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5 14:00:44

나디아 코마네치

파일:1200px-Encyclopædia_Britannica.svg.png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선정 세계의 여성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9년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은 세계사에 이름을 남긴 여성들을 선정했다.
긍정적 영향을 미친 여성들뿐 아니라 '세계사에 족적을 남긴 여성들'을 뽑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인물들 혹은 논란 있는 인물들도 있다.
성인들
성모 마리아 예수의 테레사 마더 테레사
지도자들
앙겔라 메르켈 베나지르 부토 예카테리나 2세 캐시 프리먼 서태후
클레오파트라 코라손 아키노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 다이애나 스펜서
지우마 호세프 에디트 크레송 엘레오노르 다키텐 엘리너 루스벨트 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2세 엘런 존슨 설리프 에바 페론 골다 메이어 그로 할렘 브룬틀란
한나 수호츠카 하트셉수트 인디라 간디 이사벨 1세 제니 시플리
줄리아 길라드 칼레다 지아 킴 캠벨 마거릿 대처 마리 앙투아네트
메리 로빈슨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미첼 바첼레트 미셸 오바마 박근혜
잔 다르크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 쑹메이링 탄수 칠레르 테오도라
바이라 비케프레이베르가 빅토리아 여왕 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 비올레타 차모로 측천무후
잉락 친나왓
발견자들
에이다 러브레이스 어밀리아 에어하트 바버라 매클린톡 캐롤라인 허셜 도러시 호지킨
엘리자베스 블랙웰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히파티아 제인 구달 캐서린 존슨
리제 마이트너 마거릿 미드 마리아 미첼 마리 퀴리 마리암 미르자하니
레이첼 카슨 로잘린드 프랭클린 사카자위아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예술가들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코코 샤넬 도로시아 랭 프리다 칼로 카라 워커
메리 카사트 쿠사마 야요이 자하 하디드
사회운동가들
앨리스 워커 앤절라 데이비스 앤 로이페 아얀 히르시 알리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엘프리데 옐리네크 그레타 툰베리 제인 폰다 주디 시카고 리마 보위
나오미 클라인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수잔 팔루디 타우왁쿨 카르만 와리스 디리
말랄라 유사프자이 마거릿 생어 마리아 몬테소리 해리엇 터브먼 캐롤리 슈니먼
로자 파크스 시린 에바디 왕가리 마타이 에멀린 팽크허스트 글로리아 스타이넘
작가들
에밀리 디킨슨 제인 오스틴 사포버지니아 울프 마거릿 애트우드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헬렌 켈러 J. K. 롤링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무라사키 시키부
시몬 드 보부아르 안네 프랑크 토니 모리슨
운동선수들
베이브 디드릭슨 빌리 진 킹 파니 블랑커스쿤 재키 조이너커시 미아 햄
나디아 코마네치 세레나 윌리엄스
퍼포머들
비욘세 엘라 피츠제럴드 캐서린 헵번 마돈나 메릴 스트립
미리엄 마케바 오프라 윈프리 사라 베르나르 움 쿨숨
정치인들
에이미 클로버샤 바바라 조던 캐롤 모즐리 브라운 엘리자베스 워런 프랜시스 퍼킨스
제럴딘 페라로 해티 캐러웨이 힐러리 클린턴 저넷 랭킨 매들린 올브라이트
낸시 펠로시 넬리 테일로 로스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셜리 치점 빅토리아 우드훌
참정권주의자들
앨리스 폴 앨리스 스톤 블랙웰 캐리 채프먼 카트 크리스타벨 팽크허스트 도리아 샤픽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 프랜시스 하퍼 프랜시스 윌러드 해리엇 스탠턴 블래치 헤르타 아일톤
