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 2006년 루마니아 공영방송 TVR이 루마니아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루마니아인 100명'을 선정 | ||||||||
TOP 10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슈테판 3세 | 카롤 1세 | 미하이 에미네스쿠 | 미하이 2세 | 리하르트 부름브란트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이온 안토네스쿠 | 미르체아 엘리아데 |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 콘스탄틴 브랑쿠시 | 나디아 코마네치 | |||||
11위~100위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블라드 3세 | 조지 비칼리 | 헨리 코안더 | 게오르게 하지 |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이온 루카 카라지알레 | 니콜라에 이오르가 | 콘스탄틴 브랑코비아누 | 제오르제 에네스쿠 | 그레고리안 비볼라루 | |||||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미렐 러도이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 니콜라에 티툴레스쿠 | 페르디난드 1세 | 미하이 1세 |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데케발루스 | 트라이안 버세스쿠 | 게오르그 뮤레산 | 이온 I. C. 브라티아누 | 러즈반 루체스쿠 | |||||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니콜라에 파울레스쿠 | 이울리우 마니우 | 이울리우 호수 | 에밀 시오랑 | 아브람 이안쿠 | |||||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부레비스타 | 에든버러의 마리 공녀 | 페트레 투테아 | 코르넬리우 코포수 | 아우렐 블라이쿠 | |||||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이오시프 트리파 | 니키타 스터네스쿠 | 이온 크레안거 | 마델리나 마놀 | 코르넬리우 바딤 투도르 | |||||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트라이안 부이아 | 루치안 블라가 | 조지 에밀 퍼레이드 | 아나 아슬란 | 아드리안 무투 | |||||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플로린 피에르시크 | 미하일 코갈리차누 | 야노스 코뢰시 |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 일리에 너스타세 | |||||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게오르그 잠피르 | 기카 페트레스쿠 | 엘리사베타 리제아 | 불라 | 암자 펠라 | |||||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마차시 1세 | 미르체아 1세 | 티투 마이오레스쿠 | 토마 카라지우 | 미하이 트라이스타리우 | |||||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안드레아 마린 | 에밀 라코비차 | 빅터 바베슈 | 니콜라에 발체스쿠 | 호리아로만 파타피에비치 | |||||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이온 일리에스쿠 | 마린 프레다 | 외젠 이오네스코 | 두미트루 스타닐로아 | 알렉산드루 토데아 | |||||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투도르 게오르게 | 이온 티리아크 | 일리에 클레오파 | 아르세니 보카 | 바넬 니콜리타 | |||||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두미트루 코르닐레스쿠 | 그리고레 모이실 | 클라우디우 니쿨레스 | 플로렌틴 페트레 | 마리우스 모가 | |||||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니콜라에 스타인하트 | 로라 스토이카 | 커털린 흘단 | 안겔 살리그니 | 이반 피차이진 | |||||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마리아 터나세 | 세르지우 니콜라에스쿠 | 옥타비안 팔러 | 무명용사 | 치프리안 포룸베스쿠 | |||||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니쿠 코바시 | 두미트루 프루나리우 | 후녀디 야노시 | 콘스탄틴 노이카 | 바데아 카르탕 | |||||
