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메이저리그 신시내티 레즈의 야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조이 보토]]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조이 보토#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조이 보토#|]]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메이저리그 신시내티 레즈의 야구선수: }}}[[조이 보토]]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조이 보토#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조이 보토#|]]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fff 아마존강돌고래(보투[1]보뚜.], 분홍강돌고래) Amazon river dolphin}}} | |
| |
학명 | Inia geoffrensis (Blainville, 1817)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강 | 포유강 Mammalia |
목 | 우제목 Artiodactyla |
과 | 아마존강돌고래과 Iniidae |
속 | 아마존강돌고래속 Inia |
종 | 아마존강돌고래 I. geoffrensis |
멸종위기등급 | |
|
1. 개요
우제목의 포유류.
1871년 프랑스 동물학자인 앙리 블랭빌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름대로 아마존 강에서 서식하는 돌고래로 일반적인 해양돌고래들과 달리 몸 색깔이 옅은 분홍빛을 띄기 때문에 '분홍(핑크)돌고래' 라고 불리기도 한다.
2. 상세
몸길이는 1.8~2.7m이며 바다가 아닌 강에 사는 강돌고래 중에서 가장 큰 돌고래이다. 몸무게는 85~160kg 정도이다. 보통 몸 전체가 분홍색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이는 일부이다. 짙은 분홍색은 아니고 파스텔톤의 옅은 분홍색인 경우가 많다. 주둥이는 길고 가늘며 단단한 털이 나 있고 이빨은 100~140개가 나 있다.[2] 등지느러미는 없으며 등이 솟아 있다.해양 돌고래들은 7개의 목뼈가 하나로 융합되어 목을 크게 돌릴 수 없지만 아마존강돌고래는 목뼈가 하나로 붙어 있지 않아 고개를 90도까지 돌릴 수 있다. 헤엄치는 속도는 1.5~3km/h로 다른 돌고래들보다 느리다. 깊이 잠수하지 못하며, 수면 위를 튀어오르거나 꼬리를 밖으로 내밀기도 한다. 보통 단독으로 행동하지만 2~20마리의 무리를 지어 생활하기도 한다. 돌고래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장난치기를 좋아하고 호기심이 많다.
브라질의 아마존강이나 베네수엘라의 오리노코강 유역에 분포하며, 강과 호수에 서식한다. 물고기와 게를 잡아먹으며, 진흙과 함께 섭취한 다음 진흙은 걸러내는 습성이 있다. 수명은 약 30년이다.
보토의 사회조직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지만, 대개 홀로 살고 간혹 최대 12마리 혹은 그 이상의 개체로 이루어진 무리를 이루기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먹이를 잡는 지역에서 더 큰 무리를 형성하며, 물고기를 잡을 때 큰수달Pteronura brasiliensis 같은 다른 종과 협력하기도 한다. 보토의 작짓기 체계는 일부다처제인 것으로 보인다.
임신기간은 10~11개월이며, 5~8월 사이에 80cm 정도의 새끼를 한 마리만 낳는다. 2~3년에 한 번 출산하며 수유기간은 1년 이상이다.
천적으로는 재규어, 검정카이만, 오리노코악어, 그린아나콘다, 황소상어가 있다. 특히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과 수질오염, 남획으로 개체수가 줄어 멸종 위기 동물이 되었고 어부들은 메기의 한 종류인 피라카팅가를 잡는 미끼로 사용하기 위해 사냥한다.
수가 많이 줄었다지만 2020년대 현재까지는 브라질 마나우스 등에서 아마존강 상류 쪽으로 몇박 정글 투어를 가면[3]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인간이 보이면 숨으려 하는 다른 야생동물과 반대로 바다의 돌고래들도 그렇듯 호기심이 많고 인간에 거부감이 없는 편이라 일부러 관광객 근처에서 보일 듯 말 듯 수면에서 들어갔다 나왔다 어슬렁거리는 경우가 많다.
아마존강돌고래가 아마존 강에 살게 된 이유는 아마존 강 탄생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녔다. 1500만 년 전 해수면의 상승으로 인해 남아메리카 대륙에 내해가 생겼고, 나즈카판과 남아메리카 판의 충돌로 안데스 산맥이 융기해 내해가 사라지고 아마존 강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 과정 속에서 내해로 들어오게 된 해양 돌고래의 조상이 아마존 강에 자리를 잡으면서 지금의 아마존강돌고래가 되었다고 학자들은 보고 있다. 유전자 쪽으로는 남미 남동부 해안에서 발견되는 '라플라타돌고래(프란시스카나)'와 가장 유사하다. 이때문에 학자들은 1500만년전 해수면 상승으로 남미 북서부와 남동부 지역에 상당한 양의 바닷물이 유입되면서 두 지역의 물길 일부가 연결되면서 이 둘의 조상이 그 물길을 따라 남동부로 내려간 것으로 보고 있다.