후다 샤아라위 아이다 벨 웰스 제인 애덤스 줄리아 워드 하우 케이트 셰퍼드
루크레티아 모트 루시 번스 루시 스톤 메리 처치 테렐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메이 라이트 슈 밀리센트 포셋 소저너 트루스 수전 앤서니 버지니아 루이자 마이너
출처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2006년 루마니아 공영방송 TVR이 루마니아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루마니아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2위3위4위5위
슈테판 3세 카롤 1세 미하이 에미네스쿠 미하이 2세 리하르트 부름브란트
6위7위8위9위10위
이온 안토네스쿠 미르체아 엘리아데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콘스탄틴 브랑쿠시 나디아 코마네치
11위~100위
11위12위13위14위15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블라드 3세 조지 비칼리 헨리 코안더 게오르게 하지
16위17위18위19위20위
이온 루카 카라지알레 니콜라에 이오르가 콘스탄틴 브랑코비아누 제오르제 에네스쿠 그레고리안 비볼라루
21위22위23위24위25위
미렐 러도이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니콜라에 티툴레스쿠 페르디난드 1세 미하이 1세
26위27위28위29위30위
데케발루스 트라이안 버세스쿠 게오르그 뮤레산 이온 I. C. 브라티아누 러즈반 루체스쿠
31위32위33위34위35위
니콜라에 파울레스쿠 이울리우 마니우 이울리우 호수 에밀 시오랑 아브람 이안쿠
36위37위38위39위40위
부레비스타 에든버러의 마리 공녀 페트레 투테아 코르넬리우 코포수 아우렐 블라이쿠
41위42위43위44위45위
이오시프 트리파 니키타 스터네스쿠 이온 크레안거 마델리나 마놀 코르넬리우 바딤 투도르
46위47위48위49위50위
트라이안 부이아 루치안 블라가 조지 에밀 퍼레이드 아나 아슬란 아드리안 무투
51위52위53위54위55위
플로린 피에르시크 미하일 코갈리차누 야노스 코뢰시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일리에 너스타세
56위57위58위59위60위
게오르그 잠피르 기카 페트레스쿠 엘리사베타 리제아 불라 암자 펠라
61위62위63위64위65위
마차시 1세 미르체아 1세 티투 마이오레스쿠 토마 카라지우 미하이 트라이스타리우
66위67위68위69위70위
안드레아 마린 에밀 라코비차 빅터 바베슈 니콜라에 발체스쿠 호리아로만 파타피에비치
71위72위73위74위75위
이온 일리에스쿠 마린 프레다 외젠 이오네스코 두미트루 스타닐로아 알렉산드루 토데아
76위77위78위79위80위
투도르 게오르게 이온 티리아크 일리에 클레오파 아르세니 보카 바넬 니콜리타
81위82위83위84위85위
두미트루 코르닐레스쿠 그리고레 모이실 클라우디우 니쿨레스 플로렌틴 페트레 마리우스 모가
86위87위88위89위90위
니콜라에 스타인하트 로라 스토이카 커털린 흘단 안겔 살리그니 이반 피차이진
91위92위93위94위95위
마리아 터나세 세르지우 니콜라에스쿠 옥타비안 팔러 무명용사 치프리안 포룸베스쿠
96위97위98위99위100위
니쿠 코바시 두미트루 프루나리우 후녀디 야노시 콘스탄틴 노이카 바데아 카르탕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colbgcolor=#131230><colcolor=#fff> 나디아 코마네치
Nadia Comaneci
파일:나디아 코마네치.jpg
이름 나디아 엘레나 코머네치[1]
Nadia Elena Comăneci (루마니아어)
출생 1961년 11월 12일 ([age(1961-11-12)]세)
루마니아 인민공화국 오네슈티
국적
[[루마니아|]][[틀:국기|]][[틀:국기|]] |
[[미국|]][[틀:국기|]][[틀:국기|]][2]
신체 163cm
종목 기계체조
주종목 이단평행봉
은퇴 1984년 5월 7일[3]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1976 몬트리올 올림픽2.2. 1980 모스크바 올림픽2.3. 불운했던 삶과 행복한 결혼
3. 수상 기록4. 여담

[clearfix]

1. 개요

루마니아계 미국인이며, 前 기계체조 선수이다. 2번의 올림픽에 출전하여 전설적인 기록을 세웠다.