※ 출처 | |||||||||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colbgcolor=#8d0000><colcolor=#fff> '''''' | |||
출생 | 1673년 10월 26일 | ||
몰다비아 공국 팔키우 카운티 실리슈테니 | |||
사망 | 1723년 8월 21일 또는 9월 1일 (향년 48세) | ||
러시아 제국 키예프주 드미트로프카 | |||
재위 | 몰다비아 보이보드 | ||
1차: 1693년 3월 ~ 4월 | |||
2차: 1710년 12월 4일 ~ 1711년 7월 22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d0000><colcolor=#fff> 부모 | 아버지: 콘스탄틴 칸테미르 어머니: 아나 빈타슈 | |
형제 | 안티오 칸테미르 | ||
배우자 | 카산드라 칸타쿠지노, 아나스타샤 이바노브나 트루베츠카야 | ||
자녀 | 스마라그다 칸테미르, 마리아 칸테미르, 안티오 디미트리에비치 칸테미르, 세르반 칸테미르 | ||
가문 | 칸테미레슈티 가문 | ||
종교 | 기독교 | }}}}}}}}} |
[clearfix]
1. 개요
몰다비아 공국 제66대 보이보드이자 학자. 몰다비아 보이보드로서는 성공적이지 못한 치세를 보냈지만, 철학, 역사학, 음악학, 언어학, 민족학에 관한 수많은 저서를 집필해, 세인의 존경을 받았다.2. 생애
1673년 10월 26일, 팔키우 카운티의 엘란 강 유역에 있는 실리슈테니 마을에서 출생했다. 디미트리에 본인이 아버지 콘스탄틴 칸테미르의 생애를 다룬 <콘스탄틴 칸테미르의 생애>에 따르면, 칸테미레슈티 가문은 크람에 거주한 옛 종족 칸테미레슈티 족의 후손이라고 한다. 19세기 루마니아 역사가 알렉산드루 디미트리에 제노폴(Alexandru Dimitrie Xenopol, 1847 ~ 1920)은 '칸'과 '테미르'는 타타르어로 각각 '피'와 '철'을 의미하며, 칸테미레슈티 가문은 이로 볼때 타타르족 출신이라고 추정했다. 또한 그는 콘스탄틴 칸테미르의 아버지 테오도르는 슈테판 3세 치세 때 몰다비아에서 근무하고 영지를 수여받은 타타르족의 후손이라고 봤다.반면, 루마니아 중세학자 니콜라에 스토이체스쿠(Nicolae Stoicescu, 1924 ~ 1999)는 칸테미레슈티 가문이 타타르족에서 기원한다는 주장은 공상적인 이야기일 뿐이며, 콘스탄틴의 아버지 테오도르는 1627년 타타르족과 맞서 싸우다가 전사했다고 주장했다. 루마니아 역사가이자 부쿠레슈티 대학교 교수였던 콘스탄틴 C. 주레스쿠(Constantin C. Giurescu, 1901 ~ 1977)는 팔치우 카운티의 실리슈테니 마을 출신의 보야르라고 봤다. 슈테판 S. 고로베이(Ștefan S. Gorovei, 1948 ~ )는 슈테판 3세 시대에 로어 컨트리에 거주했던 보야르 파트루 실리스테아누의 후손이라고 추정했다. 한편, 어머니 아나 빈타슈는 일찍이 몰다비아 공국 보이보드와 왈라키아 공국 보이보드를 역임한 게오르게 두카의 아내이자 몰다비아 제59대 보이보드 유스트라티에 다비자의 양녀인 아나스타샤 다비자의 외손녀였다. 형제로 그처럼 몰다비아 보이보드를 역임할 안티오 칸테미르가 있었다.
아버지 콘스탄틴 칸테미르는 일찍이 부모를 잃고 영지는 타타르족의 습격으로 황폐화되어서 먹고 살 길이 없게 되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군에 용병으로 입대했다. 이후 브와디스와프 4세 바사, 얀 2세 카지미에시 바사를 모시며, 폴란드군에서 17년간 근무했고, 나중엔 기병대장에 발탁되었다. 특히 스웨덴군과의 전투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이렇듯 폴란드군에서 활동하면서 명성을 쌓은 그는 조국으로 돌아온 뒤 여러 직책을 역임했으며, 팔카우 지역의 9개 마을을 보야르들로부터 구입하는 등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하지만 콘스탄틴 칸테미르는 자기가 문맹이라는 데 한을 품고, 자식들이라도 학식을 잘 쌓아서 장차 훌륭한 인물이 되기를 희망했다. 그래서 디미트리에는 형제 안티오와 함께 저명한 학자들에게 우수한 교육을 받았다. 특히 크레타에서 태어나 몰다비아에서 활동한 수도자이자 학자 이에레미아 카카벨라스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에레미아 칼카벨라스는 플라티나 주교가 쓴 <교황의 생애(Vitae Pontificum)>를 라틴어에서 그리스어로 번역했으며, 영적 형성에 관한 자신만의 철학을 제시했다. 또한 그는 디미트리에에게 그리스어, 라틴어, 고대 슬라브어 뿐만 아니라 철학, 특히 신비주의를 가르쳤다.
