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아티야의 주요 상훈 이력 | |||||||||||||||||||||||||||||||||||||||||||||||||||||||||||||||||||||||||||||||||||||||||||||||||||||||||||||||||||||||||||||||||||||||||||||||||||||||||||||||||||||||||||||||||||||||||||||||||||||||||||||||||||||||||||||||||||||||||||||||||||||||||||||||||||||||||||||||||||||||||||||||||||||||||||||||||||||||||||||||||||||||||||||||||||||||||||||||||||||||||||||||||||||||||||||||||||||||||||||||||||||||||||||||||||||||||||||
|
<colbgcolor=#000><colcolor=#fff> OM PRS FRSE FMedSci FAA FREng 마이클 프랜시스 아티야 경 Sir Michael Francis Atiyah | |
출생 | 1929년 4월 22일 |
잉글랜드 런던 캠던 햄스테드 | |
사망 | 2019년 1월 11일 (향년 89세) |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 |
국적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1] |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컬리지 (B.A. · Ph.D.) (1952년 · 1955년) |
소속 | 케임브리지 대학교 펨브록 컬리지 조교수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컬리지 학장 레스터 대학교 명예총장 에든버러 대학교 명예교수 |
지도교수 | W. V. D. 호지 경 (Sir William Vallance Douglas Hodge) |
지도학생 | 사이먼 도널드슨[2] 루스 로렌스 |
업적 | 아티야 준군 아티야-싱어 지표 정리 ADHM 작도 프레드홀름 가군 K-이론 KR-이론 |
상훈 | 필즈상 (1966) 로열 메달 (1968) 드모르간 메달 (1980) 기사작위 (1983) 코플리 메달 (1988) 아벨상 (2004) |
종교 | 무종교[3] |
[clearfix]
1. 개요
영국의 수학자.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중 한 명으로 거론되는 인물로, 기하학의 각종 분야에서 엄청난 업적을 남긴 대가이며 수리물리학에서도 많은 연구를 남긴 학자다.2. 생애
성을 보면 알겠지만 아시아계이다. 정확히는 아버지 셀림 아티야(1903–1964)가 레바논 정교회인으로 레바논에서 태어나 영국으로 유학갔으며 영국 국적을 얻어 에드워드라는 영어 이름을 지었으며 스코틀랜드 여성 진 레벤스와 결혼해 4명 자녀를 두었다. 동생인 패트릭 셀림 아티야(1931–2018)는 변호사로 유명해 옥스퍼드 대학교 법학과 교수 및 하버드 대학교 법학과 로스쿨 교수로 일한 바 있다.1966년 필즈상을 수상했다.
2019년 1월 11일, 89세 나이로 타계하였다. 사망 몇 개월 전에 리만 가설을 증명했다며 공개 발표를 하여 대중들에게 많이 알려졌으나 완전히 틀린 엉터리 증명이었다. 생전 그가 남긴 위대한 업적들을 아는 수학도들은 안타까운 마음에 언급을 회피하고 대부분의 언론들도 아무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2022년 출간된 김민형 교수의 책 <수학의 기쁨 혹은 가능성>에서 김민형 교수와 말년의 아티야가 교류하던 이야기가 부고와 같은 형식으로 실려있다. 말년의 리만 가설 소동에 대해 김민형 교수가 직접적으로 언급한 바는 없으나, 아티야는 말년에 수학과 물리학을 통합할 수 있는 통일 이론이 존재할 것만 같은 영감에 늘 흥분한 상태였으나 그 열정이 지나치며 수학적 오류를 제법 범해 젊은 수학자들에게 많은 비난을 받았고, 수학적 영감만을 중시하느라 구체적 논리의 오류는 중요치 않다는 외골수적 태도를 보였다고 회고했다. 아티야가 사망하기 한 달 전까지 이어진 교류에서 스스로도 여러 이론과 난제에 대한 실마리를 찾아냈다는 영감을 받았으나 이는 지나치게 뜨거워 궁극적으로 성패를 예측하기 어려운 영감에 불과하다며 자신의 연구에 대해 냉철함을 잃지 않는 태도가 인상적.
3. 리만 가설 증명 도전
자세한 내용은 리만 가설 문서의 마이클 아티야 미세 구조 상수 증명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기타
가환대수학 책의 저서로 유명하다. 책의 길이가 150페이지도 안 된다. 즉 개념 설명이 짧고, 연습문제가 곧 진가라고 할 수 있다.2007년에 열린 판사 석궁 테러 사건의 1심 재판 당시 재판부로부터 전문가 의견을 요청받은 대한수학회와 고등과학원이 ‘의견을 낼 수 없다’고 회피하자 "한국 과학의 국제적 입지와 평판을 위한다면 김 박사 사건을 조사하고 김 박사에게 합당한 지지를 보내는 것이 좋다"라는 취지의 항의성 서한을 대한수학회에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