2. 선수 경력

2.1. 1976 몬트리올 올림픽

파일:external/img.timeinc.net/1101760802_400.jpg
타임지 표지
그녀는 완벽하다(SHE'S PERFECT)라는 문구가 눈에 띈다.
이단평행봉 종목에 참가하여 경기를 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자신의 이름을 딴[4] '코마네치'를 선보였고 착지까지 완벽하게 마무리했다. 경기를 지켜본 관중들은 당연히 고득점을 받을 것이라 예상했으나 그녀의 경기 점수가 전광판에 오르자 장내는 순간 술렁거렸는데 점수판에 올라온 점수는 고작 1.00점이었기 때문이었다. 정말 완벽한 경기를 펼쳤지만 심사위원들이 고작 1점이라는 최하점을 매긴 충격에 지켜보던 사람들뿐만 아니라 코마네치 본인도 당황했고 급기야 코마네치의 코치가 말도 안 되는 점수에 항의하기 위해 일어서려는 찰나에 심사위원 중 한 명이 일어나더니 열 손가락을 펴 보이며 "1점이 아니라 10점! 10점 만점에 10점입니다!"라고 외쳤다.

이 당시의 전광판이 최대 9.99, 즉 한 자릿수까지 밖에 표시할 수 없었기 때문에 1.00으로 일부러 표기한 것이었다. 당시 체조 종목은 누구도 완벽한 연기를 펼칠 수 없다고 여겨져 9.99점을 만점으로 생각하고 전광판을 제작했기 때문에 두 자릿수 표기가 불가능했었던 것이 그 이유였다.[5]
파일:external/9a7525df37214a24ffaa441fb765b4fdae98436f8cc02f50a77cc9d3897af6ba.jpg
결국 코마네치는 이 경기를 통해 체조 종목 사상 최초로 10점 만점을 받게 되었다.[6] 그녀는 이 경기 이후로도 같은 올림픽에서 평균대 3번, 이단평행봉 3번으로 6번 더 10점 만점의 연기를 선보였다.[7]

많은 사람들이 아디다스의 Impossible is nothing으로 기억하는 이 광고는 실제 올림픽에서의 경기가 아니라,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코마네치가 연기한 평행봉 체조에, 광고가 방영 중이었던 2005년 당시 미국의 최고 유망주였던 나스티아 리우킨(Anastasia Valeryevna Nasta Liukin)[8]의 경기를 합성한 영상이다.

2.2. 1980 모스크바 올림픽

파일:Nadia+Comaneci.jpg
일반적으로 사람들에게는 1976년 대회의 10점 만점 이미지가 강하지만, 1980 모스크바 올림픽에서도 금 2, 은 2개를 차지하는 등[9] 올림픽 2연속 금메달리스트로 활약했다.[10] 사실 그녀는 1976년에 만점을 받은 후 큰 역경을 겪어야 했다. 워낙 젊은 나이에 먼치킨 실력에 도달했기 때문에 1976년 이후에는 금방 목표를 잃었고, 루마니아 체조협회와 그녀의 코치 벨라 카롤리 사이의 불화로 잠시 훈련을 하지 못해서 살이 급격히 불기도 하는 등 슬럼프로 고생했다. 그렇게 슬럼프로 힘들어하던 그녀에게 벨라 카롤리 코치가 먼저 손을 내밀었고, 이로써 코마네치는 1980 모스크바 올림픽 때 화려하게 부활할 수 있었다. 그래서 코마네치 본인에게는 최초의 10점 만점을 해낸 1976년 대회보다는 슬럼프를 이겨내고 부활한 1980년 대회가 더 값지고 기억에 남는 대회였다고 한다.

