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53:32

마이크 슈미트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게임 Five Nights at Freddy's의 주인공에 대한 내용은 마이크 슈미트(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영화 프레디의 피자가게의 주인공에 대한 내용은 마이크 슈미트(Five Nights at Freddy's 실사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게임 Five Nights at Freddy's의 주인공:
마이크 슈미트(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영화 프레디의 피자가게의 주인공:
마이크 슈미트(Five Nights at Freddy's 실사영화)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마이크 슈미트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81828>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svg필라델피아 필리스
영구결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ccac00> P P No.1 No.14
<rowcolor=#ffffff>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 척 클라인 리치 애시번 짐 버닝
<rowcolor=#ccac00> No.15 No.20 No.32 No.34
<rowcolor=#ffffff> 딕 앨런 마이크 슈미트 스티브 칼튼 로이 할러데이
<rowcolor=#ccac00> No.36 No.42 🎙️
<rowcolor=#ffffff> 로빈 로버츠 재키 로빈슨 해리 칼라스
※ 알렉산더가 선수 생활을 한 시기에는 등번호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클라인은 선수 생활 중 등번호를 자주 바꿔 번호는 결번시키지 않고 영구결번과 같이 대우하고 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e81828>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svg필라델피아 야구
명예의 벽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1919,#ffffff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코니 맥 지미 폭스 레프티 그로브 알 시몬스 미키 코크런
지미 다익스 에디 플랭크 루브 워델 에디 콜린스 월리 모세스
밥 존슨 엘머 발로 치프 벤더 잭 쿰스 홈런 베이커
바비 샨츠 에디 주스트 에디 롬멜 페리스 페인 빙 밀러
샘 채프먼 조지 언쇼 거스 저니얼 루브 월버그 루브 올드링
필라델피아 필리스
로빈 로버츠 리치 애시번 척 클라인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 델 에니스
짐 버닝 에드 델라한티 사이 윌리엄스 그래니 햄너 폴 오웬스
스티브 칼튼 마이크 슈미트 래리 보와 크리스 쇼트 커트 시몬스
딕 앨런 윌리 존스 샘 톰슨 자니 캘리슨 그렉 루진스키
터그 맥그로 개비 크러배스 게리 매덕스 토니 테일러 셰리 매기
빌리 해밀턴 밥 분 댈러스 그린 존 부코비치 후안 새뮤얼
해리 칼라스 대런 돌튼 존 크럭 마이크 리버설 커트 실링
찰리 매뉴얼 팻 버렐 짐 토미 팻 길릭 로이 할러데이
바비 아브레우 매니 트리요 베이크 맥브라이드 론 리드 룰리 카펜터
존 퀸 스캇 롤렌
}}}}}}}}}}}} ||

파일:MLB 로고.svg 명예의 전당 헌액자
파일:external/baseballhall.org/Schmidt%20Mike%20plaque.png
마이크 슈미트
헌액 연도 1995년
헌액 방식 기자단(BBWAA) 투표
투표 결과 96.5% (1회)

마이크 슈미트의 주요 수훈 /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97년 전미 미국 야구 작가 협회 36명이 뽑은 각 포지션(지명타자, 포수, 1루수, 2루수, 3루수, 유격수, 외야수, 좌완투수, 우완투수, 릴리프 피쳐) 중 투표수 1위를 기록한 선수들을 선정했다.
좌완투수 우완투수 릴리프 피쳐 1루수 2루수 유격수
샌디 코팩스 월터 존슨 데니스 에커슬리 루 게릭 로저스 혼스비 호너스 와그너
3루수 지명타자 포수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
마이크 슈미트 폴 몰리터 자니 벤치 테드 윌리엄스 윌리 메이스 베이브 루스
}}}}}}}}} ||

메이저 리그 올센추리 팀 일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름 마이크 슈미트
Mike Schmidt
포지션 3루수
득표수 855,654 }}}

파일:1980필리스우승로고.gif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1980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0년 ~ 1981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MVP
키스 에르난데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윌리 스타젤
(피츠버그 파이리츠)
마이크 슈미트
(필라델피아 필리스)
데일 머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6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MVP
윌리 맥기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마이크 슈미트
(필라델피아 필리스)
안드레 도슨
(시카고 컵스)