서식지 내에서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동물은 같은 우제목에 속하는 페커리다.
2.1. 성문화
수컷 보토는 매우 다양한 동성애 상호작용에 참여하며 완전히 세 가지 다른 유형의 삽입 방법을 사용하여 서로 짝짓기를 한다. 즉 한 수컷이 자신의 발기한 페니스를 다른 수컷의 생식기 틈이나 항문, 또는 분수공에 삽입한다. 항문 또는 생식기 틈 교미를 할 때는 한 수컷이 이성애 교미에서처럼 다른 수컷의 밑에서 거꾸로 헤엄친다. 분수공 짝짓기는 삽입을 하는 수컷이 다른 수컷의 위쪽에 위치한다.수컷들 간에 나이 차이가 있다면, 일반적으로 나이가 많은 수컷이 어린 수컷에게 삽입한다. 수컷들은 또한 생식기 개구부나 발기한 페니스를 서로 문지르기도 한다. 또는 한 수컷이 다른 수컷의 생식기에 머리를 문질러 발기하도록 자극할 수도 있다. 성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수컷 쌍은 서로에 대한 애정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부리나 지느러미로 서로를 쓰다듬거나, 서로 몸이나 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를 대고 나란히 헤엄치거나, 동시에 숨을 쉬러 수면으로 올라가거나, 함께 놀며 휴식을 취하기도 한다. 수컷 동성애 만남은 상당히 길어질 수 있어서 어떤 경우 오후 내내 지속하기도 하지만, 짝짓기가 일어날 때의 실제적인 삽입은 약 1분 동안만 지속한다(항문성교에서).
수컷 보토는 또한 다른 종의 아마존강돌고래인 투쿠시돌고래Sotalia Fluuiatilis와 동성애 활동을 한다. 이러한 이종 간 만남에서, 수컷들 사이의 생식기틈 교미는 배와 배를 접하는 체위를 사용하지만, 때로는 삽입하는 동물이 머리를 반대 방향으로 향하며 몸을 비틀기도 한다(다른 수컷에게 여전히 삽입을 한 채로). 애무와 생식기 문지르기 외에도 동성애 활동에는 때로 더 특이한 행동이 나타난다. 즉, 한 수컷 보토가 투쿠시돌고래의 머리 전체를 부드럽게 입에 무는 모습을 한 번 보여주었는데 명백하게 애정 어린 몸짓이었다.
포획 상태의 보토에서는 동성애 활동이 흔하다. 야생에서의 동성애 발생률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와 유사하게 보토와 투쿠시돌고래 사이의 성적인 행동은 포획 상태에서만 볼 수 있었지만, 야생에서도 이 두 종은 가끔 서로 상호작용한다.
동성애 행동은 암컷에게 접근할 수 없는 포획 상태의 수컷 보토들 사이에서만 자세히 연구되었기 때문에, 이 행동이 다른 맥락에서 발생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잠재된 혹은 ‘상황적인’ 양성애 가능성의 표현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돌고래 성애의 다양한 면과 대체로 유연한 성격을 고려할 때, 적어도 일부 개체에는 동성애나 양성애의 표현이 사회생활의 일부 요소일 가능성이 크다.
수컷과 암컷 보토는 때로 비생식적인 짝짓기를 한다. 이성애적인 분수공 교미가 관찰되었고, 수컷은 때로 페니스를 암컷의 가슴지느러미나 꼬리지느러미에 문지르기도 한다. 이 행동은 특히 암컷이 질을 통한 교미를 허락하지 않을 때 흔하다. 또한 이성애 교미는 매우 빈번하게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다. 암수 한 쌍이 4분에 한 번씩, 실제로 3시간이 넘게 짝짓기를 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암컷이 이러한 반복적인 교미에 항상 기꺼이 참여하는 것은 아니며, 흔히 자신을 괴롭히는 수컷을 피하려고 얕은 물 속으로 도망친다. 탈출을 못한 암컷은 수컷에게 공격당하거나 생식기 주변을 물릴 수 있다.
자위는 보토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수컷은 한쪽 지느러미로 페니스를 문지르고, 암컷은 생식기 틈에 물체를 삽입하려고 하며, 암수 모두 수중이나 수면의 물체에 생식기를 문지른다.
보토는 또한 육아를 대신하거나, 혹은 ‘새끼 돌보미’를 하는 공동보육 그룹 체계를 개발했다. 때로는 어린 보토들이 얕은 물에 모여 탁아소creches라고 알려진 무리를 형성한다. 이 무리에는 어린 새끼들과 나이가 든 청소년 개체들이 모인다. 부모들이 먹이를 찾으러 가는 동안 이러한 무리는 몰려다니며 안전을 확보한다.
