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코거북(호주돼지코거북) 豬鼻龜 | Pig-nosed turtle, Fly River turtle, Pitted-shelled turtle, Warrajan | |
| |
학명 | Carettochelys insculpta Ramsay, 1886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파충강Reptilia |
목 | 거북목Testudines |
아목 | 잠경아목Cryptodira |
과 | 돼지코거북과Carettochelyidae |
속 | 돼지코거북속Carettochelys |
종 | 돼지코거북C. insculpta |
멸종위기등급 | |
|
1. 개요
거북목 자라상과 돼지코거북과의 거북.2. 특징
다 자라면 등갑의 크기가 56.3cm정도 된다고 하며 대형화된 사육환경에서는 70~75cm까지도 클 수 있다고 하나 매우 드물다. 체중은 20kg 조금 넘는다.이름처럼 돼지와 같이 생긴 코가 특징으로 민물거북 중에서는 유일하게 완전한 수생생활에 특화된 종이다. 그래서 앞다리와 뒷다리가 가까운 친척뻘인 자라와 같은 형태가 아니라, 같은 거북목 잠경아목인 점을 제외하면 계통적으로 거리가 먼 바다거북과 같은 지느러미의 형태로 발달되었다.
3. 생태
뉴기니 남부와 호주 노던 준주의 강, 석호, 하천에서 서식한다.식성은 잡식성으로 무화과 꽃 , 열매, 잎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과 갑각류, 곤충 등을 먹이로 삼는다.
수컷은 16살, 암컷은 18살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건기에 산란하는데, 새끼는 발생이 끝난 뒤에도 우기가 올 때까지 알 속에 동면 상태로 있다가 우기에 둥지가 침수되면 급격이 줄어드는 산소 농도를 신호로 삼아 즉시 부화한다.
4. 애완용
호주폐어와 마찬가지로 멸종위기에 처해있어 워낙 구하기도 힘들고 고가에 거래되기 때문에 희소성이 매우 높다. 밀수하다가 적발된 사례도 많다.[1]CITES II급이기 때문에 최소한 2000*1000의 어항을 구비하지 못 한다면 분양자체가 불가능하다.
성격은 자라와는 달리 사람에겐 온순한 편이나, 영역을 두고 사는 동물인 만큼 유독 동족에게는 적대하는 성향이 있다. 동족끼리 합사를 하면 죽을 때까지 싸운다고.
어류와 합사가 용이한 몇 안 되는 거북 중의 하나이다. 특히 아로와나같은 대형어와 합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아쿠아리움에서도 다른 어종과 합사해서 전시해놓은 걸 쉽게 볼 수 있다. 부유한 사육자들은 용이나 호주폐어 등과 합사하기도 하며, 피라냐같이 사나운 녀석이 아니라면 합사는 무난한 편. 그러나 이 녀석도 온순할 지언정 거북은 거북이다. 어떤 사육자는 돼지코거북이 자기보다 작은 폴립테루스를 물어서 가노인 비늘을 박살내어 죽여버렸다는 사례가 있다.
자라와 마찬가지로 등껍질이 가죽으로 돼있어서 방어력이 빈약하다. 다른 거북과 합사 시 뜯겨나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반대로 돼지코거북이 다른 거북을 공격하기도 한다. 비파랑 합사하면 등갑에 달라붙어서 체액을 빨기도 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이빨이 날카롭고 공격성이 있는 어종은 비추. 그 외 잡기 어려운 재빠른 소형어랑 합사하기도 한다.
잡식성이지만 멸치 같은 해산물은 소금기를 빼낸 뒤 넣어주자. 이는 다른 거북들도 마찬가지.
스트레스를 받으면 과식을 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완전수생이므로 육지는 필요없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