2.3. 불운했던 삶과 행복한 결혼

파일:SNV33724.jpg
1977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와 만났는데, 이 때까지만 해도 코마네치는 루마니아영웅으로 극진한 대우를 받았다. 당연히 루마니아 정부에서도 처음에는 그녀를 영웅대접 했다. 그러나 유년 시절부터 코마네치와 함께한 벨라 카롤리 국가대표팀 코치가 미국으로 망명하자[11] 루마니아 정부는 그녀를 연금하여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하였고, 국제대회 출전도 불허하였다. 심지어 생필품을 잘 공급하지 않아 가족들은 생활고에 시달렸다.

결국 그녀는 루마니아의 독재자 차우셰스쿠를 끌어내기 위한 구국전선의 행진이 한창이던 1989년루마니아에서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당시 여권비자도 없었지만, "나디아 코마네치"라는 이름 하나로 헝가리오스트리아를 거쳐 목적지인 미국까지 일사천리로 망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전설"과는 다른 싸구려 옷차림과 서투른 영어에다가, 살이 쪄서 후덕해진 얼굴로 인해 사람들의 관심은 급속히 식어버렸다.[12] 그렇게 미국으로 망명 온 후 처음에는 엄청난 환영을 받았지만, 체조 요정에 대한 환상이 깨지자 사람들은 그녀를 곧 퇴물 취급했고, 명성에 걸맞지 않는 싸구려 행사에 이리저리 불려 다녔다.[13]

그리고 코마네치가 미국에 오자 사람들에게 비난을 받은 결정적인 이유는 세기의 연인이었던 체조 요정에 대한 환상이 깨져서인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 그녀의 망명을 도운 망명 브로커[14] '콘스탄틴 패니'라는 유부남과의 불륜설이 있었기 때문이다. 코마네치는 세간에 도는 불륜설을 극구 부인하며 패니는 그저 매니저일 뿐이라고 주장했지만, 패니의 부인이 남편이 집안을 돌보지 않고 코마네치하고만 돌아다닌다며 울며불며 인터뷰를 하는 등 여론은 코마네치의 망명을 불륜에 의한 애정 행각으로 몰고 갔다.[15]

나중에 밝혀진 바로는 어려서부터 공산주의 국가에서 훈련만 받으며 자라왔던 코마네치가 콘스탄틴 패니에게 일종의 가스라이팅과 함께 말을 안들으면 감금, 폭행을 당했고, 번 돈의 대부분도 뺐겼다고 한다. 패니와의 불륜설도 코마네치에 대한 관심이 식을 조짐을 보이자 이슈를 만들 목적으로 부인과 둘이 짜고 한 자작극으로 밝혀졌다. 콘스탄틴 패니의 이런 부부 공동 사기극은 미국으로 먼저 망명했던 벨라 카롤리에 의해 발각됐다. 어려서부터 코마네치를 봐온 벨라 카롤리는 뭔가 이상함을 감지했고, 패니가 코마네치와의 연락조차 차단하자 자신의 친구에게 부탁해 코마네치와 계약할 건이 있다고 접근하게 했고, 패니가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코마네치는 자신이 학대받고 있다며 도와달라고 했다. 사기 행각이 들통나자 패니는 부인과 함께 그 동안의 코마네치 수입까지 챙겨 도망갔다.

그렇게 고생스러운 30대를 보내고서 방황하던 코마네치는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와서 체조 아카데미를 운영하던 지금의 배우자이자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평행봉 금메달리스트 '바트 코너'를 만나게 되었다. 체조에 관한 모든 것과는 연을 끊고 살겠다고 다짐하던 코마네치에게 코너가 말하길, 스포츠에는 명예와 영광을 뛰어넘는 무언가가 있다고 설득했고, 코마네치는 이 말을 듣고 예전의 경험을 살려 체조 지도자로 재기했고, 두 사람이 함께 체조 아카데미를 운영했다. 사업 파트너였던 두 사람은 연인 관계로 발전했고, 마침내 1996년에 루마니아에서 성대한 결혼식을 올렸다.[16] 여담으로 두 사람은 1976년 3월 28일 아메리칸컵 대회에서 처음 만났는데, 이 대회에서 코마네치가 우승, 바트 코너도 우승했는데, 수상하러 단상에 올라서자 뉴욕 타임스 기자의 요청에 의해 바트 코너가 코마네치 볼에 키스를 한 적이 있다.

