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12:50:09

신사본청

<colbgcolor=#504C4B> 신사본청
[ruby(神社本庁, ruby=じんじゃほんちょう)]
파일:신사본청.png
파일:Logo_white_negate.png
본부 <colbgcolor=#FFF,#000>도쿄도 시부야구 요요기1초메 1-2
(東京都渋谷区代々木一丁目1-2)
본종 신궁(神宮)
전신 황전강구소(皇典講究所)
대일본신기회(大日本神祇会)
신궁봉재회(神宮奉斎会)
내무성 신기원(神祇院)
설립 1946년 2월 3일
종류 포괄종교법인
회원 일본 전국의 8만여 신사
임원
총재 이케다 아츠코[1](池田厚子)
총리 타카츠카사 나오타케[2](鷹司尚武)
총장 아시하라 타카호(芦原髙穗)(총리 지명)
타나카 츠네키요(田中恆清)(연임 주장)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Association_of_Shinto_Shrines_2010.jpg
도쿄도 시부야구의 신사본청 청사. 일본 전통의 신사건축양식을 본떠 지었다.

1. 개요2. 조직3. 연혁4. 역사5. 역대 총재6. 별표신사7. 비소속 신사
7.1. 소속 신사의 탈퇴7.2. 야스쿠니 신사
8. 정치

[clearfix]

1. 개요

신사본청은 이세 신궁을 본부로 하여 전국 각 지역의 신사 8만여 곳을 관리하는 일본민간종교법인이다.

2. 조직

신사본청은 이세 신궁을 총본사로 삼는데, 실질적 운영을 담당하는 본부는 도쿄도 시부야구 요요기1초메 1-2로, 메이지 신궁 동북쪽에 바로 접해 있다.

도도부현마다 하나의 신사청(神社庁)이 있고 도도부현을 복수의 지구로 나누어 지부를 설치한다.

3. 연혁

4. 역사

종전 전, 일본의 신토계에는 국가신토를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는 관청인 내무성 신기원(神祇院)이 존재했고, 아래에는 국립신토학교인 황전강구소(皇典講究所)가 있었다. 황전강구소는 국학원(國學院)이라는 교육기관을 설립했는데, 후에 국학원대학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이 밖에도 메이지 정부는 신궁봉재회(神宮奉斎会) 등 친정부적인 신토계 인사들이 모인 조직을 후원하였다. 신궁봉재회는 신궁교가 개칭한 단체로 이세 신궁 신앙을 주관하는 곳이었다. 한편, 일본 내 관폐대사 등 '격을 받은' 신사에서 일하는 신토가들이 모인 대일본신기회(大日本神祇会)라는 단체가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6년 연합군 최고사령부신도지령을 발령해 국가신토 체계를 유지하던 신기원 조직과 근대사격제도를 폐지했다. 기존에 일본 제국 정부와 관련되어 운영되던 황전강구소나 대일본신기회, 신궁봉재회 등은 끈 떨어진 뒤웅박 신세가 되어 저마다 생존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하여 앞 3개 단체가 서로 조직을 합친 뒤 동년 2월 3일에 민간종교법인으로 등록한 단체가 바로 '신사본청'이다.

대외적으로는 신사본청의 기원이 1872년 신궁교 창교라고 주장하지만, 직접적인 기원은 황전강구소·대일본신기회·신궁봉재회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46년에 통합한 것이다. 민간종교법인인데도 관공서처럼 '청(庁)'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것도 전신인 이 3개 단체가 모두 과거에는 반쯤 국영단체였기 때문인 듯하다. 다만 현재 신사본청은 본법인이 국가신토로부터 기원하였음을 최대한 부정하는 방침을 취한다. 그 연혁도 이세 신궁 내 신관들의 모임을 기원으로 두거나 대일본제국 헌법의 종교의 자유 조항을 강조하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한다.

5. 역대 총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bgcolor=#504C4B> 율령제 신기백 · 부흥 신기관 · 신사본청 총재 }}}}}}}}}

6. 별표신사

근대사격제도가 폐지된 뒤 신사본청에 소속된 모든 신사는 이론적으로는 '평등'하지만, 아무래도 역사나 규모 등에서 일반 신사처럼 처리할 수 없는 곳들이 있었다. 1948년 신사본청은 별표신사(別表神社)라는 이름으로 묶어 관리하기로 하였다. 여기서 별표(別表)란 한국에서 흔히 문서에 '별표 참조'라고 할 때의 그 '별표'이다. '별개의 표에 이름을 넣고 관리하는 신사'란 뜻일 뿐이다. 별표신사는 그저 신사본청에서 행정적으로 따로 관리하려는 구분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신사본청에서 평범하게 대하지 않는다.'는 뜻이라 등급이 되어버렸다.

