 받는 것이 아니다. 합리화를 철저히 하여 운항 효율을 최대한 발휘하는 것이다"라는 것이 고모토의 신념이었다.
고모토는 집약에 참가하지 않은 회사 40여개사를 규합하여 1965년 '비집약선주회'를 설립, 비집약 선사들의 거두로 군림하였고 산코기선은 업계의 늑대로 불리우며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선대를 확장하였다. 특히 같은 해부터 시작된 대호황으로[8] 해운업계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산코기선은 사세를 비약적으로 팽창, 1970년대에 이르러 시총은 신일본제철에 이어 2위를 기록, 선복량은 2000만 DWT에 달하여 세계적인 규모를 자랑하였다.
고모토는 산코기선을 바탕으로 정계의 중진으로 자리잡아 정치적으로는 총리 · 총재를 도모하는 한편 사업적으로는 해운업계의 제왕이 되겠다는 야심이 있었다. 1972년 재팬라인을[9] 상대로 시도한 적대적인수합병은 전후 최대의 인수합병으로 불리우며 해운업계를 진동시켰다. 막강한 자금력과 정치력을 앞세운 산코기선측의 주식매입에 대해 재팬라인 측은 고모토원폭(河本原爆)이라고 비명을 지르며 우익의 실력자 고다마 요시오에게 중재를 의뢰하였다. 고다마가 고모토와의 협상에 나섰지만 고모토는 고집불통이었고 결국 고다마는 소고의 미즈시마 히로오(水島廣雄)에게 도움을 요청해 둘의 중재 하에 요미우리 신문 사주 쇼리키 마쓰타로(正力松太郎)의 방에 모여 산코기선이 주당 300엔에 매입한 주식 1억 4000만 주를 재팬라인 측이 380엔 다시 인수하는 걸로 마무리 되었다. 고모토의 입장에서 재팬라인 인수에는 실패했지만 큰돈을 벌었으니 손해 본 장사는 아니었던 셈이다.[10]
재팬라인 인수가 불발로 끝나고 이어 오일 쇼크가 터지면서 상황은 바뀌어 해운업은 극심한 불황을 겪는다. 특히 막대한 자금을 동원하여 신조선을 발주하였던 산코기선은 치명타를 입어 1985년 도산하기에 이른다. 부채총액은 5200억엔, 자회사를 포함하면 1조엔에 육박하였다. 고모토 또한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오키나와개발청장관을 사직하고 정치력의 축소를 막을수 없었다.
이후 산코기선은 회사갱생법의 적용을 신청 1998년 갱생절차를 종결, 2007년 매출액은 2200억엔, 경상이익은 797억엔을 기록하여 완전히 부활한 듯 보였으나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속에 2012년 또 다시 회사 갱생법의 적용을 신청, 2023년에는 마지막 보유선을 매각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4. 소속 정당
| 소속 | 기간 | 비고 |
| | 1947 - 1950 | 입당 정계 입문 |
| 1950 - 1952 | 합당 | |
| | 1952 - 1954 | 합당 |
| | 1954 - 1955 | 창당 |
| | 1955 - 2001 | 합당[11] 별세 |
5. 선거 이력
| 연도 | 선거 종류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49 | 제2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효고 4구 | | 72,280 (23.0%) | 당선 (1위) | 초선 |
| 1952 |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47,882 (15.9%) | 당선 (2위) | 재선 | |
| 1953 |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5,486 (15.6%) | 당선 (4위) | 3선 | ||
| 1952 | 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59,119 (20.0%) | 당선 (3위) | 4선 | |
| 1958 | 제2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72,280 (23.0%) | 당선 (1위) | 5선 | |
| 1960 |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55,170 (18.0%) | 당선 (3위) | 6선 | ||
| 1963 | 제3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0,977 (18.5%) | 당선 (2위) | 7선 | ||
| 1967 |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1,173 (18.0%) | 8선 | |||
| 1969 |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0,017 (20.5%) | 당선 (1위) | 9선 | ||
