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wcolor=#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5px" | <colbgcolor=#820E1F><colcolor=#fede58> 1936 | |||
1950 | ||||
1954 | ||||
1958 | ||||
1962 | ||||
1966 | ||||
1970 | ||||
1974 | ||||
1978 | ||||
1982 | ||||
1986 | ||||
1990 | ||||
1994 | ||||
1998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21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820E1F><colcolor=#fede58> 2002 | ||
2006 | ||||
2010 | ||||
2014 | ||||
2018 | ||||
2022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마리암 미르자하니 مریم میرزاخانی | Maryam Mirzākhāni | |
| |
출생 | 1977년 5월 12일 |
이란 제국 테헤란 | |
사망 | 2017년 7월 15일 (향년 40세) |
미국 캘리포니아 팔로 알토 | |
국적 | [[이란|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수학자, 교수 |
학력 | 샤리프 공과대학교 (수학 / 학사) 하버드 대학교 (수학 / 박사) |
수상 | 블루멘탈 상 (2009) 새터 상 (2013) 클레이 리서치 상 (2014) 필즈상 (2014)[1] 브레이크스루상 (2020) |
배우자 | 얀 본드락[2] |
자녀 | 1명 |
링크 |
[clearfix]
1. 개요
이란의 수학자.2. 생애
이란 제국의 테헤란에서 전기기사의 딸로 태어났다. 이란의 영재교육기관 소속의 테헤란 파르자네간 학교를 다니던 그녀는 1994년에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을 수상했고, 1995년에는 동 대회에서 만점으로 금메달을 수상했다.1999년 샤리프 공과대학교에서 수학 학사 학위를 받고 미국으로 건너가 2004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클레이 수학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이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그리고 2008년 부터는 스탠퍼드 대학교 수학과의 교수직을 맡았다.
2013년에 진단받은 유방암이 악화되어 2016년엔 간과 뼈로 전이되었고, 2017년 7월 15일에 스탠퍼드 대학교 병원에서 사망하였다. # 2020년 4월 20일에 남편 명의로 작성된 추도문이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3]에 기고 되었다.#
3. 수상 및 업적
미르자하니의 2004년 박사학위 논문은 모듈라이 공간의 부피에 관한 공식을 다루었는데, 이 논문에서 에드워드 위튼이 제기한 추측에 관한 새로운 증명을 제시하게 된다.이후 측지선과 소수 정리의 연관성을 연구하였으며 모듈라이 공간에서 특정한 부피를 계산하고, 그로부터 단순 측지선의 개수에 관한 결과를 도출해냈다. 또한 알렉스 에스킨, 아미르 모하마디와 함께 모듈라이 공간의 측지선들의 행동과 관련된 또다른 동역학 시스템의 이해에 있어서 큰 돌파구를 만들었다. 이와 같이 리만 곡면의 역학·기하학과 모듈라이 공간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4년 필즈상을 수상했다.[4]
사후인 2020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 부문 수상의 영예를 얻었다. 브레이크스루상재단은 그녀를 기리며 2020년 9월, 2021년 시상식을 시작으로 최근 2년 내 수학 박사 학위를 딴 여성을 대상으로 '마리암 미르자하니 뉴 프론티어 상'을 수여하고 있다. 상금은 5만 달러.
4. 여담
- 메가스터디 수학강사 현우진의 스탠퍼드 대학교 재학시절 생활지도교수[5]였다고 한다. 2014년 서울에서 열린 세계 수학자 대회에서 필즈상을 수상할 때도 연락하여 시상식에 초대하였다고 한다. 해당 내용을 언급한 현우진의 유튜브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