지금은 기부에 중점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2006년 무려 45살에 첫 아들을 출산했다. 현재 남편과 함께 미국에서 체조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고, 스페셜 올림픽 부위원장, 국제 체조 스포츠 잡지의 편집장을 맡고 있다. 미국에 거주하고 있지만 루마니아도 자주 방문한다고 한다. 영어 역시 악센트가 좀 있긴 해도 현재는 유창하다.

3. 수상 기록

<colcolor=#000> 올림픽
금메달 1976 몬트리올 개인종합
금메달 1976 몬트리올 이단평행봉
금메달 1976 몬트리올 평균대
금메달 1980 모스크바 마루
금메달 1980 모스크바 평균대
은메달 1976 몬트리올 단체전
은메달 1980 모스크바 단체전
은메달 1980 모스크바 개인종합
동메달 1976 몬트리올 마루
세계선수권
금메달 1978 스트라스부르 평균대
금메달 1979 포트워스 단체전
은메달 1978 스트라스부르 단체전
은메달 1978 스트라스부르 도마
유럽선수권
금메달 1975 시엔 개인종합
금메달 1975 시엔 도마
금메달 1975 시엔 이단평행봉
금메달 1975 시엔 평균대
금메달 1977 프라하 개인종합
금메달 1977 프라하 이단평행봉
금메달 1979 코펜하겐 개인종합
금메달 1979 코펜하겐 도마
금메달 1979 코펜하겐 마루
은메달 1975 시엔 마루
은메달 1977 프라하 도마
동메달 1979 코펜하겐 평균대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1981 부쿠레슈티 단체전
금메달 1981 부쿠레슈티 개인종합
금메달 1981 부쿠레슈티 도마
금메달 1981 부쿠레슈티 마루
금메달 1981 부쿠레슈티 이단평행봉