| 1972 |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76,871 (19.4%) | 10선 | |||
| 1976 |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90,389 (20.7%) | 11선 | |||
| 1979 |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5,802 (24.4%) | 12선 | |||
| 1980 |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16,474 (25.6%) | 13선 | |||
| 1983 |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2,085 (23.8%) | 14선 | |||
| 1986 |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95,593 (20.9%) | 당선 (2위) | 15선 | ||
| 1990 |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8,460 (18.4%) | 당선 (3위) | 16선 | ||
| 1993 |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70,743 (15.4%) | 17선[12] |
6. 평가
자민당 인사 중 학생운동 및 노동운동에 참여한 매우 드문 이력을 갖고 있는데, 이런 이유에서 결국 자민당 내에서도 이단파벌로 불리운 소수, 중도파벌인 미키파에 가입해서 활동한다. 다양한 이력을 바탕으로 여러 내각에서 대신직을 수행했고 평가도 좋았으나, 결국 총리직까지는 못 오른것은 소수파벌 출신이라는 약점 이외에도 자민당 내에서 유독 튀는 배경이 작용했다는 평가가 있다.7. 여담
- 자신의 고향인 아이오이시에 위치한 아이오이역이 히메지역과 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산요 신칸센 정차역이 되었다는 것에 대해서 핌피정치 라는 말이 나오고 있지만, 사실은 유사시 아이오이 ~ 히메지 ~ 니시아카시역 간의 단선 운행이 예정된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이 계획에 따른 용도로 인해 신칸센 정차역으로 결정된 것이다.
8.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 오키나와개발청장관 (1971년~2001년) | |||||||||
| 초대 야마나카 사다노리 | 2대 혼나 타케시 | 3대 츠보카와 신조 | 4대 코사카 도쿠사부로 | 5대 우에키 미츠노리 | ||||||
| 6대 니시무라 쇼지 | 7대 후지타 마사아키 | 8대 이나무라 사콘시로 | 9대 미하라 아사오 | 10대 오부치 게이조 | ||||||
| 11대 나카야마 타로 | 12대 타나베 쿠니오 | 13대 니와 효스케 | 14대 나카니시 이치로 | 15대 고모토 토시오 | ||||||
| 16대 후지모토 타카오 | 17대 코가 라이시로 | 18대 와타누키 다미스케 | 19대 카스야 시게루 | 20대 사카모토 치카오 | ||||||
| 21대 이노우에 키치오 | 22대 아베 후미오 | 23대 스나다 시게타미 | 24대 키베 요시아키 | 25대 타니 요이치 | ||||||
| 26대 이에 토모오 | 27대 키타 슈지 | 28대 우에하라 고스케 |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 29대 사토 모리요시 | ||||||
| 30대 오자토 사다토시 | 31대 오자와 기요시 | 32대 다카기 마사아키 | 33대 오카베 사부로 | 34대 이나가키 지츠오 | ||||||
| 35대 스즈키 무네오 | 36대 이노우에 키치오 | 37대 노나카 히로무 | 38-39대 아오키 미키오 | |||||||
| 40대 나카가와 히데나오 | 41대 후쿠다 야스오 | 42대 하시모토 류타로 | ||||||||
| 오키나와담당대신(1996년~2001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초대 가지야마 세이로쿠 | 2대 스즈키 무네오 | 3대 노나카 히로무 | 4대 아오키 미키오 | |||||||
| 5대 나카가와 히데나오 | 6대 후쿠다 야스오 | 7대 하시모토 류타로 | ||||||||
| 오키나와 및 북방대책담당대신(2001년~2003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초대 하시모토 류타로 | 2대 오미 고지 | 3대 호소다 히로유키 | ||||||||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오키나와 및 북방대책담당) (2003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1·2대 모테기 도시미쓰 | 3·4대 고이케 유리코 | |||||||||