이세 신궁 역시 본래는 '평범하게 대할 수 없는 신토시설'이지만, 너무나 존엄하단 이유로 어떤 구분도 하지 않았다. 이세 신궁이 너무 존엄하다고 어떤 등급도 매기지 않음은 근대사격제도 시절의 방침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

7. 비소속 신사

신사본청이 일본의 모든 신사를 다 관할하지는 않는다. 가마쿠라궁(鎌倉宮)과 후시미이나리타이샤, 닛코 동조궁 등 유명한 신토 시설이면서도 신사본청에 가입하지 않은 곳도 있다. 일본 신사의 총본부 같은 위치지만, 과거에 신사합사정책으로 지방신사들로부터 거하게 원한을 산 적이 있어서 여기 가입된 신사라도 딱히 신사본청에 충실하다고는 볼 수 없다.

신사들이 신사본청에 등록해야 한다고 강제하는 법규는 없지만 상당수 신사들이 신사본청에 소속되었는데, 비소속 신사는 대부분 신토가 아니라 사이비(컬트, カルト)로 취급받아 지자체의 공식행사에서 배제되기 때문이다. 신사본청이 관공 소속이 아닌 민간종교법인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 한계부락(고령인구가 너무 많고 인구가 적은 마을)으로 지정될 정도인 시골 깡촌에는 본청에 등록 안 된 신사들도 소수 있긴 한데, 이런 신사들은 '니들이 우릴 이단 취급하든 말든 우리 고향에서는 조상 대대로 모시던 신을 모신다'는 식으로 무시한다.

7.1. 소속 신사의 탈퇴

신사본청이 예하 신사들에게 공포정치를 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내부사정이 꽤나 복잡하다고 한다. 메이지 신궁이 2004년에 신사본청에서 탈퇴했다가 2010년에 복귀하기도 했다. 2020년 6월에도 카가와현 고토히라궁(金刀比羅宮)이 신사본청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했단 소식이 보도되어 신토계가 크게 놀라기도 했다. (도쿄신문 기사) 종전 이전 근대사격제도에 따른 고토히라궁의 사격은 국폐중사(国幣中社)로 최고등급이야 아니지만 충분히 높고, 16세기 말에 창건되어 역사도 나름대로 있거니와, 일본 전역에 6백여 말사를 두어서 영향력도 큰 신사이다. 신사본청에서도 고토히라궁의 탈퇴를 두고 메이지 신궁이 탈퇴하기로 결정했을 때만큼이나 충격적으로 받아들였다고 하는 판.

고토히라궁이 밝힌 공식적인 탈퇴 이유는 다음과 같다. 2019년 11월 나루히토 천황의 대상제(大嘗祭)[3] 당시 신사본청이 여러 신사에 돈을 나누어주는데, 고토히라궁에는 제때 전달해주지 않아서 더 이상 신뢰할 수가 없다는 것. 하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더 복잡한, 신사본청과 신토계 내부의 정치적 알력 다툼이 원인이라고 보는 일본인들이 대다수이다.

2024년 6월, 쓰루가오카 하치만궁(鶴岡八幡宮)이 본청에서 탈퇴했다. 해당 신사는 가마쿠라 막부를 연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 얽힌 인연으로 잘 알려진 곳이다.[4] 신사 관계자는 기자 회견을 열어 본청의 행태를 비판하였다. 요지는 종교적 권위의 상징인 다카츠카사 총리가 아닌, 다나카 총장을 중심으로 한 운영이 문제라는 것이다.[5] 비판에 이어 관계자는 더 이상 내부에서 정상화를 꾀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하여 탈퇴하였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신사본청은 '앞으로도 법령을 준수하여 운영해나갈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7.2. 야스쿠니 신사

야스쿠니 신사는 일본 법률상 단립종교법인(単立宗教法人)으로 분류되어 신사본청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야스쿠니 신사는 일본의 수호 신사이며, 언젠가 국가에 반환될 것이기에, 특정 종교법인의 포괄적인 관리하에 들어가지 않는다."라는 야스쿠니 신사와 신사본청 쌍방의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야스쿠니 신사가 신사본청의 관할이 아니면서도 신사본청이 '야스쿠니 신사 숭경봉찬회(靖國神社崇敬奉賛会)'의 법인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등 이 둘은 서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다.