1685년 몰다비아 보이보드에 선임된 콘스탄틴 칸테미르는 당시의 관습에 따라 아들 중 한 명을 코스탄티니예에 인질로 보내야 했다. 먼저 장남 안티오를 보냈고, 1687년에는 그 대신 디미트리에를 인질로 보냈다. 디미트리에는 오스만 제국의 수도에 3년간 머무르면서 문학, 철학, 음악, 오스만어, 아랍어, 페르시아어를 익혔다. 1691년 몰다비아 공국의 수도 이아시로 돌아왔고, 1693년 3월 아버지가 사망한 뒤 몰다비아 보이보드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디미트리에가 왈라키아 공국 전임 보이보드 셰르반 칸타쿠지노의 미망인 마리아와 서신을 교환하면서 음모를 꾸미는 기미가 보이자, 왈라키아 공국 보이보드 콘스탄틴 브랑코비아누는 자기 딸 마리아를 전임 몰다비아 보이보드 게오르게 두카의 아들인 콘스탄틴 두카와 약혼시켰다. 그해 4월, 콘스탄틴 두카는 콘스탄틴 브랑코비아누의 지원에 힘입어 디미트리에를 몰아내고 몰다비아 보이보드에 즉위했다.
그 후 디미트리에는 코스탄티니예로 가서 그곳에서 장기간 살면서 국제 감각을 쌓았으며, 베네치아 공화국, 옥스퍼드, 라이프치히, 빈 등지를 여행하며 학식을 쌓았다. 한편, 그는 이 시기에 철학, 윤리, 음악에 관한 여러 작품을 집필했고, 몰다비아와 오스만 제국의 역사를 다룬 저서를 편찬했다. 1696년 콘스탄틴 두카가 실각한 뒤 디미트리에의 형제인 안티오가 몰다비아 보이보드로 선임되었다. 그는 코스탄티니예에서 형의 대사로 활동했으며, 1683년부터 1699년까지 벌어진 대튀르크 전쟁에 오스만 제국 편에서 참여했다. 특히 1697년 사부아 공자 외젠이 오스만 제국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젠타 전투 현장을 참관했고, 이를 계기로 몰다비아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할 수 있다는 생각을 마음속에서 싹 틔웠다.
1710년 12월 4일, 오스만 제국에 의해 몰다비아 공국의 보이보드로 선임되었다. 몰다비아 연대기 작가 이온 네쿨리스(Ion Neculce, 1672 ~ 1745)에 따르면, 크림 칸국의 칸 데블레트 2세 기라이의 시종이자 재무관인 다불 이스마일이 디미트리에와 두터운 친분을 맺고 있었고, 데블레트 2세는 재무관의 조언에 따라 오스만 제국 당국에 그를 추천했기에 이 선임이 이뤄질 수 있었다고 한다. 그는 짧은 치세 동안 덜 부유한 사회 계층을 위해 몇 가지 개혁을 단행했다. 그는 데세아틴(deseatin, 십일조) 세, 특히 벌집에서 나오는 제품의 10분의 1세를 폐지했는데, 이는 소규모 귀족인 양봉가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조치였다. 또한 로만 출신의 칼리시 소녀 길드, 이아시 출신의 부리 길드, '가난한 주부' 길드를 위한 특권을 부여하는 등, 빈곤하게 지내는 이들을 배려하는 면모를 보였다.
오스만 제국 정부는 그에게 러시아 제국과의 전쟁을 돕도록 했다. 그러나 그는 오스만 제국이 쇠락하고 있으며, 발칸반도와 흑해에 깊은 관심을 보이는 러시아 제국이라면 몰다비아의 독립을 도와줄 거라고 여겼다. 디미트리에는 1710년 연말에 러시아군을 염탐하겠으니 러시아 차르 표트르 1세와 협상하러 가는 걸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고, 오스만 제국 파디샤 아흐메트 3세는 수락했다. 이후 러시아 진영으로 간 그는 1711년 1월에 열린 폅상에서 표트르 1세가 몰다비아의 해방과 자치를 보장한다면, 몰다비아인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러시아군을 돕겠다고 제안했다. 표트르 1세는 손해볼 것 없는 협약이라 여기고 받아들였다. 그 후 디미트리에는 표트르 1세 편으로 돌아섰고, 러시아 측에 17,000명의 병력을 제공했다. 그러나 1711년 7월 프루트 전투에서, 러시아-몰다비아 연합군은 발타치 메흐메트 파샤가 지휘하는 오스만 제국군에 격파되었다.