| }}} | ||||||||||
| 5대 다카이치 사나에 | 6·7대 기시다 후미오 | 8·10대 하야시 모토오 | 9대 사토 쓰토무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8·10대 하야시 모토오 | 11·12대 마에하라 세이지 | 13대 마부치 스미오 | 14대 에다노 유키오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15대 가와바타 다쓰오 | 16대 다루토코 신지 | 17대 야마모토 이치타 | 18·19대 야마구치 슌이치 | 20대 시마지리 아이코 | ||||||
| 21대 쓰루호 요스케 | 22·23대 에사키 데쓰마 | 24대 후쿠이 데루 | 25대 미야코시 미쓰히로 | 26대 에토 세이이치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27대 고노 다로 | 28·29대 니시메 고사부로 | 30대 오카다 나오키 | 31대 지미 하나코 | |||||||
| 32·33대 이토 요시타카 | 34대 기카와다 히토시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 경제안정본부 총무장관 (1946년~1952년) | |||||||||
| 초대 젠 케이노스케 | 2대 이시바시 단잔 | 3대 타카세 소타로 | ||||||||
| 4대 와다 히로오 | 5대 쿠루스 타케오 | 임시대리 아시다 히토시 | ||||||||
|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 6대 이즈미야마 산로쿠 | 임시대리 스토 히데오 | ||||||||
| 7대 아오키 타카요시 | 8대 스토 히데오 | |||||||||
| 경제심의청장관 (1952년~1955년) | ||||||||||
| 1대 스토 히데오 | 2대 야마자키 타케시 | 3대 이케다 하야토 | 4대 오가사와라 산쿠로 | 5대 미즈타 미키오 | ||||||
| 6대 오카노 키요히데 | 7대 아이치 기이치 | 8·9대 타카사키 타츠노스케 | ||||||||
| 경제기획청장관 (1955년~2001년) | ||||||||||
| 1·2대 타카사키 타츠노스케 | 임시대리 이시바시 단잔 | 3·4대 우다 고이치 | ||||||||
| 3·4대 우다 고이치 | 5대 고노 이치로 | 6대 미키 다케오 | 임시대리 타카사키 타츠노스케 | 7대 세코 코스케 | ||||||
| 8대 칸노 와타로 | 9·10대 쿠사미즈 히사츠네 | 11대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임시대리 이케다 하야토 | 12·13대 미야자와 기이치 | ||||||
| 14·15대 다카하시 마모루 | 16대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임시대리 사토 에이사쿠 | 17·18대 미야자와 기이치 | |||||||
| 19대 칸노 와타로 | 20대 사토 이치로 | 21대 기무라 도시오 | ||||||||
| 임시대리 다나카 가쿠에이 | 22대 아리타 기이치 | 23대 코사카 젠타로 | 24대 우치다 츠네오 | 25대 쿠라나리 타다시 | ||||||
| 26대 후쿠다 다케오 | 27대 노다 우이치 | 28대 쿠라나리 타다시 | 29대 미야자와 기이치 | |||||||
| 30대 코사카 도쿠사부로 | 31대 쇼지 케이지로 | 32대 고모토 토시오 | 33대 시오자키 준 | 34대 고모토 토시오 | ||||||
| 35대 가네코 잇페이 | 36대 히라이즈미 와타루 | 37대 곤도 테츠오 | 38대 나카오 에이치 | |||||||
| 39대 하라다 겐 | ||||||||||
| 40대 아이노 고이치로 | 41대 오치 미치오 | 42대 타카하라 스미코 | 43대 아이자와 히데유키 | 44대 오치 미치오 | ||||||
| 45대 노다 다케시 | 46대 후나다 하지메 | |||||||||
| 임시대리 미야자와 기이치 | 47대 다카토리 오사무 | 48대 쿠보타 마나에 |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 |||||||
| 49대 테라사와 요시오 | 50대 고무라 마사히코 | 51대 미야자키 이사무 | 52대 다나카 슈세이 | 53대 아소 다로 | ||||||
| 54대 오미 코지 | ||||||||||
| 55-57대 이케구치 코타로 | ||||||||||
| 58대 누카가 후쿠시로 | ||||||||||
| 경제재정정책 담당대신 (2001년~2003년) | ||||||||||