4. 여담

파일:external/image.eiga.k-img.com/1_large.jpg}}}||

[1] 관용적으로 '코마네치'라는 표기가 사용되나, 루마니아어 발음은 '[ˈnadi.a koməˈnetʃʲ\](나디아 코머네치)'에 가깝다. 미국식 영어로는 '[ˈkoʊməniːtʃ\](코머니치)'로 발음한다.[2] 1989년에 미국으로 망명하였으며 2001년에 미국 국적을 취득하여 복수국적자가 되었다.[3] 1981년에 열린 부쿠레시티 유니버시아드를 마지막으로 대회 출전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1981년에 은퇴했다고 봐도 무방하나, 공식적인 은퇴 선언은 1984년에 했다.[4] 체조 경기는 국제 대회에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기술을 선보이면 본인의 이름이 그 기술명이 된다. 여홍철의 '여1' '여2', 양학선의 '양1'도 마찬가지다.[5] 이게 워낙 상징적인 이미지로 남아서 코마네치가 연기를 마치고 몇 분 후 도마에서 신기술로 10점 만점을 받은 넬리 킴을 기억하는 사람은 체조 팬이 아닌 이상 거의 없다. 이 올림픽에서 넬리 킴은 단체전, 마루, 그리고 도마에서의 금메달과 개인종합 은메달을 땄다. 참고로 코마네치가 최초 만점으로 유명해 지기 전, 그러니까 올림픽 시작 전까지만 해도 넬리 킴과 코마네치는 라이벌로 대등하게 경쟁하는 수준이었는데 이 만점 이후로 인지도가 넘사벽으로 차이가 나게 되어서 코마네치가 은퇴할 때까지 넬리 킴이 고까워한 티가 인터뷰에서 많이 난다. 팬들끼리도 누가 더 잘한다고 서로 싸웠었는데, 이러니 저러니 해도 둘 다 체조계의 레전드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6] 이후 12년이 흐른 1988 서울 올림픽에서는 리듬체조 우승자인 마리나 로바치는 모든 경기에서 만점을 받았는데 이 말을 다르게 얘기하면 코마네치의 10점 만점 이후 기계체조에서 만점을 한 번이라도 놓치면 금메달은 물 건너가게 되었다. 하지만 2008년부터 점수 체계가 바뀌어 10점 만점 제도가 폐지되고 난도 점수와 실시 점수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바뀌어 점수의 상한선이 없어졌다.[7] 올림픽 경기 당시에 경기를 할 때 무표정으로 일관해서 '작은 바윗덩어리', '냉정한 작은 벼룩' 등의 별명을 얻기도 했다. 이에 대해 코마네치가 2010년 내한 당시 인터뷰에서 언급하길, 공산주의 시절 루마니아의 사회는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는 것을 금기시하는 분위기가 팽배하여 어린 시절부터 경기장에서는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경기에 임했는데, 오히려 이러한 풍조가 고도의 집중력과 반복적인 연습이 필요한 체조 훈련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8] 러시아계 미국인이다. 아버지 발레리 리우킨은 1988 서울 올림픽에서 총 4개(금 2, 은 2)의 올림픽 메달을 따낸 선수였고, 어머니 안나 코체네바는 전직 리듬체조 선수 출신으로 1987 세계선수권 금메달리스트였다. 리우킨은 2008 베이징 올림픽 개인종합 금메달리스트이자 이단평행봉, 평균대, 단체전 은메달리스트이다. 다만 이후로 기량이 부진했다. 베이징 올림픽 이전에는 2005, 2007 세계선수권 평행봉에서 금메달을 땄고, 2005 세계선수권 이단평행봉에서 금메달을 땄다.[9] 이때 코마네치는 개인종합에서 소련 선수인 옐레나 다비도바에 이어 은메달을 땄는데, 코마네치가 금메달을 땄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10] 그렇지만 유독 모스크바 올림픽 때에는 실수가 많이 나왔다. 도마 결승에서는 2차 시기에 넘어지는 실수를 해서 최종 5위, 이어 주 종목이었던 이단 평행봉(Team Optionals)에서는 자세를 바꾸는 동작을 하다 중간에 봉을 놓치고 떨어지는 큰 실수를 하면서 종목 결승에 진출하지 못하며 메달을 놓쳤다.[11] 벨라 카롤리는 미국으로 망명해 미국 국가대표팀 코치, 총감독 등을 맡으며 오늘날 미국이 여자 기계체조 강국으로 올라서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12] 망명했을 때 그녀의 나이는 20대 후반이였지만, 명성에 어울리진 않는 옷차림과 장신구에 후덕해진 얼굴 때문인지 30대 후반으로 보였다. 안타까운 미녀.[13] 이때 찍었던 속옷 광고 사진은 지금도 회자된다.[14] 딱히 한 일이라고는 루마니아 인접 국가인 헝가리 국경 검문소로 가는 길만 안내해 줬을 뿐인 브로커에게 당시 돈으로 5천 달러를 지불했다.[15] 이 때문에 1990년대 초반 국내 신문에 보도된 코마네치에 대한 기사는 부정적인 기사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아직도 불륜설을 사실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16] 루마니아 정부에서는 코마네치가 결혼하던 날을 공휴일로 선포했고, 그야말로 국가적인 행사였다.[17] 영화에서는 1976년 대회 이후의 부진 때문에 그녀가 스트레스를 받아서 자살하려고 했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특히 자신이 몸무게가 불어 방황하는 장면에서는 극노했다고 한다. 코마네치의 자서전에는 이를 해명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18] 1991년이면 그 불후의 명작 터미네이터 2가 한창 흥행을 하던 시기다. 당연히 현실에서 터미네이터가 문짝을 찢듯이 나오면 누구든 얼어붙을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