3. 사육 사례
강돌고래 중 사육이 시도된 몇 안 되는 종이지만 역시 결과는 좋지 않았다. 사육 시 평균 33개월 정도밖에 못 살았다고 하며[4] 예외적으로 독일 Duisburg 동물원에서는 Baby라는 개체를 45년 9개월 동안 사육한 사례가 있다.[5] 아무리 바다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강에서 산다고 한들 아마존강돌고래 역시 근본적으로는 높은 지능과 굉장히 넓은 활동 반경을 가진 동물이기 때문에 극심한 스트레스와 정형행동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할 수밖에 없다.국내에서는 한때 대전아쿠아월드에서 도입을 시도했으나[6] 수입하기로 한 베네수엘라 현지에서 운송 중 폐사해서 무산된 전적이 있다. 2024년부로 국내에서의 모든 고래류의 전시가 불법이 되었기 때문에 아마존강돌고래가 국내에서 전시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4. 관련 전설
아마존 원주민들의 전설에 의하면 6월 보름달이 뜬 밤 인간이 되어 어린 소년, 소녀들과 관계를 맺는다. 이때 돌고래들은 자신의 숨구멍을 가리고자 모자를 절대 벗지 않는데 지금도 아마존의 일부 원주민들은 모자를 쓴 사람들에게 모자를 벗어보라는 요구를 하기도 한다.또 다른 전설로는 '보뚜' 전설이 있다. 보뚜는 아마존강돌고래의 또 다른 이름이다. 보뚜는 요술을 부려 분홍빛 피부를 지닌 소년으로 둔갑해 화려한 춤으로 소녀들을 유혹해 마법의 수중도시 '엔칸테'(Encante)로 끌고 간다. 마법의 수중 도시 엔칸테 전설과도 연관이 깊어 엔칸타도(Encantado)[7]라는 존재로 설명된다. 이 전설도 보뚜 전설과 마찬가지로 요술을 부려 여성을 유혹하고 관계를 맺어 엔칸테로 데려간다. 이 엔칸테에서 탈출에 성공한 여성들은 정신이 나가고 임신한 상태로 고향으로 돌아온다. 이런 전설 때문인지 일부 지역에서는 아버지가 없는 아이들을“보토의 자식(child of the boto)”이라 부른다.
5. 매체
- 라이온 수호대: 시즌3에 단역 캐릭터로 룸바룸바라고 하는 이름의 분홍돌고래가 등장한다.
- 아기공룡 둘리: 아마존으로 보내진 고길동에게 나타난 적이 있다.
- 아마존의 눈물: 이 프로그램을 통해 통해 잠시나마 유명해지기도 했다.
- 알쏭달쏭 캐치! 티니핑: 14화 '퐁당퐁당 퐁당핑' 편에서 퐁당핑의 친구이자 바다에사는 핑크돌고래가 등장한다. 하지만 아마존강돌고래와는 달리 바다에서 살고, 생김새가 참돌고래과의 일반적인 생김새와 유사하다.
- 정글 크루즈: 2021년 개봉한 디즈니 영화 에도 CG로 한 장면 등장하는데, 실제와 달리 거의 몸전체가 핑크색이고 색깔도 진한 걸로 묘사되었다.
6. 기타
분홍색 돌고래 하면 이 아마존강돌고래가 가장 유명하지만, 홍콩 앞바다에도 분홍빛 돌고래가 살고 있다. 홍콩 외곽의 타이오(大澳) 어촌마을에 가면 분홍돌고래 보러 나갔다오는 배를 엄청나게 홍보한다. 하지만 이 종은 중국흰돌고래(Chinese white dolphin, Sousa chinensis), 정식 명칭은 인도태평양혹등돌고래로 참돌고래과 돌고래인데, 아마존강돌고래마냥 뚜렷한 분홍색은 아니지만 조금 분홍빛이 돌긴 하다. 하지만 강돌고래와는 색깔 빼고는 그리 비슷한 점이 거의 없다.[1] 현지 발음은[2] 이는 72~116개의 이빨을 지닌 해양 돌고래보다 1.2배 많은 숫자다.[3] 2박 3일, 3박 4일부터 더 긴 것까지 많다. 관광객이 마나우스에 오는 이유가 뭔지 현지에서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마나우스의 게스트하우스에서 대부분 알선도 해 준다.[4] 어떤 기록에는 10년~30년 정도 살았다는 분석도 있다.[5] 2020년 12월 폐사했다. 원래 Apure라는 개체도 있었지만 2006년 먼저 세상을 떠났다.[6] 심지어 과거에도 아마존강돌고래를 상징으로 쓸 정도였다.[7] 포르투갈 말이며 영어로는“enchanted(마법에 걸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