| 1대 누카가 후쿠시로 | 2대 아소 다로 | 3대 다케나카 헤이조 | ||||||||
|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경제재정정책담당) (2003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4-6대 다케나카 헤이조 | 7대 요사노 가오루 | |||||||||
| }}} | ||||||||||
| 8·9대 오타 히로코 | 10·11대 요사노 가오루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12대 하야시 요시마사 | 13대 간 나오토 | 14대 아라이 사토시 | 15대 가이에다 반리 | 16대 요사노 가오루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17대 후루카와 모토히사 | 18대 마에하라 세이지 | |||||||||
| 19·20대 아마리 아키라 | 21대 이시하라 노부테루 | 22·23대 모테기 도시미쓰 | 24·25대 니시무라 야스토시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24·25대 니시무라 야스토시 | 26·27대 야마기와 다이시로 | 28대 고토 시게유키 | 29대 신도 요시타카 | |||||||
| 30대·31대 아카자와 료세이 | 32대 기우치 미노루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 1기 상공대신 (1925~1943) | |||||||||
| 초대 다카하시 고레키요 | 2대 노다 우타로 | 3대 카타오카 나오하루 | 4대 후지사와 이쿠노스케 | |||||||
| 5대 나카하시 도쿠타로 | 6대 타와라 마고이치 | 7대 사쿠라우치 유키오 | 8대 마에다 요네조 | 9대 나카지마 쿠마키치 | ||||||
| 10대 마츠모토 조지 | 11대 마치다 추지 | 12대 카와사키 타쿠키치 | 13대 오가와 고타로 | 14대 고도 타쿠오 | ||||||
| 15대 요시노 신지 | 16대 이케다 시게아키 | 17대 핫타 요시아키 | 18대 고도 타쿠오 | 19대 후지와라 긴지로 | ||||||
| 20대 고바야시 이치조 | 임시대리 가와다 이사오 | 21대 토요다 테이지로 | 22대 사콘지 세이조 | 23대 기시 노부스케 | ||||||
| 24대 도조 히데키 | ||||||||||
| 군수대신 (1943~1945) | ||||||||||
| 초대 도조 히데키 | 2대 후지와라 긴지로 | 3대 요시다 시게루 | 4대 토요다 테이지로 | 5대 나카지마 치쿠헤이 | ||||||
| 2기 상공대신 (1945~1949) | ||||||||||
| 25대 나카지마 치쿠헤이 | 26대 오가사와라 산쿠로 | 27대 호시시마 지로 | 28대 이시이 미쓰지로 | 임시대리 가타야마 데쓰 | ||||||
| 29·30대 미즈타니 조사부로 |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 31대 오야 신조 | 32대 시나가키 헤이타로 | |||||||
| 통상산업대신(1949년~2001년) | ||||||||||
| 초대 시나가키 헤이타로 | 2·6대 이케다 하야토 | 3대 다카세 소타로 | 4대 요코오 시게루 | 5대 다카하시 류타로 | ||||||
| 7대 오가사와라 산쿠로 | 8대 오카노 키요히데 | 9대 아이치 기이치 | 10·11·12대 이시바시 단잔 | |||||||
| 13·14대 미즈타 미키오 | 15대 마에오 시게사부로 | 16대 타카사키 타츠노스케 | 17대 이케다 하야토 | |||||||
| 18대 이시이 미쓰지로 | 19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 20대 사토 에이사쿠 | 21·22대 후쿠다 하지메 | 23·24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
| 25대 미키 다케오 | 26·27대 칸노 와타로 | 28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 29대 오히라 마사요시 | 30대 미야자와 기이치 | ||||||
| 31대 다나카 가쿠에이 | 32·33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 34대 고모토 토시오 | 35대 다나카 다쓰오 | |||||||
| 36대 고모토 토시오 | 37대 에사키 마스미 | 38대 사사키 요시타케 | 39대 다나카 로쿠스케 | 40대 아베 신타로 | ||||||
| 41대 야마나카 사다노리 | 42대 우노 소스케 | 43대 오코노기 히코사부로 | 44대 무라타 케이지로 | 45대 와타나베 미치오 | ||||||
| 46·47대 타무라 하지메 | 48대 미쓰즈카 히로시 | 49대 가지야마 세이로쿠 | 50대 마츠나가 히카루 | |||||||
