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폐어(호주폐어, 바라문다) Australian lungfish, Barramunda | |
| |
학명 | Neoceratodus forsteri J. L. G. Krefft, 1870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강 | 육기어강 Sarcopterygii |
아강 | 폐어아강 Dipnoi |
목 | 케라토두스목 Ceratodontiformes |
과 | 오스트레일리아폐어과 Neoceratodontidae |
속 | 오스트레일리아폐어속 Neoceratodus |
종 | 오스트레일리아폐어 N. forsteri |
멸종위기등급 | |
|
1. 개요
육기어강 폐어아강에 속하는 폐어의 일종. 오스트레일리아폐어속의 유일종이다.2. 특징
호주 퀸즐랜드의 메리 강과 버넷 강에서만 서식하며 수심 3~10m 정도의 웅덩이를 선호한다. 보통은 몸길이 1m에 20kg까지 자라지만 최대 몸길이 1.5m에 체중 43kg까지 자라는 대형 어류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개구리, 소형 어류, 무척추동물 등을 잡아먹는다.메리 강과 버넷 강의 댐 건설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호주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하여 포획을 금지하고 있다.[1]
붕어, 송사리 같은 조기어류 보다 양서류에 가까워서 그런지 알의 모양와 유생은 개구리와 비슷하다. 번식이 매우 느려서 성체는 20년 가까이 살아야 성적으로 성숙하며, 5년에 한 번씩만 번식하지만 수명도 길어서 100년 가까이 살 수 있다.
시력이 꽤 기묘해서 산란하기 좋은 계절을 주변 수초나 태양광 파장을 통해 알아낼 정도로 예민하지만, 정작 눈 앞에 있는 먹이는 제대로 찾지도 못한다.
3. 사육
생존력이 강하고 아프리카의 폐어들에 비해 온순해서 사육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하지만 보호종이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고[2], 무엇보다 폐어 자체가 대형종이기 때문에 가정집에서 키우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다른 폐어에 비해 수질에 민감하기 때문에 수질관리에 신경써야한다.
합사는 사납지 않은 어종이 좋다. 행동이 워낙 굼뜨기 때문에 소형어와 합사하는 걸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비파의 경우 호주폐어에게 달라붙어 비늘을 빨아대 상처가 나기도 한다.
성질은 타어종에겐 순하지만 영역에 민감한 종인 만큼 동족한테는 유독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호주폐어 한 마리만 단독으로 키우는게 안전하다. 물론 여러 마리를 넣어서 개체간 영역을 좁혀 다툼을 줄일 수는 있지만, 이때 드는 비용은 그렇다치고 원래부터 단독생활을 하는 동물이니 만큼 애니멀 호딩에 가까운 행동이니 삼가해야 한다.
4. 여담
- 유튜버 푸른상어의 최애 어종이다. 호주폐어를 다루는 영상을 보면 다른 물고기보다도 끔찍이 녀석들을 아끼는 반응을 볼 수 있다. 헤엄을 잘 치지 못해서 벌러덩 넘어지면서 가라앉는게 매력포인트라고. 현재도 다수의 호주폐어를 사육하고 있으며, 영상들을 보면 호주폐어에 대한 애정이 남다른 것을 볼 수 있다.
- 유튜버 김줄스가 과거 사육했다. 암컷 난쟁이카이만인 악뚜와 같이 3m 수조에서 지내다가 수조가 터지고 물이 새자 다른 룸메이트(?)들과 함께 다른 곳으로 보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