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인류학자. 인류학에서 후천적인 문화, 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한 인물이다. 1935년 발표한‘세 원시 사회에서의 성과 기질’에서 뉴기니의 3개 종족이 아기 때부터 어떻게 성장하는지를 연구하였는데, 이 책에서 미드는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 구분도 특정 사회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점을 지적하면서, 모든 사회 현상은 그 사회의 역사 문화적 맥락에서 분석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류 문명의 시작을 알리는 상징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부러졌다가 회복된 흔적이 있는 원시인의 다리뼈'라고 대답했다는 일화가 잘 알려져 있다. 야생에서 뼈가 부러질 정도로 큰 부상은 곧 죽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회복된 흔적이 있다는 것은 누군가 그 사람이 회복될 때까지 보살펴 주었다는 뜻이다. 이처럼 다친 사람을 보살펴 주고 회복될 때까지 기다려 주는 동정심, 인내심 등이 이 문명을 알리는 최초의 신호라고 주장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