| 51대 무토 가분 | 52대 나카오 에이치 | 53대 와타나베 고조 | 54대 모리 요시로 | 55대 구마가이 히로시 | ||||||
|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 56대 하타 에이지로 | 57대 하시모토 류타로 | 58대 츠카하라 슌페이 | 59대 사토 신지 | ||||||
| 60대 호리우치 미쓰오 | 61대 요사노 가오루 | 62·63대 후카야 다카시 | 64대 히라누마 다케오 | |||||||
| 경제산업대신 (2001년~현재)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1·2대 히라누마 다케오 | 3-5대 나카가와 쇼이치 | 6대 니카이 도시히로 | 7·8대 아마리 아키라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7·8대 아마리 아키라 | 9·10대 니카이 도시히로 | 11·12대 나오시마 마사유키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13대 오하타 아키히로 | 14대 가이에다 반리 | 15대 하치로 요시오 | 16대 에다노 유키오 | 17대 모테기 도시미쓰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18대 오부치 유코 | 19·20대 미야자와 요이치 | 21대 하야시 모토오 | 22·23대 세코 히로시게 | 24대 스가와라 잇슈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25·26대 가지야마 히로시 | 27·28대 하기우다 고이치 | 29대 니시무라 야스토시 | 30대 사이토 겐 | |||||||
| 31·32대 무토 요지 | 33대 아카자와 료세이 | }}}}}}}}}}}}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3CA324; border-right: 10px solid #3CA324;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 <colcolor=#fff> 부총리 | <colbgcolor=#ffffff,#1f2024> 후쿠다 다케오 | |
| 경제기획청장관 | ||
| 외무대신 | 미야자와 기이치 | |
| 법무대신 | 이나바 오사무 | |
| 대장대신 | 오히라 마사요시 | |
| 문부대신 | 나가이 미치오 | |
| 후생대신 | 다나카 마사미 | |
| 농림대신 | 아베 신타로 | |
| 통상산업대신 | 고모토 토시오 | |
| 운수대신 | 기무라 무쓰오 | |
| 우정대신 | 무라카미 이사무 | |
| 노동대신 | 하세가와 타카시 | |
| 건설대신 | 카리야 타다오 → 미키 다케오 → 다케시타 노보루 | |
| 자치대신 | 후쿠다 하지메 | |
| 국가공안위원장 | ||
| 홋카이도개발청장관 | ||
| 내각관방장관 | 이데 이치타로 | |
| 총무청장관 | 우에키 미츠노리 | |
| 오키나와개발청장관 | ||
| 행정관리청장관 | 마쓰자와 유조 | |
| 방위청장관 | 사카타 미치타 | |
| 과학기술청장관 | 사사키 요시타케 | |
| 환경청장관 | 오자와 타츠오 | |
| 국토청장관 | 가네마루 신 | }}}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3CA324; border-right: 10px solid #3CA324;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 <colcolor=#fff> 부총리 | <colbgcolor=#ffffff,#1f2024> 후쿠다 다케오 | |
| 외무대신 | 코사카 젠타로 | |
| 법무대신 | 이나바 오사무 | |
| 대장대신 | 오히라 마사요시 | |
| 문부대신 | 나가이 미치오 | |
| 후생대신 | 하야카와 타카시 | |
| 농림대신 | 오오이시 부이치 | |
| 통상산업대신 | 고모토 토시오 | |
| 운수대신 | 이시다 히로히데 | |
| 우정대신 | 후쿠다 도쿠야스 | |
| 노동대신 | 우라노 사치오 | |
| 건설대신 | 추마 타츠이 | |
| 자치대신 | 아마노 키미요시 | |
| 국가공안위원장 | ||
| 홋카이도개발청장관 | ||
| 내각관방장관 | 이데 이치타로 | |
| 총무청장관 | 우에키 미츠노리 | |
| 오키나와개발청장관 | ||
| 행정관리청장관 | 아라후네 세이주로 | |
| 방위청장관 | 사카타 미치타 | |
| 경제기획청장관 | 후쿠다 다케오 → 노다 우이치 | |
| 과학기술청장관 | 마에다 마사오 | |
| 환경청장관 | 마루모 시게사다 | |
