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흑곰 喜馬拉雅黑熊 | Himalayan black bear | |
| |
학명 | Ursus thibetanus laniger Pocock, 1932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포유강(Mammalia) |
목 | 식육목(Carnivora) |
과 | 곰과(Ursidae) |
속 | 곰속(Ursus) |
종 | 아시아흑곰(U. thibetanus) |
아종 | 히말라야흑곰(U. t. laniger) |
멸종위기등급 | |
|
1. 개요
아시아흑곰의 아종.2. 특징
인도, 부탄, 네팔, 중국, 파키스탄의 히말라야산맥에 서식한다.평균적으로 코에서 꼬리까지의 길이는 140~170cm이고 무게는 91~120kg이지만 겨울잠을 위해 살이 찌는 가을에는 무게가 180kg까지 나갈 수 있다.
야행성으로 낮에도 활동을 하긴 하나 매우 드물다. 히말라야 북서부에서는 겨울 내내 동면만하는 반면 히말라야 동부에서는 동면을 하지않고 일년 내내 활동한다.
먹이는 도토리, 견과류, 과일, 꿀, 뿌리 및 흰개미와 딱정벌레 유충과 같은 다양한 곤충으로 구성된다. 먹이가 부족하면 양, 염소, 소같은 가축도 사냥한다.
성체의 천적으로는 히말라야불곰과 벵골호랑이가 있다. 다만 히말라야불곰은 직접 흑곰을 사냥하기보단 흑곰이 나무 위로 올라가도록 위협한 뒤, 흑곰이 떨어트린 과일을 주워먹는 것을 선호한다.
어린 개체는 인도표범, 히말라야눈표범, 몽골늑대, 히말라야늑대, 검독수리에게도 위협을 받는다.
짝짓기는 10월에 이루어지며 보통 2월에 두 마리의 새끼가 낳는다. 새끼는 약 2년을 어미와 함께 지내고 후에 독립한다.