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3 22:08:54

히로나카 헤이스케


<rowcolor=#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820E1F><colcolor=#fede58> 1936 파일:핀란드 국기.svg 라르스 알포르스 | 파일:미국 국기.svg 제시 더글러스
1950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로랑 슈바르츠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아틀레 셀베르그
1954 파일:일본 국기.svg 고다이라 구니히코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장피에르 세르
1958 파일:영국 국기.svg 클라우스 로스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르네 톰
1962 파일:스웨덴 국기.svg 라르스 회르만데르 | 파일:미국 국기.svg 존 밀너
1966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클 아티야 | 파일:미국 국기.svg 폴 코언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무국적) |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스메일
1970 파일:영국 국기.svg 앨런 베이커 | 파일:일본 국기.svg 히로나카 헤이스케 | 파일:소련 국기.svg 세르게이 페트로비치 노비코프 | 파일:미국 국기.svg 존 톰슨
197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엔리코 봄비에리 |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멈퍼드
1978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피에르 들리뉴 | 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페퍼먼 | 파일:소련 국기.svg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퀼런
1982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콘 |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서스턴 |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야우싱퉁
1986 파일:영국 국기.svg 사이먼 도널드슨 | 파일:독일 국기.svg 게르트 팔팅스 |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프리드먼
1990 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본 존스 |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드 위튼 | 파일:일본 국기.svg 모리 시게후미
1994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핌 젤마노프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루이 리옹 |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장 부르갱 |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크리스토프 요코즈
1998 파일:영국 국기.svg 리처드 보처즈 | 파일:영국 국기.svg 윌리엄 티머시 가워스 | 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콘체비치 | 파일:미국 국기.svg 커티스 맥멀런 | 파일:영국 국기.svg 앤드루 와일스(특별상)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21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820E1F><colcolor=#fede58> 2002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랑 라포르그 |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
2006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오쿤코프 | 파일:러시아 국기.svg 그리고리 페렐만 | 파일:호주 국기.svg 테렌스 타오 | 파일:프랑스 국기.svg 벤델린 베르너
2010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 파일:베트남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응오바오쩌우 |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드리크 빌라니
2014 파일:브라질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르투르 아빌라 | 파일:캐나다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만줄 바르가바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마르틴 하이러 | 파일:이란 국기.svg 마리암 미르자하니
2018 파일:이란 국기.svg 코체르 비르카르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시오 피갈리 | 파일:독일 국기.svg 페터 숄체 | 파일:호주 국기.svg 악샤이 벤카테슈
20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위고 뒤미닐코팽 | 파일:영국 국기.svg 제임스 메이나드 | 파일:미국 국기.svg 준 허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마리나 비아조우스카 }}}}}}}}}
}}}
<colbgcolor=#000><colcolor=#fff> 히로나카 헤이스케
広中 平祐 | Hironaka Heisuke
파일:히로나카 헤이스케.jpg
출생 1931년 4월 9일 ([age(1931-04-09)]세)
일본 제국 야마구치현 쿠가구군 유정
(현 이와쿠니시)
국적
[[일본 제국|]][[틀:국기|]][[틀:국기|]] →
[[일본|]][[틀:국기|]][[틀:국기|]]
학력 야마구치현립 야나이 고등학교 (졸업)
교토대학 이학부 (수학 / 학사) (1954년)
교토대학 대학원 (이학연구과 / 석사) (1956년)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수학 / Ph.D.) (1960년)
직업 수학자, 교수
지도교수 오스카 자리스키 (Oscar Ascher Zariski)
분야 대수기하학
업적 위수 0인 체 상에서 정의된 대수다양체의 특이점 해· 소 정리 등
수상 필즈상

1. 개요2. 가족3. 어록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수학자.

1931년(쇼와 6년) 4월 9일 일본 야마구치 현에서 15남매 중 일곱번째 아이[1]로 태어났다. 교토대학을 졸업하고 1960년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오스카 자리스키의 지도하에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1970년 필즈상을 수상했다. 고다이라 구니히코에 이은 두번째 일본인 수상자였다.