| 국토청장관 | 아마노 고세이 | }}}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3CA324; border-right: 10px solid #3CA324;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 외무대신 | <colbgcolor=#ffffff,#1f2024> 소노다 스나오 | |
| 법무대신 | 세토야마 미츠오 | |
| 대장대신 | 무라야마 타츠오 | |
| 문부대신 | 스나다 시게타미 | |
| 후생대신 | 오자와 타츠오 | |
| 농림대신 → 농림수산대신 | 나카가와 이치로 | |
| 통상산업대신 | 고모토 토시오 | |
| 운수대신 | 후쿠나가 켄지 | |
| 우정대신 | 핫토리 야스시 | |
| 노동대신 | 후지이 카츠시 | |
| 건설대신 | 사쿠라우치 요시오 | |
| 국토청장관 | ||
| 자치대신 | 가토 타케노리 | |
| 국가공안위원장 | ||
| 홋카이도개발청장관 | ||
| 내각관방장관 | 아베 신타로 | |
| 총무청장관 | 이나무라 사콘시로 | |
| 오키나와개발청장관 | ||
| 행정관리청장관 | 아라후네 세이주로 | |
| 방위청장관 | 가네마루 신 | |
| 경제기획청장관 | 미야자와 기이치 | |
| 과학기술청장관 | 쿠마가이 타사부로 | |
| 환경청장관 | 야마다 히사나리 | |
| 무임소대신 | 우시바 노부히코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초대 미즈타 미키오 | 2대 츠카다 주이치로 | 3대 미키 다케오 | 4대 후쿠다 다케오 | ||
| 5대 나카무라 우메키치 | 6대 후나다 나카 | 7대 시이나 에쓰사부로 | 8대 후쿠다 다케오 | 9대 다나카 가쿠에이 | |
| 10대 가야 오키노리 | 11대 미키 다케오 | 12대 스토 히데오 | 13대 아카기 무네노리 | ||
| 14대 미즈타 미키오 | 15대 니시무라 나오미 | 16대 오히라 마사요시 | 17대 네모토 류타로 | 18대 미즈타 미키오 | |
| 19대 코사카 젠타로 | 20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21대 쿠라이시 타다오 | 22대 미즈타 미키오 | 23대 야마나카 사다노리 | |
| 24대 마쓰노 라이조 | 25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 26대 고모토 토시오 | 27대 에사키 마스미 | 28대 고모토 토시오 | |
| 29대 아베 신타로 | 30대 다나카 로쿠스케 | 31대 후지오 마사유키 | |||
| 32대 이토 마사요시 | 33대 와타나베 미치오 | 34대 무라타 케이지로 | 35대 미쓰즈카 히로시 | 36대 가토 무쓰키 | |
| 37대 모리 요시로 | 38대 미쓰즈카 히로시 | 39대 하시모토 류타로 | 40대 가토 고이치 | 41대 야마사키 타쿠 | |
| 42대 이케다 유키히코 | 43대 가메이 시즈카 | 44대 아소 다로 | 45대 누카가 후쿠시로 | ||
| 46대 요사노 가오루 | 47대 나카가와 히데나오 | 48대 나카가와 쇼이치 | 49대 이시하라 노부테루 | 50대 다니가키 사다카즈 | |
| 51대 호리 고스케 | 52대 이시바 시게루 | 53대 모테기 도시미쓰 | 54대 아마리 아키라 | ||
| 55대 다카이치 사나에 | 56대 이나다 도모미 | 57대 모테기 도시미쓰 | 58대 기시다 후미오 | 59대 시모무라 하쿠분 | |
| 60대 다카이치 사나에 | 61대 하기우다 고이치 | 62대 도카이 기사부로 | 63대 오노데라 이쓰노리 | 64대 고바야시 다카유키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 우정대신 (1949~2001) | ||||
| 초대 오자와 사에키 | 2대 다무라 분기치 | 3대 사토 에이사쿠 | 4대 다카세 소타로 | 5대 쓰카다 주이치로 | |
| 6대 다케치 유키 | 7대 마쓰다 다케치요 | 8·35대 무라카미 이사무 | 9대 이시바시 단잔 | 10·11대 히라이 다로 | |
| 12대 다나카 가쿠에이 | 13대 데라오 유타카 | 14대 우에다케 하루히코 | 15대 스즈키 젠코 | 16대 고가네 유키테루 | |
| 17대 사코미즈 히사츠네 | 18대 데시마 사카에 | 19대 오자와 규타로 | 20·21대 고이케 신조 | 22·23대 도쿠야스 진조 | |
| 22·23대 도쿠야스 신조 | 24대 코오리 유이치 | 25대 신타니 도라사부로 | 26·27대 고바야시 다케지 | 28대 고모토 토시오 | |
| 29대 이데 이치타로 | 30대 히로세 마사오 | 임시대리 다나카 가쿠에이 | 31대 미이케 마코토 | 32대 구노 추지 | |
| 33대 하라다 겐 | 34대 가시마 도시오 | 8·35대 무라카미 이사무 | 36대 후쿠다 도쿠야스 | 37대 고미야마 주시로 | |