파일:MLB 로고.svg 1980년 월드 시리즈 MVP
윌리 스타젤
(피츠버그 파이리츠)
마이크 슈미트
(필라델피아 필리스)
론 세이 / 페드로 게레로 /스티브 예거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0년 ~ 198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3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1980년 첫 수상 마이크 슈미트
(필라델피아 필리스)
팀 월렉
(몬트리올 엑스포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6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3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팀 월렉
(몬트리올 엑스포스)
마이크 슈미트
(필라델피아 필리스)
팀 월렉
(몬트리올 엑스포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76년 ~ 198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3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켄 리츠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마이크 슈미트
(필라델피아 필리스)
팀 월렉
(몬트리올 엑스포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6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3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팀 월렉
(몬트리올 엑스포스)
마이크 슈미트
(필라델피아 필리스)
테리 펜들턴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74년 ~ 1976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홈런왕
윌리 스타젤
(피츠버그 파이리츠)
마이크 슈미트
(필라델피아 필리스)
조지 포스터
(신시내티 레즈)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0년 ~ 1981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홈런왕
데이브 킹맨
(시카고 컵스)
마이크 슈미트
(필라델피아 필리스)
데이브 킹맨
(시카고 컵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홈런왕
데이브 킹맨
(시카고 컵스)
마이크 슈미트
(필라델피아 필리스)
마이크 슈미트
(필라델피아 필리스)
데일 머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홈런왕
마이크 슈미트
(필라델피아 필리스)
마이크 슈미트
(필라델피아 필리스)

데일 머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데일 머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1986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홈런왕
데일 머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마이크 슈미트
(필라델피아 필리스)
안드레 도슨
(시카고 컵스)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22번
래리 하이슬
(1970~1971)
마이크 슈미트
(1972)
마이크 앤더슨
(1972~1975)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20번
로저 프리드
(1971~1972)
마이크 슈미트
(1973~1989)
영구결번
}}} ||
}}} ||
파일:1000004077.jpg
<colbgcolor=#e81828><colcolor=#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 No. 20
마이크 슈미트
Mike Schmidt
본명 마이클 잭 슈미트
Michael Jack Schmidt
출생 1949년 9월 27일 ([age(1949-09-27)]세)
오하이오 주 데이튼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88cm / 88kg
포지션 3루수, 1루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71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30번, PHI)
소속 팀 필라델피아 필리스 (1972~1989)
종교 개신교
기록 한 경기 4홈런 (1976.4.17.)

1. 개요2. 선수 경력3. 수상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명예의 전당 입성
5.1.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6. 은퇴 후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前 메이저리그 베이스볼 선수. 필라델피아 필리스에서만 18년을 보낸 프랜차이즈 스타.

통산 18시즌 동안 2,404경기에 출장해 2,234안타 548홈런 1,506득점 1,595타점 .267/.380/.527 OPS .908/OPS+ 148 1,507BB/1,883K wRC+ 147/wOBA .395 bWAR 106.9/fWAR 106.5를 기록했다.

2. 선수 경력

마이크 슈미트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마이크 슈미트/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1972년 1973년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3. 수상 경력

수상 내역
파일:MLB 로고.svg 월드 시리즈 우승 (1980)
파일:MLB 로고.svg 월드 시리즈 MVP (1980)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12회 (1974, 1976, 1977, 1979-1984, 1986, 1987, 1989)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MVP 3회 (1980, 1981, 1986)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3루수 실버 슬러거 6회 (1980-1984, 1986)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3루수 골드 글러브 10회 (1976-1984, 1986)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홈런 1위 8회 (1974-1976, 1980, 1981, 1983, 1984, 1986)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타점 1위 4회 (1980, 1981, 1984, 1986)

4. 플레이 스타일

타율과 출루율의 갭이 무려 1할 1푼에 달하고 시즌 볼넷 1위를 네 번이나 기록한 OPS 히터이다. 특히 순장타율이 .260에 달하고,[1] 그가 뛰었던 시기가 라이브볼 시대 최악의 투고타저 시기였음을 감안하면 타고투저 시기를 보냈을 시 600홈런을 넘겼을 것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슈미트는 18년 동안 무려 여덟 번이나 홈런왕을 차지했으며, 타점왕도 네 번이나 기록한 명실상부 1970-80년대 내셔널 리그의 지배자 중 한 명이었다.

특히 플레이트 바깥으로 쭉 빠져서 뒤통수를 보이면서 몸쪽 공을 기다리는 그의 타격 스탠스는 트레이드 마크와도 같았는데, 이 타격폼으로 인해 투수들이 몸쪽 공략을 두려워하거나 커맨드에 불안을 겪어서 볼넷을 많이 얻어내는 비결이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수비에서도 역대 TOP 3 안에 들어가는데, 무려 골드 글러브를 열 개나 수상했다. 사실상 수비에서도 브룩스 로빈슨에 이어 그 다음으로 평가받고 있다. 강견을 갖춘지라 1974년의 404어시스트는 지금도 내셔널 리그의 3루수 단일 시즌 최고 기록으로 남아있으며, 세이버메트릭스 수비 지표의 하나인 커리어 Total Zone Runs에서 129점을 기록하고 있다.[2]

주루 역시 평균 수준은 넘어, 여덟 시즌이나 두 자리 수를 넘겼고, 두 시즌은 무려 20도루를 넘기기도 했다.