그 후 디미트리에는 러시아로 망명했고, 니콜라에 마브로코르다트가 몰다비아 공국의 새 보이보드로 등극했다. 표트르 1세는 디미트리에를 넘기라는 오스만 제국의 요구를 거부했고, 그에게 러시아 귀족 작위를 부여했다. 또한 그가 잃어버린 영토에 대한 보상으로 모스크바 교외 체르나야 그랴즈 마을에 있던 골리친 가문의 이전 영지를 포함한 광범위한 재산을 부여했다. 디미트리에는 자기에게 주어진 지역을 개조하고 목조 교회 대신 석조 교회를 지었다. 그의 후손들은 저택 개조 작업을 지속해 공원, 연못, 바로크 양식의 건물을 추가했다. 이 저택은 1775년 예카테리나 2세가 반할 때까지 칸테미레슈티 가문의 수중에 남았다. 에카테리나 2세는 막대한 돈을 주고 그 저택을 산 뒤, 자신만의 여름 별장으로 삼았다. 또한 디미트리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자신을 위한 궁전을 짓기 위해 이탈리아 출신 건축가 바르톨로메오 라스트렐리를 고용했다. 하지만 그는 이 궁전이 완공되기 2년 전에 사망했다.
디미트리에는 러시아에서 차르의 고문으로 활동하면서도 연구와 저술에 전념했다. 1714년 베를린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그곳에서 "왕 중의 철학자, 철학자 중의 왕"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1716년에는 표트르 1세의 의뢰에 따라 쿠란을 러시아어로 번역하고 종교 체계로서의 이슬람에 관한 연구를 집필하기도 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과학부 설립에도 기여했다. 그러던 1722년 표트르 1세의 동방 원정에 참여했다가 병에 걸렸고, 1723년 8월 21일 또는 9월 1일 키예프주 드미트로프카에서 사망했다. 그는 모스크바의 성 콘스탄티누스와 헬레나 교회에 있는 첫 아내 카산드라 칸타쿠지노 옆에 묻혔다. 1935년 루마니아의 이아시로 옮겨졌고, 이아시에 있는 삼위일체 교회에 다시 안장되었다.
3. 주요 저서
- <Divanul sau gâlceava înțeleptului cu lumea(디반[1] 또는 현자의 세상과의 단란함)>: 1698년 이아시에서 인쇄된 저서. 루마니아 역사상 최초의 종교 사상 작품으로, 이 작품이 나오기 전의 루마니아의 종교 서적은 외국어 번역본에 국한되었다. 디미트리에는 다른 생명체에 대한 인간의 우월성을 밝히면서, 인간을 세계의 주인으로 만들고, 인간의 생물학적 조건에 대한 영적 삶의 우월성을 지지하고, 철학적 개념을 정의하고 철학적 용어를 만들려고 노력했다. 이 책의 주요 주제는 몸과 영혼, 물질과 영 사이의 투쟁이며,교회는 이를 통해 죄와 신비적 삶 사이의 투쟁을 이해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생명과의 싸움은 삶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지, 삶을 떠나는 것이 아니라 수도원으로 후퇴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밝혔다.
- <Sacrosanctae Scientiae Indepingibilis Imago(형언할 수 없는 신성한 과학의 이미지)>: 1700년 코스탄티니예에서 발간된 저서. 과학과 종교 사이의 일종의 화해를 모색한 프랜시스 베이컨의 노선을 따라, 물리학을 유신론적 시스템에 통합하려는 철학적 작품이다. 그는 신성한 과학이 곧 신학이며, 추상적으로 그릴 수는 없지만 우화적인 이미지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점성술과 신비주의, 신성한 과학에 특별한 관심을 보였으며, 지식 이론, 원자론 및 물질의 기원, 유신론과 이신론 사이의 논쟁, 시간 문제 등 당대 철학의 주요 문제를 논했다. 이 책은 그의 스승인 이에레미아 칼카벨라에게 헌정되었다.
- <Istoria ieroglifică(상형문자의 역사)>: 1703년 ~ 1705년에 집필된 것으로 추정. 정치사회적, 우화적, 자서전적 소설로 평가된다. 상형문자의 역사는 동물 간의 싸움을 다룬 우화로, 왈라키아 공국과 몰다비아 공국에서 보야르 정파간의 음모를 풍자했다.