| 38대 핫토리 야스시 | 39대 시라하마 니키치 | 40대 오니시 마사오 | 41대 야마우치 이치로 | 42대 미노와 노보루 | |
| 43대 히가키 도쿠타로 | 44대 오쿠다 게이와 | 45대 사토 메구무 | 46대 사토 분세이 | 47대 가라사와 슌지로 | |
| 48대 나카야마 마사아키 | 49대 가타오카 세이이치 | 50대 무라오카 가네조 | 51대 오이시 센파치 | 52대 후카야 다카시 | |
| 53대 세키야 가쓰쓰구 | 54대 와타나베 히데오 | 55대 고이즈미 준이치로 | 56대 미야자와 기이치 | 57대 칸자키 타케노리 | |
|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 58대 히카사 가쓰유키 | 59대 오오이데 슌 | 60대 이노우에 잇세이 | 61대 히노 이치로 | |
| 62대 호리노우치 히사오 | 63대 지미 쇼자부로 | 64대 노다 세이코 | 65·66대 마에지마 시게사부로 | ||
| 총무대신으로 계승 | |||||
| 67대 히라바야시 코조 | 68대 가타야마 도라노스케 | }}}}}}}}}}}} | |||
[1] 1985년 도산 당시 산코기선의 선복량이 한국 해운업계 전체 선복량의 3배에 이르렀다.[2] 50여개에 달하는 계열사를 포함하는 그룹 전체의 부채 총액이 1조엔에 달하여 전후 최대 규모였다.[3] 고모토는 통상산업대신 재직 시절 대형공업기술연구개발제도를 입안한 미키의 영향을 받아 1973년 석유 파동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 구조 전환의 촉진과 문라이트 계획(에너지 절약 기술 연구개발)을 추진했다.[4] 주로 자민당과 성향이 비슷했던 민사당과의 제휴가 이루어졌다.[5] 그러나 미키는 반대파의 눈치만 계속 살피다 중의원 해산을 하지 못한채로 국회가 산회된 시점에서 1976년 34회 중의원 선거가 치러졌으며, 민심과 당심 어느 하나도 제대로 잡지 못한 자민당은 결국 참패했다.[6] 이때 고모토의 불출마 소식을 들은 측근 오시마 다다모리는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7] 그 역시 민주당의 야마구치 쓰요시에게 밀리기 시작하며 44회 중원선을 끝으로 해당 지역구를 떠나야 했다.[8] 이자나기 경기를 말한다.[9] ジャパンライン. 1999년 미쓰이선박과 합병하여 상선미쓰이가 되었다.[10] 이때 고다마가 미즈시마에게 감사의 뜻으로 1억엔짜리 다이아몬드 반지를 건넸다.[11] 자유당과의 신설 합당[12]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마지막 중선거구제
분류
- 일본의 남성 정치인
- 일본민주당(1954년) 국회의원
- 자유민주당(일본) 국회의원
- 1911년 출생
- 2001년 사망
- 아이오이시 출신 인물
- 제24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25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26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27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28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29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0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1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2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3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4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5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6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7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8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39대 일본 중의원 의원
- 제40대 일본 중의원 의원
- 니혼대학 출신
- 일본 경제산업대신
- 일본 우정대신
- 일본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 종2위
- 욱일대수장
- 기업인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