당대 아메리칸 리그 최고의 3루수로 군림한 조지 브렛과는 양대 리그의 3루수 지존을 겨루는 라이벌 관계였고, 실제로 두 사람은 1980년 월드 시리즈에서 대결하기까지 했다. 좌타자였던 브렛이 정교함을 앞세우는 왼손 교타자였다면, 슈미트는 그와 정반대인 오른손 슬러거였다. 각 포지션 별로 통산 최고를 논할 때, 3루수 부문은 논란의 여지 없이 슈미트가 1위로 꼽히며, 누구도 이견을 제기하지 못한다. 이 정도 이상으로 확고하게 특정 선수가 통산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는 포지션은 유격수우익수 정도밖에 없을 것이다.[3]

5. 명예의 전당 입성

연도 득표율(%)
1995 96.5
안타까운 은퇴를 한 뒤에 이어진 명예의 전당 첫 투표에서 사실상 입성은 기정사실이었던 슈미트는 96.52%의 득표율과 함께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으며, 같이 필리스를 지탱했던 스티브 칼튼에 이어 자신의 등번호인 20번이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2004년 시티즌스 뱅크 파크가 개장하자 그 곳에 슈미트의 동상이 들어섰다.

5.1.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블랙잉크그레이잉크HOF 모니터HOF 스탠다드
마이크 슈미트 74 224 250 56
HOF 입성자 평균 27 144 100 50
career WAR7yr-peak WARJAWS
마이크 슈미트 106.5 58.5 82.5
3루수 HOF 입성자 평균 67.5 42.8 55.2

6. 은퇴 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Mike_Schmidt.jpg

7. 관련 문서



[1] 미키 맨틀이 .259다.[2] 역대 100점을 넘은 인물들 : 브룩스 로빈슨, 버디 벨, 클리트 보이어, 로빈 벤추라, 스캇 롤렌, 그렉 네틀스, 게리 가이에티, 마이크 슈미트, 아드리안 벨트레.[3] 역대 최고를 논할 때, 당연히 약쟁이인 배리 본즈, 로저 클레멘스, 알렉스 로드리게스는 제외한다. 1루수는 루 게릭이 그 뒤인 알버트 푸홀스지미 폭스를 크게 누르고, 좌익수도 테드 윌리엄스리키 헨더슨칼 야스트렘스키를 확실하게 이기지만 이 두 포지션은 게릭보다 높고 테드랑 비슷한 WAR를 쌓은 1루수 겸 좌익수 스탠 뮤지얼이라는 변수가 있다. 중견수는 역대 야구선수 2위로 꼽히는 윌리 메이스가 있고, 2루수는 역대 최고의 우타자 로저스 혼스비가 있지만, 중견수에는 역대 야구선수 3위로 꼽히는 타이 콥이 타격 성적은 더 좋고 2루수에는 혼스비와 별로 차이나지 않는 WAR를 쌓은 에디 콜린스가 있다. 지명타자와 포수는 역대 1위를 차지한 선수들의 통산 WAR이 다른 포지션에 비해 낮다는 점이 은근히 발목을 잡는데, 지명타자는 프랭크 토마스가 꼽히지만 폴 몰리터에드가 마르티네즈라는 대선수들이 포함되어 있고, 포수 또한 자니 벤치의 커리어를 요기 베라이반 로드리게스라는 두 선수가 비빌만한 성적을 기록했다. 투수 역시 월터 존슨이 1위로 꼽히지만 누적 1위인 사이 영, 같은 최초의 5인 멤버인 크리스티 매튜슨, 라이브볼 시대의 최고의 투수들인 그렉 매덕스랜디 존슨 등 경쟁자가 매우 많다. 그러나 유격수는 애초에 WAR이 100을 넘은 사람이 호너스 와그너 한 명 뿐이며, 우익수는 행크 애런, 프랭크 로빈슨, 로베르토 클레멘테라는 대선수들이 있기는 하나 상대는 야구의 신 베이브 루스이기 때문에 절대로 넘지 못하며, 3루수인 슈미트의 라이벌은 에디 매튜스, 조지 브렛, 브룩스 로빈슨, 아드리안 벨트레, 웨이드 보그스 정도를 들 수 있으나 매튜스와 브렛은 수비력이, 로빈슨은 전반적인 공격력이, 벨트레는 출루 능력이, 보그스는 장타력이 슈미트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슈미트는 포지션 2위와의 WAR 격차도 두자리수나 나는 압도적인 1위이고, 유격수와 마찬가지로 3루수 중 WAR 100을 기록한 선수는 슈미트 한 명 뿐이다.[4] 경기력 향상 약물(PED) 카테고리엔 스테로이드 계통만 포함되고, 암페타민 등의 약물은 각성제(Stimulants)로 따로 분류된다.[5] 실생활에서도 의외로 가까이 있는 약물이다. 일부 수험생들이 아는 의사에게 야매로 받아 복용하는 집중력 좋아지는 약도 암페타민 계통의 약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