8. 정치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이념 내셔널리즘 · 보수주의
연관 이념 가부장적 보수주의(새로운 자본주의)자민당 · 국가주의 · 국민보수주의 · 민족주의 · 반동주의일부 · 불교 민주주의공명당 · 사회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일부 · 자유지상주의유신회 · 초보수주의일부
과거 이념 야마토 민족주의* · 자유보수주의 · 쇼와 국가주의(대동아공영권 · 팔굉일우)
연관 개념 국가자본주의(수정자본주의) · 군주주의 · 아시아적 가치 · 울트라내셔널리즘(극우사관)일부
주요 정당 전전 일본 입헌정우회 · 국민동맹 · 동방회 · 대정익찬회
전후 일본 일본의 마음 · 일본민주당(1947년) · 일본 유신회(2012년) · 일본민주당(1954년) · 자유당(1950년)
현존하는 정당 공명당 · 일본보수당 · 일본 유신회 · 일본제일당 · 자유민주당(지지 기반 · 파벌) · 참정당
정치인 고노에 후미마로 · 고이케 유리코 · 기시 노부스케 · 기시다 후미오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도조 유코 · 도조 히데키 · 스가 요시히데 · 스기타 미오 · 아베 신조 · 요시다 시게루 · 이나다 도모미 · 하토야마 이치로 · 히라누마 기이치로
인텔리 고 젠카 · 나카가와 쇼이치 · 미노베 다쓰키치 · 미시마 유키오 · 오카와 슈메이 · 햐쿠타 나오키
언론 니혼게이자이 신문 · 사쿠라 TV · 산케이 신문 · 요미우리 신문
단체 과거 겐요샤 · 다테노카이
현재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 일본경제단체연합회 · 일본회의 · 재일 특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민 모임
그 외 55년 체제 · 국민 · 국체 · 넷 우익 · 만세일계 · 반미보수 · 신우익(민족파 · 청년민족파) · 보수본류보수방류 · 신토(신사본청 · 국가신토) · 아베노믹스 · 야마토 나데시코 · 야마토다마시 · 역코스 · 우익단체 · 대일본제국 · 일본의 보수정당 · 우경화 · 일본인론 · 재무장 · 폴크(Volk)민족(民族)
* 21세기 현대 기준 일본에서 Ethnic nationalism이 아닌 단순 Nationalism을 지칭할 때에는 '민족주의'(民族主義)라는 용어보다는 '내셔널리즘'(ナショナリズム)이라는 용어가 선호된다. 일본에서 '민족주의'는 전적으로 Ethnic nationalism을 의미하는데, 이는 과거 천황제 파시즘과 결합해 야마토 민족의 우월성을 내세웠던 극우 민족주의를 연상시키는 데다가, (야마토 민족이 아닌) 류큐인이나 아이누인같은 전통적 일본 내 소수민족까지 배제하기 때문에 현재의 주류 보수우익에서 거리를 두는 편이다.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제정 시대에는 일본 정부가 종교정책에 어긋나는 불순한 신사나 신위를 '신사합사정책'이라는 이름으로 강압적으로 폐지하기도 했다. 현대에도 비록 신사본청이 공식적으로는 '민간종교법인'임에도 불구하고, 신사본청과 일본 정부 간 연결 및 신토 고위급 인사의 교권 파시즘을 꿈꾸는 듯한 우경화가 계속 논란이 되고 있다. 일본 최대의 극우단체 일본회의의 회원 중에도 연관이 있을 정도. 과거 우생보호법 폐지 시 존속을 주장하여 정치극단주의를 인증했다. 한때 "일본인으로 태어나서 다행"이라는 포스터로 일본의 자국 찬양을 홍보했다가 물의가 많았다.

한편 모리 요시로(森喜朗)는 총리 시절인 2000년 5월 15일 선거를 앞두고 신사본청에 방문해 "일본이 천황을 중심으로 한 신의 나라라는 것을 국민 모두가 깨닫게 하겠다."(日本の国、まさに天皇を中心としている神の国であるぞということを国民の皆さんにしっかりと承知をしていただく。)#1 #2라는 대놓고 국가신토적인 발언을 하여 주변국과 야당으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기도 했다.


[1] 황적이탈황족이자 이세 신궁의 제3대 여성 제주(祭主)이다.[2] 다카쓰카사 종가의 제28대 당주이다.[3] 천황이 즉위하고 처음으로 아마테라스에게 바치는 추수감사제. 신토적으로는 이 의식을 해야만 비로소 새 천황으로서 종교적인 인정을 받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4] 그의 선조가 이곳을 창건했고, 막부 개창 후 요리토모가 현위치로 옮겼다고 한다.[5] 2022년 다카츠카사 총리는 아시하라 타카호를 총장으로 지명하였으나, 본청 사무국은 이를 거부하고 다나카 총장의 연임을 주장하였다. 양측의 갈등은 결국 송사로 번졌고 2024년 6월 현재에도 수습되지 않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