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은 의미의 환도상어에 대한 내용은 환도상어속 문서 참고하십시오.
환도상어 Pelagic thresher shark[1] | |
학명 | Alopias pelagicus (Nakamura, 1935)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연골어강(Chondrichthyes) |
아강 | 판새아강(Elasmobranchii) |
목 | 악상어목(Lamniformes) |
과 | 환도상어과(Alopiidae) |
속 | 환도상어속(Alopias) |
종 | 환도상어(A. pelagicus) |
멸종위기등급 | |
[clearfix]
1. 개요
2. 특징
길이는 평균적으로 3.4m까지 자라며 환도상어속에 속한 상어 중 가장 작다.[2]큰눈환도상어와 분류학적으로 가장 가깝지만 생김새는 흰배환도상어와 더 비슷하다.[3] 그렇기 때문에 환도상어를 보면 이게 환도상어인지, 좀 작은 흰배환도상어인지 혼동될 수 있다. 심지어 논문에서도 이 둘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흰배환도상어와는 달리, 환도상어는 악상어목에 속한 상어들의 특징인 체온을 조절할수 있게 하는 혈류역순환조직이 퇴화되어 있다. 그래서 흰배환도상어가 정온동물인 데 비해 환도상어는 변온동물에 더 가깝지만 혈류역순환조직이 눈과 뇌 주변엔 퇴화되어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눈과 뇌의 기능은 수온에 영향을 덜 받는다.
3. 생태
인도-태평양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서 볼 수 있으며 대한민국의 남부 해역에서도 이 종이 관찰된 바가 있다. 원양성 어류이며,흰배환도상어는 연안에도 의외로 자주 접근하지만 환도상어는 몇 특정 장소들에서만 연안에 접근한다. 깊은 수심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나 300~500m 이상의 수심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큰눈환도상어와는 달리 150m의 수심 이내에 지낸다.꼬리지느러미를 무기로 사용해 사냥하며 작은 물고기나 오징어떼를 때려서 기절시킨 뒤 잡아먹는다. 이빨은 작고 원추형으로 작은 먹이를 물어 고정시키는 정도밖에 할 수 없으며, 실제 공격은 꼬리에 의존해서 한다.
환도상어속에 속한 상어 중 물 위로 튀어오르는 종은 흰배환도상어가 가장 잘 알려졌지만, 환도상어 역시 물 위로 튀어오르는 경우가 꽤 있다. 아직 이유는 불확실하다.
수산업에 의해 아주 많이 죽어나가는 상어이다. 지느러미가 길어서 샥스핀 요리로 이용이 되기 때문에 많이 어획된다. 소위 "상어깍두기"도 환도상어의 고기를 주로 사용한다. 세계자연보전연맹에 의해 위기종으로 지정되었지만 보호받고 있지는 않아서, 멸종위기종인데도 합법적으로 버젓이 잡혀 시장에 유통되기 때문에 미래가 어두운 편이다.
4. 여담
- 환도상어에 속한 상어 중 스쿠버다이버들이 유일하게 관찰할 수 있는 종이다. 필리핀의 다이빙명소 중에는 말라파스쿠아(Malapascua)라는 섬이 있는데, 이 섬 주변의 해산 중 두 곳이 환도상어들이 매일 아침 찾아와 작은 물고기들에게 몸을 청소받는 장소로 유명하다. 그러나 해가 뜨면 상어들이 대양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새벽에 입수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고, 다이빙 장소 자체도 수심이 30m 이상에 조류가 강하기 때문에 초보자들에겐 위험할 수 있다. 그 외에는 필리핀의 또 다른 다이빙 명소인 페스카도르 섬(Pescador island)에서 간간히 정어리떼를 사냥하는 모습이 목격되고, 홍해의 다이빙 명소에도 환도상어가 출몰한다.[4] 이 때문에 환도상어 수중사진이나 영상을 보면 십중팔구 이 종이며, 특히 사냥하는 장면이거나 산호초 환경에서 촬영되었으면 99% 이 종이라고 보면 된다.[5]
- 널 잡아먹고 싶어. 그, 그래도 괜찮지?
서양에서는 얼굴 생김새 때문인지 Shy Shark(부끄럼쟁이 상어)[6]라는 인터넷 밈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갭 모에를 응용한 밈이다.
원본은 이 사진. 미묘한 눈과 아래로 축 처진 입이 시너지를 일으켜서 마치 경멸하는 듯한 표정으로 보인다는 이야기가 많다. #
- 게임 데이브 더 다이버에서 포획 가능한 어종으로 등장한다. 역시 빠른 속도로 다가와 꼬리로 치며 공격한다. 후반부에 등장하는 만큼 상대하기 까다로운 어종 중 하나로 꼽힌다. 메이플스토리 콜라보 이벤트인 세이브 더 다이버 역시 마찬가지.
[1] 같은 환도상어속에 다른 상어들과 차이를 두기 위해 영어 명칭은 'Pelagic thresher shark'이지만 'Thresher shark'로 부르기도 한다.[2] 길이의 절반이 꼬리이기 때문에 몸길이는 1.7m 로 성인 남성과 비슷하다.[3] 큰눈환도상어가 환도상어에서 분리되어 나온 이후에 깊은 수심에서 생활하는 데 특화되면서 여러 특징이 발달되었기 때문이다.[4] 홍해는 대륙붕이 거의 없고, 해안에서 조금만 나가면 깊은 망망대해이기 때문에 원양성 상어들도 육지에 가깝게 접근할 수 있다. 환도상어뿐만 아니라 장완흉상어도 이런 상황에서 연안에 접근하고는 한다.[5] 흰배환도상어의 먹이사냥은 관찰된 적은 있으나 수중촬영은 아직 없고, 큰눈환도상어는 아직 자연 상태에서 촬영된 사례 자체가 없다.[6] 환도상어와 관련없는 상어 중에 'Shyshark'라고 불리는 상어가 있다. 두툽상어과 하플로플레파루스속(Haploblepharus)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