2008년부터 3년간 서울대학교 자연대 수리과학부 초빙 석좌교수로 채용돼 강의와 논문지도를 하기도 했다.[2] 이때 그의 수업을 들었던 학생이 훗날 한국계 최초로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였고, 그가 수학으로 전공을 정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3]

한국에서는 자전적 에세이 《학문의 즐거움》[4]의 저자로도 유명하다.[5] 이 책에서, 본인은 절대 천재가 아니라고 강조한 바 있으며, 평범한 사람이기에 어떤 문제에 부닥치면 남보다 시간을 두세 곱절 더 투자할 각오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것이 평범한 두뇌를 가진 자신이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6]

2. 가족

부인 히로나카 와카코(広中 和歌子)는 참의원 의원 4선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호소카와 내각에서 환경청 장관을 맡기도 했다. 딸 히로나카 에리코도 수학자로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3. 어록

I tell youngsters, if you go abroad or even if you study in Japan, choose the best scholar in the field. But don’t expect you can learn from him! The amazing thing is that with that kind of person, there are many talented young people around, and you learn a lot from them.

젊은이들에게 말하건대, 해외로 유학하거나 아니면 일본에서 공부하더라도, 해당 분야의 최고 학자를 선택하라. 하지만 그에게 가르침을 받을 수 있을 거란 기대는 마라! 대단히 멋진 일은, 그런 사람 주위에는 다수의 재능 있는 젊은이들이 있게 마련이고, 그들로부터 많은 것을 배운다는 것이다.
출처: Interview with Heisuke Hironaka, 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Volume 52, Number 9, October 2005
자신의 경험담이다. 오스카 자리스키는 너무 바빴다고 한다. 물론 그의 논문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고, 또 가끔은 직접 의견을 제시해 주기도 했다지만 말이다. 같이 공부한 동료 학생인 마이클 아틴(Michael Artin), 스티븐 클라이만(Steven Kleiman), 데이비드 멈퍼드(David Mumford)와 자신들만의 세미나를 개최하기도 했고 수학에 대해 정말 많은 대화를 나누었다고 한다. 참고로, 이후 마이클 아틴은 2010년 울프상을 수상했고, 데이비드 멈퍼드는 1974년 필즈상을, 2008년 울프상을 수상했다.
[1] 히로나카 헤이스케가 인터뷰(영어/PDF)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그의 부모의 결혼은 아버지에게는 삼혼(첫번째 부인 사망, 두번째 부인 사망)이었고 어머니에게는 재혼(남편 사망)이었다. 결혼 전 아버지는 죽은 두번째 부인과의 사이에 4명의 아이가 있었고, 어머니도 죽은 남편과의 사이에 1명의 아이가 있었다. 아버지의 두번째 부인은 어머니의 언니였다고 한다. 그의 부모는 결혼 후 10명의 아이를 더 낳았는데, 히로나카 헤이스케는 그 중 둘째 아이로 태어났고, 아들로서는 첫째였다.[2] 출처: 2008년 1월 14일, ‘필즈상’수상 수학 석학 서울대 석좌교수 영입, 동아사이언스[3] 허준이는 대학 시절 물리학과 천문학을 전공했지만 공부에 흥미를 느끼지 못해 방황하고 있었는데(3학년 1학기 전 과목 학점이 D와 F였을 정도였다고 한다), 히로나카의 강의를 들으며 수학에 관심을 갖게 되어 대학원 석사 과정부터 수학을 전공하게 되었다.[4] 원제는 《学問の発見》이다.[5] 과거 안철수도 이 책을 감명깊게 읽었다고 밝힌 바 있다. 링크[6] 그러나 책의 행간을 주의 깊게 읽어 보면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이고 저자 본인도 천재가 맞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천재가 아니라는 말은 오일러가우스같은 초천재는 아니라는 말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