- <Kitabu Ilm al-Musiki(음악론에 관한 서)>: 1705년에서 1709년 사이에 코스탄티니예에서 집필되었다. 오스만어로 집필되었으며, 365곡의 이론 체계를 설명했다. 이 작품은 오스만 음악의 최초의 알파벳 악보 체계인 오스만 세속 및 종교 음악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로 구성된다. 그는 정통 종교 음악의 중요성과 비잔틴 교회 음악의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그의 악보 표기법은 튀르크 알파벳의 문자인 ebjed를 기반으로 하며, 각 문자는 문자 아래에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되는 지속 시간을 갖는 소리에 해당한다. 마지막에는 오스만 제국 노래 모음 뿐만 아니라 몰다비아 민속 노래 모음과 자체 창작곡 20개가 함께 제공되었다. 그는 이 작품 덕분에 세속 음악의 창시자이자 종교적 음악가인 'Kantemiroglu'(칸테미르의 아들)라는 이름으로 튀르키에 음악사에 등재되었다.
- <Historia Incrementorum atque Decrementorum Aulae Othomanicae(오스만 제국 흥망의 역사)>: 1714년에서 1716년 사이에 집필된 것으로 추정됨. 디미트리에가 러시아로 망명한 뒤 라틴어로 집필한 역사서로, 그는 이 저서에서 오스만 제국의 역사를 자세히 설명하고 오스만 제국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원인을 분석했으며, 억압받는 사람들이 자유를 되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설파했다. 그는 처음에 오스만 제국의 정치적 상승과정을 설명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창시자인 오스만 1세부터 아흐메트 3세까지 19명의 술탄의 행적을 다뤘다. 특히 1418년에서 1420년 사이에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킨 신비주의자 셰이크 베드레딘, 무사 첼레비의 봉기, 17세기 아나톨리아에서 일어난 농민 봉기 등, 다른 기록에선 제대로 다뤄지지 않았던 오스만 제국의 치부를 낱낱이 밝혔다. 여기에 오스만 제국 궁정에서 대사를 맞이하는 의식, 할례 의식 등 오스만 제국 민중의 일상 생활, 관슴 및 전통에 관한 일련의 사실을 언급했으며, 오스만 공공 기관, 군대, 황궁 생활, 터키 동전, 교육 기관, 교회 생활, 음악, 대중 문학 등에 대한 세부 정보를 다뤘다. 이 작품은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고 유럽 학계에서 오랫동안 오스만 제국의 역사에 관한 저명한 저서로 추앙받았다. 다만 현대 학자들은 이 저서는 부분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고 간주하며, 그가 오스만 제국에 반기를 들고 러시아와 손잡았다가 망명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이 저서를 집필했을 거라고 추정한다.
- <Hronicul vechimei a romano-moldo-vlahilor(고대 로마인-몰도바인-블라흐인의 연대기)>: 107년 트라야누스가 다키아 왕국을 정복할 때부터 왈라키아 공국과 몰다비아 공국이 건국될 때까지의 역사를 다뤘다. 디미트리에는 이 저서를 통해 루마니아인의 기원은 고대 로마라고 주장하면서, 루마니아인의 정치적 통합을 촉구했다. 그는 이 작품을 집필하기 위해 라틴어, 그리스어, 폴란드어, 및 러시아어로 된 150개 이상의 루마니아 및 외국 자료를 참조했다.
- <Descriptio Moldaviae(몰다비아에 대한 설명)>: 1714년 ~ 1716년 베를린 아카데미의 요청에 따라 라틴어로 작성한 저서. 이 저서는 몰다비아와 그 주민들에 관한 지리학, 인구학, 민족학, 지도 제작, 집단 심리학을 다뤘다. 이 저서는 3권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저서는 국가의 지리, 부 및 행정 조직이 제시되는 지리 설명에 전념했다. 두 번째 저서는 정치를 다루며, 정부 형태, 법원 의식, 군대, 정의, 금융, 사회 및 정치 계급, 관습을 길게 설명했다. 세 번째 저서는 몰다비아 언어와 문학에 관한 장을 포함해 종교, 문화에 대해 다뤘다.
- <Systema de religione et statu Imperii turcici(튀르크 제국의 종교 체계와 상태)>: 1716년 표트르 1세의 의뢰에 따라 집필된 논문. 이슬람 세계의 영적 삶을 다뤘는데, 특히 이슬람의 종교 관습과 전통에 큰 비중을 두었다. 이 책에서는 선지자 무함마드의 삶과 활동을 밝히고 쿠란을 비판적으로 분석했으며, 아랍어의 다양한 방언을 별도로 다뤘다. 또한 다양한 무슬림 관습과 의례, 가족 생활, 복장에 대한 설명, 특정 행사에 입는 다양한 의복을 다뤘으며, 이슬람이 지배하는 세계에 존재하는 종파도 다뤘다.
- <Monachorum Physica Examinatio(군주제 연구)>: 군주제의 본질에 관한 논문. 그는 이 저서에서 군주제는 "태어나고 죽고, 변화하고, 변형되며, 하나가 해체되면 다른 하나가 탄생한다"라며, 군주제가 유한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 <Collectanea Orientalia(동양 컬렉션)>: 알렉산드로스 3세가 남긴 코카서스 성벽, 카스피해 지역의 페르시아 유적 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문서를 포함한다.
- <Vita Constantini Cantemyrii, cognomento senis, Moldaviae Principis . Auctore: Demetrio Cantemyrio(몰다비아의 군주, 장로라는 별명을 가진 콘스탄틴 칸테미르의 생애)>: 아버지 콘스탄틴 칸테미르의 전기. 그는 이 저서에서 가족 계보에서 시작하여 어린 시절의 호전적인 모험을 거쳐 몰다비아의 보야르, 그 다음에는 보이보드까지 오르는, 파란만장했던 아버지의 일대기를 다뤘다.
4. 가족
- 카산드라 칸타쿠지노(1682 ~ 1713): 왈라키아 공국 보이보드 셰르반 칸타쿠지노의 딸.
- 마리아 칸테미르(1700 ~ 1754): 러시아 차르 표트르 1세의 정부. 1722년 아스트라한에서 표트르 1세의 사생아를 낳았지만, 그 아이는 1723년에 사망했다. 표트르 1세의 황후인 예카테리나 1세는 자기가 정부였다가 황후가 된 전력이 있던 터라 마리아 역시 자기처럼 될 것을 우려했고, 그녀에게 강력한 견제를 가했다. 그러다가 1725년 표트르 1세가 사망한 뒤, 마리아는 궁정에서 쫓겨났고, 1727~1728년 나탈리아 대공비의 시녀를 맡았으며, 1730~1731년 안나 이바노브나의 시녀를 맡았다.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문학 샬롱을 열었다.
- 스마라그다 칸테미르(1701 ~ 1720): 모스크바에서 미혼인 채 사망.
- 콘스탄틴 칸테미르(1705 ~ 1744): 러시아 황실 경비대 대장.
- 셰르반 칸테미르(? ~ 1780): 러시아군 장교.
- 안티오 디미트리에비치 칸테미르(1709 ~ 1744): 러시아 제국 외교관, 러시아어 시인. 러시아 문학의 고전주의 창시자 중 한 사람이었고 여러 풍자시와 우화시도 집필했다. 또한 계몽주의를 신봉해 과학과 문화의 진보를 위한 캠페인을 벌였으며, 뉴턴의 저서를 러시아어로 번역했다. 20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건국 300주년 기념 행사에서 그의 흉상이 세워졌다.
- 아나스타샤 이바노브나 트루베츠카야(1700 ~ 1755): 트루베츠코이 가문의 일원. 1717년 디미트리에와 결혼.
- 스마라그다 칸테미르(1720 ~ 1761): 러시아 제국 외교관 드미트리 미하일로비치 골리친의 부인.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 여제의 절친한 친구였으며, 당대 가장 아름다운 여성으로 일컬어졌다.
5. 후대
디미트리에는 오늘날 루마니아와 몰도바에서 위대한 루마니아인 학자로서 존경받고 있다. 그의 이름은 두 나라의 많은 거리에 지정되었으며, 그가 태어난 실리슈테니는 '디미트리에 칸테미르'로 개명되었다. 양국의 수많은 교육 및 문화 기관에도 그의 이름이 붙었다. 또한 러시아와 튀르키에에서도 훌륭한 학자로 인정받는다. 러시아의 샤리치노 시에는 그의 기념비가 세워졌으며, 2003년 4월 이스탄불의 한 공원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7년 6월 25일, 루마니아 대통령 트라이안 버세스쿠는 그가 살았던 이스탄불의 파나르 지역에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박물관을 개관했다. 한편,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역사학부 내에 칸테미르 연구소가 있다.[1] Divan: 정부 기관을 이끄는 고위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